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라질 한인사회에서 ‘한인여성’으로 살아나기

        박신규(Park, Shin-Kyu),신형진(Shin, Hyoung-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중남미연구소 2016 중남미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브라질 한인여성의 개인 구술사를 통해 브라질 한인 사회의 특성 및 한인여성의 삶을 분석해 보았다. 특히 결혼이주를 통해 삶의 전환점을 맞이한 한 여성의 삶을 연속적인 관점에서 조망하여 생애사적 방법으로 그 의미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인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이 브라질로 이주해서 살아 온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의 브라질 한인 사회 특성을 센서스 자료를 이용하여 살펴 본 결과, 브라질 한인 사회의 인구는 지난 50년 동안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한인들은 주로 브라질의 남동쪽 지역에 집중하여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수가 자영업에 종사하지만 절반이 넘는 한인들이 무주택자로 남아 있으며, 유입되는 대졸자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도소매업에 종사하는 한인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도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브라질 한인사회의 일반적 특징과 함께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의 생애사는 시기별로 생애 전환점의 특징을 보이고 있는데 그 주제는 1) 개인과 가족전략으로서 결혼이주 2) 초기 ‘결혼’ 이주자의 삶과 적응 3) 의류봉제업을 통한 이주‘노동자’, 그리고 가장 4) 브라질 ‘한인’여성으로서 삶의 안정과 노년기로 정리되어진다. 이 생애과정들은 임정수라는 한인여성의 삶의 행위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으로 매 시기마다 삶에 대한 전략을 가지고 브라질 한인이주여성의 삶을 살아나가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본 사례자는 41년간 브라질 한인여성으로 아내, 어머니, 며느리, 의류봉제사업가, 교인이라는 사회적 위치에 맞는 과업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생애사를 구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rough a life history of a Korean immigrant woman, Jung-Soo Im, and an analysis of five decades of Brazilian census data to capture the socio-historical context for her life in Brazil, this study begins with examining the history of Korean immigration to Brazil as well as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Korean community in the country. At the later part of this article, her life history- underscored by a life changing moment of marriage based immigration to Brazil- is interpreted and analyzed chronologically using a narrative method. Although her life history shares some common characteristics of Korean immigrants in Brazil as reflected in census data, her life is marked bold by some major turning points and she strategically lived her life in given circumstances. Specifically, the major turning points in her life can be themed into four categories of 1) marriage immigration as a family strategy; 2) adaptation to Brazilian society; 3) apparel industry as an immigrant niche; and 4) life adjustment as an elderly immigrant woman. We found that the subject of this study has been building her life history in Brazil during the past 40 years performing multiple social roles simultaneously as a Korean woman, wife, mother, daughter-in-law, immigrant entrepreneur, and communicant.

      • KCI등재

        영주귀국 사할린 한인의 귀환 이후 삶과 적응과정에 대한 분석

        박신규(Park, Shin-Kyu),이채문(Lee, Chai-Mun)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6 한국민족문화 Vol.60 No.-

        본 연구는 영주 귀국한 사할린 한인들의 귀환 후 삶과 적응과정을 구술생애사 방법을 통해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사할린에 오랜 기간 생활하면서 형성된 그들의 고향 의식 특징과 귀환 의미, 그리고 모국으로 귀환한 이후에도 사할린이라는 배출국과 새로운 이주국인 한국에서의 생활과 연계하여 나타나는 초국가적인 삶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영주 귀국한 사할린 한인 중 모국으로 돌아왔지만 지속적으로 사할린 거주 가족들과 교류하는 집단을 물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 적합한 대상으로 부산 정관 신도시로 이주한 사할린 한인을 선택하였고 최종적으로 7인을 연구대상자로 삼았다. 그 결과 영주 귀국한 사할린 한인의 삶과 적응 과정의 특징은 출생일 1945년 8월 15일 전후와 사할린 한인 1세의 지위, 간접체험으로써의 고향과 상상의 공동체를 향한 귀향, 귀환으로 형성된 가족 이산, 기초생활수급자과 사할린 밖의 연금수혜자라는 정체성, 현재진행형인 초국가적인 삶과 교류라는 주제어들로 나타났다. 한편 부산 정관에 거주하는 사할린 한인들은 영주귀국지원 사업이라는 틀 내에서의 삶과 지원 사업의 범주 안에서 개인들이 취할 수 있는 초국가적인 삶의 범주 안에서 두 경계를 가로지르는 삶을 살아가는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ves of permanent Korean returnees from Sakhalin and their adaptation process using a narrative method. In particular, this study analyzes the homing consciousness, the meaning of permanent returning from Sakhalin, focusing on the transnational lives in Korea Following analyses of oral histories of the selected 7 Korean returnees from Sakhalin in Jeong-gwan, Busan city, most important criteria permanent Korean returnees were the birthday of August 15, 1945 and the position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s in Sakhalin. This means that only people who were born before August 15, 1945 and their spouse could acquire their qualification to come back to their homeland. In addition it points out importance of the homing consciousness vicariously experienced by their parents as what Benedict Anderson called Imagined Communities. Particularly permanent homecoming brings out another family separation, leaving a deep scar in one’s memory. In addition, their identities have formed around the recipients of the basic living security and pension outside Sakhalin at the same time. Finally, permanent Korean returnees have been creating another life world by trying to keep in contact with remained family in Sakhalin, known as an ongoing transnational lives and social interactions.

