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PLC-ELSD를 이용한 레시틴 내 포스파티딜콜린 분석법 개선 연구
문지혜(Jihye Moon),전수현(Su-Hyun Chun),이광원(Kwang-Won Lee) 한국식품과학회 2024 한국식품과학회지 Vol.56 No.3
레시틴은 다양한 기능성을 인정받은 물질로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며 주요 성분인 인지질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기존 건강기능식품공전에 제시된 HPLC-RID 분석법이 있으나, 다른 검출기에 비해 RID는 감도가 낮아 LOD 및 LOQ가 높고 이동상 조성에 변화를 줄 수 없어 시료 내 PC를 추출하기 쉽지 않아 전 처리가 복잡해진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감도가 우수하며 이동상 조성에 변화를 줄 수 있는 ELSD를 이용하여 레시틴 내 PC 함량에 대한 최적 분석방법을 확립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RID 분석법과 유효성을 검증하여 비교한 결과, 우수한 크로마토그램 분리능과 3-10배 낮은 LOD (22.64-32.57g/mL) 및 LOQ (68.60-98.68 g/mL)를 나타내었다. 또한 높은 재현성(98.15-104.29%)을 확인하였으며, 선형성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일정한 농도구간에서 유의적인 직선성(R2=0.99 이상)을 확보하였다. 또한 HPLC-ELSD를 이용한 레시틴 내 PC를 측정하는 중 나타나는 불확실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PC가 함유된 대두 및 난황 레시틴을 분석하여 측정불확도를 산출한 결과, 대두 레시틴의 측정 불확도는 120.53±12.15 mg/g (95% 신뢰구간, k=2)로, 난황 레시틴의 측정 불확도는 406.59±35.26 mg/g (95% 신뢰구간, k=2)로 나타났고, 각각의 확정불확도는 측정 농도의 10.04% (대두 레시틴) 및 8.68% (난황 레시틴)로 나타나 유럽 연합의 기준(11% 이하)에 적합하였다. 따라서 HPLC-ELSD를 이용한 해당 분석법이 레시틴 내 PC를 분석함에 있어 우수한 적용 가능성을 보임을 입증하였다. The Health Functional Food Code uses a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refractive index detector (RID) to analyze phospholipids, the main ingredients in lecithin. However, RIDs have disadvantages of low sensitivity, high limits of detection (LOD) and quantification (LOQ), and complicated sample preparation. An evaporative light scattering detector (ELSD) with excellent sensitivity was used in this study. Validation showed high resolution, low LOD (22.64-32.57 μg/mL) and LOQ (68.60-98.68 μg/mL), and high reproducibility (98.15-104.29%). Uncertainties (95% confidence interval, k=2) were found to be 120.53±12.15 mg/g (soy lecithin) and 406.59±35.26 mg/g (egg yolk lecithin). The percent uncertainty of the measured concentrations (10.04% (soy lecithin) and 8.68% (egg yolk lecithin)) met the standards (11% or less) established by the European Union. Therefore, this HPLC-ELSD method shows excellent applicability for analyzing phosphatidylcholine in lecithin.
문지혜(Moon, Jihy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4
본 연구는 대학생활의 각 영역(학업적응, 전공만족, 대인관계만족)에 대한 성격요인과 조절초점의 상대적 영향력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2016년 9월에서 10월 사이 부산과 경남 소재의 두 대학교에서 교양수업을 수강하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에 참여한 대학생 218명(남 115명, 여 100명, 미확인 3명)을 대상으로 HEXACO 성격요인과 조절초점을 측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 1에서는 성격요인을 예언변수로, 모형 2에서는 조절초점을 추가적 변수로 투입하였다. 그 결과, 학업적응과 전공만족에서는 성격을 통제한 후에도 조절초점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진 변수로 나타났다. 모형 2에서 유의한 예언변수를 살펴보면, 학업적응에서는 외향성 및 성실성, 향상초점, 예방초점이 유의한 예언변수였으며 전공만족에서는 조절초점(향상초점 및 예방초점)만 유의한 예언변수였다. 부가적으로 각 영역에서 유의한 변수들을 살펴보면, 학업적응에서는 정직겸손성, 외향성 및 성실성, 전공만족에서는 외향성 및 성실성, 대인관계만족에서는 외향성 및 개방성 등이 유의한 예언변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활의 영역에 따라서 적응에 미치는 요인이 다르며 학업과 관련된 영역에서는 성격보다는 조절초점이 더 중요한 변수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교적응을 촉진하거나 향상시키는 중재프로그램은 적응영역에 따라 더 구체적으로 개발될 필요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HECACO personality and regulatory focus on college adjustment. In particular, by using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it was assessed to the ability of the regulatory focus to predict levels of each sub-scales of college adjustment(learning adaptation, satisfaction with major, and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s), after controlling for the influence of personality. Participants was 218 college students(115 men, 100 women, and 3 non-identified). The results showed that regulatory focus accounted for significant incremental variance beyond that explained by HEXACO personality in learning adjustment and satisfaction with major. The former was predicted by extraversion, consciousness, promotion and prevention foci and the latter was predicted by promotion and prevention foci. And satisfaction with personal relation was predicted by extraversion, emotionality, consciousness, open to experiences and prevention focu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on these results and future research are suggested.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
문지혜 ( Jihye Moon ),박성옥 ( Sungok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 정서적 외상이 전위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역기능적 분노표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는 현재 D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 총 477명의 자기보고식 설문 자료를 사용하였다. 척도는 아동기 정서적 외상 척도(CTQ-SF), 전위공격성 척도(K-DAQ), 역기능적 분노표현 척도(STAXI-K)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9.0과 AMO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bootstrapping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아동기 정서적 외상, 전위공격성, 역기능적 분노표현 간의 정적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둘째, 역기능적 분노표현이 아동기 정서적 외상과 전위공격성 간의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전위공격성의 예방과 완화를 위한 상담 개입 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on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on displaced aggression. The self-reporting survey data from 477 of D university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And CTQ-SF, K-DAQ, STAXI-K are used for measure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9.0 and AMOS 26.0 programs. Furthermore, Bootstrapping analysis was conducted for verifying consequence of dual mediating effect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childhood emotional trauma, displaced aggression,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Second, dysfunctional anger expression mediated in the effect of childhood emotional trauma and displaced aggression. Finally, displaced aggression were suggested for counseling intervention method to prevent and mit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