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기술혁신간의 관계

        박오원(Ow-Won Park) 한국산업경영학회 2009 경영연구 Vol.24 No.4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많은 실증연구를 통해 밝혀지면서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특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기존 연구에서는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특성 중에서도 관계적 관점에 초점을 두고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종업원들간의 긴밀한 관계와 협력을 촉진시키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실증분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이러한 관계와 협력을 강조하는 특성 이외에 유연성을 강조함으로써 기업가 지향성을 높이는 특성도 가지고 있음을 실증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은 조직 전반적으로 기업가 지향성 조직분위기를 높임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술혁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하여 국내 기업 R&D 연구소 111개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은 기업가 지향성 조직분위기와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기업가 지향성 조직분위기는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탐색적 기술혁신성과간의 관계를 부분매개하였으며, 헌신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활용적 기술혁신성과간의 관계는 완전매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As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high commitment HRM system have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features of high commitment HRM system have been the focus of recent research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as. In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have focused on relational perspective and analyzed high commitment HRM system can enhance close relationships and cooperation among employees. In this paper, I proposed high commitment HRM system can also enha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through organizational flexibility. Then, I empirically tested the relationship among high commitment HRM system, organizational climate fo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The empirical results using 111 R&D laboratory in Korean firms showed that high commitment HRM systems wa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limate fo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 also found organizational climate fo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hav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RM system and exploratory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ha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RM system and exploitative technological innovation. Finally, I discusse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인적자원관리 제도에 대한 인식과 창의적 성과 간의 관계: 동기부여 선호도의 조절효과

        박오원 ( Park Ow-won ),차종석 ( Cha Jong-seok ) 한국인력개발학회 2018 HRD연구 Vol.20 No.3

        인적자원관리 방식이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와 관련하여 기존 연구들은 조직수준에서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과 조직 창의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최근 전략적 인적자원관리 분야에서는 인적자원관리 제도에 대한 개별 종업원들의 인식의 차이에 따라 그들의 태도 및 행동도 달라질 수 있음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부출연 연구기관에서 근무하는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인적자원관리 제도 중에서 평가보상제도 및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개별 종업원들의 인식이 개인의 창의적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들 간의 관계에서 두 가지 동기유형(내적동기, 외적동기) 선호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349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창의적 성과와 긍정적 관계를 보였으며, 내적동기 선호도가 교육훈련제도에 대한 긍정적 인식과 창의적 성과 간의 긍정적 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론적, 실무적 공헌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기술하였다. Previous studies on the effect of HRM configurations on creative performance are focused on firm level HRM system and organizational creative performance. Recent researches of strategic HRM fie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individual attitude and behavior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HRM practices implemented by organization. Based on recent research trend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ndividual perception of HRM practices (i.e., performance appraisal and compensation practices,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could affect individual creative performance using data from researchers of government sponsored R&D institute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motivation preferences (i.e., intrinsic motivation vs. extrinsic motiv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practices perception and creative performance. Results from 349 samples showed that positive percep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erformance. Moreover, the higher intrinsic motivation preference strengthen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training and development practices and creative performance. Finally, we discussed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 of this study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

      • KCI등재

        센스형성과 센스전달의 과정으로서 인적자원관리 실행

        한수진 ( Su Jin Han ),박오원 ( Ow Won Park ) 한국지식경영학회 2014 지식경영연구 Vol.15 No.1

        Organization``s innovation capability is strongly tied to its intellectual capital or knowledge utilization. Employees play a key role in generation of intellectual capital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in a firm. Thus, the importanc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system for enhancing competency of employees and facilitating knowledge sharing between employees is getting its significance. In this paper, we highlighted the effect of HRM implementation to explain the reason of performance differences among firms, adopting the same ideal HRM system.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HRM system as well as the contents of HRM system was critical to enhance firm performance through HRM system.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RM implementation on firm performance, we proposed the three components of HRM implementation (i.e.; TMT philosophy, HR department capability and communication) in perspective of sense making and sense giving theory. Then, we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HRM implementation on the high commitment HRM - firm performance relationship. Empirical results showed that each component of HRM implementation positively strengthened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commitment HRM and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the composite index of HRM implementation calculated by average value of three components revealed more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two. Furthermore, We discussed the academ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출연(연)의 경력개발제도(CDP)와 경력정체성의 관계

        차종석 ( Jong Seok Cha ),박오원 ( Ow Won Park ),이병헌 ( Byung Heon Lee ) 기술경영경제학회 2011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Vol.19 No.2

        일반적으로 직원들이 자신의 경력이 정체되어 있다고 인식하게 되면 직무몰입 및 직무만족도가 낮아지고 이는 궁극적으로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특히, 연구개발 업무와 같이 고도의 전문적인 지식이 필요한 직무에서는 경력개발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존 연구들이 경력정체성의 부정적 결과에 연구의 초점을 두었다면 본 연구는 경력정체성의 선행요인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성의 선행요인을 조직수준 변수와 개인수준 변수로 구분한 후 각각의 변수가 경력정체성에 미치는 직접효과 및 변수들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국내 정부출연연구소 연구원 및 행정직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은 경력정체성과 부(-)의 관계를 보였으며, 연령은 경력정체성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경력개발제도와 타 기관 근무경험간의 상호작용도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In general, if employees recognize that their career are tied up, their overall level of job commitment and job satisfaction are decreased which eventually negatively affect individual performance. Especially, career development in the high specialized job like R&D task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jobs. While the previous studies showed interest in the negative consequences of career plateau, this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antecedents of career plateau. By diving the antecedents of career plateau into organizational level and individual one, we conducted direct effect and interaction effect of antecedents variables on career plateau. The empirical results using employees belonging to government funded R&D institute showed that career development practice and work experience in other institutes have negatively related to career plateau, while age has positively related to career plateau. In additi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career development practice and work experience in other institute was also significant.

