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W교육 콘텐츠 개발의 학습자 선호 분석

        박선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6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SW 교육 중요성이 증대되어 다양한 교육적 방법과 도구들을 활용한 SW 교육이 이 루어지고 있으며, SW 교육 도구를 활용한 교수학습 콘텐츠가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예비교사들의 EPL 수업후 산출된 결과물을 학과별, 학점별, 유형별로 분석하여 예비교사들의 EPL 콘텐츠 선호유형, 선호하는 개발과목 및 개발대상과 그들간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학과별로 개 발과목과 유형은 차이가 있었으며, 유형별로 개발과목과 대상에도 차이가 있었으나 학점별로 개발과목과 유형에 는 차이가 없었다. 이를 통해 EPL 수업에 관한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EPL 관련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에 도 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Along with the increased significance of SW education in the 2015 revision curriculum, SW education using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tools is being performed, and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using SW education tools are continuously being developed. In this paper, we analyzed pre-service teachers' EPL contents preference types, preferred development subject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analysis conducted after their EPL class session in which its results were assortatively analyzed by department, letter grade, and type. The result signified a clear difference in development subject and types among the departments, and it also showed a difference in development subject and its recipients among the types.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development subject and type among the letter grade. This will provide a feedback on EPL classes and help develop EPL-related curricula as well as its application.

      • KCI등재

        다문화 교육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분석 및 개선방안

        박선주,김태희 한국정보교육학회 2011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5 No.3

        다문화가정 아동들은 학습 부진 및 학습 결손의 누적으로 이미 심각한 교육격차 문제를 안고 있다.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해 수준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지만, 교육현장에서는 다문화가정 아동만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이를 위해 수준별·개별 학습에 적합한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가정 아동지도에 필요하나,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를 새로 개발하면 예산과 시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므로 기존의 교육용 콘텐츠를 다문화 가정 아동도 활용할 수 있도록 개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교육용 콘텐츠 평가도구를 기반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을 위한 교육용 콘텐츠 적절성 평가도구를 개발하여, 사이버가정학습 4∼6학년 국어 콘텐츠를 평가해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Level-Based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multi-cultural learners because they tend to have the academic underachievement and learning deficiency that cause the huge educational gap. However, it is very hard to make the best of competence for the multi-cultural learners in the classroom. So, it is needed to suggest how we can use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 Level-Based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to make good use of teaching the learner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developing the new educational contents takes much time and cost, we have to improve existing contents for the student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o use it. He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velop the educational appropriateness evaluation scale to verify the educational contents that are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based on the educational content’s evaluation tool, so by developing the scale, I intend to evaluate the 4∼6 grades’ Korean contents of the E-learning service and provide the ways of improve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R을 활용한 SW교육 텍스트데이터 토픽분석

        박선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4

        본 논문에서는 사람들의 SW 교육과 관련된 관심방향을 알아보기 위해 SW 교육 관련 뉴스데이터를 수집하여 그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 7월 23일∼2015년 10월 19일의 SW 교육관련 뉴스데이터의 토픽분석을 실시하였다. R을 사용하여 웹크롤링 후 가장 자주 언급된 상위 20개 단어들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SW 교육 단어를 중심으로 20개 단어의 노드 크기와 연결선의 두께가 비교적 균형을 이루고 있어 서로의 관련성이 밀접하게 유지되는 데이터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대상 데이터는 주로 SW 인재양성, SW 지원 프로그램, SW 교육 의무화, SW 캠프, SW 산업, 일자리 창출과 관련된 토픽들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SW 교육에관한 사람들의 생각 및 관심분야 등을 알아보는 빅데이터 분석 자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to find out the direction of interest related to the SW education, SW education news data were gathered and its contents were analyzed. The topic analysis of SW education news was performed by collecting the data of July 23, 2013 to October 19, 2015.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among the most mentioned top 20 words with the web crawling using 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20 words are the closely relevant data as the thickness of the node size of the 20 words was balancing each other in the co-occurrence matrix graph focusing on the ‘SW education’ word. Moreover, our analysis revealed that the data were mainly composed of the topics about SW talent, SW support Program, SW educational mandate, SW camp, SW industry and the job creation. This could be used for big data analysis to find out the thoughts and interests of such people in the SW education.

