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거창화강암의 미세균열이 압열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

        박덕원,Park, Deok-Won 한국암석학회·(사)한국광물학회 2021 광물과 암석 (J.Miner.Soc.Korea) Vol.34 No.3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crocrack lengths(①), microcrack spacings(②)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s(③) related to the six directions of rock cleavages(H2~R1) in Geochang granite were analyzed. First, the 18 cumulative graphs for the above three major factors represen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s were made. Through the general chart for these graphs classified into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the 28 parameters on the length, spacing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have been determine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among these parameters are summarized as follows. Second, the above parameters were classified into six groups(I~VI) according to the sorting order on the magnitude of parameter values among three rock cleavages and three planes. The values of parameters belonging to group I and II are in order of R(rift) < G(grain) < H(hardway) and H < G < R. The values of the 8 parameters on the length of line(os<sub>2</sub>, 𝚫s, 𝚫L and oS<sup>mean</sup>), the exponent(λ<sub>L</sub><sup>mean</sup> and λ<sub>S</sub><sup>mean</sup>), the slope(a<sup>mean</sup>) and the anisotropy coefficient (An<sup>mean</sup>) are in order of R < G < H and H'(hardway plane) < G'(grain plane) < R'(rift plane). Third, the noticeable differences in distribution patterns among the six types of charts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are as follows. From the chart for three planes, the values of 𝚫L, 𝚫s and 𝚫σ<sub>t</sub>, corresponding to the distance between two points where the two fitting lines meet on the X-axis, increase in the order of R' < H' < G'. In particular, the two graphs of R2 and G2 related to the length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are almost parallel to each other and show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hardway plane. Among the graphs related to the Brazilian tensile strength, the overall shape for hardway plane is similar to that for grain. From the chart for three rock cleavages, the slopes of the graphs related to the length increase in the order of R < G < H, while those of the graphs related to the spacing and Brazilian tensile strength decrease in the order of R < G < H. Lastly, the characteristics of variation among the six rock cleavages, the three planes and the three rock cleavages were visualized through the correlation chart among the above parameters from this study. 거창화강암에서 발달하는 여섯 방향의 결(H2~R1)과 관련된 미세균열의 길이(①), 미세균열의 간격(②) 및 압열인장강도(③)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결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는 위의 세 주요 인자에 대한 18개의 누적 그래프를 작성하였다. 세 면 및 세 결로 분류한 이들 그래프에 대한 종합 도면을 통하여, 길이, 간격 및 압열인장강도에 대한 28개의 파라미터를 결정하였다. 이들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둘째, 위의 파라미터는 세 결 및 세 면 사이의 파라미터 값의 크기에 대한 정렬순서에 따라 여섯 그룹(I~VI)으로 분류하였다. 그룹 I 및 II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값은 R(1번 결) < G(2번 결) < H(3번 결) 및 H<G< R의 순이다. 선의 길이(os<sub>2</sub>, 𝚫s, 𝚫L 및 oS<sup>mean</sup>), 지수(λ<sub>L</sub><sup>mean</sup> 및 λ<sub>S</sub><sup>mean</sup>), 기울기(a<sup>mean</sup>) 그리고 이방성 계수(An<sup>mean</sup>)에 대한 8개의 파라미터의 값은 R < G < H 그리고 H'(3번 면) < G'(2번 면) < R'(1번 면)의 순이다. 셋째, 세 면과 세 결 사이의 분포 형태에 있어서 주목할 만한 차이점은 다음과 같다. 세 면에 대한 도면으로부터, 두 적합선이 X축 상에서 만나는 두 점 사이의 거리에 해당하는 𝚫L, 𝚫s 및 𝚫σ<sub>t</sub>의 값은 R' < H' < G'의 순으로 증가한다. 특히, 길이 및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R2 및 G2의 두 그래프는 서로 거의 평행하며 3번 면의 특성을 보여준다.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그래프 중에서, 3번 면에 대한 전체적인 모양은 2번 결의 전체적인 모양과 유사하다. 세 결에 대한 도면으로부터, 길이와 관련된 그래프의 기울기는 R<G<H의 순으로 증가하는 반면에, 간격과 압열인장강도와 관련된 그래프의 기울기는 R<G<H의 순으로 감소한다. 마지막으로, 여섯 결, 세 면 및 세 결 사이의 변화 특성을 이 연구에서 도출한 상기한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도를 통하여 가시화하였다.

