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sub>2</sub>S 제거를 위한 Zeolite와 DETOX의 흡착 특성 비교 연구

        박대석(Park, Dae-Seok),임지영(Lim, Jiyoung),조영근(Cho, Young-Gun),송승준(Song, Seung-Jun),김진한(Kim, Jin-Ha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본 연구는 흡착제 Zeolite 3A와 DETOX에 대하여 H<sub>2</sub>S의 유입농도와 흡착온도를 공정변수로 하여 포화시간, 흡착량, 흡착속도 등의 H<sub>2</sub>S 흡착 제거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H<sub>2</sub>S의 유입질량유속이 증가함에 따라 Zeolite 3A의 흡착 용량은 증가되었으나 포화시간은 감소되었다. 한편 DETOX의 흡착용량과 포화시간은 H<sub>2</sub>S의 유입질량유속의 증가에 따라 감소되었다. 흡착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Zeolite 3A의 흡착용량과 포화시간은 감소한 반면에, DETOX에 대한 이들 값은 증가 하였다. DETOX의 H<sub>2</sub>S흡착용량은 Zeolite 3A의 2.5~16.4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흡착에서 활성화에너지장벽을 넘어설 충돌빈도는 흡착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해석된다. Zeolite 3A와 DETOX에 대하여 H<sub>2</sub>S의 흡착속 도는 H<sub>2</sub>S의 유입질량유속과 흡착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H<sub>2</sub>S의 흡착속도는 Zeolite 3A가 DETOX의 4배로 나타났 다. DETOX는 Zeolite 3A에 비하여 온도 308~318K에서 포화시간은 더욱 길어지고 흡착용량은 더욱 커진다. 바이오가스 중의 H<sub>2</sub>S제거에 있어서 DETOX는 Zeolite 3A에 비하여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d the H<sub>2</sub>S removal characteristics, such as breakthrough time, adsorption capacity, and adsorption rate of adsorbents between Zeolite 3A and DETOX in terms of the H<sub>2</sub>S inflow concentration and adsorption temperature. The adsorption capacity of Zeolite 3A increased with increasing mass flow rate of hydrogen sulfide(H<sub>2</sub>S) inflow, but the breakthrough time decreased. On the other hand, both the adsorption capacity and breakthrough time of DETOX decreased with increasing mass flow rate of H<sub>2</sub>S inflow. The adsorption capacity and breakthrough time of Zeolite 3A decreased with increasing adsorption temperature but those of DETOX increased. The adsorption capacity of DETOX was higher than that of Zeolite 3A by a factor of 2.5 - 16.4 because the collision frequency that overcomes the activation energy barrier increased with increasing adsorption temperature. For Zeolite 3A and DETOX, the adsorption rate of H<sub>2</sub>S increased with increasing mass flow rate of H<sub>2</sub>S inflow and adsorption temperature. The adsorption rate of H<sub>2</sub>S for Zeolite 3A was 4 times as much as that for DETOX. For the removal of H<sub>2</sub>S in biogas, DETOX had an advantage over Zeolite 3A because DETOX had a much longer breakthrough time and greater adsorption capacity in the temperature range of 308~318K than Zeolite 3A.

      • KCI등재

        해양 어메니티를 활용한 대지미술 사례연구

        박대석(Park, Daese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먼저 모래조각 불모지인 우리나라에 모래조각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을 유발하기 위해 세계적인 성공사례를 소개하고, 나아가서 우리나라 해변이 본격적인 모래조각을 도입하여 세계적인 명소로 이름을 날릴 수 있도록 그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중국 절강성 주산시의 ‘중국 주산 세계모래조각 축제’를 성공사례로 들었다. 1999년부터 시작한 모래조각이 주산의 상징이 되었다. 모래조각은 주산의 관광과 문화산업을 주도하여, 주산시 난사 여행객은 1999년 400,000명이었으나 2013년에는 4,000,000 명으로 100배 증가하였다.20013년 관광객이 가져다준 수입은 시경제에 15억 위엔[元]이상 기여 하였다. 과거 여름에만 방문한 관광객들이 모래조각축제로 인해 계절의 영향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2010년 9월 제12회 축제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모래조각(The tallest sand sculpture)’ 작품을 만들어 기네스북에 등제되었다. 또한 1,390개의 아름다운 섬으로 이루어진 주산시는 우리나라 서남부지역과 유사한 해양 및 연안 어메니티가 있어, 두 지역 주민들 간의 정서적 공감형성이 용이할 것으로 보여, 모래조각 성공사례를 공유하는 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해양문화가 발전할 수 있는 3대 요소인 ‘바다와 섬과 강’이 가장 잘 구비된 전남 서남부는 해양사의 영웅들이 활거한 지역이다. 장보고와 청해진, 능창과 압해도, 삼별초와 용장산성, 이순신과 명량 등 해양사에 빛나는 역사의 현장인 전남 서남부는 해양사 관련 주제의 모래조각축제 개최와 테마파크로 최적의 입지조건을 갖추고 있다. 전남 서남부 지역이 선도적으로 모래조각분야를 개척하여 흰 모래를 황금모래로 바꿔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global best practices to trigger people’s curiosity and interest in sand sculptures. Also, it is tapping the potential to develop a world-class attraction in Korea by means of a full-scale sand sculpture festival on the bea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uccess stories of the Zhoushan World Sand Sculpture Festival in Zhoushan City in Zhejiang Province, China. Since Zhoushan introduced its sand sculpture festival in 1999, the art form has become a symbol of the city. It has also become a driving force in the city’s tourism and cultural industries. The annual number of tourists visiting Nansha rose from 400,000 in 1999 to 4 million in 2013. The income brought in by tourists contributed more than 1.5 billion yuan to the city’s economy in 2013. In the past, due to weather conditions, tourists came to Zhoushan only in summer. After holding the sand sculpture festival, the differences between peak and low seasons have become smaller. In 2010, the Zhoushan World Sand Sculpture Festival was listed in the Guinness Book of Records for the tallest sand sculpture in the world. Zhoushan is a beautiful city located on an archipelago that consists of 1390 islands. Given its marine and coastal amenities, Zhoushan shows many similarities with the southwest area of Korea. Southwest Jeonnam is the most well equipped in terms of marine culture and best able to develop the three elements “sea , islands and rivers”. Southwest Jeonnam provides the best location to introduce a sand sculpture festival, a maritime history theme park and events alike. If southwest Jeonnam would pioneer in organizing a sand sculpture festival it may see “whitesand” turn into “goldensand”.

