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대박(梁大樸)의 「청계동도(靑溪洞圖)」 고찰(考察)과 함의(含意)

        박정하 ( Park Chung-ha ) 남도민속학회 2021 남도민속연구 Vol.43 No.-

        청계동은 곡성군 곡성읍과 입면의 경계를 이루고 있는 동악산의 북쪽 끝단에 자리 잡은 골짜기의 명칭이다. 청계동이란 지명은 양대박의 문집인 _청계유고_에 처음 나타난다. 청계동은 1580년대에 남원양씨 가문의 양대박이 이 지역에 설촌한 마을의 명칭이기도 하다. 「청계동도」는 단면에 그려진 청계동 마을의 설촌 당시 마을의 설계도 또는 구성도이다. 청계동은 후손들이 길이 살아갈 터전으로 계획된 마을이자 양대박의 은거를 위한 별서이며 그의 이상을 펼치기 위해 설계한 정원이다. 혈족, 사승, 문생으로 얽힌 사대부 선비들과 호남사림의 교류를 위한 공간이다. 청계동은 순자강유역의 시단을 이끌었던 중추적 역할을 했던 지역이며 계곡이 아닌 순자강을 중심으로 거대한 원림을 형성했다. 이 원림에서 빼어난 주변의 경치를 즐기면서 남쪽과 북쪽지역 명현들 간의 인적교류를 통해 성리학의 실천을 도모하자는 도학적 실용성에 기반하고 있다. 이는 양대박의 스승인 우계 성혼의 학풍을 청계동에 실천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계(성혼)학파’의 도학사상에 따른 실학적 ‘무실학풍’을 충실히 계승하여 자신의 정체성으로 삼고 있은 것으로 나타난다. ‘우계학파’의 도학적 전통에 기반하여 계승한 실천적인 강조에 따라 ‘은거하면서 자신을 지키며 성인을 모표로 한다’는 측면, 특히 사회적 차원에서 청계동이라는 ‘원림’을 구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이 같은 실천적이고 실무적인 강조에 따라 ‘둔전법’을 활용해 운영, 청계동에서 의병 창의를 실천적으로 이룸으로서 도학의 완성을 이루고 있다. 본고를 통해 「청계동도」의 설계에 따른 보허정을 중심으로 정자를 복원할 것을 권고한다. 특히 보허정이 자리했던 지역인 사수골 입구의 화장실과 매표소를 철거하고 이 주변을 보정하여 청계원림을 복원할 것을 주문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형적이고 편협적인 시각을 버려야 한다. 호남사단의 중핵지가 곡성지역까지 확대되어야 마땅할 뿐만 아니라 재정립되어야 한다. Cheonggye~dong is the name of a valley located at the northern end of Dongaksan Mountain, which borders Gokseong~eup and Gokseong~gun. The name Cheonggye~dong first appeared in “CheonggyeYugo”, a collection of the two major Parks. Cheonggye~dong is also the name of a village where the two families of Namwonyang lived in this area in the 1580s. “Cheonggye~ dongdo” refers to a blueprint or composition of the village during the Seolchon period of the Cheonggye~dong village drawn on a cross~section. Cheonggye~dong is a village planned for descendants to live on, a annex to the seclusion of two great gourds, and a garden designed to spread his ideals. It is a space for the exchange of Honam forests with the nobility of the nobility, which is intertwined with blood, monks and literati. Cheonggye~dong played a pivotal role in leading the foundation of the Sunja River basin, and formed a huge forest around the Sunja River, not a valley. It is based on the Taoist practicality of promoting the practice of Neo~ Confucianism through human exchanges between prominent figure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regions while enjoying the scenic beauty of the area. This means that the school spirit of the two Parks' teacher, Ugye Seonghon, is practiced in Cheonggye~dong. It appears that he has faithfully inherited the practical “unrealistic style” according to the Taoist ideology of the “Western (Sexual) School” and used it as his own identity. Based on the practical emphasis inherited based on the academic tradition of the “Ugye School,” it is believed to have formed the “Wonnim” called Cheonggye~dong in terms of “protecting oneself while living alone and modeling adults,” especially at the social level. In accordance with such practical and practical emphasis, the government has used the “Dunjeon Law” to complete the study by practicing the creation of righteous army in Cheonggye~dong. It is recommended that the pavilion be restored based on the Bohejeong Pavilion according to the design of Cheonggye~dongdo. In particular, the government ordered the removal of toilets and ticket booths at the entrance of Sasugol, where Bohejeong Pavilion was located, and the restoration of Cheonggye Garden Forest by correcting the surrounding area. In order to do so, we must abandon our deformed and narrow~minded views. The Honam Division's central core should not only be expanded to the Gokseong area, but also be re~established.