      • KCI등재

        흑색사암(오석)과 흑색셰일(청석) 석재자원의 지질과 산출유형

        박덕원,홍세선,김철주,이춘오,이병태,윤현수,Park Deok Won,Hong Sei Sun,Kim Chul Joo,Lee Choon Oh,Lee Byeong Tae,Yun Hyun Soo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04 자원환경지질 Vol.37 No.6

        국내의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가 수행된 바가 없다. 따라서 이들에 대한 상황을 파악하기가 용이하지 않다. 보령지역의 기존 석산에서 채석되는 흑색사암 및 흑색셰일의 분포, 산출상태 및 암질에 대하여 조직적, 과학적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흑색사암 층의 조사는 4개 도폭의 54개 광구에서 실시되었다. 연구 지역에서 37개 광구내에서 140 개소의 흑색사암 석산, 22 개소의 흑색셰일 석산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기존 석산에 대한 전반적인 개발정보 자료가 수집 및 종합되었다. 이들 중에서 묘비석 및 기념비용의 흑색사암 석산, 벼루용 흑색셰일 석산에서 채석작업이 진행 중에 있다. 대부분의 흑색사암 석산은 개화리, 수부리, 성주리 지역에 밀집하며 이들 석산은 흑색사암의 생산에서 주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상업적인 석재의 관점에서 볼 때, 흑색사암 원석은 산출상태 및 형태의 특성에 따라서 핵석과 신선한 암체로 구분된다. 흑색사암층은 독특하게 절리가 잘 발달하며, 특히 3 절리조 내에서 입방체 또는 사각형으로 분리되어 있다. 이러한 흑색사암류는 암회색내지 회흑색으로 나타난다. 흑색사암층은 대동누층군의 아미산층, 조계리층, 백운사층 및 성주리층 내에 협재하며, 층후는 약 $1\~10m$ 이다. A general study of domestic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quarries has not been made.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know how the matter really stan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achieve systematical and scientific study of the distribution, occurrences and rock quality of black sandstone and black shale resources exploited in existing quarries in the Boryeong area. The black sandstone bed survey was made from 54 mine claims on 4 sheets. In the area, 140 black sandstone and 22 black shale quarries were ascertained in 37 mine claims. The general development information data from that existing quarries were collected and synthesized. Among these black sandstone quarries for gravestones, monuments and black shale quarries for inkstone are in operation. Most of the black sandstone quarries were closed throughout the Gaewhari, Suburi, Seongjuri district in the investigated area even though these quarries had played a prominent part in the production of black sandstone. In view of commercial dimension stones, raw materials from black sandstone are classified as corestone and fresh rock bod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rrences and shape. Black sandstone beds are characteristically well-jointed and are particularly subdivided into cubic or quadrangular blocks in 3 joint sets. The colors of these black sandstones show medium dark $gray\~grayish$ black judging from the Rock Color Chart. The black sandstone beds which are intercalated in the Amisan, Jogeri, Baegunsa, Seongjuri Formations of the Daedong Supergroup are about $1\~10\;m$ in thickness.

      • 교육사 용어의 오류와 그 수정을 위한 제안

        박덕원(Park, Deok-Won)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07 한국교육사상연구회 학술논문집 Vol.34 No.-

