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기도내 수계시설에서 분리된 레지오넬라균의 분포현황 및 Legionella pneumophila serogroup 1의 유전학적 다양성 연구

        이현경,박용배,황선일,김영수,박난주,박광희,윤미혜,Lee, Hyun-Kyung,Park, Yong-Bae,Hwang, Sun-Il,Kim, Young-Su,Park, Nan-Joo,Park, Kwang-Hee,Yoon, Mi-Hye 한국미생물학회 2017 미생물학회지 Vol.53 No.3

        레지오넬라증은 인공수계환경이 레지오넬라균에 오염되었을 때 에어로졸의 전파에 의하여 집단 발생되는 심각한 폐렴과 높은 치명률을 일으키는 호흡기질환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내 수계시설로부터 147주의 레지오넬라균을 검출하였고, 시설별, 수계환경별 분포현황을 조사하였다. 분리한 레지오넬라균 중에서 Legionella pneumophila의 검출률은 85.7%로 높게 나타났으며, 혈청군을 분석한 결과 L. pneumophila serogroup (sg) 1이 주로 검출되었다. Non-L. pneumophila 중에서는 L. wadsworthii이 가장 많이 검출되었다. L. pneumophila sg 1의 유전학적 다양성을 분석하기 위해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와 sequence-based typing (SBT) 방법을 사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32주에 대해 PFGE 분석 결과 22개의 PFGE pattern을 보였고, SBT 분석 결과 9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PFGE와 SBT 분석에서 모두 크게 3개 group으로 분류되어 매우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SBT 유형 중 ST1이 가장 우점하였고, 2개의 새로운 유형도 찾아낼 수 있었다. SBT는 데이터베이스가 잘 구축되어 있어 균주 간의 유전학적 유형분석을 쉽고, 간단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레지오넬라증의 분자역학적 연구에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gionnaires' disease (LD) is a severe and potentially fatal pneumonia caused by colonization of human-made water system and subsequent aerosolization and inhalation of Legionella bacteria. A total of 147 Legionella strains was isolated from environmental water sources from public facilities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distribution of Legionella isolates was investigated according to facility type, and sample type. L. pneumophila was distributed broadly throughout Gyeonggi-do, accounting for 85.7% of the isolates, and L. pneumophila serogroup (sg) 1 predominated in all of the public facilities. L. wadsworthii predominated among non-L. pneumophila species. We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L. pneumophila sg 1 isolated from environment water of public facilities in Gyeonggi-do by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sequence-based typing (SBT). Thirty-two isolates were classified into 22 types by PFGE and 9 sequence types (STs) by SBT and categorized into 3 groups. ST1 was the most prevalent sequence type and two STs obtained in this study had unique allelic profiles. The use of SBT data from different countries for epidemiology study of LD constitutes a technically uncomplicated and relatively easy method for strain subtyping, especially compared to other contemporary techniques.

      • KCI등재

        EMP 방호성능 시험용 통합형 E1 펄스 발생장치 분석 및 성능 개선

        김영진(Young-Jin Kim),강호재(Ho-jae Kang),정영경(Young-Kyung Jeong),윤동기(Dong-Gi Youn),박용배(Yong Bae Park) 한국전자파학회 2018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9 No.6

        본 논문에서는 HEMP(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와 같은 외부전자파 환경에 노출된 EMP 방호시설에 연결된 전송선로에 유기된 HEMP 위협에 대한 전도성 방호 성능 평가를 위한 E1 펄스에 대해 연구한다. 기존 E1 펄스 발생장치는 Marx Generator 고전압 승압 방식을 사용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광대역 출력전압(30~350 ㎸) 가변이 용이한 Tesla Transformer 방식을 사용한다. E1 펄스 발생장치의 구성 요소인 제어기, 전원장치, 고전압 승압장치, 펄스성형장치도 각각 분석한다. Tesla Transformer를 이용한 E1 펄스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예측하고, 실제 개발된 장비를 이용하여 결과를 검증한다. We herein investigate the E1 pulse for evaluating the conducted performance of transmission lines connected to the electromagnetic pulse protection facilities against a conducted high-altitude electromagnetic pulse threat exposed to an external electromagnetic environment. The existing E1 pulse generator uses the Marx generator high-voltage step-up method; however, in this research, we used the Tesla transformer method to easily change the broadband output voltage(30 to 350 ㎸). We also analyzed the controller, power supply, high-voltage booster, and pulse-shaping device. The E1 pulse performance using the Tesla transformer was predicted through simulations and validated by measurements.

