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명문 텍스트 구조의 특성과 교육 내용 분석

        권태현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21 철학·사상·문화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ructure of expository text and to derive educational cont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information exists at the basis of the structure of the expository tex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opics is classified into 'general-special', 'object-object', and 'all-part'. Among them,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special' and 'all-part' is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object' is equivalent. In the'general-special' relationship, a structure that amplifies or illustrates the general content, a summary of the previous content, or a structure of a language in other words appears. In the relation of 'object-object', there are an array structure and a comparison structure. The arrangement structure is divided into temporal arrangement, spatial arrangement, and topic arrangement structure, and the comparison (control) structure can be subdivided into object comparison and aspect comparison structure. The causal structure is an organization type composed of the contents of cause and effect, and the problem-solving structure is an organization type composed of the contents of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whole-part' relationship, there is a structure of classification and analysis that provides information by dividing the properties and details of an object according to certain criteria.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structure of various sub-texts of expository texts was restructured and subdivide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of topics. 이 연구의 목적은 설명문 텍스트 구조의 특성을 살피고 교육 내용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설명문 텍스트 구조의 기저에 상이한 정보(화제)의 관계가 존재한다고 보고, 이러한 화제의 관계를 ‘일반-특수’, ‘대상-대상’, ‘전체-부분’으로 구분하였다. 이 중 ‘일반-특수’와 ‘전체-부분’의 관계는 위계 관계이며, ‘대상-대상’의 관계는 동등 관계에 해당한다. ‘일반-특수’ 관계에는 일반적인 내용을 부연하거나 예시하는 구조, 앞선 내용의 요약이나 환언의 구조 등이 나타난다. ‘대상-대상’의 관계 중 나열 구조는 시간적 나열과 공간적 나열, 화제 나열 구조로 구분되며 비교(대조) 구조는 대상 비교와 양상 비교 구조 등으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인과 구조와 문제-해결 구조 역시 ‘대상-대상’의 화제 관계에 속한다. 인과 구조는 원인과 결과의 내용으로 구성되는 조직 유형이며, 문제-해결 구조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의 내용으로 구성되는 조직 유형이다. ‘전체-부분’의 관계에는 대상의 속성, 세부 사항 등을 일정한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정보를 제공하는 분류와 분석의 구조가 있다. 이 연구는 설명문의 다양한 하위 텍스트 구조를 화제의 관계에 따라 재구조화하여 세분화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러한 세분화는 대표적인 텍스트 구조 몇 가지에만 주목하는 교육과정 및 교과서 등의 설명을 보완하여 보다 풍부하고 전체적인 관점에서 설명문 텍스트 구조를 학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한국어(韓國語) 쓰기 교재(敎材)의 장르 지식(知識) 교육(敎育) 내용(內容) 분석(分析) -설명문(說明文)을 중심으로-

        권태현(權兌炫) ( Kwon Tae-hy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9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어 쓰기 교재를 대상으로 장르 지식의 진술 방식과 수준을 설명문을 예로 들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쓰기 교재에 소개된 장르 지식의 진술 수준이 교재마다 매우 상이하였다. 효과적인 장르 지식 교육을 위해서는 실제 한국어 학습자들의 요구 분석을 통해 장르를 귀납적으로 정리하고 각 장르에서 요구되는 지식을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하위 장르 및 인접 장르에 대한 소개, 올바른 장르 인식 견지의 필요성 등이 소개되지 않아 장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인접, 하위장르를 통해 장르에 대한 거시적 관점을 갖도록 유도하고 장르에 대한 메타적 이해라고 할 수 있는 장르 인식에 대한 교육이 구체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장르에 맞는 쓰기의 절차가 충분히 안내되어 있지 않아 실제 글을 쓰는 과정에서 참조점의 기능을 수행하기에 무리가 있었다. 따라서 실제 글을 쓰는 절차와 장르 지식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장르 글쓰기에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교재가 구성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for three Korean writing textbooks, the method and level of genre knowledge were analyzed using explanatory text as an exampl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tatement of genre knowledge introduced in Korean writing textbooks was very different for each textbook. For effective genre knowledg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inductively organize genres through analysis of actual Korean learners’ needs and systematize the knowledge required in each genre. Secon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difficult to promot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genre because the introduction of various sub-genres and adjacent genres, and the need for proper genre recognition were not introduc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various adjacent and sub-genre systems, and to materialize education on genre awareness, which is a meta-understanding of genre. Third, since the procedure of writing appropriate to the genre was not sufficiently guided, it was difficult to perform the function of guiding genre writing in the actual writing process. Therefore, it seems that the textbook should be constr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provide more practical help to the genre writing of Korean learners by combining the actual writing process and genre knowledge.