        필자는 교육사를 강의해 오면서 교육사 분야의 교재에 기술되어 있는 외래 용어들의 우리말 표기가 오류에 근접할 만큼 부적합하거나 부정확한 경우가 많음을 발견하였다. 오류의 유형은 크게 두 가지로써, 하나는 외래어의 우리말 번역이 적합하지 못하여 그 본래의 의미가 변질되었거나 왜곡된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외국의 인명이나 용어들에 대한 우리말 표기가 본래의 발음과는 거리가 먼 발음으로 표기된 경우였다. 한번 잘못 사용되기 시작한 교과서 용어들은 지식을 왜곡케 하거나 오류로 이끌어갈 위험성이 크고, 오랜 세월이 경과할 경우 그 용어들은 사회 통용어로 고착되어 영원히 수정 불가능한 오류로 정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안이 시급함을 절감하여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는 어휘들을 발췌하고, 이를 보다 정확하게 수정하기 위한 하나의 시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Terminology used in textbooks should be correct. If Terminology is incorrect or improper, knowledge described in the textbooks may be misunderstood. When teaching the course, History of Education, I have Found that a lot of terminology is misused, especially, in occidental medieval history. There are two kinds of terminological misuse: (1)mistranslation and (2) misrepresenta -tion. For example, "cathedral school" is mistranslated into "sawon(temple) school". Pronouns and jargons being mistranslated, their original meaning will be misunderstood. And korean representation of foreign pronouns and person may be different from foreign representations. The differences can make their meaning ambiguous and vague. To correct terminological misuse in the textbook, I propose the following. 1. To make a committee, composed of scholars, to correct misused terminology. 2. To observe the rules which religious jargons are represented in the religion-world concerned. 3. To use korean pronunciations which are the most similar to original pronunciation. 4. To use person`s name of the period in which he/she lived. Because, after Dante`s death, Latin was changed in spelling and pronunciation. 5. To represent non-English person`s name in the original pronunciation.

      • KCI등재

        일축압축하에서 포천화강암의 역학적 이방성

        박덕원 ( Deok Won Park ) 대한지질공학회 2005 지질공학 Vol.15 No.3

        포천 지역에 분포하는 쥬라기 화강암을 대상으로 미세균열 분포특성이 화강암의 역학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3 종의 방향성 시편을 대상으로 일축압축시험이 실시되었으며, 각 시편은 R(rift plane), G(grain plane) 및 H(hardway plane) 축에 각각 직각이다. 다양한 탄성상수 중, 3 방향에 따른 포아송비의 변화가 검토되었다. 파괴강도 비-포아송 비의 관계도에서 포아송 비의 범위는 H-시편에서 가장 높은 분포양상을 보이며 G-시편, R-시편의 순으로 감소한다. 분포곡선은 Ⅰ~Ⅲ 단계에서는 거의 선형이며, Ⅳ-3 단계에서는 기울기의 급격한 증가를 보인다. 