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심장이식술 20례의 조기성적

        박종빈,송현,송명근,김재중,이재원,서동만,손광현,Park, Chong-Bin,Song, Hyun,Song, Meong-Gun,Kim, Jae-Joong,Lee, Jay-Won,Seo, Dong-Man,Sohn, Kwang-Hyun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7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0 No.2

        현재 심장이식은 말기 심부전환자에게 확정적인 치료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람에게 최초의 성공적인 심장이식은 1967년에 시행되었으며, 국내에서는 1992년 11월에 처음으로 시행되었다. 국내에서 1992년 처음으로 시행된 이후, 50례 이상이 시행되었다. 아산재단 서울중앙병원에서는 1992년 11월 이후 20례의 동소심장이식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본원에서 시행된 20례의 심장이식환자의 조기성적과 추적경과를 분석함에 있다. 이식환자 평균연령은 39$\pm$11.8 (20~58)세이었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1.4$\pm$11.2 (1~41)개월이었고, 모두 현재까지 생존하고 있다. 혈액형은 14명에서 일치하였고 6명에서 적합하였다. 수술전 심장질환으로는 확장성 심근병증이 16례, 판막질환이 2례, 허혈성 심근병 증이 1례, 거대세포 심근염이 1례였다. 수혜자와 공여자간의 조직적합이식항원(HLA)교차반응검사는 18례에서 가능하였고, 16례에서 T세포와 B세포 모두에서 음성이었고, 2례에서 warm B세포에 양성이 의심되었다. A, B, DR의 6개의 유전자좌중 8명에서는 1개의 유전자좌에서, 5명은 2개의 유전자좌에서, 1명은 3개의 유전자좌에서 일치를 보였다. \ulcorner자당 동종이식 급성거부반응 평균횟수는 2.8$\pm$0.5 (0~6)회 이었으며, 치료가 요구되는 평균횟수는 1.0$\pm$0.9 (1~3)회이었다. 수술로부터 치료가 요구되는 급성거부 반응까지의 평균기간은 35.5$\pm$20.4 (5~60)일이었다. 1례에서 급성 체액성거부반응이 의심되었으며 성공적으로 치료되었다. 심초음파나 MUGA주사로 측정된 좌심실구혈율은 심장이식후 평균 17.5$\pm$6.8 (9~32)%에서 58.9$\pm$2.0 (55~62)%로 증가하였다. 5명의 환자에게 24시간 이상 일시적 심박동보조가 요구되었으나 모두 일주일내에 정상 동성 리듬으로 회복되었다. 한 명에서는 이식후 140일째 완전 방실 블럭이 나타나 영구적 심박동조율기가 요구되었다. 또 한 명의 환자에게서 이식직후 Cyclosporine연관성 신경독성이 나타났으나 수술후 27시간후에 회복되었다. 서울중앙병원에서 심장이식수술은 발전단계에 있으며 조기 결과는 외국의 잘 정립된 병원의 결과와 비견되지만 장기 추적결과는 재평가되어야 하겠다. 심장이식은 말기 심부전환자에게 성공적인 치료방법이 되리라 사료된다. Heart transplantation is now accepted as a definitive therapeutic modality in patients with terminal hear failure. The first successful heart transplantation in humans was done in 1967 and the first case in Korea was performed in november, 1992. Since the first case in 1992, more than 50 cases have been performed in Korea. A total of 20 patients underwent orthotopic heart transplantation since November, 1992 in Asan Medicla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arly results and the follow-up course of 20 cases of heart transplantation done in Asan Medical Center. The average age of 20 patients was 39.9$\pm$11.8 years old(20~58).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14.4$\pm$11.2 months(1~41). All patients are alive till now. The blood type was identical in 14 and compatible in 6 patients. ihe original heart disease was dilated cardiomyopathy in 16, valvular heart disease in 2, ischemic cardiomyopathy in 1, and giant cell myocarditis in 1 patient. HLA cross matching for recipient and donor was done in 18 cases and the results were negative for T-cell and B-cell in 16 patients, pos tive for warm B-cell in 2 patients. Among 6 loci of A, B, and DR, one locus was matched in 8 cases, 2 loci in 5 cases, and 3 loci matched in 1 case. The number of acute allograft rejection averaged 2.8$\pm$0.5 (0~6) per case and the number of acute allograft rejection requiring treatment averaged 1.0$\pm$0.9 (1~3) per case. The time interval from operation to the first acute rejection requiring treatment was 35.5$\pm$20.4 days (5~60). Acute humoral rejection was suspected strongly in 1 case and was successfully treated. The 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 measured by echocardiography and/or MUGA scan wa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17.5$\pm$6.8 (9~32)% to 58.9$\pm$2.0 (55~62)% after heart transplantation. Temporary pacing was needed in 5 patients over 24 hours but normal sinus rhythm appeared within 7 days in all cases. One patient has been taken permanent pacemaker implantation due to complete AV block appearing 140 days after heart transplantaion. One patient had cyclosporine-associated n urotoxicity during the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and was recovered after 27 hours. The heart transplantation of Asan Medical Center is on a developing stage but the early result is comparable to that of well established centers in other countries, even though the long-term follow-up result must be reevaluated. We can conclude that the heart transplantion is a promising therapeutic option in patients with terminal heart failure.