      • KCI등재
      • KCI등재

        원자력시설 해체 규제요건과 기술기준 연계를 통한 요구관리

        희성,종선,홍윤정,김정국,대석,Park, Hee Seoung,Park, Jong Sun,Hong, Yun Jeong,Kim, Jeong Guk,Hong, Dae Seok 한국시스템엔지니어링학회 2018 시스템엔지니어링학술지 Vol.14 No.1

        This paper discusses decommissioning procedure requirements management using requirement engineering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technical requirements and criteria that are required in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 activities, and the regulatory requirements that should be complied with in a decommissioning strategy for research reactors and nuclear power plants. A schema was designed to establish the traceability and change management related to the linkage between the regulatory requirements and technical criteria after classifying the procedures into four groups during the full life-cycle of the decommissioning.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designed schema was successfully traced in accordance with the regulatory requirements and technical criteria required by various fields in terms of decontamination and decommissioning activities. In additi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Nuclear Safety Act were also determined. The dismantling procedure requirement management system secured throug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useful tool in the integrated management of radioactive waste, as well as in the dismantling of research reactor and nuclear facilities.

      • KCI등재

        무선센서네트워크 기반의 위험지역 출입통제관리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대석,이경호,이정민,남병욱,개명,Kim, Dae-Soek,Lee, Kyung-Ho,Lee, Jung-Min,Nam, Byeong-Wook,Park, Kae-Myoung 한국전산구조공학회 2014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Vol.27 No.6

        선박 및 해양구조물의 화물 중 많은 수가 가연성, 휘발성의 석유 및 석유 가공 화물이다. 뿐만 아니라 컨테이너 박스, 벌크화물, 차량 등의 중량 화물이 그 나머지를 차지한다. 게다가 선박은 파랑, 해류 등의 하중을 주기/비주기적으로 받기 때문에 화물의 위치 및 이동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선상 사고 위험은 육상의 산업현장 보다 훨씬 크다.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은 화물 및 화물의 영향으로 인한 사고 위험성이 항시 존재하기 때문에 그 모니터링과 대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상에서 선원 및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무선센서네트워크를 도입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The cargo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is the number of oil of combustibility and volatile, oil processing cargo. Furthermore heavy cargo of the vehicle or container box or bulk cargo are occupied the remainder of cargo. In addition, there is a possibility to move the location of the cargo and the vessel because it is received periodic / non-periodic a load of wave and ocean current. Therefore a shipboard hazard is much greater than onshore industry hazard. Monitoring and preparation for safety are necessary things because there is always risk of accidents arise from the impact of the freight and cargo of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tudy with respect to the introduction of the wireless sensor network monitoring system to ensure the safety of the crew and workers on shipboard.

      • 신에너지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의 전압조정장치 시뮬레이터에 의한 수용가전압 평가

        오성(Oseong Park),손준호(Joonho Sohn),김찬혁(Changhyeok Kim),대석(Daeseok Rho) 대한전기학회 2009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9 No.7

        본 논문에서는 태양광, 풍력 등의 신에너지전원이 배전계통에 연계되어 운용되는 경우, 수용가의 전압이 규정전압 이내로 유지되는가를 평가할 수 있는 배전용변전소의 전압조정장치인 ULTC(Under Load Tap Changer)의 시뮬레이터를 제작하였다. 즉, 부하변동에 따라 전압조정장치의 동작을 모의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신에너지 전원의 운용이 배전계통에 끼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최적운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인성교육의 실천적 방법으로서 학급훈육 결정 모형 연구: 학급훈육 이론을 중심으로

