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우울여부에 관한 연구 : 지역사회거주 경증노인을 중심으로

        강은나 ( Eunna Kang ) 한국장기요양학회 2018 장기요양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고자 한다. 우울영향요인으로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특성, 그리고 돌봄특성으로 구성하였다. 자료분석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인이 직접 응답한 사례만을 추출한 경우 사례수가 많지 않은 1등급과 2등급 인정노인은 중증노인의 특성을 대표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판단하여 3등급부터 5등급의 경증노인 265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지역사회 거주하고 있는 장기요양등급 인정노인(3~5등급)의 60.8%가 우울이 의심되는 우울고위험군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우울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독거여부,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영양상태, 그리고 돌봄의 충분성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보다는 비독거노인이 우울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낮을수록, 영양상태가 양호상태인 노인보다는 영양위험 상태일수록, 그리고 돌봄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인식할수록 우울고위험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서비스 이용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the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living in the community who have been approved to receive long-term care services. The factors influencing on depression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sociodemographic, health, and caring characteristics. The data obtained from the National Survey for Older Adults in 2017 which were based on face-to face interviews of people aged over 65. Only the cases which older adults responded directly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and the number of 1st and 2nd grade cases was relatively small and it had limitations in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verely elderly. So, this study excluded cases belonging in 1st and 2nd grade. Therefore, the data of 265 mild-level elderly people of grade 3 to 5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0.8% of elderly people (grade 3~5) who lived in the community was in a high risk of depression. This present study concluded that elderly persons living with others were more likely to be depressed than living alone. Also,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among elderly persons with lower monthly household income, lower subjective health status, lower nutrition status, and insufficient care.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strategies to improve mental health of older people qualified long-term c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are discussed.

      • KCI등재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한 노인의 다차원적 변화 검증

        강은나(Eunna Kang) 한국노인복지학회 2018 노인복지연구 Vol.73 No.3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사업(이하 노인일자리사업)이 노인의 삶에 미치는 다차원적인 변화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17년 기준으로 노인일자리사업 신규 참여노인 624명과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희망하지만 참여하지 못하고 있는 대기노인 400명의 자료를 확보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추출은 지역과 사업유형을 기준으로 제곱근 비례할당방식을 활용하였으며, 개인 변화에 대한 분석은 성향점수매칭분석(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0.222점 높이고, 고립감은 0.078점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며, 사회적 지지수준도 0.361점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를 통해 의료기관 이용횟수가 월평균 0.491회 감소하였으며, 우울수준은 3.193점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노인일자리사업은 노인의 사회관계망 규모를 확장시키지는 못하는 것을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노인일자리사업에 참여하는 노인은 유사한 인구사회학적 특성을 가진 비참여 노인에 비해 심리정서적 기능이 향상되고, 사회적지지가 강화되고, 신체적 및 정신적 건강이 증진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일자리사업이 참여자 개인에게 미치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ultidimensional change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participants. For analysis, 1,024 cases have been collected by power allocation sampling, 624 cases extracted from the list of participants who have newl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in 2017 and 400 cases collected from the waiting list of the same program.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was used to analysis differences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e results show that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participants`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and is more likely to decrease loneliness and depressive level. Moreover, participant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are less likely to visit to medical clinics compared to non-participan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participation in a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psycho-social and physical health and in making the strong social support except enlarging the social network.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has discussed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effects of senior job and social activities programs.

