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Benign Epilepsy of Childhood with Centrotemporal Spikes

        원일(Wonil Park),상주(Sang Ju Han),이홍진(Hong Jin Lee),이경자(Kyung Ja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3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 No.2

        Objective. To identify the short-term prognostic factor, and also assess the clinical and EEG changes following treatment. Patient and Method.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 of 24 patient who followed up more than 12month, and compared seizure control rate as a pedictor according to sex, age at onset, seizure type, ferequency. BECCT was diagnosed as following criteria: 1) nocturnal seizures or hemifacial seizure on wakening state, 2) normal intelligence and no abnormal neurologic sign, 3) normal EEG background activity with monomorphic sharp or spike acticity which increase the frequence during sleep if sleep EEG was available. Result. 1) Age at onset was range from 3 years to 11 years (7.1±1.9) and Patient were followed up from 12 month to 92 months.(34.8±25.1) 2) Seizure was free in 54.2% of patients 1 month after therapy, in 75.0% 6 month after, in 83.3% 1 year after, in 95.8% 2 year after. We found that seizure frequence before treatment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 P < 0.05 ), and also found that male, older age at onset had more fovorable outcome of prognosis during follow up. 3) Partial seizures were increased from 54.2% before therapy to 83.2% after therapy and seizure pattern tend to become localized to the face.( P < 0.05). 4) Epileptiform discharge did not disappear from the EEG during short-term follw up. Conclusion. Although BECCT recurred frequently during short-term follow, BECCT has not only an excellent long term prognosis bu also mild seizure localized to the face following treatment. It would be better to avoid heavy dose of AED or polytherapy, and we found the age onset, frequence of seizure as predictor of the seizure relapse.

      • KCI등재

        부대역 에너지 기반 웨이블릿 패킷 변환을 이용한 인증을 위한 세미 프레자일 영상 워터마킹

        박상주,권태현,Park, Sang-Ju,Kwon, Tae-Hye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2 No.4

        디지털 영상 데이터의 인증을 주장하기 위한 세미 프래자일 워터마크를 제안한다. 각 부대역들의 에너지 크기에 기반하는 적응적인 웨이블릿 패킷 분해된 디지털 영상의 특정 중간 주파수 영역의 변환 계수에 양자화 잡음의 형태로 워터마크 정보를 삽입한다. 워터마크의 강도는 인간의 시각인지 특성을 이용하여 조절함으로써, 쉽게 인지되지 않으면서도 영상의 정보/저장에 필요한 압축 등과 같은 비고의적 변형에 강인한 특성을 갖는다. 원본 영상에 공격이 가해진 경우, 공격 위치의 웨이블릿 변환 계수뿐 아니라 주위의 계수 값들도 변형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증을 위한 방법으로는 현재 변환 계수와 주변의 계수들의 훼손 여부를 함께 고려하였다. 원본 영상의 훼손 여부를 효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고 훼손된 위치도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응용 분야에 따라 판단 임계값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A new method of Semi-fragile image watermarking which ensures the integrity of the contents of digital image is presented. Proposed watermarking scheme embeds watermark in the form of quantization noise on the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in a specific mid frequency subbands selected from a wavelet packet decomposition based on energy distribution of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By controlling the strength of embedded watermark using HVS (Human Visual System) characteristic, it is imperceptible by a human viewer while robust against non-malicious attack such as compression for storage and/or transmission. When an attack is applied on the original image, it is highly probable that wavelet transform coefficients not only at the exact attack positions but also the neighboring ones are modified. Therefore, proposed authentication method utilizes whether both current coefficient and its neighbors are damaged. together. So it can efficiently detect and accurately localize attacks inflicted on the content of original image. Decision threshold for authentication can be user controlled for different application areas as needed.

      • KCI등재

        대역별 공간 부호화를 이용한 웨이블릿 기반 동영상 부호화

        민선,박상주,Park, Min-Seon,Park, Sang-J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9 No.3