관계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파괴강도비 0.92~0.96에서 변곡점이 형성된다. Ⅳ-3 단계는 탄성 영역의 밖에 속한다. 4 단계의 파괴단계에서의 거동은 응력-체적변형율 곡선에서 분석되었다. 암석의 거동을 지배하는 응력증분-체적변형율 방정식에서 특징적인 재료상수인 a, n, Q, m 및εvmcf가 결정되었다. 이들 상수 중에서 미세균열의 폐합영역(Ⅰ단계)에서 고유의 미세균열의 공극률(a, 10-3) 그리고 압축지수(n)는 각각 aR(3.82) > aG(3.38)> aH(2.32) 그리고 nR(3.69) > nG(2.79) > nH(1.99)의 순서로 나타난다. 특히 Ⅳ 단계의 미세균열의 임계체적변형율(εvmcf)은 3번 면에 수직인 H-시편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이러한 결과에서 포아송비 및 재료상수와 같은 역학적 성질은 2 조의 미세균열과 밀접한 관계를 보이고 있다. 강도 이방성과 미세균열의 방향성과의 상관성은 암석의 파괴 연구에 주요하게 적용될 수 있다. Jurassic granite from Pocheon area were tes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icrocracks o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granite. Three oriented core specimens were used for uniaxial compressive tests and each core specimen are perpendicular to the axes ``R``(rift plane), ``G``(grain plane) and ``H``(hardway plane), respectively. Among various elastic constants, the variation of Poisson`s ratio as function of the directions was examined. From the related chart between ratio of failure strength and Poisson`s ratio, H-specimen shows the highest range in Poisson`s ratio and Poisson`s ratio decreases in the order of G-specimen and R-specimen. The curve pattern is nearly linear in stage Ⅰ~Ⅲ but the slope increases abruptly in stage Ⅳ-3. As shown in the related chart, diverging point of a curve is formed when ratio of failure strength is 0.92~0.96. Stage Ⅳ-3 is out of elastic region. The behaviour of rock in the four fracturing stages was analyzed in term of the stress-volumetric strain curve. From the stress increment-volumetric strain equations governing the behaviour of rock, characteristic material constants, a, n, Q, m and εvmcf, were determined. Among these, inherent microcrack porosity(a, 10-3) and compaction exponent(n) in the microcrack closure region(stage Ⅰ) show an order of aR(3.82) > aG(3.38)> aH(2.32) and nR(3.69) > nG(2.79) > nH(1.99), respectively. Especially, critical volumetric microcrack strain(εvmcf) in the stage Ⅳ is highest in the H-specimen, normal to the hardway plane. These results indicate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wo major sets of microcracks and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Poisson`s ratio and material constants. Correlation of strength anisotropy with microcrack orientation can have important application in rock fracture studies.

