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mote: SMART Home Framework for Common Household Appliances in IoT Network

        박동민,Seong-Kyu Kim,서영석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Vol.15 No.2

        SMART home is one of the most popular applications of Internet-of-Things (IoT) technologies, which isexpanding in terms of range of applications. SMART home technology provides convenience at home byconnecting household appliances to a single network, control, and management. However, many general homeappliances do not support the network functions yet; hence, enjoying such convenient technology could bedifficult, and it could be expensive in the beginning to build the framework. In addition, even though productswith SMART home technologies are purchased, the control systems could differ from device to device. Thus,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home framework, called an S-mote that can operate all the IoT functionsin a single application by adding an infrared or radio frequency module to general home appliances. Theproposed framework is analyzed using four types of performance tests by five evaluators. The results of theexperiment show that the SMART home environment was implemented successfully and that it functionsappropriately, without any operational issues, with various home appliances, including the latest IoT devices,and even those equipped with an infrared or radio frequency module.

      • KCI등재

        팔작지붕과 북한의 현대 조선식 건축: 선택과 배제

        박동민 한국건축역사학회 2019 건축역사연구 Vol.28 No.2

        조선의 전통건축을 현대적으로 해석한 북한의 현대 조선식 건축에서 가장 분명한 형태적 특징은 건물의 상부를 장식하는 팔작지붕이다. 이 논문은 현대 조선식 건축에서 팔작지붕이 가지는 독점적 지위의 이론적 기반은 1950년대 말에서 1960년대 초 전통건축의 전형적 특징을 찾으려는 노력의 과정에서 형성되었으며, 같은 시기 건설된 평양 대극장과 옥류관의 건설 경험은 팔작지붕의 정형화에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음을 주장한다. 이중으로 된 서까래를 가진 깊은 처마, 박공과 용마루의 존재, 그리고 "경쾌하면서도 장중한" 지붕선을 가진 팔작지붕은 조선지붕을 대표하는 형식으로 여겨졌다. 특히, 김일성이 비인격화된 신적 존재로 우상화된 북한 사회에서, 김일성이 평양 대극장의 건설에서 지붕의 모양을 팔작지붕으로 고쳤다는 일화는 팔작지붕의 독점적 지위를 더욱 강화시켰다. 이러한 이유로 1960년대 이후 새롭게 지어지는 거의 모든 현대 조선식 건축의 지붕은 새로운 조형 시도를 하기보다는 기존의 선례에서 물려받은 팔작지붕을 사용하게 된다. 이 논문은 북한 현대 조선식 건축에서 전통성을 표현하는 방법이 특정한 시기에 정형화되었으며, 이 과정은 선택과 배제를 통해서 만들어진 것임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Modern Joseon Architecture is North Korea's unique building style that interprets Korean traditional architecture in a modern way, and its most distinctive design feature is the Paljak roof that decorates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s. This paper argues that continuous attempts at characterizing the nature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in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developed the theoretical rationale for the exclusive use of the Paljak roof in Modern Joseon Architecture. It also argues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Pyongyang Grand Theater and the Okryu Restaurant during this period became a decisive moment for the formalization of the Paljak roof. The double roof rafters and gables and the "cheerful yet solemn" roofline were considered as main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Korean roof and the Paljak roof perfectly fits this description. Particularly, in North Korean society where Kim Il Sung became idolized as an impersonalized deity, an anecdote in which Kim Il Sung fixed a prominent gabled roof in the Pyongyang Grand Theater into a Paljak roof has allowed for the roof to gain an exclusive status. Hence, almost all Modern Joseon Architecture since the 1960s accepted the Paljak roof’s monopoly position, rather than experimenting with other traditional roof types.

      • KCI등재

        메타버스 기반 전통한복(Korea Dress) NFT 컬렉션 활성화 방안 연구

        박동민,장현주,이해준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2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8 No.12

        NFT 기반 디지털 작품을 대상으로 한 가상갤러리 구축 연구의 필요성이 확대되고 있다. 가상갤러리는 창작물인 콘텐츠의 고유성 유지가 중요하다. 컬렉션 프로세스에 대해 한복 고유의 NFT 기반 서비스 가상화 및 활성화를 위한 고유성 모델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개인 디지털 작품과 기업작품에 대한 창작물과 작가의 참여 확대에 따른 가상 컨셉연구 및 검증 절차의 효율성 체계화가 필요하다. 특히 전통의상과 문화의 국제적 객관성 확보와 콘텐츠 구성 내용의 공정성 프로세스 구축 연구는 갈등 해소의 객관성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복 한류 문화(Korea Dress) 산업의 신뢰성 검증 연구와 서비스 가상화를 구현하는 실질적인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과 시스템 구현과 NFT 기반 컬렉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내용으로는 첫째, 전통한복 컬렉션 자원인 이미지 토큰 연구, 둘째, 대채 불가능한 ERC-721 NFT 토큰 구성, 셋째, NFT 검증을 위한 이미지 규격 적용성 평가 규격을 기반으로 K-Dress 메타버스 플랫폼 구성으로 컬렉션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ERC-721 NFT 연구를 바탕으로 가상갤러리 콘텐츠 구축 일원화를 위한 K-Dress 메타버스 플랫폼의 양과 질적인 면에서 중소규모 수준의 디지털 작품 서비스 수요에 대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다양한 배양조건에 따른 Lactobacillus plantarum BG0001 배양액의 항균활성