      • KCI등재

        곡성지역 누정의 현황과 특징

        박정하 ( Park Chung-ha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7 역사학연구 Vol.67 No.-

        곡성군은 섬진강과 보성강이 흐르는 산자수명한 고장이다. 섬진강 유역에서는 조선조 중반기부터 누정들이 나타났는데, 현재까지 존재했거나 사라진 곡 성군의 누정들은 모두 174곳으로 조사되어 있다. 이러한 수치는 곡성군이 전라도 지역에서 많은 정자 분포를 보이는 지역 중에 하나이며 이는 전국적으로 보아도 매우 높은 수치이다. 곡성군의 누정은 섬진강을 경계로 곡성군과 접한 여타 시군의 누정수 보다 훨씬 많이 운영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곡성군은 `누정의 집적지`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러나 이처럼 수적으로 우세한 누정의 분포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곡성지역 누정들은 많은 주목과 관심을 받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본고에서는 곡성군의 누정 중 1996년도까지 파악된 누정들에 관해 현재의 현황을 살펴보고, 권역별, 가문별, 시대별로 구분해 그 특징들을 파악해 보았다. 곡성지역의 누정들은 대부분 섬진강과 삼기천, 보성강 주변에 자리잡고 있으며 수변공간을 중심으로 번성하고 활발하게 운영되었다. 과거 곡성현과 옥과현은 사회경제적으로 주민들의 교류가 극히 적었으나 순자강(섬진강의 곡성지역 옛이름)변에 지어진 누정을 통해서 만큼은 선비문화의 지적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었다. 즉 순자강을 따라 줄띠를 이루듯 늘어선 누정을 통 해 하나의 문화벨트를 이루어 `순자강 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 같은 순자 강 누정을 통한 선비적 교류는 어느 지역 못지않은 `누정문학`을 꽃피웠고, 국가와 지역을 이끌어가는 거대 담론을 형성, `임진왜란 최초의 의병거사의 산실`이 되어 국가와 지역사회의 좌표가 되었다. 외세에 맞서는 이러한 활약은 후세 선비들의 준거 틀을 이루어 병자호란, 정묘호란 그리고 일제에 항거하는 의병활동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곡성누정 운영의 특징 중 또 하나는 가문의 누정운영이다. 특히 삼기천 유역에 토반을 이룬 세력들이 가문을 중심으로 음풍농월의 공간으로서뿐만 아니라 누정을 조상과 가문의 위세를 상징하는 중심공간으로써, 가문과 지역의 인재를 키우고 배출했던 강학공간으로 활용되면서 지역의 인재를 길러내고 가문의 기풍과 자긍심을 조성한 핵심적 동력이 되었다. 그리고 근대기에 들어오면서 점차 누정문화를 향유할 수 있는 지식층이 그만큼 많이 늘어나면서 설립된 누정은 새로운 학풍을 따르고 이어받는 산실이 되었다. Gokseong-gun is the county of scenic beauty with Seomjin River and Boseong River. In Seomjin-river basin, there appeared pavilions(called Nujeong in Korean) in the middle of Choseon dynasty, and the number of Nujeongs that still exist or disappeared in Gokseong is reported as one hundred and seventy-four (174). The number suggests that Gokseong is one of the top rankings showing the most number of pavilions in Jeolla province, and also high in the nation-wide statistics. The number of Nujeongs operated in Gokseong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county or city adjacent to Gokseong bounded by Seomjin RIver, which means Gokseong is kind of `a cluster of Nujeong`. But, in spite of the high number and distribution, they