      • KCI우수등재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의 길이 분포에 대한 통계적 분석

        박덕원(Deok-Won Park) 한국암석학회 2011 암석학회지 Vol.20 No.1

        제3기 결정질 응회암에서 발달하는 미세균열 모집단의 길이분포에 대한 스케일링 성질을 조사하였다. 15개 방향각 및 5개 그룹(I~V)에 대한 길이범위의 분포도에서 미세균열의 방향성에 따른 평균길이의 체계적인 변화가 나타난다. 분포도는 거의 남-북방향을 경계로 하여 좌우 대칭형태를 취하는 것이 특징이다. 미세균열의 모집단에 대한 길이-누적빈도 도표의 전 영역은 상관곡선의 분포양상에 의하여 3개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특히, 5개 그룹에 대한 각 도표의 선형의 중앙구간은 멱함수 분포를 지시한다. 5개 그룹에 대한 중앙의 선형구간의 빈도비는 46.6%~67.8%의 범위이다. 한편 각 그룹에 대한 선형의 중앙구간의 기울기는 그룹 V(N60~90°E, -2.02) > 그룹 IV(N20~60°E, -1.55) > 그룹 I(N60~90°W, -1.48), 그룹 II(N10~60°W, -1.48) > 그룹 III(N10°W~N20°E, -1.06)의 순으로 나타난다. 거의 멱함수의 길이분포를 따르는 부집단(5개 그룹)에서는 지수(-1.06 ~ -2.02)의 범위가 넓다. 5개 그룹간의 이러한 지수의 상대적인 차이는 방향성 효과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곡선의 하부에서의 기울기의 분리는 보다 긴 미세균열의 급격한 발달을 대변하며, 멱함수 지수의 감소로 반영된다. 특히, 이러한 분포양식은 N10~20°E, N10~20°W 및 N60~70°W의 방향각에 대한 도표에서 볼 수 있다. 이들 3개 방향각은 연구지역 일대에서 발달한 단층의 주방향과 부합한다. 15개 방향각에 대한 길이-누적빈도 도표의 개개 특성을 보여주는 분포도를 작성하였다. 상기한 도표들을 3개 그룹(A, B and C)의 범주에 따라 배열함으로서 이들 그룹간 길이-빈도 분포의 차이를 용이하게 도출할 수 있다. 분포도는 미세균열 조들에 대한 개별적인 분리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관계도에서, 보다 짧은 미세균열의 출현빈도는 그룹 A > 그룹 B > 그룹 C의 순서를 보인다. 이들 3가지 유형의 분포양상은 미세균열이 성장하는 동안 발생한 과정들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드러낼 수 있다. The scaling properties on the length distribution of microcrack populations from Tertiary crystalline tuff are investigated. From the distribution charts showing length range with 15 directional angles and five groups(I~V), a systematic variation appears in the mean length with microcrack orientation. The distribution charts are distinguished by the bilaterally symmetrical pattern to nearly N-S direction. The whole domain of the length-cumulative frequency diagram for microcrack populations can be divided into three sections in terms of phases of the distribution of related curves. Especially, the linear middle section of each diagram of five groups represents a power-law distribution. The frequency ratio of linear middle sections of five groups ranges from 46.6% to 67.8%. Meanwhile, the slope of linear middle section of each group shows the order: group V(N60~90oE, -2.02) > group Ⅳ(N20~60°E, -1.55) > group I(N60~90°W, -1.48), group Ⅱ(N10~60°W, -1.48) > group Ⅲ(N10oW~N20°E, -1.06). Five sub-populations(five groups) that closely follow the power-law length distribution show a wide range in exponents(-1.06 ~ -2.02). These differences in exponent among five groups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orientation effect. In addition, breaks in slope in the lower parts of the related curves represent the abrupt development of longer lengths, which is reflected in the decrease in the power-law exponent. Especially, such a distribution pattern can be seen from the diagram with N10~20oE, N10~20oW and N60~70°W directional angles. These three directional angles correspond with main directions of faults developed around the study area. The distribution chart showing the individual chracteristics of the length-cumulative frequency diagrams for 15 directional angles were made. By arraying above diagrams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three groups(A, B and C), the differences in length-frequency distributions among these groups can be easily derived. The distribution chart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analysing microcrack sets separately. From the related chart, the occurrence frequency of shorter microcracks shows the order: group A > group B > group C. These three types of distribution patterns could reveal important information on the processes occurred during microcrack growth.