        박동민,강경곤,권덕호,재범,양병근,하석진 한국생물공학회 2019 KSBB Journal Vol.34 No.4

        Lactic acid bacteria (LAB) has been known to produce various antimicrobial agents such as bacteriocin which causes cell growth restriction or death. LAB having antimicrobial activity was isolated and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BG0001. The culture broth of L. plantarum BG0001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the both of gram positive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and negative (Escherichia coli,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imurium) strains by paper disc diffusion assay. Since the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conditions could promote antimicrobial activity, we compar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L. plantarum BG0001 culture broth depending on fermentation temperatures. When L. plantarum BG0001 was fermented at 30oC, the lowest minimum inhibited concentration (9.92 mg/mL) was shown as compared to those from 32, 35, 37oC. When 100 mL/L of molasses and 80 mL/L of corn steep liquor (CSL) were used instead of MRS medium, the minimum inhibited concentration (MIC) was 17.36 mg/L which suggesting molasses and CSL could be used for the fermentation of L. plantarum BG0001 as an alternative fermentation medium.

      • KCI등재

        행정상 강제의 실무상 쟁점

        박동민 대한변호사협회 2023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3

        General Act on Public Administration(GAPA) lists five systems in parallel: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mposition of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direct compulsion, compulsory collection, and immediate compulsion in relation to administrative compulsion. General rules were prepared for three systems.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is mentioned in the process of human rights violation and the problem that vicarious execution is not used well. After the ‘Yongsan Disaster’ incident,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provided some improvements, but this alone cannot be the ultimate solution. Physical force against the body cannot be said to be included in vicarious execution, and requests for support from the police also need to be executed according to strict procedures. So Administrative Vicarious Execution Act itself should provide a stipulated basis for excluding resistance with force. In relation to the use of vicarious execution, in case of cost calculation, it is necessary to prevent unnecessary confusion by establishing specific calculation criteria or scope of imposition for each local government. In practice, there are discussions on how to object to charges for compelling compliance. Since the imposition of charges is an administrative act, the method of objection in principle can be regarded as an administrative litigation. However, in order to remedy the rights of the peopl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at the appeal method is guaranteed as quickly as possible, so it is necessary to unify the appeal method against the imposition of charges to follow the non-litigative case procedure. In addition, it should be seen that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 choose within the scope of its reasonable discretion regarding the overlapping sanctions of vicarious execution and imposition of charges. Of course, in order to comply with the principle of minimum damage, the amount, frequency, and repeatability of imposition of charges must be strictly limited. In the case of direct compulsion, there are many criticisms that the requirements or procedural provisions are insufficient, despite the strong restriction. In addition to the minimum common requirements of GAPA, a more thorough legislative overhaul is needed to prevent each laws from being abused as tools for human rights violations. In addition, a plan to unify the hearing procedure as an essential procedure may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compulsory collection, disadvantages due to differences from civil enforcement procedures and the lack of administrative standards for determining the targets of compulsory collection are cited as problems. Whether it is an administrative compulsory collection procedure or a civil enforcement procedure has a great impact on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the people concerned, so the criteria for setting the subject of administrative compulsory collection must be clarified. There is criticism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immediate compulsion and other means of compulsion, such as vicarious execution, is unclear, and that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legal character of administrative investigation and immediate compulsion when they are mixed. In addition, in the case of direct or immediate compulsion, the use of force against the body and property of the people is accompanied, so whether or not the principle of warrant is applied is an issue.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warrant principle in the Constitution,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the warrant principle is applied in principle when administrative direct compulsion or immediate compulsion constitutes a serious infringement on the important legal interests of the people, such as personal arrest, seizure, and search. 행정기본법은 행정상 강제와 관련하여 행정대집행, 이행강제금의 부과, 직접강제, 강제징수, 즉시강제 등 5가지 제도를 병렬적으로 나열하고 있고, 이행강제금의 부과, 직접강제, 즉시강제 등 3가지 제도의 총칙적 규정을 마련하였다. 행정대집행은 그 실행과정에서 인권침해의 문제, 대집행이 잘 활용되지 않는 문제 등이 언급된다. ‘용산 참사’ 사건 이후 행정대집행법은 일부 개선 조항을 마련하였으나, 이것만으로는 궁극적 해결방안이 될 수 없다. 신체에 대한 물리력 행사는 대집행에 포함된다고 할 수 없고, 경찰에 응원 요청 또한 엄격한 절차에 따라 집행될 필요가 있는바, 행정대집행법 자체에 실력으로 저항을 배제하는 것에 관한 명문의 근거 조항을 마련해야 한다. 대집행의 활용과 관련하여 비용액 산정의 경우 지방자치단체별로 구체적 산정기준이나 부과 대상의 범위 등을 두어 불필요한 혼란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행강제금은 실무상 그 불복방안에 대해 논의가 있다. 이행강제금의 부과는 행정행위에 해당하여 원칙적 불복방안은 행정쟁송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러나 국민의 권리구제 차원에서 불복방안은 가급적 신속히 보장될 필요가 있으므로 이행강제금에 대한 불복방안을 비송사건절차에 따르도록 통일시킬 필요가 있다. 아울러 대집행과 이행강제금의 중첩적 제재 여부와 관련하여 행정청은 합리적인 재량의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한다. 물론 피해의 최소성 원칙을 준수하기 위해 이행강제금 부과 금액, 횟수 및 반복가능성 등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 직접강제의 경우 그 제한의 강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그 요건이나 절차 조항이 미흡하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행정기본법의 최소한의 공통적 요건과 함께 개별 법규에서 인권침해의 도구로 악용되지 않도록 보다 면밀한 입법적 정비가 필요하다. 또한 청문 절차를 필수적 절차로 통일화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강제징수의 경우 민사집행 절차와의 차이점으로 인한 불이익, 행정상 강제징수의 대상을 정하는 기준이 없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언급된다. 행정상 강제징수 절차인지, 민사상 집행절차인지는 해당 국민의 권리의무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만큼 행정상 강제징수 대상을 설정하는 기준을 명확히 해야 한다. 즉시강제는 대집행 등 다른 강제수단과 사이에 구분이 불명확하고, 행정조사와 즉시강제가 혼합되어 그 법적 성격을 구분하기 어렵다는 비판이 있다. 아울러 직접강제, 즉시강제의 경우 국민의 신체, 재산에 대한 실력행사가 수반되므로 영장주의의 적용 여부가 문제된다. 헌법상 영장주의의 취지에 의할 때 행정상 직접강제, 즉시강제가 인신의 구속, 압수, 수색 등 국민의 중요한 법익에 대한 중대한 침해에 해당할 경우 원칙적으로 영장주의가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 궤도차량 변속기 누유 개선에 관한 연구

