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교회성장과 크리스천 학교 운동

        박경순 ( Kyungsoon Par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13 神學과 宣敎 Vol.42 No.-

        정체기 혹은 침체기를 맞이한 21세기의 한국교회는 새로운 목회적 패러다임이 요구되는 시기에 직면해 있다. 기독교교육 분야 역시 이러한 시기에 있어서 크리스천 학교 운동이라는 새로운 영역의 사역이 요구되는 시기이기도 하다. 크리스천 학교 운동은 일반 교육에서 대안학교운동의 시작과 더불어 주목받는 분야가 되어 가고 있다. 크리스천 학교는 한국에서 기독교대안학교 형태로 대안학교 운동과 더불어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성장하고 있는데 2012년 6월 현재 131개의 기독교대안학교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탈학교 학생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서 더 많은 대안학교의 필요성이 요청되고 있다. 크리스천 학교는 교회성장을 위하여 교회의 양적 성장과 질적 성장에 영향을 줄 것이고, 교회내의 인적, 물적 자원 등의 사용에 극대화를 이루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하여 직접 혹은 간접적인 전도의 결과와 지역사회에 대한 교회의 공헌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러한 성공적인 결과를 위하여 학교 운영에 대한 교육의 이익 집단들의 교육철학에 대한 공동적 합의, 설립 주체들의 관심과 투자, 학교 구성원인 학부모들의 무한 관심과 협조가 요청된다. 이와 같이 크리스천 학교에 대한 교회적 관심과 투자는 하나님 나라의 확장을 위한 미래적 성취를 위한 운동이다. Korean churches in the 21st century that are in stagnation or decline are facing the need of new paradigms of ministry. In the Christian education field, the Christian school movement is one newly introduced field. The Christian school movement is a field that is receiving much attention along with the field of alternative education and schools. Christian schools are growing rapidly in theChristian alternative education system with the alternative education movement since the 1990s. As of June of 2012, there are 131 Christian alternative schools in Korea. However, as the number of school dropout students is rapidly growing, the need and demand for alternative schools is increasing. Christian schools will influence the growth of churches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and will maximize the use of human resources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church. Therefore, churches will contribute to the local community through these movements and the results will be direct or indirect mission through these Christian schools. In order to achieve such successful results, stake holders like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should all agree in their philosophy of education regards to running these schools. Also, time investment and interest from founders as well as unlimited interest and support from parents is extremely necessary and important. Hence, interest and investment in Christian schools is a movement that will result in the growth of the Kingdom of God.

      • KCI등재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박경순(Park, Kyungsoon),박영란(Park, Yeong-ran),염유식(Yum, Yoosik)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5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3 No.2

        본 연구는 사회참여가 농촌노인의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서 특히 사회참여 유형에 따라 건강 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의 패널자료를 사용하였다. KSHAP 자료는 경기도 K군 1개면에 거주하는 노인과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전수 조사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KSHAP 1차년도 자료중에서 60세 이상 노인 769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사회참여 유형 중에서 종교단체활동 참여, 친목사교단체활동 참여, 지역단체활동 참여는 농촌노인의 신체적 건강 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농촌노인의 정신적 건강 관련 삶의 질에는 지역단체활동 참여만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사회참여의 중요성과 정책적 ·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participation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rural elderly,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testing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he types of social activities.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KSHAP) panel data was used for analyzing 769 elderly over 60.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particip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rural elderly’s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Furthermore, the effec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types of social participation activities. Participating in religious groups, friendly association groups and community activity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physic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n the other hand, only one type of social activity, i.e. participating in community activity groups, influenced menta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mplications for paying more attention to elderly’s social participation and for fostering more accessibilities to the social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rural elderly were suggested.