      • KCI등재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지역 간 소득유발과 소득전이 분석

        권태현 한국은행 2021 經濟分析 Vol.27 No.3

        This study is to structurally examine the regional income disparity in Korea. It measures the regional income inducement by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and the regional interdependency of income using 2005 and 2015 Regional Input-Output Tables of 16 provincial regions of Kore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come inducement by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decreased overall, main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come inducement of other regions than due to that of their region. Secondly, in many regions, the inter-relational income dependency per unit income decreased also, this too, mainly due to the decrease in the income transfer to other region. And, the income inducement effects of consumption expenditure per unit income of Seoul and Gyeonggi, which occupy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economy, were lower than that of other regions, but took the largest portion of income inducements generated by other regions as well as by themselves and absorbed the income transfers from other regions the most. The higher income inducement and income absorption in Seoul and Gyeonggi by consumption expenditure of other regions were mainly because of the high share in service of their consumption structure, the progress in tertiarization of their industrial structure, and the high wage portion. These results also mean that viewed from the regional interdependency of income, the income of Seoul and that of Gyeonggi are highly dependent on the income of other regions. Especially, Gyeonggi which leads the overseas exports of high-tech based manufactured products, has other extern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their high income inducement, whereas, Seoul which shows high income absorption using its inter-relations with other domestic regions based on the services, has an income-generating structure that is sensitive to other regions’ economic situation. Amid overall declines in regional income inducements and in income transfers, and continuing concentrations into Seoul and Gyeonggi regions, to alleviate the regional disparity, the regional industry policies should, rather than benchmarking the policies of the two concentrated regions, enhance their own inter-regional relationships by strengthening the comparative advantage of their regionally specialized industry. 본 연구는 지역소득의 불균형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지역의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와 지역 간 단위소득에 의한 소득상호의존도를 측정하였는데, 이를 위해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지역별 임금소득 및 소비 구조가 반영된 2005년과 2015년 지역산업연관표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역별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가 전반적으로 낮아졌는데 자기지역보다 타지역의 소득유발효과 하락이 주요인이었다. 다음으로 각 지역의 단위소득 발생에 의한 지역소득의 상호의존도도 대부분 지역에서 낮아졌는데, 이 역시 타지역으로의 소득전이 하락이 주요인이었다. 한편,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큰 서울과 경기는 단위소득당 소비지출에 의한 소득유발효과가 타지역보다 낮지만 자기지역은 물론 타지역의 소비에 의해 발생한 소득유발효과를 가장 많이 차지하고 타지역으로부터의 소득전이를 가장 많이 흡수하였다. 이는 소비구조에서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경기는 물론 특히 서울의 산업구조 서비스화 진전과 임금소득 비중이 높은 데 주로 기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소득의 상호의존도 측면에서 보면 서울과 경기는 타지역의 소득에 의존하는 정도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경기는 고기술 제조업 제품의 해외수출을 주도하는 지역이라 대외 요인도 소득유발에 기여하지만, 서울의 경우 서비스를 기반으로 국내 상호연관구조를 이용한 소득흡수가 높다는 측면에서 본다면 국내 타지역의 경제 상황에 민감한 소득 창출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지역 간 소득유발효과와 소득전이가 전반적으로 하락하고 서울과 경기로의 집중이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지역불균형을 구조적 측면에서 완화하기 위해서는 지역의 산업정책은 서울이나 경기의 구조를 벤치마킹하는 것보다는 각 지역 특화산업의 비교우위를 강화하여 지역 간 상호연계성 제고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KCI등재

        국어과 융합 교육을 위한 교과서 구성 방안 -융합 선택 과목 ‘독서 토론과 글쓰기’를 중심으로

        권태현 청람어문교육학회 2022 청람어문교육 Vol.- No.89

        This paper examines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nd textbooks, focusing on the convergence elective subject ‘reading and discussion and writing’ proposed in the next curriculum.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 subjects presented in the basic research of the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of recent convergence education, this paper 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tegrity of language function and activity', 'reading books and materials from various subjects and disciplines and Convergence between subjects to interpret' and 'project-based learning to solve learners' life problem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he textbook unit system considered that the achievement standard linkage method that can support the project-based teaching method rather than the content system of the curriculum was appropriate. At this time, it was thought that language function, subject, task, etc. would be possible as mediating factors of convergence.

