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례 : 호습기 ; 크론병 환자에서 종양 괴사 인자 길항제 재시작 후 재발한 결핵

        박소정 ( Sojung Park ),양지영 ( Ji Young Yang ),송민주 ( Min Joo Song ),천재경 ( Jaekyung Cheon ),김수한 ( Soo Han Kim ),김미진 ( Mi Jin Kim ),조경욱 ( Kyung Wook Jo )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지 Vol.88 No.6

        본 증례는 TNF 길항제 사용 중 발생한 결핵에 대하여 적절한 항결핵 치료를 시행한 후 다시 TNF 길항제를 사용한 후에 결핵의 재발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 첫 증례이다. 따라서 TNF 길항제를 다시 시작할 때 결핵 재발의 가능성에 대해서 염두에 두고 주의 깊은 경과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use of tumor necrosis factor inhibitors (TNFi) increases a patient’s risk of developing tuberculosis (TB). There is no consensus on whether restarting a TNFi after treating an active TB infection caused by previous TNFi exposure is safe. We report the first case of TB recurrence after recommencing a TNFi in a 37-year-old woman with a history of active TB infection caused by previous TNFi treatment. (Korean J Med 2015;88:701-705)

      • 미국의 주택 개보수 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

        박소정 ( Park Sojung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9 No.-

        미국은 주택도시개발부, 농무부, 에너지부, 보건복지부 등에서 주택 개보수와 관련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방정부에서 메디케이드(Medicaid)의 세부 사업 또는 지방정부별 고유 사업으로 주택 개보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주택 개보수 프로그램은 저소득층 중심의 선별적 지원이면서 노인, 장애인, 아동 가구가 주된 지원 대상이다. 주택 개보수의 지원 내용은 주거의 안전성과 접근성 향상을 도모하는 항목으로 구성된다. 한국의 주택 개보수 사업은 주택 공급 위주의 주거정책으로 확대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살고 있는 주거의 질을 확보하기 위해 주택 개보수를 위한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주거 취약계층을 우선적으로 지원하되 노인과 장애인 계층에 대해서는 보편적인 주택 개보수 지원과 주택 개보수 지원 항목의 다양화, 융자나 세금공제와 같은 간접적인 지원 방안도 마련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국판 청소년용 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for Youth in Korea

        박소정(Sojung, Park),안태용(Taeyong, Ah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방법 이를 위해, 원척도를 국내 청소년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하고, 대구⋅경북의 중학생 757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공인타당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첫째, K-SCS-Y는 자기친절, 자기판단, 보편적 인간성, 고립, 마음챙김의 5요인구조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기자비와 마음챙김, 우울, 행복, 삶의 만족, 회복탄력성, 성취목표, 정적 정서 및 부적 정서 간의 상관관계를 검토한 결과,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확인되었다. 결론 K-SCS-Y를 타당화 하여 척도 부재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고, 청소년의 심리적 상황에 적극적인 개입을 가능하게 도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어,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justify the SCS-Y for adolescents developed by Nef et al. (2020) for domestic adolescent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factors of self-compassion among domestic adolescents. Methods To this end, the original scale was translated so that domestic adolescents could underst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on 757 middle school students in Daegu and Gyeongbuk, and the measurement identity of accredited validity, gender, and grade was examined. Results As a result, study 1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describes the five-factor structure(subscales of self-kindness, self-judgment, universal humanity, isolation, and mindfulness) as the most valid. Study 2 established construct validity for the SCS-Y by demonstrating that SCS-Y scor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indfulness, happiness, life satisfaction, depression, resili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in expected directions. Conclusion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validated K-SCS-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caused by the absence of a scale and to help adolescents actively intervene in psychological situations. Subsequen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

        박소정(Park Sojung)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19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5 No.2

        ‘가능한 자기’(possible selves)는 바라는 모습의 희망하는 자기와 회피하고 싶은 모습의 두려운 자기 등 자신에 대한 다면적 투사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인지와 동기 부여 사이 를 잇는 개념을 제공한다. ‘가능한 자기’ 이론은 변화 동기와 연결된 다양한 학문 및 연구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심리학 외에도 행동의 변화가 요구되는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가능한 자기 이론은 미술치료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어왔는데 주로 전통 매체를 이 용한 가상의 주제적인 그리기의 형태로 활용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능한 자기와 미 술치료라는 두 이론적 틀의 접목에 대한 고찰과 치료적 측면에 대한 점검은 제한되어왔다. 최근 정신의학 분야에서 개발된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을 활용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역시 가능한 자기 이론과 밀접한 연관이 있으며 이는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와 가능한 자 기의 다양한 접목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질적사례연구를 통해 알코올 중독 증상이 있는 개인이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하여 가능한 자기를 시각화한 경 험과 그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자신의 미래를 명료히 인식하고, 추상적 환상을 개인적 소망으로 변환하고, 가상공간에서 가능한 자기를 체화함으로 인해 주체적 존재로 사는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미술치료에서 디지털 미디 어를 활용한 가능한 자기의 적용에 대한 치료적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Possible selves represent one’s ideas of hopes, fears, and goals for the future, and provide a conceptual link between cognition and motivation. The theory of possible selves is drawing attention in various fields in academia and research where behavioral changes are necessary and required. The concept of possible selves has also been utilized in art therapy, often through the use of hypothetical themed directives using traditional drawing materials. However, studies on the direct relations between the two theoretical frameworks have been limited. Recently, possible selves have been linked to the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programs developed in psychiatry, which suggest the possibility of various applications of possible selves using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to reveal the experiences of an individual with a tendency to be addicted to alcohol, and who participated in art therapy visualizing possible selves through the use of digital medi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 was able to clarify his perception of the future, transformed abstract fantasy into personal hopes, embodied possible selves in a virtual reality, and found the meaning of life as a subjective being. This confirmed the therapeutic significance of the application of possible selves through digital media in art 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성인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에 따른 관계중독 성향의 차이: 잠재 프로파일 분석의 적용

        박소정(Sojung Park),양수진(Sujin Yang)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사회과학원 2024 사회과학연구논총 Vol.40 No.1

        본 연구에서는 관계중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을 통합하여 잠재 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각 유형에 따른 성인진입기 대학생의 관계중독 양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18-24세 대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애착, 유기도식, 자기개념 명확성 수준에 따른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구조 안정형, 복합형, 불안정형의 3가지 유형으로 명명하여 분류하였다. 이후 3가지 유형에 따른 관계중독 및 관계중독의 하위요인에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관계중독 및 하위요인 수준은 자기구조 불안정형, 복합형, 안정형의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아울러, 자기구조 불안정형 남성의 경우 관계중독 하위요인 수준이 여성에 비해 전반적으로 높았고, 여성의 경우 특정 사람에 대한 강한 애착을 갖고 그 사람을 통해서만 행복을 느끼는 사람중독 성향이 비교적 높게 나타나는 성차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 후속 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raw the self-construction profiles of emerging adulthood and examine differences in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the types of drawn profiles. 492 under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participated. 3 profiles of self-construction, such as ‘self-construction stable type’, ‘self-construction mixed type’,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were drawn. Levels of relationship addiction is highest in the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whereas it is lowest in the self-construction stable type. Also self-construction unstable type is more likely to be addicted to love-addiction and sex-addiction in male group. And self-construction mixed type of men and unstable type of women showed a tendency of person-addiction. This study is worthy of revealing difference in the level of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individual’s self-construction type. This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s for establishing a therapeutic intervention plan for relationship addiction according to type of self-co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