      • KCI등재

        Draft genome sequence of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from a fattening pig

        박종빈,이준영,진귀득,김은배,Park, Jongbin,Lee, Jun-Yeong,Jin, Gwi-Deuk,Kim, Eun Bae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2

        국내 비육돈에서 분리된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유산균주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유전체 초안은 크기가 1,996,237 bp이며 G+C content (%)는 38.75%이다. 이 초안속의 149개 contig들로부터 1,837개의 단백질 코딩 유전자가 예측되었다. We sequenced the genome of Lactobacillus reuteri KLR3004 strain isolated from a fattening pig in South Korea. The sequences were assembled into a draft genome containing 1,996,237 bp with a G+C content of 38.75% and 1,837 predicted protein-coding sequences in 149 contigs.

      • KCI등재

        한국 전통유래식품(청국장)에서 분리한 Enterococcus faecium JB00008 (KACC 92186P) 유산균주의 유전체 분석

        박종빈,진귀득,김은배,Park, Jongbin,Jin, Gwi-Deuk,Kim, Eun Bae The Microbiological Society of Korea 2018 미생물학회지 Vol.54 No.2

        본 연구에서 이용된 Enterococcus faecium JB00008 (KACC 92186P) 균주는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에서 분리되었다. 이 균주는 Escherichia coil에 대해 높은 항균활성능력을 보였다. 우리는 이 균주의 유전체의 염기 서열을 분석하였다. 유전체 초안은 500 bp 이상의 contig 34개로 조립되었으며, 크기가 2,847,295 bp이고, G + C 함량(%)는 37.84%이다. 유전체 초안에서 항균활성물질(bacteriocin) 중 하나인 enterocin과 연관된 유전자가 5개 확인되었다. Enterococcus faecium was commonly used as a probiotics and feed additives to human and animals because of their beneficial effects. We sequenced the genome of E. faecium JB00008 (KACC 92186P) isolated from a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Cheonggukjang) that showed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Escherichia coli. A 2,847,295-bp draft genome was obtained, and it has in 37.84% G + C content in 34 contigs (length, ${\geq}500bp$).

      • KCI등재

        한국 만화 원작 OSMU 초기모델 연구

        이승진(Seung Jin Lee),박종빈(JongBin Park)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3

        만화를 원천소스로 타산업으로 연계한 1980년대 초기작품으로, 이현세 작가의 <공포의 외인구단>, 박봉성 작가의 <지옥의 링>, 강철수 작가의 <발바리의 추억> 등이 있다. 이 중에서도 특히, <발바리의 추억>은 20년 이상 OSMU(One Source Multy Use)를 진행시킨 작품이다. 이 작품은 신문연재만화를 출발로, 출판만화 단행본, 단행본 시리즈 출간, 실사 영화제작, 연극, 성인용 만화 CD-ROM, 기업홍보물, 그리고 주인공 김달호 스트라이프 티셔츠까지 2차 산업으로의 확장을 이루었다. 20년 이상 원천 콘텐츠로서의 가치를 지니는 것은 본 작품이 가지는 가장 강력한 ‘발바리성’이라는 캐릭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즉 원작의 기획력과 작품 스토리텔링뿐만 아니라, 캐릭터 스토리텔링은 작품을 오랫동안 기억하고 찾게 만드는 가장 강력한 원천인 것이다. 현재, 연재되고 있는 상당수의 웹툰이 2차 저작물로 제작되거나 계약이 이루어진 상태다. 만화가 원천소스로서 상당한 인정을 받고 있는 시기임은 분명하다.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증가할 것이라 생각된다. 강철수 작가의 <발바리의 추억>과 같은 초기작품에 대한 연구 분석을 통하여 앞으로의 원천 콘텐츠로서의 만화의 역할과 위상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representative cartoon works in early 1980s which were connected to other creative works in other industries, there are Hyun-Sei, Lee’s 〈Horrifying Minority Baseball Club〉, Bong-Seong, Park’s 〈Hell’s Boxing Ring〉, and Cheol-Soo, Gang’s 〈Balbari’s Memories〉. Of them, Gang’s 〈Balbari’s Memories〉, is the work having developed the OSMU(One Source Multi Use) for over 20 years. This work was first released as a newspaper cartoon, and then published a cartoon book, and followed the series of cartoon books, then was produced as a real film, an adult-cartoon CD-ROM, and even was used as a company’s promotion material, and was transformed as a stripe T-shirt featuring Dal-Ho, Kim, the main character in this cartoon. Like that the work of 〈Balbari’s Memories〉 succeeded in being expanded into the 2nd industry. The reason enabling this work to keep the value of source contents for over 20 years, I think, is because the ‘Balbari‘s personality’ the strongest character in this work. That is, the character’s storytelling ability as well as the original work’s planning power and the work’s storytelling ability are the strongest source for people to remember and read for a long time. Many webtoon (online cartoons) currently carrying on some web sites are being published as the 2nd literary works or are concluded their publication contracts. This times is undoubtedly a period that a cartoon is substantially recognized as an industrial source. I think this trend will be increased. Therefore it will set some chances to develop the role and the status of cartoon, an industrial source content through some research analysis on representative works in early period like Cheol-Soo, Gang’s 〈Balbari’s Memories〉.