        Video compression based on DCT (Discrete Cosine Transform) has weakpoints of blocking artifacts and pixel loss when the resolution is changed. DWT (Discrete Wavelet Transform) based method can overcome such problems. In SAMCoW (Scalabl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Wavelet), one of wavelet based video coding algorithm, both intra frames and motion compensated error frames are encoded using EZW(Embedded Zerotree Wavelet) algorithm. However the property of wavelets transform coefficients of motion compensated error frames are different from that of still images. Signal energy is not highly concentrated in the lower bands which is true for most still image cases. Signal energy is rather evenly distributed over all frequency bands. This paper suggests a new video coding algorithm utilizing these properties. Spatial band coding which is known to be very effective for encoding images with relative1y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not utilizing the interband coefficients correlation is applied instead of EZW to encode both intra and inter frames. In spatial band coding, the position and value of significant wavelet coefficients in each band are progressively transmitted. Unlike EZW, inter band coefficients correlations are not utilized in spatial band coding. It has been shown that spatial band coding gives better performance than EZW when applied to wavelet based video compression.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기반 동영상 압축 기법은 블록화 현상과 해상도 변화 시 픽셀의 손상이 생기는 단점이 있다. DWT(Discrete Wavelet Transform)을 기반한 기법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다. Wavelet을 기반한 동영상 부호화 기법 중 하나인 SAMCoW(Scalable Adaptive Motion Compensation Wavelet)에서 화면내 부호화와 움직임 보상된 오차 영상은 EZW(Embedded Zerotree Wavelet) 부호화 방식으로 부호화한다. 그러나 움직임 보상된 오차 영상의 wavelet 변환 계수의 특성은 정지 영상의 wavelet 변환 계수의 특성과는 다르다. 신호의 에너지는 대부분의 정지 영상의 경우와는 달리 저주파 대역에 집중되지 않고 오히려 모든 주파수 대역에 고르게 분포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한 새로운 동영상 부호화 방식을 제안하였다. EZW 부호화 대신 고주파 성분이 많이 포함된 영상의 부호화에 효율적이며 계수사이의 대역별 상관관계에 의존하지 않는 공간 부호화를 화면내 부호화와 화면간 부호화에 적용하였다. 공간 부호화는 EZW와는 달리 wavelet 분해를 통해 얻어진 각 대역을 대역간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각 대역내의 중요 계수의 존재 여부와 위치를 점진적으로 부호화하는 기법이다. Wavelet 기반 동영상 부호화에 EZW 부호화 대신 공간 부호화를 적용하였을 때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RFID용 이중편파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설계에 관한 연구

        박상주(Sang-ju Park),성현경(Hyeon-Kyeong Seo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11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Vol.9 No.3

        In this paper,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diagonal slotted type using RFID is designed. This microstrip patch antenna is designed by considering the properties of critical parameter like the size, the truncating dimension, position of feed power and the height of airspace. The designed microstrip patch antenna has the lowest return loss in 915㎒, and it has bandwidth of about 26㎒ when voltage standing wave ratio(VSWR) is less than 1.2 under return loss -16㏈. Also, the microstrip patch antenna has the gain of 6㏈i on the center frequency of 915㎒ band and 2.8㏈ in the rate of reduction.

      • KCI등재

        블록화 현상의 측정을 통한 영상의 화질평가

        이상우,박상주,Lee, Sang-Woo,Park, Sang-J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5 No.5

        Block based transform coding is most popular approach for image and video compression. However it suffers from severe quality degradation especially from blocking artifacts. The subjective quality degradation caused by such blocking artifacts in general does not agree well with an objecive quality measurement such as PSNR. Hence new quality evaluation technique is necessary. We propose a new image quality assessment method by measuring blocking artifacts for block based transform coded images. In order to characterize blocking artifacts, proposed method utilizes the facts that, blocking artifacts, when occur, have different pixel values along the block boundaries and such differences usually continuously span along the whole boundaries. This method does not require the original uncompressed image. It operates on single block boundary and quantifies the amount of blocking artifacts on it. Experiments on various compressed images various bitrates show that proposed quantitative measure of blocking artifacts matches well with the subjective quality of them judged by human visual system. 블록 기반의 변환 부호화 방식은 영상 압축 표준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화질 열화 현상 중 블록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블록화 현상은 화질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요인이다. 블록화 현상에 의한 화질 열화는 기존의 PSNR 같은 화질 측정값과 부합하지 않아 새로운 평가 기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블록 기반 변환 부호화 방식으로 압축된 영상에서 블록화 현상이 발생한 정도를 측정하여 화질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은, 블록화 현상이 블록 경계에서 발생하면 경계면에서 양쪽 화소의 밝기값의 차이가 나며, 대개 그 길이가 블록의 경계 길이 만큼 이어지는 특징을 이용하여 블록화 현상을 찾아낸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은 원본 영상이 필요치 않고, 블록 경계에서 동작하며, 블록화 현상의 발생 정도를 수치화 한다. 다양한 압축 영상에 본 기법을 적용한 결과, 제안하는 블록화 현상 평가 수치는 인간의 시각 특성에 기반한 주관적 화질 평가와 부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웨이블릿 기반 대역별 독립 공간 부호화에 의한 영상 압축

        효서,박상주,Park, Hyo-Seo,Park, Sang-Ju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8 No.2

        웨이블릿을 이용한 분해와 복원은 영상의 압축에 널리 사용되는 도구이다. 웨이블릿 분해된자연 영상은 원 영상의 동일 부분을 표현하는 대역간의 계수 값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고, 하나의 대역 안의 인접한 계수들 사이에도 높은 상관 관계를 갖고 있다. EZW(Evbedded Zerotree Wavelet)나 SPIHT(Set Partitioning in Hierachical Trees)과 같이 성능이 우수하고 널리 사용되는 웨이블릿 기반 영상 압축은 웨이블릿 계수의 대역간 상관 관계를 이용하고 있다. Zero Tree에 기초한 이와 같은 방법들은 계수값의 부모 후손 관계를 이용하기 때문에 대역별 부호화를 수행할 수 없으며, 다중 해상도 복원이 필요한 응용 분야에 효과적으로 적용되어지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하나의 대역 내에서 인접한 계수들 간의 상관성을 이용한 대역 독립적 부호화 기법을 제안한다. 압축 성능은 SPIHT과 대등하거나 약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중해상도 복원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