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가 부모감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일연(Park, Yill Yion),임백호(Lim, Back Ho)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6 社會科學硏究 Vol.32 No.4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의 부모양육태도와 부모감독간의 관계에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보호관찰 남녀청소년 236명을 설문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매개효과검증을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가 부모감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부모감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 부모양육태도와 부모감독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관찰청소년들의 부모양육태도 및 가족의사소통과 관련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정사회사업의 실천적 방향성을 제안하였다.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test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a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on parental monitoring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on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monitoring for juveniles" delinquents in probation. This study employed self-reported data from 236 juvenile delinquents in both Jeon-ju and Gun-san Probation Office, analyzing the data by mu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Test.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 parenting attitudes positively affected parental monitoring. Secon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positively affected parental monitoring. Third, communic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monitor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practical orientation of correctional social work toward planning and carrying out the education on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s-children communication to support juvenile delinquents.

      • KCI등재

        아동이 경험한 가족갈등이 정서불안을 매개로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 : 비 다문화아동과 다문화아동 비교

        박일연(Yill-Yion PARK),조경미(Gyoung-Mee CHO)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0 상담심리교육복지 Vol.7 No.4

        본 연구는 다문화아동과 비 다문화아동의 가족갈등과 불안이 집단따돌림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 9월부터 12월까지 호남권에 거주하는 초등학생들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중 532명의 자료를 빈도분석, t-test, ANOVA 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Sobel 검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전체아동의 가족갈등 혹은 정서적인 불안은 집단따돌림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가족갈등은 정서불안을 매개로 집단따돌림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아동의 경우 가족갈등이 집단따돌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정서불안을 통하여서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 다문화아동의 가족갈등은 집단따돌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불안을 통해서 집단따돌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아동의 불안감소를 위한 다양한 사회적 지지프로그램과 함께 부모와 가족의 갈등을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안했다.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 of the effect of family conflict and anxiety on group isolation between the children with and without multi-culture. To accomplish it, this gathered and analyzed 532 self-reported data from both children with and without diverse culture at the elementary school in Honam area. As the result, first, for all children group isolation was affected by the conflicts between family members or anxiety. Also, family conflict influenced group isolation via emotional anxiety. Second, for children without diverse culture family conflict affected group isolation just via anxiety. thirdly, for children with diverse culture family conflict influenced group isolation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via anxiety. Depend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ocial workers provide social support to relieve children anxiety and operate program to manage their parents and family members conflict.

      • 재혼노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전라남도를 중심으로

        박일연(Park Yill Youn),노길희(Noh Gil Hee),박희명(Bang Hee Myung)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5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5 No.-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interventional social work plans that can support remarried elderly people by analyzing factors affecting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ir marital. Towards this end, a research project with 209 elderly people in Jeonnam Province, who remarried after they turned 60 or older,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marriage, issues between the spouses and their social circumstances before and after remarrying, and to analyze how these factors affect their level of satisfaction with Marital.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study came up with suggestions for social work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arital satisfaction of the remarried elderly were as follows : First, the frequency of de facto marriage rather than a law marriage was high. Second, their responses when asked about attitudes toward their remarriage were negative Third, all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responded that the level of the communication was relatively great, but the couples'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was extremely poor. Fourth, The higher the level of scholarship and social supportive, couple communic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Fifth, As for clinical suggestions,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following projects be undertaken: providing self group activity programs in order to improve their level of communication and social supportive. Finally, The study further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are needed, for example to examin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husband and the wife by including couples as subjects 본 연구는 전라남도에 거주하는 노인 중 만 60세 이후에 재혼한 노인 209 명 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2003년 8월 18일부터 9월 6일까지 각 동면 사무소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을 통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내용은 재혼관련특성, 부부관계 특성, 사회관계 특성, 결혼만족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법률혼보다도 사실혼관계가 높게 나타나 사실혼 관계가 노인재혼의 보편적인 현상임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자녀의 재혼태도가 비교적 부정적이었다. 셋째, 재혼노인의 부부관계 특성인 부부의사소통은 비교적 높았으나, 사회 활동 참여도가 낮게 나타났다. 넷째, 화력이 높고, 사회적 지지가 높으며, 부부의사소통정도가 높을수록 결혼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사실혼관계에 있고, 경제적으로 열악하며, 자녀의 지지가 부족한 재혼노인들을 위한 자조집단 프로그햄의 개발과 지원이 필요하다. 일곱째, 재혼노인 부부 및 가족들의 재혼에 관련한 의식조사가 향후 필요하다.

      • KCI등재
      • 교인들의 교회사회복지사의 역할인식에 관한 연구

        박일연 ( Yill Youn Park ),노길희 ( Gil Hee Noh ) 한국교회사회사업학회 2013 교회와 사회복지 Vol.24 No.-

        본 연구는 교인들의 교회사회복지사에 대한 역할 인식을 통하여 교회사회복지 사들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2013년 8월 10일 부터 9월 6일까지 광주 전남 지역에 소재하는 교회를 다니고 있는 교인들 중총 397명을 조사하여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회사회복지사의 필요성에 대한 교인들의 인식은 매우 높은 편이었다. 둘째, 교회사회복지사들은 신학과 사회복지를 전공하는 것이 더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회사회복지사의 근무형태로는 신학과 사회복지를 전공한 부교역자가 가장 선호되었으며, 다음으로 유급사회복지전문가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회사회복지사들은 교인과 지역사회주민을 대상으로 향후심방, 전도, 교육, 설교, 행정 등 교회 사역과 사회복지 업무 모두에 있어서 역할을 해야 한다. 넷째, 교회사회복지사들은 일반사회복지사들에게 공통으로 해당하는 역할을 해야 하며, 특히 직접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변화대행자와 사례관리자의 역할과 함께 행정업무에 대한 행정가로서의 역할을 우선적으로 감당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신학과 사회복지를 전공한 교회사회복지사의 양성, 교회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확대보급할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ideas of church social worker`s roles. For the study,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convenience sample of 397 church members living at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Jeollanam-Do.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ver21.0) program, and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Scheffe test were utilized. As the result, this survey found that the subjects had much recognition about necessary of the church social workers, but they have low recognition about church social worker`s role and unclear classification of role of the church social workers. To over come this difficulties, this study suggests necessary social worker who study both theology and social welfare, and can be hired as a assistant ministr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hurch social worker`s roles; not only changing agent, case manager, but also administrator. Through the discus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 this study suggests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develop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expertise.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