      • KCI등재

        인적자원관리가 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배종석(Johng-seok Bae),박오원(Ow-Won Park) 한국인사관리학회 2006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Vol.30 No.1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내적 적합성 및 외적 적합성 그리고 인적자원관리 강도가 조직의 혁신성과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A 연구소를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1995년부터 2003년 동안을 세 단계로 구분하여 단계별 혁신성과를 비교하고 각 단계별로 운영되었던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적합성과 인적자원관리 강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성과중심의 통합형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으로 변화하면서 내적 및 외적 적합성과 인적자원관리 강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혁신성과의 수준도 이전에 비해 향상되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적합성과 인적자원관리 강도가 조직의 혁신성과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파악된다. 그러나 성과주의 인적자원관리는 긍정적인 측면도 있지만 한계점도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용에 대해 논의하였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fits and strength of HRM system on organizational innovative performance.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in-depth case analysis of an R&D institute affiliated to a large electronics company in Korea. We compared innovative performance of three periods of time (i.e., 1995-1997, 1998-2000, 2001-2003) and analyzed the level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its and the strength of HRM systems of each period. The results showed that HRM changes towards performance-based system had overall higher levels of both internal and external fits, and stronger HRM strength. In addition, innovative performance was also increased. Through this analysis, we found that the level of fit and the strength of HRM had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 performance. Finally, we discussed that performance-based HRM system had both advantages and limitation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s well.

      • KCI등재

        병원 근로자들의 최종 학력이 직무 만족에 미치는 영향

        오상석(Sang Suk Oh),박오원(Ow Wo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6

        전 세계적으로 고학력화는 만연한 현상이며 점점 더 심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고학력의 효과성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지만, 주로 2000년대 이전의 연구가 많고 진행된 연구도 서구권 국가를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또한 제조업 및 일부 공공영역(예; 경찰)을 주된 표본으로 사용하였고, 다양한 조절변수를 다루지 못한 한계점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력과 조직행동 연구의 중요 변수인 직무만족과의 관계 및 그 관계에서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직 내 인력이 기업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되는 병원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최종 학력이 직무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상황변수인 직급이 이들 간의 관계를 어떠한 방향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북부의 1개 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377명의 간호사, 의료기사, 행정직의 자료를 실증분석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최종 학력은 직무만족과 정의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개인의 직급이 높아질수록 최종학력이 직무만족에 주는 긍정적 관계는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Higher education has become a global phenomenon. Although existing research on the effects of education level have been carried out, most studies were conducted before the year 2000 in a western context. In addition, the research sample was collected mainly from the manufacturing and police sectors. Furthermore, previous studies did not consider various moderating variabl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rect effect of education level on job satisfac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job position between them. To test the hypotheses, a cross sectional research design with data from a sample of 377 full-time nurses, medical technicians, and administrative staff in one hospital located in the Northern part of Kyunggi province was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 level was positively related to job satisfaction and job position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education level and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조직의 혁신성과 : 탐색적 혁신성과와 활용적 혁신성과의 비교 분석

        배종석(Johngseok Bae),박오원(Ow-Won Park) 한국인사조직학회 2005 인사조직연구 Vol.13 No.2

        환경의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조직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가지기 위해서 기존역량을 바탕으로 하는 활용(exploitation)과 새로운 역량을 개발하는 탐색(exploration)이 적절한 균형을 이루는 것이 매우 중요해졌다. 본 연구는 조직의 혁신성과 유형을 탐색적 혁신성과와 활용적 혁신성과로 구분하여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의 변화가 각 성과유형에 어떠한 차이를 보일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A회사의 R&D 연구소를 대상으로 심층적인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인적자원관리 시스템이 연공주의형에서 성과주의형 시스템으로 변화함에 따라 전체적인 혁신성과는 개선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성과의 차이는 많은 부분이 활용적 혁신성과에 의한 것이며 전체성과의 비중에서 탐색적 혁신성과의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eping the balance between exploration of new possibilities and exploitation of existing certainties in organizational learning and innovation is getting its significance as business environments become more turbulent.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HRM system change on two different types of performance (i.e., exploratory innovation and exploitative innova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n in-depth case study of an R&D institute affiliated to a large electronics company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doption of 'the performance-based HRM system' brought the increase of overall level of innovative performance. However, the increase of innovative performance was mainly from exploitative innovative performance. The ratio of exploratory innovative performance out of total innovative performance rather decreased after 'the performance-based HRM system' was adop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