      • KCI등재

        다문화가족의 영유아 양육환경과 발달상태에 관한 연구

        박신규(Shin Kyu Park),이성희(Sung Hee L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전북지역의 다문화가족 영유아기 자녀의 다양하고 차별화된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반영한 다문화 영유아 교육지원을 위한 정책방안의 기초자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다문화가족의 모와 교육기관의 교사를 통해 다문화 영유아의 양육환경 및 영유아 발달실태를 파 악하고, 다문화가족의 영유아양육환경 및 발달상태에 미치는 사회인구학적 특성 변인에 대한 차 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모의 양육행동에는 출신국과 체류기간, 학력, 소득수준에 따 라 차이가 나타났고, 다문화가족 영유아의 발달상태에 대하여 다문화가정의 모는 신체발달을 가 장 낮게 평가하고 인지발달, 언어발달을 높게 평가한 반면, 교사는 신체발달을 가장 높게 평가 하고 인지발달, 언어발달이 낮은 것으로 평가 하였다. 그러나 자녀연령이 증가할수록 모와 교사 들은 영유아의 모든 발달영역의 평점이 높아지는 것으로 평가하였으며, 다문화가정의 영유아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재원 하는 비율이 높고 재원기간이 길수록 자녀의 발달상태에 대한 평점도 높 게 나타났다. 따라서 다문화가족의 영유아를 지원하는 데 있어서 교육과 복지가 통합된 종합 복 지서비스 지원의 필요성, 영유아다문화가족과 영유아의 발달특성 및 요구에 기반을 둔 서비스 제공, 영유아교육기관 중심의 정책지원 방식이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diverse and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Jeollabuk-do and draw out research data that might reflect their needs with a design customized for the children.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parent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status of multicultural children through their mothers and their teachers. The study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variables affecting both the parenting environments and developmental status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study finds that mothers`` parenting behaviors differ depending on their country of origin, length of stay in Korea,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level. Regarding the developmemtal status of their children, the mothers rank physical development lowest and rank cognitive development and linguistic development high: in contrast, the teachers rank physical development highest and cognitive development and linguistic development low. The older the children, however, the higher ratings in all areas of children’s development according to both mothers and teachers. Morever, the higher the rate of children attend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longer the period of the children’s attendance, the higher their developmental status rating. Therefore, to support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t is necessary to support comprehensive welfare services that integrate education and welfare, provide services based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develop a method of policy support that focuses o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institution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두 재외한인의 삶을 통해 본 귀환이주의 특징분석 - 사할린 한인 S와 중남미 한인 P의 사례를 중심으로 -

        박신규 ( Park Shin-kyu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9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4 No.-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귀환이주의 개념과 논의의 확장을 도모할 목적으로 재정착하기 위해 고향으로 돌아온 두 재외한인의 사례를 통하여 각각의 사례에 나타난 귀환이주의 성격과 의미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두 재외한인의 생애사를 통해 분석된 귀환이주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이주자가 처한 개인의 위치, 모국의 사회경제적 상황, 재외동포에 대한 정책 수용과 변화라는 요소들이 중첩적으로 맞물려 있었다. 또한 여기에 귀환이주자의 적응과 재적응의 과정의 본국의 상황과 조건에만 좌우되는 것이 아닌 확대된 초국주의에 기반을 둔 초국적 공간에 대한 인식과 삶의 실천적 과정과도 맞물려져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 분석을 토대로 이후 다양한 귀환이주자의 삶을 고찰하여 재외한인의 한국사회로의 귀환이주에 대한 특성을 다각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ature and meaning of return migration in each case through the case of two overseas Korean immigrants who returned to their home countries to expand the concept and discussion of return migration in Korean socie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turn migration analyzed through the life history of two overseas Koreans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such as the location of the individual, the socioeconomic situation of the mother country, the policy acceptance and change for the overseas Koreans were overlapped. It was also linked to the recognition of transnational space based on expanded transnationalism and to the practical process of life, which is not dependent only on the circumstances and conditions of the home country of the process of adaptation and re-adaptation of returning immigrants. In conclusion, based on this analysis, there is a need to examine the diverse characteristics of return migrants to Korean society.