      • KCI등재

        정신분석과 불교의 통섭적 접근

        박경순(Kyungsoon Park) 한국심리치료학회 2021 한국심리치료학회지 Vol.13 No.1

        국내 무액면주식제도는 2006년 회사법 개정안에서 초안이 제시된 이후 2012년부터 시행되어 액면과무액면주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게 되었으나, 실제로 무액면주식을 선택하고 있는 국내 기업은전무하다. 이것은 국내 기업이 무액면주식을 선택하더라도 주식분할을 위해서는 액면주식과 마찬가지로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쳐야 한다는 규정이 남아 있어서 유연한 주식자본구조의 설계라고 하는 입법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무액면주식제도의 활성화를 가로막는제약요인들이 무엇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떠한 제도 개선안들이 존재하며, 이들의 장단점은 무엇인지 그리고 실현가능한 바람직한 개선안은 무엇인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무액면주식제도를 성공적으로 도입한 해외 선진사례들을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으며, 특히 이들해외 사례에서 무액면주식제도 도입 이후 기업들이 주식시장 활황에 맞추어 주식분할을 적시에 시행함으로써 주가상승과 유동성 개선이라는 효과를 얻었다는 결과를 찾았다. 한편 국내 기업들은 전부 액면주식을 채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주식분할과 동일한 경제적 효과를 갖는 액면분할을 간간이 시행하고있는데, 국내 액면분할 표본(2000년~2015년)에서도 주가와 유동성에 긍정적인 효과가 관찰됨으로써, 보다 많은 국내 기업들이 이러한 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현행 무액면주식제도의개선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액면분할 공시일 이전 10일전부터 공시일까지 7.2%의 매우유의한 양의 누적초과수익률(정보효과)이 관찰되었으며, 액면분할 이후 배당증가 기업의 누적초과수익률이배당감소 기업 대비 월등히 높게 나타남으로써 액면분할의 정보효과에 미래 배당여력에 대한 신호효과가담겨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액면분할의 정보효과는 공시월 이후 36개월의 장기에서도 유효하게나타났으며, 현금흐름이 증가하여 주가가 높아진 기업이면서 대주주지분율이 높은 기업일수록 크게 나타났다. 또한 액면분할 이후 거래회전율로 측정한 유동성도 장단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주주가치 제고와 자본시장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무액면주식제도를 활성화하기위한 방안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① 전면적 무액면주식제도로의 전환 방안, ② 액면·무액면주식제도 이원화체계 유지 방안, ③ 무액면주식제도 위주 이원화체계 방안을 제시하였고, 각 방안을 실행하는데 있어서제기되는 쟁점들과 장단점 그리고 입법보완사항들을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무액면주식제도의 활성화는국내 기업으로 하여금 적시에 주식분할이나 병합을 통해 유연한 주식자본구조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하는실익이 크며 글로벌 추세에도 부합하는 것이므로, 현재의 액면주식제도 중심에서 무액면주식제도로 중심추를 옮기는 적극적인 입법보완이 필요한 때라고 판단된다. No-par share system in Korea was first suggested by a 2006-revision draft of Company Law, and came into effect from 2012 after the 2011 amendment in Commercial Law. Since then, Korean firms can freely choose to issue one type of shares, either par value shares or no-par shares. Nonetheless, no Korean firm has yet issued no-par shares, which is largely because the same regulation applies to the no-par shares that stock splits must be approved by a special resolution at a shareholder meeting. In this regard, we summariz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no-par share system, analyze the reasons why Korean firms are reluctant to issue no-par shares,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rom foreign experiences to vitalize the no-par share system in Korea. A close examination of foreign experiences suggests that stock splits became more active after the adoption of no-par system, which in turn affects both stock prices and liquidity positively. The same positive effects on both stock prices and liquidity are observed for stock splits announced by Korean firms listed in Korea Exchange over the period from 2000 to 2015. The empirical results, for instance, show very significant cumulative abnormal returns (CARs) of 7.2% from 10-days prior to the announcement to the announcement date. In particular, the CARs of dividend-increasing firm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dividend-decreasing firms, which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stock splits convery information on future dividend-paying ability of a firm. Cross-sectional regressions of the CARs show that the CARs are higher for firms with higher stock price, larger cash flows and higher stake of major shareholders. We also fin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liquidity and turnover ratios after the stock split events. Given these positive benefits of no-par share system, we propose and compare three plans for revising the current optional no-par share system: ① Mandatory no-par share system, ② Dual system allowing both par and no-par share systems, ③ Dual system, but actively promoting no-par share system. In sum, there are real benefits for firms to choose and design their share capital structure by either stock splits or reverse stock splits in a timely fashion via no-par share system, and thus, this is the right time to give serious thoughts on shifting our focus from an optional no-par system to more mandatory no-par share system.