        우식 ( Park Woo Sik ),대석 ( Kim Dae Seok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7 초등교육연구 Vol.30 No.4

        이 글의 목적은 인성교육을 위한 실천적 방법으로 다양한 학급훈육 이론을 검토하고 학급훈육방법 결정모형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연대순으로 학급훈육의 특징과 학급훈육의 발전에 기여한 훈육이론을 개괄적으로 탐색하였다. 다음으로 이 연구는 교사 각자에게 적합한 학급훈육방법 결정을 위해 자주 논의되는 외국의 8가지 모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들 모형 중에서 Edwards & Watts의 모형을 보완하고 학교를 사회체제로 간주한 Hoy & Miskel의 모형의 특징을 반영한 학급훈육의 방법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사회체제 모형’을 제안하였다. 본 모형을 통해 교사가 자신에게 적합한 훈육방법을 합리적으로 결정하게 되면 학생의 문제행동 감소와 학급분위기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아울러 이 글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학급훈육이론에 관심을 가지고 국내의 교육환경과 풍토에 적합한 학급훈육이론과 학급훈육 결정모형을 연구하는 계기를 제공할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various classroom discipline theories as a practical method for character education and to develop an effective discipline decision model.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classroom discipline chronologically and researches discipline theories that have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discipline. Next, this research presents eight models that are frequently discussed to determine an appropriate discipline method for each teacher: Lewis' Philosophical Perspectives, Konza, Grainger, & Bradshaw's Behavior Management, Edwards & Watts' Comprehensive Discipline Model, Richmond's Four Behavior Management Approaches, Porter's Discipline Theory Continuous Model, Miles' Leading Philosophical (theoretical) Foundation Model, Burden's Classroom Management Taxonomy Model, and Lyford's Classroom Management Model. Finally, this paper proposes a comprehensive ‘social system model’ of classroom discipline that supplements Edwards' model and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Hoy & Miskel's model which regards school as a social system. This study, which determines the method of discipline that is beneficial for both teachers and students, will not only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but als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reduce disruptive behaviors in the classroom and the school. In addition, this paper will give researchers an opportunity to study the discipline theories and discipline decision models suitable for domestic education environments and climates with interest in foreign discipline theories.

      • KCI등재

        수직단열판에 부착된 2개의 등온 사각비임에서의 자연대류 열전달에 관한 수치 해석

        재림(Jae Lim Park),대석(Dae Sok Bae),권순석(Sun Sok Kwon)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1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Vol.11 No.2

        장방형 발열체 주위에서의 열전달 현상을 고찰하기 위하여, 주위유체가 공기인 정상 층류상태에서 수직단열판에 한변의 길이가 L인 2개의 등온 사각비임이 부착된 경우 사각비임으로부터의 전열특성을 상ㆍ하 비임사이의 간격(0.5≤D/L≤3.0)과 Grashof수를 변수로하여 수치해석 하였다. D/L가 증가함에 따라 하부비임의 하향면과 상부비임의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비임표면의 국소 Nusselt수는 증가 하였으며 최대전체평균 Nusselt수를 갖는 최적비임간격은 D/L=2.6에서 나타났다.<br/> 본 연구는 전자장비나 Computer 등에서 발생되는 열의 방열문제, 그리고 기판상의 Micro-chip 및 부품 등의 효율적인 배열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A Steady laminar natural convection heat transfer from two isothermal square beams attached to a vertical adiabatic plate has been studied numerically.<br/> The results have been obtained for dimensionless beam spacings, 0.5≤D/L≤3.0, and for Gr=5000-10000 at φ₂/φ₁=1.0.<br/> 1. The local Nusselt number from the beam surface is increased with the dimension less beam spacing D/L. but that of the downward surface of the lower beam is almost same as the D/L increases. And, the local Nusselt number from the upward surface of a lower beam is greatly increased with D/L.<br/> 2. The beam spacings of the maximum mean Nusselt number for the downward surface of an upper beam and the upward surface of a lower beam occur at. D/L =2.6 and 2.0 respectively.<br/> 3. The beam spacing for the maximum total mean Nusselt number occurs at D/L =2.6.

      • 신에너지전원이 연계된 배전계통에서 분류효과에 의한 보호기기 부동작에 관한 연구

        현석(Park, Hyeon-Seok),이범태(Lee, Beom-Tae),오성(Park, O-Seong),대석(Rho Dae-Seok) 한국산학기술학회 2009 한국산학기술학회 학술대회 Vol.- No.-

        일반적으로 신에너지전원(분산전원)이 설치되면, 연계지점 위치와 사고발생 위치에 따라 %임피던스의 병렬화로 사고전류가 감소하는 분류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 보호기기의 최소 정정치 이하로 사고전류가 감소하여 보호기기가 부 동작(동작해야 하는데 동작하지 않은 경우)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분산전원 연계기준 및 선로운영기준을 토대로 어떤 경우에 각 보호기기의 최소 정정치에 미달하는 지 사례 및 최악조건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대칭좌표법을 이용하여 보호기기의 부 동작의 주요 원인이 되는 분류효과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