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그래픽 패스워드 기반 사용자 인증 시스템에 대한 보안취약점 분석과 개선

        최세호(Se-Ho Choi),박건주(Gun-Joo Park),방선주(Sun-Ju Pang),김여진(Yeo-Jin Kim),권시현(Si-Hyun Kwon),윤은준(Eun-Jun Yoon) 대한전자공학회 2016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6

        본 논문은 최근 Shaikh등이 제안한 일반적인 패스워드 인증 방식의 취약점인 어깨너머 훔쳐보기(shoulder surfing) 공격을 보완한 그래픽 시스템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시스템인 NAPTune 스킴에 대한 보안 취약점을 지적하고 개선된 해결책을 제시한다. 제안한 해결책은 현재 자주 쓰이고 있는 문자, 숫자, 특수문자로 사용자 인증 하는 방식에 취약점인 어깨너머 훔쳐보기 공격을 보완하여 텍스트가 아닌 그래픽(이미지, 사진)을 이용하거나 그래픽과 텍스트를 함께 이용하여 인증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 중증 근무력증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

        박건주,하정상,이준,도현철,박승권,서상덕,기병수,김진국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3 No.1

        1985년 8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중증근무력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52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체 환자 중 남자가 19례(35.8%), 여자가 33례(64.2%)이넜고 11세에서 20세 사이가 12례(23%)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2. 환자의 초기증상으로는 안검하수, 복시 등의 안구증상이 37례(71.2%)로 가장 많았고 modified Osserman의 분류에 따라서도 가장 증상이 가볍고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는 1군이 36례(69.3%)로 가장 많았다. 3.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의 비특이성과 회복과 재발을 거듭하는 질병의 특성으로 인해 발병이후 진단될 때까지의 시간은 비교적 오래 걸렸고 1년이상 경과하며 진단된 경우도 16례(30.8%)나 되었다. 4. 자가면역질환이 7.6%에서 동반되었는데 갑상선기능 항진증이 2례(3.8), 인슐린의존형 당뇨 2례(3.8%)였고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소견에서 흉선의 비대가 의심되었던 환자는 6례(11.5%), 흉선종이 발견 되었던 경우는 3례였다. 5. 환자의 치료는 대부분 항콜린에스테라제나 부신피질호르몬을 병용하는 내과적 치료를 하였으며 약물의 치료에 반응이 미비하거나 악화되는 경우 혹은 종격동 전산화 단층촬영상에서 흉선의 이상 소견이 보인 경우에 2례(3.9%)에서는 흉선절제술이, 1례(1.9%)에서는 혈장여과요법이 추가 되었고 흉선절제술과 혈장여과요법이 같이 병합 치료된 경우도 3례(5.9%)있었다. 6. 전체 환자중 2명에서 자연치유의 경과를 보였으며 이들은 모두 1군이였다. 그리고 흉선절제술과 부신피질 호르몬 투여로 완치된 예가 1례있었다. The authors experienced 52 patients with myasthenia gravis who were diagnosed at the Department of Neurology, Yeungnam University Hospital from August 1985 to January 1996.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and treatment. 1.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7 and the most prevalent age group was second decade. 2. The most common initial presentation symptom was ocular(71.2%) and the peak incidence group was stage I(69.3%) according to the modified Osserman's classification. 3. In 16 patients(30.8%), it took more than a year to diagnose due to symptoms which were relapsed and remitting. 4. Of 52 patients, 2 cases were associated with thyroid disease(3.8%) and 2 with 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3.8%). 5. All of those who received anticholinesterase and corticosteroid therapy were improved with the exception of 5 cases which were improved after thymectomy and/or plasmapheresis. 6. Spontaneous remission was occured in 2 cases(3.8%) of ocular myasthenia gravis. And 1 case of group II was cured through thymectomy and long-term corticosteroid therapy.

      • 혈청과 뇌척수액에서 B형 간염 바이러스 표식자 존재의 비교

        박건주,도현철,서상덕,변영주,이준,김성민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5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2 No.2

        We investigated HBV markers in serum and cerebrospinal fluid of 50 subjects with neurologic disorders or other disorders, who visited Dept. of neurology,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from April-1 to August-31 1994 and were performed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to investigate the detection rate of HBV markers in cerebrospinal fluid and the possibility of neurologic disorders associated with HBV inf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positivity of HBsAg and HBV prevalence rate in serum were 6(12.0%) and 37(74.0%). The number of patient with HBsAg, only anti-HBV and no markers were 6(12.0%), 31(62.0%) and 13(26.0%), respectively. The positivity of HBsAg and HBV prevalence rate in cerebrospinal fluid were 3(6%) and 18(36.0%). The number of patient with HBsAg, only anti-HBV and no marker were 6(100.0%), 12(38.7%) and 0(0.0%) respectively. The number of patient with virus associated diseases(VAD) and non virus associated diseases (NVAD) were 26(52%) and 24(48%). The HBV prevalence rate in serum of VAD and NVAD groups were 88.5% and 58.3%(p<0.05). The HBV prevalence rate in CSF of VAD and NVAD groups were 53.8% and 16.7%(p<0.05). The HBv prevalence rate in serum and CSF of VAD and NVAD groups were 60.9% and 28.6%. As a conclusion, the HBV markers in the CSF were partially detected at the presence of the HBV markers in serum. The prevalance rate of HBV in the CSF was increased at the HBsAg positive in the serum and the serum and the CSF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the VAD group than the NVAD group.

      • 편측부전마비환자의 하지에서의 위약증상의 분포

        박건주,하정상,김욱년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1997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14 No.1

        뇌졸중으로 인한 상부운동뉴런의 장애로 편측 부전마비가 있는 환자의 하지에서 등속성 운동기구를 이용하여 최대우력치를 구하고 정상대조군과 환자의 건측과 환측을 비교하여 환측에서의 위약증상의 분포를 알아 보려고 하였다. 정상대조군의 최대우력치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1) 우성측과 비우성측간에는 최대우력치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각속도가 빠를수록 최대우력은 감소하였다. 정상대조군에서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성별, 우성측과 비우성측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각속도가 빠를수록 근력비는 증가하였다. 환자의 건측에서 최대우력치는 대부분 수치의 감소만 있을 뿐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감소의 소견은 없었고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차이가 없었고 환측은 남자의 180˚/sec의 각속도에서 신근의 최대우력치를 제외하고는 모두 유의한 감소(P<0.01)를 보였고 굴근에 대한 신근의 근력비는 환자의 환측에서 모두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P<0.01). 이상으로 상부운동신경의 장애로 인한 편측부전마비환자의 하지에서는 굴근이 신근보다 더욱 뚜렷한 최대우력치의 감소를 보였으며 편측 부전 마비 환자의 재활치료목표의 설정이나 효과판정에 잇어서 최대우력치와 함께 굴근과 신근의 근력비를 이용하는 것이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The maximal voluntary strength of knee extension and flexion on both the right and left sides was measured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of upper motor neuron type and in a group of normal subjects. Significant differences of maximal voluntary strength were found between male and female but the ratio of flexor to extensor strength did not vary significantly between the sex in normal subjects. The maximal voluntary strength of uninvolved side were not reduced significantly but involved side reduced significantly in patients. the ratio of flexor to extensor strength in hemiparetic side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ratio for the normal subjects but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uninvolved side of patient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maximal voluntary strength of flexion was more reduced with than that of the extension in lower extremity of hemiparesis patients. The strength ratio of flexion to extension was a useful parameter for guiding the rehabilitation of hemipares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