located in Gokseong haven`t got much interest and attention still now. This study reviewed the state of Gokseong Nujeongs surveyed till 1996,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by classifying them by area, family, and the times. The Nujeongs in Gokseong are mostly located in the basin or around Seomjin River, Samgicheon Stream and Boseong River, and they flourished and were actively operated centering around the waterfront area. In the past, Gokseong-hyeon and Okgwa-hyeon had minimal socioeconomic exchanges among their resident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ctive intellectual interchange of scholar culture called Seonbi-Munhwa through Sunja River (old name of Seomjin River in Gokseong area), which shows that there formed a cultural belt. so called, `Sunja River Culture Belt“ along with Sunja River through Nujeong. Such exchange and interchange among scholars bloomed through Sunja River Nujeong, not less than any other area, which was called `Nujeong Literature`, and formed meta-discourse leading the area and the state, finally made the area as `the cradle of the first Righteous Army Movement during the period of Imjin War` to become a guideline for the local area, as well as the state. Such activities against foreign power became the frame of reference for following scholars and had big influence on the righteous army activities against foreign invasions such as Manchu`s invasions in 1627 and 1636 called Jeongmyohoran and Byeongjahoran respectively, and Japanese imperialism. Another characteristic of Gokseong Nujeong is their family-operated type. Especially, centering around the power families that settled down and resided in Samgicheon-Stream basin, Nujeong was used as the place not only to commune with nature, but also symbolize the power of the ancestors and family. And Nujeong was a key driving power to cultivate local elites and to build the family ethos and pride, being utilized as the education space to cultivate and grow family and local members of talent. Stepping into the modern times, the intellectual class who could enjoy Nujeong culture increased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Nujeongs was increased as well. Nujeong played a role as a cradle to follow and succeed to new academic tradition.