      • HCNL(Human Centric Natural Lighting) 기술과 건물에너지의 미래

        박종빈(Jongbin Park),배호준(HoJune Bae),김정수(JungSu Kim),신서용(Seoyong Shin),조미령(Meeryoung Cho),이건우(Keonwoo Lee),장우진(Woojin Ja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2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11

        In order to efficiently manage future building energy, a comprehensive control design is required.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menity along with energy efficiency. Therefore it is worth noting because HCN technology to be in the limelight.

      • KCI등재

        폼 양식 디자인의 디자인 요소 분석과 현대 사회에서의 신뢰성 고찰에 대한 연구

        박종빈(Park, Jongbin)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22 조형미디어학 Vol.25 No.4

        폼 양식은 우리 일상에서 관심받지 못하는 조용한 주인공이다. 폼 양식들은 우리 주변에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우리가 알아차리지도 못한다. 그렇지만 그것들은 우리 사회가 기능할 수 있게 하는 deus ex machina(데우스 엑스 마키나)-문학 작품에서 결말을 짓거나 갈등을 풀기 위해 뜬금없는 사건을 일으키는 플롯 장치이다. 글자 그대로 풀이하면 기계 장치로 내려온 신이라는 뜻이다. 와 같다고 할 수 있다.- 우리가 맹목적으로 의지하고 종종 지속적으로 존재하는 것에서 발생하듯이, 우리가 완전히 당연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는 유형의 현실인 것이다. 어휘의 모호성으로 인해 혼동될 수 있는 형식이라는 용어(형태로 의도된 형식과의 명백한 동음이의어)는 응용 프로그램, 등록, 증명서, 송장, 설문지, 신고서, 티켓은 식별 가능한 수많은 범주 중 일부일 뿐이지만, 그 중 가장 낮은 공통 분모는 정보를 전송한다는 사실이다. 우리는 폼양식을 신뢰하지만, 특별히 좋아하지는 않는다: 그것들은 사고, 청구서, 병원과 같은 부정적이고 짜증나고 불쾌한 사건들과 장소들과 무의식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피할 수 없는 필수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용자와 제공자 모두가 경험하는 형태에 대한 불편함은 매우 자연스러운 것이며, 대부분의 형태가 고통받는 형편없고 불분명하며 매력적이지 않으며 불친절한 설계를 고려할 경우 거의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폼 양식의 특징들과 요소들을 분석해봄으로써 현대 사회에서 필수 불가결한 양식들이 사람들과 조금은 더 가까워질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form style is a quiet protagonist who does not receive attention in our daily life. Forms are all around us, but most of the time we dont even notice them. However, they are deus ex machina that enable our society to function - a plot device that causes random events to conclude or resolve conflicts in literary works. Literally translated, it means God descended from a mechanical device. It is the type of reality we tend to take for granted entirely, as it arises from what we blindly rely on and often continue to exist. The term form (obvious homonym for form intended as form), which can be confused due to lexical ambiguity, is an application, registration, certificate, invoice, questionnaire, declaration, ticket with a number of identifiable categories. Although only a few of them, the lowest common denominator is the fact that they transmit information. We trust, but not particularly like, forms: they are unavoidable necessities that are unconsciously associated with negative, annoying, and unpleasant events and places such as accidents, bills, and hospitals. Thus, the discomfort of forms experienced by both users and providers is very natural and almost unavoidable given the poor, obscure, unattractive and unfriendly design that most forms suffer.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elements of these forms, I would like to suggest a way to make the forms indispensable in modern society a little closer to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