      • KCI등재

        인공지능 시대의 글쓰기와 작문 교육의 방향 탐색 -생성형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을 중심으로-

        권태현 한민족문화학회 2023 한민족문화연구 Vol.83 No.-

        본 연구에서는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작문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인공지능 글쓰기는 일관성과 유창성이 높으나 독창성, 창의성이 떨어지고 방대한 지식 기반의 글쓰기라는 특성을 지닌다. 반면 허위 정보의 확대 재생산, 개인정보의 노출, 인간적 세부 맥락의 이해 부족 등의 한계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공지능 시대의 필자에게는 상위인지에 초점을 둔 문제 해결 능력, 비판적 읽기 능력에 기초한 쓰기 능력, 인공지능 시대에 맞는 쓰기 윤리 역량 등이 새롭게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능력을 함양하기 위한 작문교육의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쓰기 발달을 고려한 인공지능 활용의 균형적 접근이 요구된다. 기초 문식성과 비판적 읽기 능력을 갖추기 전인 저학년에서는 기본적인 작문 능력과 창의력을 발전시키는 데 초점을 두고 고학년으로 올라가면서 점진적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방법을 학습할 필요가 있다. 둘째, 인공지능 맥락에 부합하는 과정 중심 쓰기 교육 방안을 구안해야 한다. 쓰기 과정별 인공지능 활용 방안을 설계하고 실제 교수․학습 맥락에서 쓰기 과정별 하위 질문 전략 등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작문 평가 맥락의 다변화를 통해 실제적 작문 능력을 평가해야 한다. 생성형 인공지능 시대에는 에세이 쓰기나 과제물 제출 등 하나의 결과물에 의존하는 쓰기 평가를 지양하고 학습자의 쓰기 과정 산출물과 필자의 반성적 자기 평가에 초점을 둔 작문평가를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we discussed writing education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generative artificial intelligence such as ChatGPT. First of all, AI writing is characterized by high consistency and fluency, but low originality and creativity, and a vast knowledge base. On the other hand, it was analyzed that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expanded reproduction of false information, exp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human context. It was found that writers in the A.I. era require new skills such as problem-solving skills focused on higher cognition, writing skills based on critical reading skills, and writing ethics skills for the A.I. era. In order to cultivate these abilities, writing education should take the following measures. First, a balanced approach to utilizing A.I. that considers writing development is required. In the lower grades, before basic literacy and critical reading skills, students should focus on developing basic writing skills and creativity, and gradually learn how to utilize AI as they progress to higher grades. Second, we need to design process-centered writing instruction that fits the context of AI. We need to design writing process-specific AI applications and develop writing process-specific sub-questioning strategies in real-world teaching and learning contexts. Third, we need to diversify the context of writing assessment to evaluate actual writing skills. In the era of generative AI, it is necessary to avoid writing assessments that rely on one output, such as essay writing or assignment submission, and more actively utilize writing assessments that focus on learners’ writing process output and writers’ reflective self-assessment.

      • KCI등재

        응급의학과 전공의 총조사 자료를 이용한 전공의의 교육 요구도 분석

        권태현,박경혜,기동훈,김인병,김호중,박송이,서범석,윤유상,이의선,이형민,조광,최석재 대한응급의학회 2021 大韓應急醫學會誌 Vol.32 No.1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needs assessment for education and training of emergency medicine (EM) residents. Methods: The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of EM residents of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in 2019 were used. Education was one of the five categories in the survey. The preferred learning methods and their perceived importance and ability to perform in nine competencies were assessed. The Borich’s needs assessment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ir needs. Results: Among 591 EM residents, 382 responded, and 371 responses were finally analyzed. Regarding the learning methods, junior residents preferred in-hospital conferences, staff lectures, internet resources, and textbooks. Overall, medical knowledge and procedural skills were the most important, and research was less important to recognize. Medical knowledge showed the highest rank in the needs assessment in all years, and ethics and professionalism showed the lowest ranks. The needs for procedural skills were higher in junior years but lower in senior years.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form the basis for the design of training programs to meet the educational needs of EM residents for each grade. Furthermore, an analysis of the educational needs should be done periodically according to the changes and demands of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