      • KCI우수등재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 (III)

        박덕원(Deok-Won Park) 한국암석학회 2016 암석학회지 Vol.25 No.4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평가는 (1) 간격의 값 그리고 길이의 값 사이의 감소비율, (2) 미세균열의 간격의 빈도수(N), (3) 총 간격(1 mm ≥), (4) 지수의 상수(a), (5) 지수(λ)의 크기, (6) 평균 간격(S<SUB>mean</SUB>), (7) 평균 간격과 중앙 간격(S<SUB>media</SUB>n) 사이의 차이 값(S<SUB>mean</SUB>-S<SUB>median</SUB>) 및 (8) 간격의 밀도(ρ)와 같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특히 상기 간격의 파라미터 그리고 간격-누적빈도 도표에서 도출한 파라미터 사이의 밀접한 상관성을 도출하였다. 3개 채석면 그리고 3개 결을 대변하는 판별요소들은 이러한 상호 대비를 통하여 획득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결에 대한 빈도수, 평균값, 중앙값, 상기 차이값(S<SUB>mean</SUB>-S<SUB>median</SUB>) 및 밀도의 감소비율은 G(2번 결, (G1 + G2)/2) < H(3번 결, (H1 + H2)/2) ≪ R(1번 결, (R1 + R2)/2), H < G ≪ R, H < G ≪ R, H < G < R 및 H < G ≪ R의 순이다. 3개 면에 대한 상기 5개 파라미터의 값은 R(1번 면) ≪ H(3번 면) < G(2번 면), R ≪ G< H, R < H < G, R < G < H 및 R ≪ H < G의 다양한 순을 각각 보여준다. 둘째, (I) 파라미터(2, 3, 4 및 5) 및 (II) 파라미터(6, 7 및 8)의 값은 (I) H < G < R 및 (II) R < G < H의 순서이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상기 두 그룹(I~II)의 파라미터의 값은 역순을 보여준다. 셋째, 여섯 도표 사이의 전체적인 배열 특성을 살펴보면, 이들 도표들은 관계도에서 R2 < R1 < G2 < G1 < H2 < H1의 순을 보여 준다. 즉, 상기 여섯 도표는 1번 결(R1 + R2) < 2번 결(G1 + G2) < 3번 결(H1 + H2)의 순으로 요약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미세균열의 간격과 관련된 결의 상대적인 강도를 지시한다. 특히 각 도표의 두 파라미터, 상기 차이값(S<SUB>mean</SUB>-S<SUB>median</SUB>) 그리고 평균 간격은 도표 사이의 배열 순위의 예측에 대한 사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3개 면 그리고 3개 결의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에서, 3개 결에 대한 3개 지수 직선의 순서는 R(R1 + R2) < G(G1 + G2) < H(H1 + H2)의 순을 보여준다. 반면에, 3개 면에 대한 3개 지수 직선은 H(R2 + G2) < G(R1 + H2) < R(G1 + H1)의 순을 보여준다. 따라서 관계도로 부터 3개 면 및 3개 결 사이의 상호 역순의 상관성을 도출할 수 있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in Jurassic granite from Geochang were analysed. The evaluation for three quarrying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was performed using the parameters such as (1) reduction ratio between the value of spacing and the value of length, (2) microcrack spacing frequency(N), (3) total spacing(1 mm ≥), (4) exponential constant(a), (5) magnitude of exponent(λ), (6) mean spacing(S<SUB>mean</SUB>), (7) difference value(S<SUB>mean</SUB>-S<SUB>median</SUB>) between mean spacing and median spacing(S<SUB>median</SUB>) and (8) density of spacing. Especially the close dependence between the above spacing parameters and the parameters from the spacing-cumulative frequency diagrams was derived. The discrimination factors representing three quarrying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were acquired through these mutual contrast. The analysis result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reduction ratios of frequency(N), mean value, median value, the above difference value(S<SUB>mean</SUB>-S<SUB>median</SUB>) and density for three rock cleavages are in orders of G(grain, (G1 + G2)/2) < H(hardway, (H1 + H2)/2) < R(rift, (R1 + R2)/2), H < G ≪ R, H < G ≪ R, H < G < R and H < G ≪ R. The values of the above five parameters for three planes show the various orders of R(rift plane) ≪ H(hardway plane) < G(grain plane), R ≪ G < H, R < H < G, R < G < H and R ≪ H < G, respectively. Second, the values of (I) parameters(2, 3, 4 and 5) and (II) parameters(6, 7 and 8) are in orders of (I) H < G < R and (II) R < G < H. On the contrary, the values of the above two groups(I~II) of parameters for three planes show reverse orders. Third, to review the overall characteristics of the arrangement among the six diagrams, these diagrams show an order of R2 < R1 < G2 < G1 < H2 < H1 from the related chart. In other words, above six diagrams can be summarized in order of rift(R1 + R2) < grain(G1 + G2) < hardway(H1 + H2). These results indicate a relative magnitude of rock cleavage related to microcrack spacing. Especially, two parameters for each diagram, the above difference value(S<SUB>mean</SUB>-S<SUB>median</SUB>) and mean spacing, could provide advanced information for prediction the order of arrangement among the diagrams. Finally, the general chart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were made. From the related chart, three exponential straight lines for three rock cleavages show an order of R(R1 + R2) < G(G1 + G2) < H(H1 + H2). On the contrary, three lines for three planes show an order of H(R2 + G2) < G(R1 + H2) < R(G1 + H1). Consequently, correlation of the mutually reverse order between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can be drawn from the related chart.

      • KCI우수등재

        미세균열의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IV)