      • KCI등재

        옥과 호남검무의 전승양상과 전승의의

        박정하 ( Park Chung-ha ) 남도민속학회 2017 남도민속연구 Vol.34 No.-

        호남검무는 곡성군 옥과지역 출신들에 의해 전수되고 전승되어 온 칼춤이다. 옥과는 과거 옥과현의 치소가 자리잡고 있었던 지역으로 지방의 가ㆍ무ㆍ악을 가르쳤던 장악원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었으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역참인 대부역이 운영되면서 교통의 중심지로써 상업이 발달하여 인구의 유입ㆍ유출이 많았다. 이에 따라 가ㆍ무ㆍ악을 주업으로 하는 예인들이 옥과지역에 거주하거나 머무르면서 예술활동을 펼쳐왔다. 그 중심축은 옥과장악원과 옥과지역에 상주했던 재인과 세습무당들이다. 즉, 옥과지역의 세습무가인 신방초, 한진옥, 장판개 가문의 재인들이 활발하게 펼쳤다. 옥과의 예인들 중 신방초는 호남검무를 집대성했으며, 집안의 동생 신영수에게 물려주었다. 신영수는 고창의 안두은을 거쳐 옥과면 율사리 이장선에게 전수해 주었다. 고종의 진연과 여령들을 지도했던 이장선은 옥과면 옥과리 한진옥에게 호남검무를 전수했다. 한진옥은 남원권번, 광주시립국악원 등 40여년간 고전무용강사로 근무하면서 이장선에게 배운 검무원형을 수강생들에게 전수했다. 1991년 한진옥이 타개한 후 마지막 제자인 광주출신 임순자가 이장선-한진옥을 잇는 호남검무의 원형을 전수받아 시연해 왔다. 그러나 임순자가 2013년 작고함으로 인해 임순자의 제자인 광주출신 유라용이 대를 이어 호남검무를 전승해 오고 있다. 이로써, 호남검무는 신방초→신영수→이장선→한진옥→임순자→유라용 이라는 계보를 구축할 수 있었다. 호남검무는 신방초 신영수 이장선 한진옥으로 이어지는 옥과출신들에 의해 옥과에서 전수되어 온 `옥과검무`이다. 그러나 옥과의 예인들이 시대의 변천에 따라 광주 등 타지로 무대를 옮겨 검무가 전수되면서 `호남검무`로 명칭이 굳어졌다. The Honam Sword Dance has been handed down and transmitted by those who were from Okgwa in Gokseong. In Okgwa as the region where the ruling place of Okgwahyun was located in the past, Jangakwon which taught local Ga-Mu-Ak (meaning song-dance-music) was actively operated and road station, Daebuyeok was operated till the late Chosun period, which developed the region as the hub of transportation and commerce with lots of inflow and outflow of population. Thus, lots of entertainers who performed Ga-Mu-Ak for a living resided or stayed in Okgwa for their performance and activities. The main figures were entertainers called Jaein and hereditary shamen who stayed in Okgwa Jangakwon and Okgwa region. That is, the entertainers from the shamanic family such as Shin Bang-cho, Han Jin-ok, and Jang Pan-gae family in Okgwa showed active performances. Shin Bang-cho among the entertainers in Okgwa compiled the Honam Sword Dance and passed down to Shin Young-soo who was a younger brother in the family, and Shin Young-soo handed it down to Ahn Doo-eun and then to Lee Jang-seon. Lee Jang-seon who directed King Gojong`s royal banquets and female entertainers called Yeoryeong resided in his hometown Okgwa and transmitted the Honam Sword Dance to Han Jin-ok. Han Jin-ok worked for the Namwon Gwonbeon and the Gwangju Traditional Korean Music Center as a dance teacher for about 40 years, transmitting the original form of the Sword Dance from Lee Jang-seon to his disciples. Since Han Jin-ok`s death in 1991, his last disciple, Lim Soon-ja from Gwangju had made the performance of Honam Sword Dance that she learned the original form of Lee Jang-seon and Han Jin-ok`s Honam Sword Dance. But, since her death in 2013, her disciple, Yu Ra-yong has carried on the line of the Honam Sword Dance. That is, Honam Sword Dance could establish the genealogy as Shin Bang-cho → Shin Young-soo → Lee Jang-seon → Han Jin-ok → Lim Soon-ja → Yu Ra-yong. The Honam Sword Dance is the `Okgwa Sword Dance` transmitted by those who were from Okgwa such as Shin Bang-cho, Shin Young-soo, Lee Jang-seon, and Han Jin-ok But, over time, the name of the Sword Dance was set as the `Honam Sword Dance` as the entertainers in Okgwa moved their area of activities to other regions including Gwangju and transmitted the dance where they were.