      • KCI등재

        사회적 배제가 농촌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박경순 ( Kyungsoon Park )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015 사회복지정책 Vol.42 No.4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사회적 배제 특성과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는 한편 사회적 배제와 건강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여 경기도 K군 1개 면의 노인을 전수 조사한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1차년도 자료 중에서 60세 이상의 노인 769명을 분석의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농촌노인들은 경제적 배제를 가장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건강의 배제, 근로의 배제, 교육의 배제, 관계적 배제, 사회참여의 배제, 의료의 배제 순으로 많이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세 가지 이상의 사회적 배제를 동시에 경험하고 있는 사람도 30.4%로 높게 나타났다. 농촌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는 연령이 높을수록, 동거가족이 많을수록, 사회적 배제의 수준이 높을수록, 배우자의 지지와 이웃·친구의 지지 수준이 낮을수록 건강이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노인이 자녀와 동거하는 노인에 비해 건강이 더 나쁜 것으로 확인되었다.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서는 배우자의 지지와 사회적 배제와의 상호작용효과만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배제가 농촌노인의 건강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배우자의 지지가 완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농촌 노인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ituation of social exclusion and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health among rural elderly, especially focused on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from the first wave of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KSHAP)』 panel was used for analyzing 769 elderly over 60. The results showed that rural elderly had been excluded from the economic exclusion the most. Next came health, working, education, relationship, social participation, and medical service exclusion. And 30.4% of the respondents had been excluded more than three types of exclusion at the same time. In terms of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health, age, the size of a family, social exclusion level, social support from spouse and friend(neighbo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In other words, rural elderly who was older, who had more family members, who had higher level of social exclusion, who had received less social support from spouse, who had received less social support from friend(neighbor), who had been living with children showed poorer health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 of hierarchial regression indicated that interaction effect between spouse`s support and social exclu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When social exclusion effects on health negatively, social support from spouse buffers rural elderly`s health from the bad effects. Implications for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socially excluded old people in rural areas and for improving their health were suggested.

      • KCI등재

        어떤 도시노인이 복지관을 이용하는가?

        박경순(Kyungsoon Park),박영란(Yeong-Ra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9

        노인복지관은 노인들의 다양한 복지 욕구에 따른 서비스를 제공하여 지역사회 노인복지 증진에 기여하고 있다. 고령화 및 베이비부머의 고령층 진입으로 인해 노인들은 동일한 욕구를 가진 단일한 집단이 아닌 다양성을 가진 집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수요자 관점에서 노인들이 복지관을 이용하는 요인을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도시지역 노인의 복지관 이용 요인을 확인한 결과, 성별, 나이, 학력, 직업, 경제상태, 사회계층, 친구 수, 사회활동 참여 수, 질환 수, 우울감이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남성보다 여성이, 나이가 많을수록, 고학력자가, 직업이 없는 노인이, 경제상태가 나쁜 노인이, 낮은 사회계층에 속하는 노인이, 친구가 많을수록, 참여하는 사회활동이 많을수록, 질환이 많을수록, 우울감이 높을수록 복지관을 이용할 확률이 높아졌다. 학력수준이 높은, 친구가 많은, 사회참여에 적극적인 노인들과 나이가 많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건강상태가 나쁜 노인 등 이질적인 노인집단이 복지관을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서비스의 질적 제고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Due to the aging population and the entry of baby boomers into the elderly, the elderly are recognized as a group with diversity rather than a single group with the same need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to grasp the factors that the elderly use welfare centers from the perspective of consumers. The results showed that gender, age, education, occupation, economic status, social class, number of friends, number of social activities, number of diseases, and depression we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women than men, older people, highly educated people, elderly people without jobs, elderly people with poor economic status, the elderly belonging to a lower social class, the more friends, the more social activities involved, the more diseases, the higher the depression,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using the welfare center. It was found that heterogeneous elderly groups, such as the elderly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many friends, and active participation in society, and the elderly, economically difficult, and poor in health, use the welfare center.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quality of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 KCI등재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와 우울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경순(Kyungsoon Park),박영란(Yeong-Ran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8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한편, 성역할 태도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적 지지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한국 여성의 생애주기별 건강인식조사 및 이슈 발굴 연구(K-Stori)」의 자료를 2차 분석하였다. K-Stori 연구는 5개의 여성 생애주기별로 각 3,000명씩 15,000명을 대상으로 전국구 설문을 시행하였으며,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이중 65세~79세의 노년기 여성이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여성 노인의 성역할 태도의 평균은 2.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은 수준에서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는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성역할 태도가 전통적일수록 우울감은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자신과의 갈등, 부부 갈등, 세대 갈등 때문인 것으로 추론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여성노인의 성역할 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을 완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사회적 지지는 직접적으로 우울을 감소시키는 주효과를 갖는 것과 더불어 성역할 태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간접적으로도 우울을 감소시키는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년기 여성들의 우울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lderly women s gender-role attitude and the effects of gender-role attitude on the depressive symptoms, especially focused on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Data from 「Korean Study Of Women’s Health Related Issues; K-Stori」 was used for analyzing 3,000 elderly women from 65 to 79 years ol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lderly women’s gender-role attitude score was 2.6 point. It meant elderly women had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a little above the average score. Furthermore gender-role attitud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elderly women’s depressive symptoms. Elderly women who had more traditional gender-role attitude had the higher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 of Hierarchial Binary Logistic Regression indicated tha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role attitude an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ve symptoms. When gender-role attitude effects on depressive symptoms, social support buffers elderly women’s depressive symptoms from the bad effects. Implication for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elderly women s depressive symptoms and the programs for reducing depressive symptoms were suggested.