      • KCI등재

        재일한인의 고령화에 따른 개호서비스 이용과정 및 특성 분석 -오사카 사랑방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Shin-Kyu Park),이토 히로코(Hiroko ITO)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2020 디아스포라 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재일한인의 고령화와 일본 개호보험제도를 연관하여 재일한인 고령자의 개호서비스 이용과정 및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재일한인 고령자는 올드커머라는 존재적 기반으로 인해 법적, 제도적 보장과 사회복지제도의 수혜대상에서 배제되어 왔다. 공적개호보험제도가 설립되면서 재일한인 고령자도 개호보험 적용 대상이 됨에 따라 이들의 개호서비스 이용과정과 특성을 정리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오사카 지역의 사랑방을 질적사례연구 대상으로 삼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사카 지역은 민족조직을 중심으로 개호보험제도 이전에 개호서비스를 운영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호보험제도 하에 노인복지서비스 지원체계를 수립하였다. 둘째, 재일한인 중심 개호시설은 민족성을 토대로 운영하였고 동시에 지역밀착형 개호서비스 실행과 서비스 기관의 관리 규제 유연화가 재일한인 중심 개호서비스 기관의 정착에 기여하였다. 셋째, 재일한인의 고령화 심화와 세대교체라는 여건 하에 재일한인 고령자 중심의 개호서비스 시설 운영은 과도기적인 시기에 놓여 있었고 운영프로그램에서 민족성과 다문화성을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재일한인 사회의 개호서비스 운영 계기, 재일한인 고령자 중심의 개호서비스 특징, 개호서비스가 운영되는 공간에서 운영자, 종사자, 이용자의 상호관계성을 역동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를 두며 향후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개정과정으로 인해 발생한 재일한인사회의 개호서비스 변화를 연구해 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care services for elderly Korean-Japanese. This was examined in connection with the aging of Korean-Japanese and long-term care insurance in Japan. The elderly Korean-Japanese have been excluded from the beneficiaries of legal and institutional guarantees and social welfare systems due to the existing basis of old comer.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elderly Korean-Japanese are also eligible for nursing care insurance. It was intended to summarize the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use of care services. For the study, the Sarangbang in Osaka was us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saka region has experience of operating nursing care services prior to long-term care insurance centering on ethnic organizations. Based on this, the elderly welfare service support system was established under long-term care insurance. Second, nursing care facilities centered on Korean-Japanese were operated based on ethnicity, and at the same time, the implementation of regional nursing care services and flexibility in management regulations of service institutions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service institutions centered on Korean-Japanese. Third, under the conditions of intensifying aging of Korean-Japanese and the change of generations, the operation of nursing care service facilities centered on the elderly Korean-Japanese was in a transitional period, and measures to coexist with ethnicity and multiculturalism in the operation program were being sought. This study looked at the operating opportunities of nursing care servi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ursing care services centered on Korean-Japanese. It is significant to dynamically analyze the interrelationships of operators, workers, and users in the care service operating space. Through the revision process of long-term care insurance in the future, we will study the changes in nursing care services in the Korean community in Japan.

