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정책 구상과 한일관계

        박영준(Young-June Park) 고려대학교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3 국제관계연구 Vol.18 No.2

        박근혜 정부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을 외교안보정책의 주요 키워드로 제시하면서 출범하였다. 이 구상은 이전의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에서 표방되었던 대북정책 및 지역질서 구상과 연속성을 갖는다. 다만 박근혜 정부의 정책구상은, 북한의 핵폐기나 역사문제에 대한 일본의 성의있는 태도 변화 등 타자의 정책변화를 전제조건으로 하는 것이어서, 한국이 수행해야 할 주도적 역할에 대한 성찰이 부족하다는 한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한계에 더해 아베 자민당 정부의 수정주의적 보통국가화 경향으로 인해 한일관계는 최악의 상황을 맞고 있다. 일본은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나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해, 우리가 활용할 여지가 많은 상대국가이다. 박근혜 정부의 대외정책 성공을 위해서도 내셔널리즘을 극복한 전략적 대일외교정책이 필요하다.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proposed ‘the idea of the East Asian peace and cooperation’ as well as ‘trustpolitik on the Korean peninsula’ as its foreign policy agendas. Despite a slight change of its wording, these policies succeeds her predecessor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and the Northeast Asian region. However, President Park Geunhye’s policies seemed to lack self-propelled initiatives which will enable neighboring countries to join a road to mutual trust and cooperation. Instead the Park administration has just asked Pyongyang for denuclearization and Tokyo for a change of attitude toward an issue of past history. In addition to Park’s passive foreign policy agendas, Prime Minister Shinjo Abe’s right-wing policies have worsened the Korea-Japan relations furthermore. Considering its potential in terms of security and economics, Japan should be considered as an important partner for the implementation of President Park’s trustpolitik as well as the idea of peace and cooperation in the Eat Asia. For the success of President Park’s foreign policy agendas, Korea-Japan relations should be re-set on a normal track overcoming the nationalistic sentiment.

      • KCI등재

        “수정주의적 보통국가론”의 대두와 일본 외교: 자민당 아베 정권의 재출범과 한반도정책 전망

        박영준 ( Young June Park )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13 한국과 국제정치 Vol.29 No.1

        일본 내외의 학자들은 일본 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국가전략론들을 평화국가론, 보통국가론, 미들파워 국제주의, 수정주의적 국가주의의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고찰하고 있다. 이에 비추어 보면, 2012년 12월 출범한 자민당 아베 정부는 외교안보정책 성향 면에서는 일본의 안보체제 및 미일동맹 태세를 강화하여 국제적 안보역할을 확대하자는 보통국가론적 성향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역사문제에 관해서는 종군위안부 문제의 강제성을 부정하려 하거나, 교과서 검정기준이 되어온 근린제국 조항을 폐기하려는 수정주의적 경향을 보인다. 요컨대 자민당 아베 정부는 ``수정주의적 보통국가론``성향의 대외정책을 전개할 것으로 보이며, 부상하는 중국을 견제하기 위해 한국에 대해서는 관계 개선을 추구할 것으로 전망된다. 북핵문제 해결 및 동아시아에서의 영토 및 해양 분쟁 완화를 추구해야 할 박근혜 정부로서는 일본과 성숙한 파트너십 선언에 기반을 두어 전략적 협력관계를 견지해갈 필요가 있다. 이러한 대응기조하에서 아베 정부의 헌법 개정을 통한 국방군 구상 추진에 대해서는 과민하게 반응할 필요가 없으며, 중일 간의 영유권 분쟁 격화 가능성에 대해서는 중재자적 입장에서 외교적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그리고 역사문제에 대한 아베 정부의 수정주의적 입장에 대해서는 구미 각국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일본의 자성을 압박하는 정책을 구사할 필요성이 있다. After the land-slide victory of the Liberal Democratic Party in the Japan`s general election on December 2012, Mr. Abe Shinjo is re-elected as the prime minister again. In view of pledges and his personal policy agendas during the election period, the Abe administration will pursue more robust domestic security posture even revising the constitution, strengthen the alliance networks with the U.S. and take a tougher measures to protect its disputed territories with China on the South China Sea. At the same time, the Abe administration will take a more revisionist stance on the nationalistic issues such as the comfort woman and historical textbooks by issuing the new declaration on the issue of past history concerning the comfort woman. As for the relation with the Republic of Korea, the Abe administration already sends diverse signals to improve the stalled relations with Seoul for years. Japan`s strategists wanted to form a hedging network against rising China and Seoul can be an important partner of the network. That is the reason why the Abe administration wanted to improve the relations with the ROK despite the some potential conflict with Seoul on the issue of territory and history. For the new Park`s administration, a matured partnership with Japan will be indispensible to propel its diplomatic agendas to discard the North Korea`s nuclear program, fortify the security posture with the collaboration with the U.S., and defuse the tension surrounding the disputed territorial conflict on the East China Sea. Based on these bottom lines, Seoul should prudently manage the seeds of conflict and build trustful relations with the Abe administration of Japan.