      • KCI등재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강은나 ( Kang Eunna ),김혜진 ( Kim Hye Jin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혼자 생활하고 있는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이 어떠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들이 가진 여가유형이 1인가구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에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만 50세에서 만 69세까지의 중고령자를 대상으로 여가활동 현황을 조사한 자료 중 1인가구 중고령자 168명의 자료를 최종적으로 분석에 활용하였다. 여가활동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 여가활동 내용, 여가동반자 여부, 여가의 일상성 여부를 기준으로 잠재집단분석을 활용하였다.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유형은 일상적 홀로 운동형(26.8%), 관계적 운동·오락형(28.0%), 일상적취미활동형(23.3%), 여가소홀형(21.4%)의 네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1인 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이 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소홀형에 비해 일상적 취미활동형의 우울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그 밖에 여성에 비해 남성이, 미혼자에 비해 이혼·별거 또는 사별을 경험한 중고령자의 우울수준이 높았다. 그리고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녀 또는 자녀배우자와의 만남빈도가 많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1인 중고령자의 건강한 여가활동 영위와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leisure activity types in which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engage,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types and depressive symptoms. Latent class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168 people age 50-69 living alone. We identified four types of leisure activities the subjects engaged in: individual-oriented routine physical exercise (26.8%), socially-oriented/recreational activities (28.0%), hobby-oriented activities (23.3%), and leisure-neglect (21.4%). Hobby-oriented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the lowest depressive symptoms. Also, men were more depressed than women, and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as higher among those who experienced divorce or bereavement than among unmarried people.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higher the frequency of meeting with children, the lower the depression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for reducing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과 과제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보건복지포럼 Vol.293 No.-

        자신의 살고 있는 집에서 나이 들어 가기(aging in place) 위한 다양한 정책적 또는 실천적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본고는 주거이동이 필요한 노인을 위한 주거 대안 중의 하나인 노인주거복지시설의 현황과 개선 과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2년부터 2019년까지 노인복지시설 현황자료를 통해 노인주거복지시설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2019년에 실시한 양로시설과 노인공동생활가정 실태조사 자료 결과를 통해 시설 운영 현황과 입소 노인의 생활 특성을 간접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역사회 허약 노인을 위한 서비스 개선, 종사자 충원을 위한 지원, 물리적 환경 변화를 제안하였다. Various policy measures have been taken to help older people age in place. This article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and challenges facing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a housing alternative for the elderly in need of residential mobility. In order to do this, this study analyzed some of the important changes that occurred in elderl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by using data for the years 2012 to 2019. In addition, with survey data gained from a 2019 survey, the author examined the operation of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senior citizens and the life of residents in those facilities. Based on it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improving services for frail older persons, strengthening support for recruiting workers, and changing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elderly welfare facilities.

      • 미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프로그램 현황과 시사점

        강은나 ( Kang¸ Eunna ),류병주 ( Ryu¸ Byeongj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국제사회보장리뷰 Vol.26 No.-

        미국은 고령자를 경험과 역량을 지닌 중요한 사회적 자본으로 인식함에 따라 고령자 자원봉사를 비롯한 다양한 사회참여 프로그램이 활발히 운영되고 있으며, 55세 이상 고령자의 자원봉사 참여율이 25%에 이른다. 연방정부 주도로 고령자를 위한 별도의 자원봉사 프로그램인 AmeriCorps Seniors를 운영하고 있고, 공공뿐만 아니라 민간 영역에서도 고령자의 역량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지역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미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참여 현황과 공공·민간 영역에서 추진되고 있는 고령자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검토하여 향후 한국의 고령자 자원봉사 발전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n the US, older adults are considered important social assets with experience and skills, and there are various volunteering and social participation programs that run on their active engagement. An estimated quarter of people aged 55 and older are known to participate in volunteering in the US, where the federal government is running its own volunteer program for older adults, known as AmeriCorps Seniors. The private sector is also highly involved in expanding opportunities for older adults to contribute to their communities. This article examines the participation of older adults in volunteering in the US and some of the senior volunteering programs run by the government and private organizations, and draws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enior volunteering in Korea.

