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소기억을 통한 문화경관의 층위 해석 - 형용사를 사용하여 -

        박재민,김무한,Park, Jaemin,Kim, Mooh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This paper interprets the hidden structure, layers and figures into cultural landscape, invisible landscape, by using landscape adjectives based on Place Memory of locals. Methods for obtaining local landscape information are through semi-standardized interview and autobiographical questionnaires. As a research site, Janghang in Korea which have experienced not only colonized and autonomous industrialization but also de-industrialization is a typical modern industrial landscape even in Asia. Thus, the landscape is interpreted as layered images like a stratum and as a dynamic landscape that changes over time. People only remember selected memories such as regional and national images affected from industrial developing paradigm in Korea. Some images of the landscape are distorted by powers and influenced by places of memory. This study brings us some discussions that 'What do we look at and remember about the landscape?' 본 연구는 최근 문화경관을 바라보는 새로운 도구인 장소기억과 형용사를 이용하여 경관의 숨겨진 구조와 특징을 해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반표준화 인터뷰를 사용하였으며 생애사적인 관점에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는 산업화 시기를 거쳐 탈산업화 시기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의 대표적 근대 산업도시 장항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은 정지하거나 고정된 것이 아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역동적으로 변화해 왔으며, 장항의 경우 산업화, 한국전쟁과 탈산업화에 의해 크게 구분되었고 그 속에는 수많은 기억의 층위들이 존재하고 있었다. 소수자와 개인의 집단기억은 사라지고, 지역의 산업발전을 상징하는 이미지만이 드러나고 있었다. 특히 일부 경관 이미지는 왜곡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장소에 관한의 계보를 통해 그 위치와 이유를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기억을 통한 경관 읽기의 가능성을 살펴보았으며 형용사를 사용하여 구체화하였다. 더불어 우리가 바라보고 있는 경관이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과 같은 모습의 경관인지를 한번 의심해 볼 필요가 있음을 이야기하고자 하였으며, 경관의 생산자인 설계자와 계획가로서 또 다른 왜곡된 기억을 재생산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함께 고민해 보고자 하였다.

      • KCI등재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박재민(Jaemi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9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수준의 인력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이것이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그리고 이에 따른 졸업생의 중소기업 기피에 주로 기인한다고 보았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자가 노동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이라는 노동시장분절 시각에서 접근되기도 하다. 특히 이 같은 차별이 하향취업과 비전공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빈번한 이직이나 안정적이지 못한 일자리로 이어짐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인 경력축적을 저해하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대학 졸업생의 미취업 탈출에 초점을 둔 반면, 이들의 초기 직업력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적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생의 직업력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취업자의 이직 경로를 분석하고,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 졸업생의 중소기업 경력은 더 많은 그리고 더 장기간의 교량적 일자리를 경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정을 수반하며, 이 같은 직장이동이 긍정적인 노동시장성과를 동반하지 못하는 등 노동시장에서 인적 자본이나 교육의 질로써 설명되지 못하는 ‘중소기업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cently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evere labor shortages. In particular, college graduates avoiding SMEs are widely spott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causes of the evasion by college graduates are the inferior working environment and low wages. Some studies also state that SME workers experience discrimination.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unemployment issues of the young graduates.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follow-up surveys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job conditions of recent college graduates was linked as a panel data,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duate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college graduates who are employed SMEs are likely to have their initial career fixed to the SMEs. Second, the job separation records of the young SME workers does not show positive labor market performances such as upward movements or wage increases, and the process itself turned out to be entailed frequent separation. Third, the inferior wage level at SMEs and the fact that this effect is cumulatively amplified has been a key factor for evading SMEs.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early-stage careers in SMEs are constructive in future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trary, the early careers at SMEs result in lower labor market outcomes, and frequent job separation.

      • KCI등재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of Benchmark Imbalance

        Jaemin Park(박재민) 한국도시행정학회 2002 도시 행정 학보 Vol.15 No.2

        최근 들어 환경규제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는데 연산일반균형모형(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규제에 따른 산업별 환경비용 자료를 부가적으로 활용하려 할 경 우 기존 사회계정행렬(Social Accounting Matrix)의 균형조건(balancing condition)이 깨어져 연산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는데 제약조건이 되어 왔다. 본 연구는 Perroni and Rutherford(l995)가 제안한 Calibrated Share Specification을 활용하여 환경비용을 포함한 사회계정행렬을 재균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기존 연산모형상의 최적화 및 균형조건에 덧붙여 사회계정행렬 상 오차의 최소화조건을 제약조건으로 추가하여 계량적 최적화 과정을 통해 기존의 비완전(inconsistent) 사회계정 행렬이 균형화되도록 하였다. 덧붙여 본 연구에서 제안된 방법은 일반균형모형의 필요조건인 일차동차성(homogeneity conditions)을 만족하며 사전적 계수와 실재 계수간의 편차가 비교적 큰 경우에도 적용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산업기술인력의 숙련수요와 부족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재민(Park Jaemin),엄미정(Um Mi-Jung) 한국기술혁신학회 200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07 No.11

