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 특성

        조예슬(Yeseul Jo),박수진(Sujin Park),노관평(Gwan Pyeong Roh) 한국환경보건학회 2018 한국환경보건학회지 Vol.44 No.4

        Objectives: The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BTEXS and phytoncides were investigated by type of urban forest. Methods: Four types of urban green space (Hongneung Forest, Mt. Chunjang, residential park, and traffic island) and Gwangneung Forest were selected. Monitoring of phytoncides and BTEXS was conducted considering the activity times of urban residents (five times per day) using a Tenax TA tube and suction pump in June 2017 (one day). Results: Phytoncide concentrations were ranked as Gwangneung Forest>Hongneung Forest>Mt. Cheonjang> traffic island>residential park.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phytoncides were also identified in the urban for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wangneung Forest and the urban forest. BTEXS concentrations were ranked as traffic island>residential park>Hongneung Forest>Gwangneung Forest>Mt. Cheonjang. Traffic island and residential park showed high levels of BTEXS depending on the inflow of vehicles.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by time was significant for the traffic island in particular. Pollutant levels in Hongneung Forest were as low as in Gwangneung Forest. Conclusion: The concentrations of phytoncides and BTEXS were different by types of urban green space, and the potential for health and hygiene of urban forests were able to be investiga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s basic data for the creation of urban forest spaces in the future.

      • KCI등재

        시계열 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을 이용한 풍력 발전량 예측 연구

        박수진,이진영,김삼용,Park, Sujin,Lee, Jin-Young,Kim, Sahm 한국통계학회 2021 응용통계연구 Vol.34 No.5

        Wind energy is one of the rapidly developing renewable energies which is being developed and invested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s renewable energy policies and power plant installations are promoted, the supply of wind power in Korea is gradually expanding and attempts to accurately predict demand are expanding. In this paper, the ARIMA and ARIMAX models which are Time series techniques and the SVR, Random Forest and XGBoost models which are machine learning model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dict wind power generation in the Jeonnam and Gyeongbuk regions. Mean absolute error (MAE) and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 were used as indicators to compare the predicted results of the model. After subtracting the hourly raw data from January 1, 2018 to October 24, 2020, the model was trained to predict wind power generation for 168 hours from October 25, 2020 to October 31, 2020.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dictive power of the models, the Random Forest and XGBoost models showed the best performance in the order of Jeonnam and Gyeongbuk. In future research, we will try not only machine learning models but also forecasting wind power generation based on data mining techniques that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recently.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재생에너지 중 하나인 풍력에너지는 기후변화 대응에 맞추어 개발 및 투자가 이루어지고있다.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발전소 설치가 추진됨에 따라 국내 풍력 보급이 점차 확대되어 수요를 정확히 예측하기 위한 시도들이 확대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남지역과 경북지역의 풍력 발전량 예측을 위하여 시계열 기법인 ARIMA, ARIMAX 모형과 기계학습 모형인 SVR, Random Forest, XGBoost 모형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모형의 예측 결과를 비교하기 위한 지표로서 mean absolute error (MAE)와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MAPE)를 사용하였다. 2018년 1월 1일부터 2020년 10월 24일까지의 시간별 원 데이터를 차분한 후 모형을 훈련시켜 2020년 10월 25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의 168시간에 대한 풍력 발전량을 예측하였다. 모형의 예측력 비교 결과, Random Forest와 XGBoost 모형이 전남지역, 경북지역 순으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계학습뿐 아니라 최근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데이터 마이닝 기법 기반의 풍력 발전량 예측을 시도할 것이다.

      • KCI등재

        비소오염토양에서 반복적인 Redox 환경 변화가 토양 미생물 군집과 비소 및 철의 순환에 미치는 영향

        박수진,김상현,정현용,장선우,문희선,남경필,Park, Sujin,Kim, Sanghyun,Chung, Hyeonyong,Chang, Sun Woo,Moon, Heesun,Nam, Kyoungphile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20 지하수토양환경 Vol.25 No.1

        In a redox transition zone, geochemical reactions are facilitated by active bacteria that mediate reactions involving electrons, and arsenic (As) and iron (Fe) cycles are the major electron transfer reactions occurring at such a site. In this study, the effect of repetitive redox changes on soil bacterial community in As-contaminated soil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bacterial community changed actively in response to redox changes, and bacterial diversity gradually decreased as the cycle repeated. Proportion of strict aerobes and anaerobes decreased, while microaerophilic species such as Azospirillum oryzae group became the predominant species, accounting for 72.7% of the total counts after four weeks of incubation. Bacterial species capable of reducing Fe or As (e.g., Clostridium, Desulfitobacterium) belonging to diverse phylogenetic groups were detected. Indices representing richness (i.e., Chao 1) and phylogenetic diversity decreased from 1,868 and 1,926 to 848 and 1,121, respectively.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suggests that repetitive redox fluctuation, rather than oxic or anoxic status itself, is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change of soil bacterial community, which in turn affects the cycling of As and Fe in redox transition zones.