      • KCI등재

        장기요양 재가급여 수급자의 급여이용 유형별 영향 요인

        강은나 ( Kang¸ Eunna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21 공공정책연구 Vol.38 No.2

        이 연구는 앤더슨의 행동모델을 기반으로 다섯 가지 재가급여 중 단기보호를 제외한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그리고 주야 간보호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을 소인 요인, 자원 요인, 욕구 요인으로 구성하여 재가급여 유형간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을 분석하다. 2019년에 실시한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재가급여 수급자 3,045명의 자료를 토대로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방문요양과 방문목욕 이용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성별, 가구형태, 거주지역이 두 재가급여 이용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수급자의 건강상태 및 의료욕구 요인은 방문 요양과 방문목욕 간의 이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방문요양과 방문간호 이용에 있어서는 장기요양인정등급만이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방문요양을 기준집단으로 주야간보호 이용을 결정짓는 요인으로는 가구형태, 거주지역, 복지용구 개수, 장기요양인정등급, 치매여부, 만성질환 개수, 이동가능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일부 재가급여 선택과 이용에 있어 수급자 특성과 재가급여 특성 간의 불명확성과 간극에 대한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ypes of in-home benefits for recipients of LTC benefits based on Andersen’s behavioral model. Long-term care survey data conducted in 2019 were us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determinants of using home-visit care or home-visit bath were gender, household type, and area of residence, but recipients’ health status and medical needs factor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lso, only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variable in the use of visiting care or visiting nursing. Lastly,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use of day and night care or home-visit care were analyzed by household type, residential area, state of long-term care grading, dementia status, number of chronic diseases, and mobility level.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on the uncertainty and ga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LTC benefit recip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home LTC benefits were presented.

      • KCI등재
      • 장기요양인정자의 일상생활과 장기요양서비스 개선 과제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4 보건복지포럼 Vol.328 No.-

        이 글은 장기요양인정자가 연간 100만 명이 넘어가는 전환점에서 2022년에 실시한 장기요양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2022년을 살아가는 장기요양인정자의 일상을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유형(미이용자 포함)을 기준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주로 장기요양인정자의 일상을 엿볼 수 있는 건강과 의료 이용, 식사와 이동 능력, 장기요양서비스 이용 현황 등을 분석하였다. 장기요양인정자에게서 발견되는 공통점과 장기요양 인정등급이나 서비스 이용 유형에 따라 부각되는 각각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토대로 장기요양서비스 이용자 중심의 건강하고 존엄한 생활을 위한 장기요양서비스 개선 과제를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daily lives of long-term care recipients by using long-term care survey data for 2022, focusing mainly on their healthcare use, mobility and ability to eat, and long-term care service use status. While this analysis revealed certain commonalities among long-term care recipients, it also identified characteristics that vary among them depending on the long-term care classifications to which they belong and the types of services they use. Based on our findings, I proposed improvements to long-term care services with the goal of promoting healthier and more dignified lives for the recipients.

      • KCI등재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김세진 ( Kim Se Jin ),강은나 ( Kang Eunn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본 연구는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유형별 노인의 특성을 살펴보고, 노인의 특성이 여가시설 이용 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2014년 노인실태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도시지역 거주 노인 중 여가시설을 1회라도 이용하였다고 응답한 2,244명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잠재집단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여가시설 이용 유형을 도출하고, 여가시설 이용 유형에 따른 특성을 밝히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여가시설 이용 유형 분석 결과, 경로당형(50.0%), 복지관형(35.2%), 공공여가시설형(10.4%), 민간여가시설형(4.4%)이 도출되었으며, 소득을 제외한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특성, 사회참여특성 모두 유형간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시설 이용 유형의 영향요인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연령이 낮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미취업자일수록, 학습활동에 참여할수록, 경로당형이 아닌 다른 세 가지 이용 유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남성일수록, 무배우자일수록 경로당형에 비하여 복지관형과 공공여가시설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또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친목활동에 참여할수록 경로당형에 비하여 민간여가시설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으며, 신체적 기능제한이 없는 노인은 경로당형보다는 복지관형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들이 보다 나은 여가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여가인프라 측면에서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ypes of leisure facility utilization of the urban elderly, and to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of leisure facility utilization. We used the `2014 Survey of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and latent class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a total of 2,244 urban-dwelling older people who had used leisure facilities at least once. As a result, we identified four types of leisure facility utilization: senior center type (50.0%), community center type (35.2%), public leisure facility type (10.4%), and private leisure facility type (4.4%). Also, demographic characteristic (with excluding income), health characteristic, and social participation characteristic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ypes. Older people who were the lower age, the higher education level, the unemployed people, and the participation in a learning activity a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ree types (community center, public and private leisure facility) compared to senior center type. Old adults who were male and have no spouses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s of community center and public leisure facility, rather than senior center type. Moreover, those who had higher income and participated in fellowship activit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the type of private leisure facility compared to senior center type. In addition, the elderly without any physical disability were more likely to belong to community center type rather than senior center type. Based on these results, the political implications in the infrastructure perspective were suggested to enhance better leisure life for the elderly.