        최근 들어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이 산업의 성장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 많다. 이와 관련해 몇몇 실태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정작 산업기술인력의 부족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상대적 중요성에 관한 연구는 드물다. 본 논문은 약 6.000개의 사업체에 대한 수급실태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사업체의 숙련부족에 관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업체의 숙련수요, 특히 연구 개발투자를 포함한 기업의 혁신활동과 인력 부족 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사업체의 숙련수요를 설명하기 위해 추가했던 설명변수들이 모두 산업기술인력의 결원성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기술인력 중 준전문가 이상의 직종에 종사하는 전문기술인력을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경우 부족현상을 보다 잘 설명하였다. 따라서 산업기술인력에 비해 높은 자격과 숙련이 요구되는 전문기술인력에 대한 부족현상은 단순한 노동력의 부족보다는 특정한 숙련이나 자격 혹은 직무경험이 부족하여 충원이 어려운 숙련부족결원의 성격이 보다 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머지 설명변수들 중 공단입주여부는 산업기술인력을 종속변수로 하였을 경우에 대해서만 유의했고, 사업체 종사자수와 상대임금은 전문기술인력에 대해서만 의미있는 설명변수로 나타났다. 지역의 중소기업 비중이 높거나 졸업생의 공급 비중이 높을수록 부족가능성을 낮추었지만 숙련 수준이 높은 전문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할 경우 첨단기술업종의 비중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t has been much reported that the shortage in technology and engineering workforce serves as an obstacle toward industrial growth. With regard to this, a few surveys have been conducted. However, workforce shortage and its relative importance have been very rarely tackled. This paper made use of the recent survey results of about 6,000 businesses and analyzed the determining factors behind the shortage of skilled workers. Particularly, our analysis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force shortage and skill demand by these businesses including businesses' innovative activities. The result of the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businesses' demand for skilled worker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tendency of job vacancies. Especially, the occurrence of shortage was better explained when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ose occupation requiring higher qualifications and skills. Therefore,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shortages in technology and engineering workforce over all and those with higher qualifications are difficult to fill up due to the shortage of specific skills, qualifications, or experience and to be characterized as skill-shortage vacancies.

      • KCI등재

        허들음이항모형을 이용한 기업의 혁신선택과 특허성과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박재민(Jaemin Park)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기술혁신학회지 Vol.17 No.3

        그동안 기업의 R&D 투자와 기술혁신 성과의 관계에 관해 여러 연구가 있었다. 하지만 지식생산과정에 수반되는 기업의 의사결정 과정은 효과적으로 분석에 반영되지 못하였다. 특히 기업의 특허성과를 분석함에 있어 포와송모형의 한계에 대응해 최근 연구는 음이항모형을 적용해 극복하고자 했지만 기업의 선택과정을 분석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은 특허권 정보에 내재된 기업체의 의사결정 과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반영하는 실증모형을 제시하고, 사업체조사 결과를 적용해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의 대표적 R&D 성과인 특허에 주목하여 특허 출원건수의 결정과정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과산포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허들모형과 일반적인 음이항모형의 결과에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Wald-검정을 통해 허들의 설정이 타당하였고, 기업의 특허성과 분석에 있어서 기업의 선택과정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mpany’s R&D investment and the outcome from innovation. However, these studies failed to effectively analyze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llowed by companies in relation to knowledge production. Especially, in analyzing the patent of companies, the Poisson model has been commonly used, but its limitations have been pointed out. In recent years, many studies have adopted negative binomial models, but they still pos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selection process. This paper proposed a hurdle negative binomial model to effectively reflect the company’s decision embedded within patent information and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on a survey of businesses" activities. In particular, the study analyzed the selection process of companies in determining the number of patents. As a result of estimation, the presence of over-dispersion was identified. In addition, the Wald-test confirmed that setting up of hurdles was valid, and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results of hurdle models and those of general negative binomial settings.