      • KCI등재

        재일한인여성의 구술생애사에 나타난 어머니로서의 젠더구성과 민족의식 고찰

        박신규(Park Shin Kyu),조현미(Jo Hyun Mi) 일본어문학회 2017 일본어문학 Vol.76 No.-

        本研究は植民者の国において植民地民であり、非支配民族としての暮らしの経験を在日韓人女性のライフヒストリを通して分析しようとする。植民地の経験、祖国の分断や戦争、解放という歴史的現実の中で差別·排除されたマイノリティの存在である在日韓人女性が本人の役割を果たして行く中で形成されるジェンダー性を分析し、また、それには民族という要因がどのように交差され、影響を及ぼしているのかを考察するのが本研究の目的である。 在日韓人女性のライフヒストリをその時期ごとにみると彼女らには植民地民であり、女性でもあるため二重の差別による見えない存在としての娘の生があった。日本への渡航以後の生もそれ以前と変わらなく、より厳しい状況に置かれていた。その状況は結婚した後も続いて、彼女らは配偶者と共に家計を支えながら性的分業をするのではなく同等な経済的地位に位置づけられていた。 家族という枠から離れる事なく一生を生きていた在日韓人女性は差別的な社会構造のなかで自らの家族を守るために母として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強めながら生きていた。そのうえ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も家族の枠のなかで配偶者や子女の都合に合わせて形成、変化されていた。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ition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rough the life of Korean women. In the historical reality of economic and social conf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concept of gender was formed as Korean women had to live the lives of the minority who were discriminated and excluded from doing their own roles and how the variables of nationality were crossed and influenc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ives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Japanese women were analyzed as a victim of colonization and the daughter’s life as an invisible being due to the double discrimination. After migrations, as a result of the process of marriage, the family becomes unable to escape poverty. Korean-Japanese women play a role as their caregivers obtain equal economic positions. The most important identity formed in the process of life of Korean Japanese women is “identity as mother.” As a minority of Japanese society, it seems that they have strengthened their identity as mother in order to maintain their families and prevent their dissolution. Therefore, the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m and their children were also shaped and changed in the framework of the family.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 분석 및 지원방안: 전북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박신규 ( Shin Kyu Park ),이성희 ( Sung Hee Lee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5 다문화와 평화 Vol.9 No.2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이혼증가 추세 속에서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이들의 특성과 해체 이후 삶에 대한 지원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특히 도농의 복합도시인 전북 지역을 선정한 것은 거주지별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을 분석하여 지역 차원에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정립해 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이혼을 경험한 전북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해체 과정을 탐색해보았다. 연구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해체과정에 대한 분석은 결혼에 대한 환상, 배우자에 대한 정보 부재 등으로 인한 불안정한 초기 결혼생활 성립, 경제적 문제와 배우자의 폭력 등으로 결혼생활 붕괴가 이혼으로 연결, 가족해체 이후 주거 및 경제적 어려움, 자녀양육 문제 직면, 향후 미래의 삶은 자녀와 함께 한국에서 지속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더불어 미래의 삶을 한국에서 보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사회적 관계망과 지원체계는 빈약하여 향후 사회적 적응도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는 면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적으로 이혼을 통해 해체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사례분석을 통해 제기되는 지원 방안은 다문화가족 해체 예방 차원의 정책개입에 대한 중앙정부의 역할과 해체된 가족에 대한 관리체계를 정비하는 지방정부의 역할 정립,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서비스 지원강화, 가족관련 인프라 시설 등의 역할분담으로 지역적 네트워크를 통해 해체위기나 해체된 다문화가족에 대한 사례관리를 강화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regional married immigrant women in growing divorce of a multicultural family and to find a support plan for life after family dissolution. Especially by selecting Jeonbuk, which are a mix of rural and urban areas, this study explores the family dissolu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by each residential type in order to establish the ways to support those women at the regional level. Thus, the married immigrant women who have experienced divorce were subject to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detailed family dissolution process of the married immigrant women is found as follows: the illusion of multicultural marriage, unstable start of marriage due to lack of information on their spouses, economic difficulties and spousal abuse leading to divorce, and facing housing and economic hardship after divorce as well as child custody and parenting issues, though most divorced immigrant women still wish to stay in Korea to live with their children to the future. However, their poor social network and social support system for divorced immigrant women hinders their social adaptation and their future lives in Korea. As conclusions from the case studies of divorced immigrant women, this study suggests engagement policy by central government for prevention of family dissolution, manag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fter family dissolution by local government, and the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providing a variety of support services. Also, the role sharing of various family support facilities may provide the regional network of assistance for multicultural families facing the crisis of family dissolution.

      • KCI등재후보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실태 및 정책과제 - 전북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

        박신규 ( Shin-kyu Park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7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11 No.-

        본 연구는 전라북도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외국인 근로자 지원정책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주요연구결과는 전북지역 외국인 근로자의 업종별 근무시간과 임금 조건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4대 보험 적용에 있어서 외국인 근로자는 건강보험의 경우 사업장의 조건과 상관없이 모든 사업장이 의무 가입이나 설문조사의 외국인 근로자는 사고나 질병 시 건강보험으로 처리하는 비율은 25.2%에 머무르고 있었다. 또한 사업장 내의 차별 경험에 대하여 전체 외국인 근로자의 사례 중에서 24.5%로 차별경험을 하였고 그 내용은 문화적 차이로 인한 차별과 욕설을 지적하였다. 외국인 근로자의 노동실태 결과에 나타난 이와 같은 문제점의 해결방안은 근본적으로 고용허가제가 지닌 제도적 문제점에 대한 고찰과 함께 외국인 근로자가 외국인 주민으로서의 삶을 누릴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해 주는 인권적 관점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direction of foreign workers’ support policy by conducting surveys on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in Jeonbuk Are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oreign workers showed differences in terms of working hours and wages in manufacturing, agriculture and fisheries. Foreign workers are obliged to participate in health insurance regardless of the conditions of the workplace. However, in the survey, the proportion of foreign workers covered by health insurance for accidents or illnesses remained at 25.2%. Also, about the experience of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24.5% of the cases of all foreign workers were discriminated, and the content pointed out discrimination and abuse due to cultural differences. The solution of such problems in the result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foreign workers is fundamentally an examination of the institutional problems of the Employment Permit System. In addition, it should establish a human rights perspective that forms conditions for foreign workers to enjoy their lives as foreign resi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