      • KCI등재

        노년기 허약 유형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선(Kim, Young-Sun),강은나(Kang, Eunna) 한국노년학회 2018 한국노년학 Vol.38 No.4

        본 연구는 생애에 걸쳐 축적된 노인의 이질성을 기반으로 노년기 허약유형을 발견하고 허약 유형별 영향요인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70세 이상 노인으로 한정하였으며, 전국 70세 이상 노인의 성별과 연령, 그리고 지역(시·도)을 기준으로 비례할당을 통해 표본을 추출하여 최종적으로 403명 의 자료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노년기 허약수준과 유형 파악은 15개 문항으로 구성된 Tilberg의 허약지표 (Tilberg frailty indicators)를 활용하였다.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통해 노인의 허약유형을 도출하였으며, 허약유형의 결정요인을 밝히기 위해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은 다차원허약형(27.0%), 심리적 허약형(26.8%), 일상도움필요형(46.2%)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세 유형 모두 일상생활문제를 처리하는데 어려움이 있으나 도움을 충분히 받고 있지 못한다는 공통점이 발견되었다. 그 밖에 다차원허약형은 다른 유형에 비해 신체 및 심리적 허약 위험이 높고, 부분적으로 사회적 허약 수준이 높았다. 심리적 허약형은 우울이나 슬픔, 불안과 초조 등과 같은 심리적 허약 가능성이 높은 유형이며, 일상도움필요형은 신체적 및 심리적으로 건강한 편이나 일상생활 문제처리의 어려움이 있으나 주변으로부터의 도움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을 기준집단으로 허약유형별 차이를 가져오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다차원허약형은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교육수준이 낮고, 경제활동을 하지 않으며, 영양관리상태가 상당히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상도움필요형에 비해 심리적 허약형은 남성 노인일 가능성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중소도시보다는 대도시에 거주할 가능성이 높으며, 흡연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노인의 허약유형과 궤적에 대한 논의와 허약으로의 진행을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railty profiles based on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s of functioning and to examine the associated factors showing the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Respondents were 70 years and older(n=403) and latent class analysis was applied to determine the optimal subgroups based on Tilberg Frailty Indicators which comprised of three domains(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domain). Also, we performed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factors making differences among frailty profiles. Latent class analysis(LCA) identified three distinct types: multi-frail type(27.0%), psychologically frail type(26.8%), inadequate support type(46.2%). All three types had common difficulties in dealing with daily life problems and did not receive enough help with theses difficul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CA three-class models, people in multi-frail type accumulated problems in physical and psychological domains and had partially social domain. On the other hands, psychologically frail type showed a relatively high anxiety disorder and depression. Lastly, people in inadequate support type reported the lack of helps, but they were relatively healthy. Comparing these groups with inadequate support type, people with multi-frail had lower educational level, poor nutritional management status and were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labor market. People in psychologically frail type were more likely to be male, to live in big cities rather tha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less likely to smoke. Based on these results, our results showed the multifaceted concept of frailty among Korean elderly people and we suggested several implications for preventing frail pro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