      • KCI등재
      • KCI등재

        ◇ 1분과 : 붉가시나무림의 솎아베기 강도에 따른 생장 반응 효과

        정수영 ( Su Young Jung ),주남규 ( Nam Gyu Ju ),이광수 ( Kwang Soo Lee ),유병오 ( Byung Oh Yoo ),박용배 ( Yong Bae Park ),유석봉 ( Seok Bong Yoo ),박준형 ( Joon Hyung Park ) 한국임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4

        본 연구는 전남 완도 붉가시나무림의 솎아베기 강도 처리에 따른 임분의 생장반응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1999년 솎아베기 후 연년 직경 생장량과 연년 재적 생장량에서 강도구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약도구 또한 비슷한 수준의 효과가 있었다. H/D율은 DBH 생장량의 증가로 인해 약 80%까지 임목 형질 개선효과가 나타났다. 솎아베기 이후 강도구와 약도구의 임분 흉고단면적 총 생장량이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으나, 간벌구의 손실로 말미암아 임분 흉고단면적은 대조구의 생장량 수준까지 장차 회복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This study was examined for the growth response of tree diameter and volume to thinning treatments from different thinning intensities using three long-term thinning trials for Japanese Evergreen Oak (Quercus acuta Thunb.) stands in Wando island, Korea. After thinning in 1999, annual tree growth of diameter and volume was highest in heavy thinned stands for individual tree and this growth pattern of thinning response showed similar tendency to the individual tree growth response in light thinned stands. By increasing diameter growth, the value of H/D ratio (HDR) as an indicator of stem form was properly decreased and improved up to 80%. Although there is significant growth response of basal area in both heavily and lightly thinned stands, the growth potential both of heavily and lightly thinned stands in total stand volume is not likely to reach at the level of unthinned stands because of basal area growth loss associated with both light and heavy thinnings.

      • KCI등재

        남부지역 도시녹지의 난대상록활엽수 동해피해 특성

        정수영 ( Su Young Jung ),이광수 ( Kwang Soo Lee ),유병오 ( Byung Oh Yoo ),박용배 ( Yong Bae Park ),주남규 ( Nam Gyu Ju ),김형호 ( Hyung Ho Kim ),박준형 ( Joon Hyung Park ) 한국산림과학회 201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3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amage characteristics induced by winter freezing ofevergreen broad-leaved trees distributed in urban area of warm temperate forest zone, which are gainingincreased interest recently as climate chang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s for ‘stem injury’,Camellia japonica Linne (59.6%) had the weakest damage, while Ternstroemia gymnanthera Sprague (83.3%)had the most severe damage. By the visual evaluation of freezing inju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plantations environment, the observations of single planting (p<0.01) in planting method had weaker damagethan those of group planting, the observations of under tree (p<0.001), plain (p<0.001), and organic matterplenty (p<0.05) in plantations characteristic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with relatively weaker damage than theobservations of open space, slop, and scarcity, respectively. Tree height (-0.432) and crown width (-0.470)among growth factor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damage, respectively. Therefore, theselection of tree species is vital for the successful creation of these urban forested area by making considerationsof planting environment, and further research on evergreen broad-leaved trees is needed in this aspect.