      • KCI등재

        도시지역 복지관 이용 노인의 외로움 수준과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박경순(Park, Kyungsoon),박영란(Park, Yeong-Ra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8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지역 복지관 이용 노인의 외로움 수준을 파악해 보고,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의 도시노인 2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였다. KSHAP 연구 중 도시지역 2차년도 조사는 도시에 거주하며 복지관을 이용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의표집을 통해 수집된 393명의 자료를 위계적으로 중다회귀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지역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 중 외롭다고 응답한 노인은 42%에 달하여 노인의 외로움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운 노인 중에서 ‘약간 외롭다’는 노인은 17.5%이며 ‘매우 외롭다’는 노인은 24.5%에 달하여 외로움이 심한 노인의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도시지역 복지관 이용 노인의 외로움에는 규칙적 운동 수행, 우울감, 삶의 만족, 이웃·친구의 사회적 지지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반해 인구·사회학적 요인들은 복지관 이용 노인의 외로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복지관 이용 노인의 외로움 예방 및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level of loneliness in elderly people using urban welfare centers, and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onelines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d the second year of the Survey o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of Korean People(KSHAP: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The second year of the urban area survey among KSHAP studies was targeted at the elderly aged 65 years or older who live in cities and use welfare centers. Data from 393 patients collected through significance sampling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elderly who use welfare centers, 42% of the elderly responded that they were lonely,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lonely elderly people was significant. Among the lonely elderly, 17.5% of the elderly were "slightly lonely" and 24.5% of the elderly were "very lonely", showing a high proportion of the elderly with severe loneliness.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regular exercise performance,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neighbors and friend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did not affect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s in urban area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and practical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prevention and reduction of loneliness in the elderly using welfare center.

      • KCI등재

        Study on the Early Detection of Mental Health Problems in the Elderly and the Utilization of Related Services

        Kyungsoon Park(박경순),Yeong-Ran Park(박영란),Duksoon Son(손덕순),Yoosik Yum(염유식)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본 연구는 가족돌봄자가 노인의 정신질환을 주로 어떤 증상을 통해 발견하였는지를 알아보는 한편, 가족돌봄자를 중심으로 노인의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게 이끄는 주된 원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신건강문제를 갖고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돌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수집된 324명의 자료로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첫째, 가족돌봄자가 노인 환자의 정신건강질환을 의심하게 된 주된 증상은 기억력 저하와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노인이 노인 정신건강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노인의 장기요양등급, 가족돌봄자의 나이, 노인을 돌본 기간, 가족돌봄자가 느끼는 돌봄 스트레스의 수준, 가족돌봄자의 노년기 정신질환에 대한 이해, 가족돌봄자의 지역사회 정신건강서비스에 대한 인지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가족돌봄자의 관점에서 노인 정신건강문제 조기 발견과 대응 및 관련서비스 이용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the major symptoms that help family carers detect mental illness in elderly patients.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ajor factors determining the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with a focus on family car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st commonly detected symptoms that caused the family carers to suspect mental illness in the elderly patients were memory decline and other forms of cognitive function decline. Second,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s utilization of mental health services included the patients long-term care insurance level, the age of the family carer, the period of care, the level stress associated with the provision of care felt by the carer, his understanding of geriatric mental illness, and the level of perception about community mental health service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policies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early detection of and response to elderly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utilization of related services from the viewpoint of the family carers of the elderly.

      • KCI등재

        고령친화도시 점검 단축형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연구

        박경순(Kyungso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9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단축형 고령친화도시 척도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WHO의 고령친화도시 점검 항목과 서울시복지재단의 고령친화도시 가이드라인을 비교·분석하고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여 고령친화도시 점검의 필수 영역과 항목을 도출하였다. 이를 서울시 거주 55세 이상 중고령자와 노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고령친화도시 척도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도시환경의 쾌적성, 교통 환경의 편의성, 지역사회 여가활동, 사회참여, 사회적 의사소통, 보건복지서비스 이용 편이, 사회적 배제 경험 등 7개 영역, 27개 문항이 도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확인되었다. 또한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타당도분석을 통해 수렴타당성과 내적일관성, 판별타당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논의하고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the short-form of age-friendly scale which was suitable for the Korean cities and to examine the validity. To develop the scale, WHO and Seoul welfare foundations age-friendly city guid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on people aged over 55 years old living in Seoul. The results i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seven-factor structure model was appropriate for the scale. Seven factors were outdoor amenity, transportation, leisure activity, social participation, social communication, health and welfare service, social exclusion. The results supported the construct and concurrent validity of the age-friendly scale. Also its good internal consistency was confirmed.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