      • KCI등재후보

        군사력 관련 규범의 변화와 일본 안보정책 전망 -"기반적 방위력"개념,"우주의 평화적 이용원칙 "및" 무기수출 3원칙"개정을 중심으로-

        박영준 ( Young June Park ) 한일군사문화학회 2012 한일군사문화연구 Vol.14 No.-

        Japan has been characterized as a "peace-state" after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Under the so-called peace constitution, diverse military-related norms such as "exclusive defense doctrine", "three principles on the ban of military weapons export", "three Non-Nuclear principles", "principle of peaceful use of space", "principle on the ban of offensive weapons" and so on have been functioned as important tools to prop up the peace state. Due to these multiple anti-military norms, many experts on Japanese security policy have considered Japanese society as one of exemplary anti-militarist society. However, we are witnessing the revision or abolishment of these diverse anti-military norms in recent Japan. In 2008, Japanese government decided to discard the long-standing norms of peaceful use of space and enacted the Basic Law of Space in which enables the development of space assets for the purpose of national security. In addition, Japan also abolished the concept of basic defense force which implies the minimal military capability in the National Defense Program Guideline which was released in 2010. Replacing it, Japan put forward the new concept of dynamic defense force which means that Japan can equip herself with high-level military capabilities. Furthermore, Japan loosened its strict principle on the ban of military weapons export in the late 2011. As a result, Japan can export its military weapons to other countries and propel a co-development of high-level military technology with the collaboration with other western countries including the U.S, its long time ally. Considering these changes in terms of Japanese military-related norms, we can say that Japan is gradually changing its security policies into a more realistic one.

      • KCI등재
      • 排氣係 Hanger의 DPDS 向上에 關한 硏究

        박영준(Young-June Park),최중훈(Joong-Hun Choi),전승경(Seung-Kyung Jeon) 한국자동차공학회 2008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In automobile, Exhaust system is always loaded dynamic forces due to engine vibration in various frequency, and hanger point is main routine of structure-borne vibration into the body frame. Of course, rubber isolator play an important damping role for given frequency, the hanger point dynamic stiffness should be considered to enhance vibration isolation in vibration transfer path. For this, the mobility of rubber isolator should be in general ten times more than that of hanger. For this reason, in this paper, we studied the methodology to enhance vibration isolation of hanger. First, the principle and evaluation of DPDS throughout test was introduced. But DPDS can also be driven by CAE prediction works. So, secondly, evaluation of DPDS by CAE and correlation of test & CAE is performed for the better design efficiency. Finally, to satisfy the specification of car maker, the methodology to enhance DPDS was studied parametrically. As a result, we could have a scientific possibility of robust shape design of exhaust side hanger, which help good exhaust vibration isolation.