        박덕원(Deok-Won Park) 한국암석학회 2017 암석학회지 Vol.26 No.2

        거창지역의 쥬라기 화강암에 대하여 결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박편의 확대사진(×6.7) 및 간격-누적빈도 도표에서 도출한 미세균열의 간격과 관련된 파라미터를 통하여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다기준평가를 실시하였다. 결에 대한 이들 간격의 파라미터의 대표 값에 대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여섯 도표 사이의 배열순을 지시하는 주요 파라미터의 도출을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위의 분석을 위하여 여섯 방향의 결에 대한 5개 파라미터의 값에 대하여 증가 또는 감소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주요 파라미터(평균 간격-중앙 간격, S<SUB>mean</SUB>-S<SUB>median</SUB>) 및 평균 간격의 값이 감소하는 순은 H1, H2, G1, G2, R1 그리고 R2 방향의 순과 상호 부합한다. 여섯 방향의 결의 이러한 순차적인 배열은 간격과 관련된 여섯 도표의 순차적인 배열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로, 위의 주요 파라미터 그리고 다양한 파라미터 사이의 9개 상관도를 상관계수(R²)가 감소하는 순으로 배열하였다. 이들 관련도는 공통적으로 멱법칙함수의 높은 상관성을 보여 준다. 평균 간격, 밀도 및 선 oa의 길이의 값은 주요 파라미터의 값과 정비례하지만, 반면에 상수(a), 지수(λ), 간격의 빈도수(N), 선 oa의 길이, 지수 직선의 기울기(θ) 및 총 길이(1 mm ≥)는 반비례한다. 셋째로, 3개 면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그리고 3개 결에 대한 파라미터의 값 사이의 상관성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빈도수, 총 간격, 상수, 지수, 기울기, 선 oa 길이의 값은 R < G < H 및 H< G < R의 순을 각각 보여 준다. 반면에,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평균 간격, (평균 간격 -중앙 간격), 밀도 및 선 oa의 길이의 값은 H < G < R 및 R < G < H의 순을 각각 보여 준다. 3개 결 및 3개 면 사이의 파라미터의 값의 상호 역순의 상관성이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 Jurassic granite from Geochang was analysed with respect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The multicriteria evaluation for the six directions of rock cleavages was performed using the microcrack spacing-related parameters derived from the enlarged photomicrographs (×6.7) of the thin section and the spacing-cumulative frequency diagrams.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representative values of these spacing parameters with respect to the rock cleavag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for deriving the main parameter indicating the order of arrangement among six diagrams was performed. The values of five parameters with respect to six directions of the rock cleavages were arranged in increasing or decreasing order for the above analysis. The decreasing order of the values of main parameter(mean spacing-median spacing, S<SUB>mean</SUB>-S<SUB>median</SUB>) and mean spacing are consistent with the order of H1, H2, G1, G2, R1 and R2 directions. These sequential arrangements of six directions of the rock cleavages can provide a basis for those of the six diagrams related to spacing. Second, the nine correlation charts between the above main parameter and various parameters were arranged in decreasing order of correlation coefficient (R²). These related charts shows a high correlation of power-law function in common. The values of mean spacing, density (ρ) and length of line oa are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value of main parameter, while the values of constant (a), exponent (λ), spacing frequency (N), length of line oa, slope of exponential straight line (θ) and total length (1 mm ≥) are inverse proportional. Third,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lues of parameters for three planes and those for three rock cleavages are as follows. The values of frequency, total spacing, constant, exponent, slope and length of line oa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show an order of R < G < H and H < G < R,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values of mean spacing, (mean spacing-median spacing), density and length of line oa show an order of H < G < R and R < G < H,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of the mutually reverse order of the values of parameters between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can be drawn. This type of correlation analysis is useful for discriminating three quarrying planes.

      • 영상처리의 윤곽선 검출을 위한 시스톨릭 배열

        박덕원(Park Duck Wo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6 No.8

        This paper proposed a Systolic Arrays architecture for computing edge detection on images. It is very difficult to be processed images to real time because of operations of local operators. Local operators for computing edge detection are to be used in many image processing tasks, involve replacing each pixel in an image with a value computed within a local neighborhood of that pixel. Computing such operators at the video rate requires a computing power which is not provided by conventional computer. Through computationally expensive, it is highly regular. Thus, this paper presents a systolic arrays for tasks such as edge detection and laplacian, which are defined in terms of local operators.