      • KCI등재

        곡성 합강삼절(合江三絶)의 건립자와 역사적 함의

        박정하 ( Park Chung-ha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곡성 합강은 섬진강과 옥과천의 물길이 만나는 지역으로 합강삼절은 합강지역에 자리잡은 합강정, 관이정, 무진정을 말한다. 정자의 주인이나 연대 등이 지리지에 나타난 정황과 씨족들의 계보를 수록한 족보(보첩)의 기록과 매우 상이한 면이 많이 나타난다. 이를 바로잡는 것이 향토사적 측면이나 학문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특히 대부분의 자료들이 이 같은 지리지 등의 자료를 인용하고 있어 바로잡지 않으면 향후 후진이나 연구자들에게 혼선을 가져다 주게 된다. 본고에서는 각종 관찬, 사찬 지리지와 정자를 설립한 가문의 족보를 면밀히 검토하여 본 결과 많은 오류를 발견되었다. 삼강삼절 중 합강정은 1545년도를 전후한 시기에 유경안이 처음으로 설립했으며 그 위치는 옥과면 합강리 산 14-2번지 일대이며, 관이정 1530년대 윤부가 건립했으며 그 위치는 합강리 산 192-3번지인 것으로 파악되고, 무진정의 건축연대는 1751년이 아닌 1629년으로 판단된다는 점이다. 특별한 점은 첫째, 합강삼절은 남원윤씨 문효공파 가문을 중심으로 설립되었다는 점이다. 명문가와 혼인을 통해 수많은 인맥을 형성, 이들을 통해 전국적인 명사들이 찾아와 교유하면서 정자의 이름이 널리 알려지게 된 계기 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합강삼절은 조선시대 최대의 강변 유원지로 절경을 이루어, 주변을 다스리는 관장들이 찾아와 향음을 베풀고 교류하면서 「합강선유가」라는 가사문학을 양태 했다는 점이다. 셋째, 합강삼절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등 나라가 누란의 위기 봉착되자 정자를 중심으로 분연히 일어서 의병으로 나가 충성하는 진원지가 되었으며, 이러한 담론이 생성된 곳이다는 점이다. 이처럼 합강정, 관이정, 무진정은 서로 개별적으로 보이지만 사실은 서로 상통하는 표식, 즉 아름다운 절경, 국가에 대한 충성심, 끈끈한 가문의 인맥이라는 이라는 배경이 ‘합강삼절‘이라는 표상을 세웠다는 것이다. 섬진강의 옛 지명인 순자강 유역 즉 합강에서 곡성읍 지역까지 합강삼절을 비롯해 약 20여개의 정자가 줄띠를 이루며 자리 잡고 번성했지만, 현재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한 편으로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Gokseong Hapgang is an area where the waterways of the Seomjingang River and Ogwacheon Stream meet, and HapgangSamjeol refers to Hapgangjeong, Gwaneijeong and Mujinjeongjeong Pavilion located in Hapgang area.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history of the genealogy, which contains the circumstances of the pavilion's owner or regiment and the genealogy of the clan. Correcting this is very important in terms of local history and academia. In particular, most of the data cite such geographical data, which, if not corrected, could lead to further backwardness or confusion among researchers. A close examination of the genealogy of various government-conglomerate, sachan geography, and the family that founded the pavilion found many errors. Among the three syllables, it was first established by Yoo Gyeong-an around 1545 and its location is located around 14-2 mountain sites in Hapgang-ri, Okguam-myeon. It is believed that Yunbu built it in the 1530s and its location is 192-3 Hapgang-ri. The architectural age of Mujinjeong is judged to be 1629, not 1751. What's special is that first, Hapgang Samjeol was established around Nam Won-yoon's family of Munhyo-Gongpa. Through marriage with famous families, numerous connections were formed, and through them, the name of the pavilion became widely known as a result of Second, Hapgang Samjeol was the largest riverside amusement park in the Joseon Dynasty, where the heads of government officials who controlled the area visited the area to perform incense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ird, Hapgang Samjeol was the epicenter of loyalty by standing up and serving as a medical soldier when the country faced a yellow crisis, including the Imjin War and the Byeongja Horan War. The reason why Hapgangjeong, Gwaneijeong and Mujinjeong seem to be separate from each other is that they actually have a connection with each other: beautiful scenery, loyalty to the nation, and a strong family connection, which is why they are represented as "Hapgang Samjeol." Although about 20 pavilion, including Hapgang Samjeol from Hapgang to Gokseong-eup, the former designation of the Seomjingang River, have flourished in a row, research on the Seomjingang River has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 KCI등재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인형진단평가에 나타난 자기 및 타인 인식의 특성 연구