      • SCOPUS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본 군사력 평가 : ‘동적 방위력 (dynamic defense force)’에서 ‘통합기동방위력’에로의 행보

        박영준(PARK Young-June)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5 신아세아 Vol.22 No.2

        일본은 1945년 패전 이후 육해공 전력 보유를 금지하는 평화헌법 하에서 군사력의 증강을 제약하는 다양한 규범을 공표해 왔다. 그러나 탈냉전기 이후 내외 안보환경의 변화 속에서 일본은 소위 ‘보통국가론’의 국가전략 기조를 정립하면서, 국제적으로 안보활동을 확대하고, 국내적으로 안보체제를 강화하는 정책으로 선회하였다. 2012년 12월에 집권하기 시작한 제2기 아베 정부도 안보전략, 방위제도, 그리고 자위대 군사력 증강 측면에서 이같은 흐름을 계승하고 있다. 안보전략 측면에서 아베 정부는 종전의 방위계획대강에 더해 새롭게 국가안보전략서를 책정하면서, 중국과 북한의 군사력 증강을 위협시하는 인식을 계승하였고, 방위계획대강에서는 종전의 ‘기동방위력’개념을 대체한 ‘통합기동방위력’의 개념을 제시하여, 자위대 군사력 증강의 방향을 표명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통합기동방위력’의 개념에 따라 육해공 자위대의 전력도, 제약된 방위예산 하에서 점진적으로 증강되고 있다. 육상자위대는 일종의 특수전 대비 전력인 중앙즉응집단이 2007년에 신설된 데 이어, 해병대 창설이 추진되고 있으며, 기존 사단들의 기동부대화 및 총대사령부 신설도 추진되어 지휘체계의 일원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해상자위대는 중국에 비해 대형 항모 및 원자력 잠수함은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이지스 구축함, 헬기탑재 경항모, 디젤추진형 잠수함, 그리고 해상초계기 전력 증강을 통해 중국 해군에 대한 억제능력을 유지하려 하고 있다. 중국과의 영유권 분쟁 대상이 되고 있는 센가쿠 위기 대응 차원에서 해상보안청 전력도 대폭 증강되고 있다. 항공자위대도 중국에 비해 전략폭격기 등의 전력은 열세이나 기존 F-4 전투기를 F-35 전투기 로 대체하는 전력증강 사업을 추진하고 있고, 공중급유기, 조기경보통제기 등의 확충을 통해 억제능력을 강화하고 있다. 이 밖에 안보전략 차원에서 사이버 및 우주능력도 강화되고 있다. 이같은 일본의 안보체제 및 군사능력 강화는 종전의 ‘기반적 방위력’ 개념을 벗어나, 보다 군사능력을 확대하고 그 활동범위를 확대하려는 변화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한국으로서는 일본의 군사능력 강화가 가진 부정적 측면 못지 않게 대북 억제 차원의 긍정적 측면에 주목하여, 한미일 정책조정 차원에서 그 순기능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 After defeat in World War II, Japan’s Peace Constitution committed the country to forego the acquisition of offensive military capabilities. However, in the midst of the post-cold war period, Japan began to change its security posture in line with the so-called ‘normal state theory’, which called for a more robust defense posture and expanded security activities. The second Abe administration promoted these security policies by issuing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as well as a new National Defense Program Outline (NDPO) in 2013 and by establishing new security institutions such as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The Abe administration also adopted the new concept of a ‘Unified Mobile Defense Force (統合機動防衛力)’ in the 2013 NDPO, which replaced the ‘Dynamic Defense Force’ as a new criteria for the Self-Defense Force’s acquisition of military capabilities. In this new concept of military capabilities, the Ground Self-Defense Force is planning to replace existing divisions with mobile divisions and to form a Marine Corps for the first time, which has long been taboo in Japan. Despite the absence of a large-scale aircraft carrier and nuclear-powered submarines, Japan’s Maritime Self-Defense Force tried to deter China’s Navy by increasing the number of diesel-propelled submarines from 16 to 22, Aegis-class destroyers from 6 to 8, and Hyuga-class DDHs from 3 to 4. Furthermore, Japan is increasing the Coast Guard’s budget and capabilities in preparation for contingencies around the Senkaku islands (called the Diaoyu in Chinese). Japan’s Air Self-Defense Force lacks strategic bombers compared to China, but it is in the process of introducing F-35 fighters to replace older F-4 fighters with the aim of hedging against China in collaboration with the US. Japan is also beefing up capabilities in cyberspace and outer space. Japan’s growing military capabilities are a double-edged sword for South Korea. South Korea should utilize Japan’s changing security posture to deter North Korea’s military provocations within the framework of tr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that includes Washington, Tokyo and Seou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