      • KCI등재

        우리나라 상수리나무 임분의 이화학적 토양특성이 지위지수에 미치는 영향 - 도서 및 해안 지역을 포함하여 -

        정수영 ( Jung Su -Young ),이광수 ( Lee Kwang -Soo ),이상현 ( Lee Sang- Hyun ),박용배 ( Park Yong- Bae ),안기완 ( An Ki-Wan ) 한국도서(섬)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4

        본 연구에서는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Carruth.)의 지위지수(Site Index; 참조 임령 20년일 때의 우세목 평균수고)와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간의 관계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서지역 및 해안지역 등을 포함한 미립목지에 대하여 해당 조림 수종의 임지생산력을 추정하여 평가하고자 하였다. 온·난대산림대에서 22개 상수리나무 임분에 대하여 147개 표준지를 선정하고 선정된 표준지에 대한 임분 조사 및 토양시료 채취를 시행하였다.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성질 13개 설명요인에 의하여 정도 높은 지위지수를 추정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 다중공선성진단, 변수선택법, 단계적회귀분석, 주성분분석 등 통계적 접근방법 및 검증 절차를 통해 도출된 각 모델의 추정치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출된 각 모델에서 종속변수(지위지수)에 대한 개별 설명변수의 관계특성, 즉 해당변수의 추정치가 가지는 부호와 크기를 해당 설명변수와 지위지수와의 상관관계특성과 상호 비교분석함으로써 추정계수의 일관성을 검증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평가된 통계적 접근방법 및 적용방법에 따른 도출된 여러 모형으로부터 각 설명변수의 추정치 특성을 고찰해 본 결과, 주성분회귀 분석에 의한 도출된 모형의 추정치 신뢰성이 여타 추정 모형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통계적 검증 절차를 거친 후, 주성분분석에서 유의 선정된 주성분을 이용하여 원 독립변수를 주성분 회귀모형에 재투입함으로써 최종적으로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대한 지위지수 모형을 적합화 하였다. 즉, 지위지수 추정을 위한 주성분회귀분석에서 제1 주성분과 제2 주성분에 대한 유의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독립변수의 관계특성을 재분석하였으며, 최종 지위추정 모형에서는 각 토양 요인이 지위에 미치는 계수의 부호 및 크기에 대한 피드백 결과를 취합하여 그 신뢰성을 획득하였다. 상수리나무의 지위지수를 추정하기 위한 통계적 처리과정과 접근방법을 적용함에 있어서의 본 연구에서 평가된 각 추정모형에서 토양 요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에 의한 고도의 다중공선성의 문제를 대부분 해결할 수 있었다. 상수리나무 임분 토양특성으로부터 추정된 지위지수 모형은 진단적 일반 회귀모형에 의해 도출된 지위추정 모형에 비해 추정치의 신뢰성 및 식에 대한 적합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설명력이 다소 낮게 나타난 이유는 토양 이외의 환경특성 등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중공선성을 제거하여 최종 도출된 지위추정 모형에서 기여도가 높은 설명변수는 전질소, 치환성나트륨, 치환성카륨, 유기물함량 및 토양 산도의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도서지역 및 해안지역 등의 미립목지에 대한 상수리나무의 조림 적지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할 때 토양의 물리적·화학적 특성으로부터 해당 수종의 조림 성공여부를 미리 판정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미립목지에 대한 해당수종의 조림 성공여부를 정도 높게 예측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데, 향후 그 활용가치를 더욱 높이기 위해서는 장기적으로 도출된 결과에 대한 현지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Site productivity for Quercus acutissima Carruth. stands was estimated for unstocked land in the Republic of Korea including offshore islands and coastal areas,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 index (SI, the average height of dominant trees at a fixed age) and physical and chemical soil properties. Site index is the most common measure of forest site productivity for tree growth. A total of 147 plots were selected in 22 sawtooth oak stands in the central temperate forest zon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derived for predicting site index using 13 soil properties. Multicollinearity diagnostic tests were performed, and stepwise regression and principal components regression (PCR) models compared.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fitted using the most significant principal components (PCs). In this statistical process, we focused on relationships among soil properties that can result in multicollinearity problems. In PCR, we applied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based on the correlation matrix to the independent variables. We then selected the two most significant PCs and derived a regression using these PCs. This procedure yielded reliable estimates of regression coefficients. In terms of the magnitude and sign of the regression coefficients in the final SI model derived from all of the soil variables using the significant PCs performed better than the preliminary SI model derived using stepwise regression. In this final model, the most important soil properties in descending order of importance for predicting Q. acutissima SI were total nitrogen (T.N.), exch. Na<sup>+</sup>, exch. K<sup>+</sup>, organic matter (O.M.), and pH. These results provide important criteria for establishing Q. acutissima stands especially in unstocked land, and provide guidance for aforestation in new plantations.