        박정하(Jeong Ha Park),정은정(Eun Jung Chung) 한국기독교상담심리학회 2022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Vol.33 No.4

        본 연구는 인형심리진단평가에 나타난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심상담자의 자기인식과 타인인식의 상징체계 분석을 통하여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심상담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이와 관련된 상징적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심리적 소진 경험이 있는 3년 이하 경력의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인형심리진단평가 매뉴얼의 분석 방법을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심상담자의 자기인식에서 약함, 방어/생존, 의존, 강함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타인인식 상징체계는 수 2(7명, 46.7%), 수 3(5명, 33.3%), 수 1(3명, 20%) 순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긍정적 의미체계의 타인인식을 나타냈으나 일부 초심상담자에게서 부정적인 의미체계의 타인인식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초심상담자에 대한 자기인식 및 타인인식에 대한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초심상담자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적 소진을 극복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서적 개입을 하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vice counselor who experienced burnou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ymbolic system of self-awareness and other-awareness of the novice counselor who experienced burnout in the figure psychological diagnostic evalu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ed symbolic meaning. Th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method of the figure psychology diagnostic evaluation manual, an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self-awareness of novice counselors who experienced burnout they were expressed in order of weakness, defense/survival, dependence, and strength. Second, number 2 (7 persons), number 3 (5 persons), and number 1 (3 persons) were used in the symbol system for other-awareness. However, some novice counselors showed negative other-awareness.

      • SCOPUSKCI등재

        발기부전의 선별검사로서 파파베린유도 음경발기 촬영술의 재조명

        김덕규,박정하,박희승,정경우,김종성 ( Deuk Gyu Kim,Chung Ha Park,Hee Seung Park,Kyung Woo Chung,Jong Sung Kim ) 대한핵의학회 1994 핵의학 분자영상 Vol.28 No.3

        To reevaluate the clinical usefulness of erection penography for diffential diagnosis of impotence, we reviewed retrospectively the data of penography in 56 patients who were diagnosed as impotence by various diagnostic workup. Twelve normal males were studied as control group. Papaverine HC1 30mg was injected into the corpus cavernosum and simultaneously Tc HAS 20mCi was injected via an antecubital vein. After injection radioactivities in the penile area were detected for 30 minutes by gamma camera and time activity curve was displayed, We defined that transit time(TT) is the time to reach peak activity and erection persistent time(EPT) is the duration of time to maintain peak activity and venous index( VI ) is the ratio of radioact,ivity(R3Q/R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The TT of arteriogenic group(10.7+2.8mi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venogenic groups(P<0.05, respectively). The EPT of venogenic group (6.2+6.8min) is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arteriogenic groups(P<0.05, respectively). The TT of psychogenic(15.2+5.5min) i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control and arteriogenic groups(P<0.05, respectively). In conclusion erection penography was very useful for the diagnosis of vascular and psychogenic impotence and for differentiation between arteriogenic and venogenic but it could not differentiate mixed type or neurogenic from vascular or psychogenic.

      • KCI등재

        L-1,3-Dioxolane 및 L-1,3-Oxathiolane 피리미딘 뉴크레오사이드의 합성

        홍준희(Joon Hee Hong),박정하(Jeong Ha Park),송지연(Ji Yeon Song),최보길(Bo Gil Choi),정병호(Byung Ho Chung),김중협(Joong Hyup Kim),이종교(Chong Kyo Lee),정원근(Won Keun Chung),천문우(Moon Woo Chun) 대한약학회 1994 약학회지 Vol.38 No.6

        (+/-)Dioxolane-T and(+/-)BCH-189 are know to possess anti-HIV activities, and less to xicities compared to other dideoxynucleoside AIDS drugs. We have synthesized 34 different enantiomerically pure nucleosides by glycosylation of L-1,3-dioxolanyl acetate and L-1,3-oxathiolanyl acetate sugar moieties with uracil or 6-azauracil with alkyl chains(C1-C3) on 5 or 6 pos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