      • KCI등재

        A MULTISECTORAL EQUILIBRIUM ANALYSIS OF ALTERNATIVE TECHNOLOGY SPECIFICATIONS

        Jaemin Park(박재민) 한국도시행정학회 2001 도시 행정 학보 Vol.14 No.1

        최근 들어 환경규제법의 지역경제적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각 산업별 영향과 더불어 산업간? 최종수요자간 연계에 의거해 경제적 파급효과를 시뮬레이션하고 분석할 수 있는 지역연산일반균형모형(Regional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이 자주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기술 혹은 환경비용에 관한 데이터가 부족하거나 분석모형을 정의하기 어려운 경우 환경기술을 단순한 형태로 가정한 일반균형연구가 많았다. 일반균형연구에서 단순가정으로 인한 계측상의 오류를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환경부문을 포함한 지역연산일반균형모형을 정의하였다. 이 모형을 단순가정을 바탕으로 한 두 개의 모형와 환경기술을 바르게 정의한 모형으로 다시 구성한 후 동일한 환경규제법에 대해 그 경제적 영향을 시뮬레이션하였다. 본 연구는 세 모형의 계측치를 상호 비교하여 단순가정을 바탕으로 한 두 모형의 계측오류가 경제학적으로 의미 있음을 밝혔다. 또한, 단순가정을 바탕으로 할 경우 연산일반균형모형의 가장 큰 장점인 산업별 영향 평가를 크게 왜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노동과 자본시장에 대한 외생충격의 영향이 클수록 계측오류도 더욱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플라스틱 재질 산포 구축 통한 도어트림 공차 분석 신뢰도 증진 연구

        박재민(Jaemin Park),나형현(Hyounghyun Na) 한국자동차공학회 2019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19 No.5

        This study is on the enhancement of the reliability of tolerance analysis in manufacturing door trims of door interior components for motor vehicle boarding consisting of plastic. The analysis program used is based on a Monte-Carlo simulation that enters dimensions and tolerances (GD&T) in the drawing and analyzes the cumulative tolerance based on probability after defining movement between parts. The spread of resin, seasonal and dimensional changes used in door trim is obtained and applied to the tolerance analysis to increase reliability.

      • 시조의 발생 시기에 대한 소고 - 「慢大葉」과 「眞勺一」을 중심으로 -

        박재민 ( Park Jaemi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3 한국어와 문화 Vol.33 No.-

        본고는 시조의 연원을 고악보를 분석하여 추정한 결과물이다. 우리는 흔히 시조를 고려 중기에 발생하여 고려말에는 형식이 완비된 장르로 보지만, 실제 고악보를 분석해 보면 시조의 연원은 조선 초에 생겨난 〈만대엽〉에서 비롯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시조의 노랫말을 얹어 부른 만대엽의 연원에 대한 의문도 풀고자 했다. 선행 연구자들은 시조의 연원이 된 만대엽은 <진작 3>의 ‘대엽 + 부엽’ 부분에서 왔으리라고 추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고는 노래의 구조 및 선율 비교를 통하여 만대엽은 <진작 3>이 아닌 <진작 1>의 ‘대엽 + 부엽’ 부분에서 왔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우리 민족이 가장 애호한 장르인 시조의 연원을 밝히려는 시도 중의 하나이다. 시조는 언제 어떻게 발생했는가에 대해 “시조는 조선 초 <진작 1>의 ‘대엽 + 부엽’이 독립하여 만들어진 곡 <만대엽>에 노랫말을 얹어 부름으로써 시작되었다”로 대답했고, 시조의 초창기를 개척해 나간 작가들은 누구인가에 대해 “노랫말의 형태로 볼 때 이별, 김구, 이현보와 같은 15세기 전반 인물들이 그 역할을 담당했다”로 대답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origins of a Korean poetic genre, sijo. Through an analysis of traditional Korean musical scores, the author concludes that sijo actually originated from a song called “Mandaeyeop” in the early Joseon period, rather than being a fully-formed genre that emerged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 as commonly believed. The author also discusses previous theories about the origins of “Mandaeyeop” itself, and concludes that it likely came from a section of the song, “Jinjak 1” rather than “Jinjak 3,” as previously believed. The paper cites sources that suggest that sijo began as the lyrics of “Mandae Yeop”, which stemmed from “Jinjak 1” in the early Joseon period, with authors like Kim Gu and Lee Hyunbo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shaping the genre in its early day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