      • KCI우수등재

        미세균열의 길이 및 간격 분포를 이용한 결의 평가(3)

        박덕원(Deok-Won Park),박의섭(Eui-Seob Park),정용복(Yong-Bok Jung),이태종(Tae-Jong Lee),송윤호(Yoon-Ho Song) 한국암석학회 2019 암석학회지 Vol.28 No.1

        길이 및 간격-누적빈도 도표를 통하여 도출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쥬라기 거창화강암에서 발달하는 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3개 면 및 3개 결의 평가는 (1~2) 경사각(α°및 β°), (3) 교차각(α-β°), (4) 지수차(λ<SUB>S</SUB>-λ<SUB>L</SUB>), (5~12) 선의 길이(oa, ob, ol, os, ss, ll, ls 및 sl), (13~15) 길이 비(ol/os, ss/ll 및 ll/sl), (16) 평균길이((ss+ll)/2), (17~23) 면적(△oaa, △obb, △oaa<SUB>a</SUB>, △obb<SUB>a</SUB>, △lls, △ssl 및 ⏢llss) 및 (24~25) 면적차(△obb-△oaa 및 △obb<SUB>a</SUB>-△oaa<SUB>a</SUB>)와 같은 25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첫째로, 11개 파라미터(그룹 I:No. 1, 3~4, 7, 9~10, 13, 15~16, 20 및 25), 3개 파라미터(그룹 II: No. 5, 8 및 17) 그리고 2개 파라미터(그룹 III: No. 12 및 22)의 값은 각각 H(3번 결) < G(2번 결) < R(1번 결), R < G < H 및 G < H < R의 순서이다. 반면에, 상기한 3개 그룹에 속하는 파라미터의 값은 3개 면에 대하여 역순을 보여준다. 둘째로, 3개 면 및 3개 결에 대한 종합도를 작성하였다. 관계도로부터, 길이와 간격과 관련된 두 도표가 형성하는 분포형을 도출하였다. 간격과 관련된 도표는 일번 면(G1 & H1, R) 및 3번 결(H1 & H2, H)의 도면에서 상향 만곡을 보여준다. 반면에, 길이와 관련된 도표는 하향 만곡을 보여준다. 이들 두 도표는 상부구간에서 볼록렌즈의 형태를 취한다. 더불어, 두 도표는 하부구간에서 서로 교차한다. 3개 면(H → G → R) 그리고 3개 결(R → G → H) 사이의 두 도표가 형성하는 전반적인 형태는 역순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유형의 상관성 분석은 3개 채석면의 판별에 유용하다. The characteristics of the rock cleavage of Jurassic Geochang granite were analysed using the parameters from the length and spacing-cumulative frequency diagrams. The evaluation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was performed using the 25 parameters such as (1~2) slope angle(α°and β°), (3) intersection angle(α-β°), (4) exponent difference(λ<SUB>S</SUB><SUB></SUB>-λ<SUB>L</SUB>), (5~12) length of line(oa, ob, ol, os, ss, ll and sl) and (13~15) length ratio(ol/os, ss/ll and ll/sl), (16) mean length((ss+ll)/2), (17~23) area (△oaa, △obb, △obb, △oaa<SUB>a</SUB>, △obb<SUB>a</SUB>, △lls, △ssl and ⏢llss) and (24~25) area difference(△obb-△oaa and △obb<SUB>a</SUB>-△oaa<SUB>a</SUB>). Firstly, the values of the 11 parameters(group I: No. 1, 3~4, 7, 9~10, 13, 15~16, 20 and 25), the 3 parameters(group II: No. 5, 8 and 17) and the 2 parameters(group III: No. 12 and 22) are in orders of H(hardway) < G(grain) < R(rift), R < G < H and G < H < R, respectively. On the contrary, the values of parameters belonging to the above three groups show reverse orders for three planes. Secondly, the generalized chart for three planes and three rock cleavages were made. From the related chart, the distribution types formed by the two diagrams related to lengths and spacings were derived. The diagrams related to spacings show upward curvature in the chart of rift plane(G1 & H1, R) and hardway(H1 & H2, H). On the contrary, the diagrams related to lengths show downward curvature. These two diagrams take the form of a convex lens in the upper section. Besides, the two diagrams cross each other in the lower section. The overall shape formed by the above two diagrams between three planes(H → G→ R) and three rock cleavages(R → G → H) display in reverse order. Lastly, these types of correlation analysis is useful for discriminating three quarrying pla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