      • SAE J2735 V2X 메시지 사전의 특징

        박수진(SuJin Park),유재준(JaeJun Yoo),최종찬(JongChan Choi),백성현(Sunghyun Baek) 한국자동차공학회 2022 한국자동차공학회 학술대회 및 전시회 Vol.2022 No.11

        차량 및 인프라에 대한 기술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협력형 자율주행서비스 및 다양한 지능형 교통체계서비스들이 점차 확산됨에 따라, 차량과 외부가 교환하는 데이터에 대한 표준화의 중요성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에, 차량과 외부와의 응용 데이터 교환을 표준화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V2X 응용에서 차량과 외부가 교환하는 메시지의 공통부분을 정의하고 있는 SAE J2735 V2X 메시지 사전은 이와 관련하여 널리 참조 및 활용되고 있는 표준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연구개발과제와 사업들에서도 SAE J2735는널리 참조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논문은 SAE J2735에 대한 특징을 분석, 정리함으로써 표준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이를 기반으로 SAE J2735 표준의 적절한 활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 대학 신입생의 학업 생활 지원을 위한 온-오프라인 블랜디드 서비스

        박수진(Sujin Park),최수지(Suji Choi),김현경(Hyoun Kim),백준상(JoonSang Baek) 한국HCI학회 2021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1 No.1

        본 연구에서는 COVID-19 이후 2020 학년도에 연세대학교에 입학하여 학업 생활의 대부분을 온라인 교류를 통해 활동하고 있는 신입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온-오프라인 연계 방식의 온-오프라인 블랜디드 서비스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서비스인 ‘연수리’는 지속적인 모임 활동을 장려하며 온-오프라인 블랜디드를 방식을 가지고 있는 학업 생활중심의 소모임 & 멘토 찾기 서비스이다. 본 연구에서는 5명의 신입생 인터뷰와 학교 관계자 1명, 이후 5 명의 MVP 테스트를 실시하여 총 11 명의 인터뷰를 시행하였다. COVID-19이후 전면 온라인수업으로 변경되면서 2020 년도에 새로 입학한 학생들이 집에서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겪는 고립감과 학업 생활 중 어려움이 있어도 편하게 물어볼 곳을 찾지 못하는 애로사항, 그리고 미래 진로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불안감과 고립감을 해소 시킬 수 있는 온-오프라인 블랜디드 서비스를 제안하며 COVID-19시대에서 학생 스스로의 관점과 다양한 접근 방법을 통해 공부하는 방법을 습득하고 학우와 대학 생활을 함께 할 수 있는 서비스 제안에 의의를 둔다.

      • KCI우수등재

        법령에 근거한 대학별 자체평가보고서의 내용 및 체제 분석

        박수진(Sujin Park,),김예슬(Yeseul Kim),김병주(Byoungjoo K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2021년도 각 대학의 자체평가 결과 보고서의 내용과 체제를 비교·분석하여 현행 대학 자체평가제도의 운영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대학 자체평가 제도를 어떻게 보완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대학들은 자체평가의 형식적 요건을 다소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둘째, 여전히 적지 않은 대학들이 대학자체평가를 “의무적”으로 실시한다거나, 목적에 대한 규정도 없이 시행하고 있었다. 셋째, 대부분의 대학들은 대학 자체평가의 기준 및 목표치 설정 방법으로 대학기관평가인증기준 및 대학기본역량진단 기준을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91.8%의 대학이 기술형으로 평가 결과를 제시하고 있었다. 다섯째, 대학 자체평가결과의 활용계획을 보면 대학발전계획 수립이 가장 많았다.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대학자체평가에 대한 몇가지 시사점 및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자체평가의 근본취지를 재고하고, 자체평가의 취지를 되살리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대학자체평가의 목적을 재점검하고 정비할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자체평가의 취지에 맞는 자체적인 점검 및 평가기준의 설정이 필요하다. 넷째, 대학 자체평가의 평가결과 제시방법을 보다 객관화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대학 자체평가결과의 취지에 맞는 운용을 위한 내‧외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ntents and format of each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port in 2021 to examine the operational status and problems of the current university self-evaluation system,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how it is desirable to supplement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system in the futur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ome universities were not able to satisfactorily meet the formal requirements of self-evaluation. Second, not a few universities conducted their self-evaluation “obligatorily” or conducted it without following any regulations on the purpose of the self-evaluation. Third, most universities used the university institutional evaluation certification standard and the university basic competency diagnosis standard as a method of setting standards and targets for their university self-evaluation. Fourth, 91.8% of the universities presented the evaluation results in a descriptive format. Fifth, when looking at the utilization plan of a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sults, the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development plan was the most common. Focusing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university self-evalu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fundamental purpose of university self-evaluation and to revive that purpose. Second,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and reorganize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self-inspection and evaluation standard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university self-evalua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objectify the method of presenting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university self-evaluation. Fifth, internal and external support are needed for effective oper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university's self-evaluation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