      • KCI등재

        전주국제영화제 이미지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규정(Gyu-Jeong Lee),박용배(Young-Bae Park),김노익(Noh-Ik Kim) 한국콘텐츠학회 200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9 No.6

        영화제는 문화이벤트로서 뿐만 아니라 다양한 목적으로 개최되는 영화축제이다. 본 연구는 제10회 전주국제영화제를 중심으로 방문객의 인구 통계적 특성과 전주국제영화제 이미지가 방문객의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고찰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통계적 특성에서 20대, 학생, 100만원미만의 소득수준의 방문객이 다수를 이루고 있었다. 이들 목표 집단으로 하는 프로그램 및 이벤트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영화제 이미지 요인은 총 11개 설문항목을 요인 분석하여 ‘운영’, ‘편의시설’, ‘콘텐츠’ 3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특히 10대들을 위한 이벤트 개발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쾌적한 영화관과 다양한 편의시설, 행사장에 다양한 이벤트 등을 제공할 때 참가자들은 더욱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영화제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야 이에 따른 서비스가 충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인구 통계적 특성에 나타났듯이 개최지역과 그 인근 방문객의 참여가 다소 낮아, 전주라는 도시의 특성을 살려 지역민의 참여도를 놓이는 프로그램 역시 마련되어야 한다. 향후 전주국제영화제가 세계적인 이벤트로 자리 잡고 주최기간의 목표한 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른 영화제와 차별화할 수 있는 독특한 주제를 포함한 정체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마케팅이 요구된다. Film festival is a cultural event, which would be held for various purposes.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visito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images upon their general satisfactions, focusing on the 10th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20's(year), Student(job) and Less than 100(income/a month) had a majority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It is needed to develop various programs and events targeting for these groups. Second, it resolved 11 questions in all into 3 factors, which is named as ‘Administration’, ‘Facility’, and ‘Contents’. Specially We need to develop events and programs for teens. It verified that visitors satisfied far more as they were provided with comfortable theater, various facilities and events, etc. It also proved that the service of giving useful informations met visitors' satisfaction. But as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showing, visitors dwelling near Jeonju were fewer. It is required for a program to enhance the peculiar qualities of the city, Jeonju and then to promote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It is necessary for the host organization to secure its identity including peculiar subjects differentiated from other film festival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itself as a worldwide event.