      • KCI등재

        농산어촌 수학 ⋅ 과학 ICT 콘텐츠 설계 및 개발

        박선주,한광래,이대현,신보미,이준기 한국정보교육학회 2015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9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중심의 정규교과에 활용 가능한 수학⋅과학 스마트 교육용 콘텐츠 410개와 콘텐츠 활용가이드북 및 이를 서비스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수학⋅과학 관련 콘텐츠 분석 및 농산어촌 수학⋅과학교사 사전 설문조사⋅분석, 2009 개정 교육과정 분석을 기반으로 학년별/과목별 20개 주제를 선정하여 수학 210개, 과학 200개 총 410개 개발주제 및 내용 등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주제목록 및 구현방안은 교과별 관련 전문가 검토를 통해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검토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수정 후 스토리보드 및 콘텐츠를 설계 및 개발하였다. 이를 창의과학교실 및 농산어촌 학교를 선정하여 시범 적용한 후 적용 결과를 분석하여 콘텐츠 개발 방향을 정립하였으며, 전문가 검토를 실시하여 수정 보완 후 최종 플랫폼에 탑재하여 오픈하였다. 도⋅농간 학력격차가 큰 수학⋅과학 학습에 ICT를 활용할 수 있도록 스마트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 보급함으로써 농산어촌 학습 환경개선 및 농산어촌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력 신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410 smart learning contents for mathematics and science that can be used in 2009 revised curriculum with its guidebook on the utilization of the contents and the platform to provide the service. For this, 410 development topics and contents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contents related to mathematics and science, the pre-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mathematics and science teachers in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and the analy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validity verification of the selected subject list and implementation plan was implemented through the reviews by experts in each subject and the storyboard was designed by reflecting the examination opinion after the final revision. Development directions of the contents were set after analyzing the application result of contents from classroom for creativity and science and selected schools in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for demonstration, and opened the platform after the revision and supplement of the expert. It is expected to elevat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in agricultural, mountain and fishing villages by developing and extending smart learning contents to use ICT in Mathematics and science education, which are high in urbanrural academic disparit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박선주 한국정보교육학회 201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8 No.4

        본 논문은 초등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실태가 창의적인성 요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초 등학교 4, 6학년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과 초등학생용 창의적 인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 시한 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6학년은 스마트폰 보유 여부와 스마트폰 중독 정도가 창의적인성에 영향을 미쳤으나, 스마트폰 이용기간은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4학년은 스마트폰 사용실태 변인 모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특히 스마트폰 중독 정도와 창의적인성 사이에는 음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스 마트폰을 이용하는 기간의 길이보다는 스마트폰의 보유 여부가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21세기 핵심역량인 창의인성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들이 스마트폰 사용방법과 스마트폰 중독 예방을 위한 지속 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bout an analysis of the result of the survey which is how the use of smartphone affects the creative personality, focused on 4th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by smartphone addiction self- diagnosis and creative personality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6th graders were influenced by their possession of smartphone and the degree of one’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creative personality. However, the usage period of smartphone did not turn out to affect their creative personality. In addition, none of the factors above, related to students’ smartphone usage, influenced the creative personality of 4th graders. Particularl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and the creative personality and it was found that whether the students own a smartphone or not played a crucial role in creative personality rather than the usage period of smartphone. Therefore, students should be properly educated how to use smartphone appropriately and to prevent them from smartphone addiction in order to improve creative personality which is one of the core competences in 21st century.

      • 안중근의사 유해 추정매장지 연구

        박선주 충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人文學誌 Vol.43 No.-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의사는 만주의 하얼빈역에서 대한제국 침략의 원흉이자 동양평화의 교란자인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함으로써 일본제국주의 야욕을 만천하에 알렸다. 현장에서 체포되어 여순으로 압송된 안의사는 일제의 계획된 재판결과로 사형을 언도받고 1910년 3월26일 사형이 집행되어 순국하였다. 안의사의 유해는 조선독립운동에 중심이 될 것을 우려한 일제에 의해 가족에게 인도되지 않고 감옥 뒷산에 묻혔다. 광복이후 순국선열들의 유해를 고국으로 모시고자하는 대한민국 정부 당국의 노력으로 2008년 가장 유력한 안의사 유해 추정 매장지인 여순 일아감옥구지 뒷산인 원보산에서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발굴결과 안의사 유해 추정매장지로 추정되는 구역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이 구역에서 지난 100년간 진행된 지형의 변화로 안의사의 유해는 찾지못했다. 2008년 발굴이후 안중근의사 순국 100주기가 되자 일부 언론에서는 무책임하게 과거의 주장을 되풀이하며 국민의 관심을 얻고자 하였다. 2010년 대통령이 안중근의사 유해 발굴에 대한 계속적인 의지를 표명함으로써 정부차원에서 안의사유해발굴추진단이 구성되어 재조사를 진행하게 되면서 2008년 발굴조사에 기본이 되었던 자료들의 재검증과 새로운 자료의 발굴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요구되었다. 해방이후 제시되었던 안중근의사 유해매장지에 관한 설들과 2008년 발굴결과 제기된 문제들을 새로이 발굴된 지도 등의 자료들과 비교 분석한 결과 2008년에 확인된 추정매장지가 현재로서는 가장 유력한 안중근의사의 유해가 묻힌 묘역으로 추정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