        박동민,지현철,백현무,손권일,강태희 한국품질경영학회 2019 한국품질경영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

        본 연구는 궤도차량 변속기 출력축에 발생된 누유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특성요인도 및 4M(Man, Machine, Material, Method) 품질기법을 활용하여 출력축 누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파악하여 대책을 수립하고 이에 따른 누유방지 기법 적용방안을 수립 후 시제품 제작을 통한 성능시험을 실시하였다. 누유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는 변속기 출력축부 커플링 찍힘 등의 손상과 작업자 변경, 부자재 작업표준 미준수가 있으며, 변속기 출력축부 커플링의 손상방지를 위한 보호캡 적용, 적정 경도를 위한 열처리 구간 변경을 주요 개선 필요 인자로 선정하였다. 유효성 평가를 위해 시제품을 제작하여 변속기 시험, 파워팩시험, 궤도차량 부착시험을 실시하였다. 유효성 평가결과 시제품을 적용한 변속기 4대 모두 누유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해당 방법을 적용한 이후 전체 생산분 또한 출력축 누유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개선사항들을 통하여 변속기 생산업체의 품질 신뢰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명암비 향상을 위한 서브-히스토그램 면적비 기반의 적응형 히스토그램 재분배 알고리즘

        박동민,최명렬,Park, Dong-Min,Choi, Myung-Ruyl 한국정보처리학회 2009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Vol.16 No.4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주어진 입력 영상의 누적분포함수 CDF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를 이용하여 영상의 동적영역 (Dynamic Range)을 확장하고 히스토그램의 분포를 균등하게 함으로써 명암비를 개선한다. 그러나 히스토그램 평활화는 영상의 밝기를 과도하게 변하게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도한 명암비 향상을 억제하기위해 서브-히스토그램의 면적비 기반의 히스토그램 재분배를 이용한 적응형명암비 향상 알고리즘. 제안한 알고리즘은 영상의 동적영역을 입력영상의 휘도 평균값을 기반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영역의 면적비에 따라 밝기 분포를 재분배함으로써 과도한 밝기 변화를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색의 왜곡이 없는 자연스러운 영상을 확인하였고, 평균값의 비교를 통해 과도한 밝기 변화를 억제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히스토그램의 분포에 상관없이 대부분의 영상에서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을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었다. Histogram Equalization (HE) is a very popular technique for enhancing the contrast of an image. HE stretches the dynamic range of an image using the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of a given input image, therefore improving its contrast. However, HE has a well-known problem : when HE is applied for the contrast enhancement, there is a significant change in brightness. To re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n Adaptive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using Subhistogram Area-Ratioed Histogram Redistribution, a new method that helps reduce excessive contrast enhancement. This proposed algorithm redistributes the dynamic range of an input image using its mean luminance value and the ratio of sub-histogram area.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by this redistribution, the significant change in brightness is reduced effectively and the output image is able to preserve the naturalness of an original image even if it has a poor histogram distrib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