      • KCI등재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학적 위해 분석 및 저감화

        김중범(Jung-Beom Kim),박용배(Yong-Bae Park),김기철(Ki-Cheol Kim),김대환(Dae-Hwan Kim),강석호(Suk-Ho Kang),임영식(Young-Sik Lim),박포현(Po-Hyun Park),윤미혜(Mi-Hye Yoon),이정복(Jong-Bok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1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의 미생물 오염도를 분석하고, 가정과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의 위생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세척 방법과 자외선 살균소독 시간을 제시하고자 유아 휴대 수저 36건 및 수저집 42건 등 총 78건을 실험하였다. 수저 36건 중 20건(55.6%),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9건(45.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3건(59.1%)에서 2.7 log CFU/100 ㎠ 이상의 일반세균수가 검출되어 즉각적인 위생조치를 강구해야 하는 수준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저 36건 중 19건(52.8%),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14건(70.0%), 플라스틱형 수저집 22건 중 14건(63.6%)에서 대장균군이 검출되어 어린이집 유아 휴대 수저 및 수저집에 대한 위생조치가 요구되며, 가장 높은 위해수준을 나타낸 지퍼형 수저집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수저와 플라스틱형 수저집에서는 실험한 모든 식중독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지퍼형 수저집 20건 중 2건 (10.0%)에서 Staph. aureus가 검출되었고, 3건(13.6%)에서 B. cereus가 검출되어 지퍼형 수저집이 식중독 미생물 오염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 방법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수세미에 주방세제를 첨가하여 30초간 세척한 후 30초간 흐르는 수돗물로 세척했을 경우 수저, 지퍼형 및 플라스틱형 수저집 모두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가정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분 이상 깨끗이 세척, 건조시켜야 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자외선 살균소독시간에 따른 미생물 저감화 효과를 실험한 결과 15분 살균시 대장균이 검출되지 않아 어린이집에서 수저 및 수저집을 15분 이상 자외선 살균소독기로 살균할 경우 대장균을 제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나, 각 어린이집의 자외선 살균소독기의 램프 출력량과 살균대상 수저집의 수량을 고려하여 각각의 제조사가 제시하는 자외선 살균소독기 권장살균시간 이상 수저 및 수저집을 살균하여 제공하여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microbiological hazard of spoons and their cases carried by nursery school children and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s of washing methods and ultraviolet (UV) treatments against Escherichia coli on the spoon and spoon case. A total of 78 spoons and their cases were sampled to test about total aerobic bacteria, coliform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Salmonella spp. Total aerobic bacteria were detected over 2.7 log CFU/100 ㎠ in 20 out of 36 spoons (55.6%), 9 out of 20 zipper-type spoon cases (45.0%) and 13 out of 22 plastic-type spoon cases (59.1%). Coliform bacteria were also detected in 19 out of 36 spoons (52.8%), 14 out of 20 zipper-type spoon cases (70.0%) and 14 out of 22 plastic-type spoon cases (63.6%). The pathogens tested in this study were not found in all samples except for the zipper-type spoon cases which were contaminated with Staph. aureus (2 samples) and B. cereus (3 samp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anitary conditions of spoons and their cases should be improved promptly. To evaluate the reduction effects of washing methods and UV treatments against E. coli, the spoons and their cases were treated at different cleaning times with and without soap, and different UV exposure times, respectively. E. coli with initial cell number of 4 log CFU on the spoons and their cases was not detected when they were cleaned at running water for 30 sec after dish sponging with soap for 30 sec. In UV treatments, E. coli with the same level of washing method was not detected after UV exposure for 15 minute in the spoons and their cases. From the results, the washing and UV treatment should be used to control the microbial contamination of spoons and their cases for more than 1 and 15 minutes, respectively.

      • KCI등재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수고-흉고직경 생장에 따른 지역형 분류

        박준형 ( Joon Hyung Park ),정수영 ( Su Young Jung ),이광수 ( Kwang Soo Lee ),김창환 ( Chang Hwan Kim ),박용배 ( Yong Bae Park ),유병오 ( Byung Oh Yoo ) 한국임학회 2016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5 No.3

        본 연구에서는 소나무의 수고-흉고직경 생장의 관계를 이용하여 지역적인 차이에 따른 우리나라 소나무의 지역형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Weibull 생장식을 이용하여 추정한 수고-흉고직경 생장모델을 기준으로 각 표준지의 잔차를 산출하였으며, 추출된 잔차의 공간적 분포 특성에 따라 공간 연관성 지표(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중 Getis-Ord의 Gi를 이용하여 군집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소나무는 총 3개 그룹으로 분류되었으며, 분류된 그룹에 영향을 미치는 입지인자와 기후인자 중 연강수량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소나무림의 지역적인 경영·관리를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local types in relation to regional differences using Height-DBH growth of Pinus densiflora in Korea. The regional types were clustered according to Getis-Ord’s Gi among Local indicators of spatial association (LISA) by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which were calculated the residual of sample plots by fitting Height-DBH growth model using Weibull growth equation. Accordingly, Pinus densiflora were classified 3 groups, It indicated that annual precipitation had one of the biggest impacts among the considered site and climate factors. This results can become the standard for regional management of Pinus densiflora fore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