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리기용 (사)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Yulgok and his school inherit authenticity of Confucianism, especially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from Confucius and continued to ZhuXi. This authenticity was handed down to Poeun(圃隱), Jungam(靜庵), and finally to Yulgok. They applied the theory of ‘li’ and ‘qi’ to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and this analogically applied to the social reform. The key point of this authenticity is Tao. It is in the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li’. They dream of realizing of Tao. So they emphasize change of personality and furthermore, social reform.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view of social reform on the Yulgok’s Neo-Confucianism, specifically, the view of media, Neo-Confucian intelligence,public opinion, and national policy. Such opinions have righteous form and its degenerated form. Yulgok concentrated in the correction of degenerated ideas to its original status. So, he systemized the way of correcting unrighteous ideas in the basis of theory of ‘li’ and ‘qi’. This system applies to social reform as well as changes of personality. Yulgok's way of social reform is 'geongjang'. In the system, even though what he emphasizes is perception of ‘li’, but what changes is ‘qi’. He also called it 'byuntong',based on the profundity and mysteriousness of ‘li’ and ‘qi’. This theory and system was continued by descendants of his school. 상기 연구는 율곡학파의 전개를 의식하면서 기호학파 혹은 주리파의 의미보다 율곡학파라는 명칭의 당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한 후, 율곡학파의 리기론과 사회개혁론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명칭으로 도학道學과 정통성에 입각한 도통의 계승인도통론道統論을 살펴보는 한편, 율곡 도학의 구체적 전개를 한편으로는 리기론적사유의 틀과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개혁 즉 경장更張의 구체적 내용과 구조를 분석제시하였다. 율곡의 사회개혁 즉 경장은 리의 인식과 실천이라는 학문 방법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 다시 말하면 리의 인식과 그것의 실천은 바로 이상적인 의미의 지향성으로서의 인간과 사회개혁 즉 기질의 변화인 경장을 말하는 것이다. 율곡은 인간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마음을 개명시킴 즉 리에대한 개명으로 바뀔 수 있으며, 유비적으로 국가에 있어서는 군주의 영명함, 기강의 확립, 언로의 확보를 통하여 이상적 정치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율곡은현실 속의 모든 모순과 불합리한 것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본연의 리를 인식하고기질을 이에 맞게 변화시킴으로써 이 사회적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주장한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소변지기所變之氣를 진원지기眞元之氣로 회복시키는 리기理氣의 구조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율곡의 도학에서 사람과 국가는 유비적 구조로 파악되며, 양자가 변화기질하기위해서 성인의 말로써 이치를 살피고 밝히는 것이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과 연관되고 합일되어야 한다. 굳이 양자를 구분하자면 리에 대한 탐구와 개명이 실천에선행되는 것이라고 본 것이다. 율곡이 리의 인식과 기질의 변화 즉 변통變通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당시의 일상적인 삶과 자연 현상, 그리고 정치적 상황 등에서나타나는 일련의 문제들을 리기, 심성의 문제로부터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시작된 것이고, 이러한 율곡의 도통론은 율곡학파에 계승되며, 이것은 율곡학파의인물들이 구체적 변통의 문제를 어떻게 전개하는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우암 송시열의 리기?심성론 연구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07 한국 철학논집 Vol.0 No.21

        이 논문은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 1607-1689)의 성리학에 나타난 리기론과 심성론의 쟁점들을 고찰한 것이다. 특히 우암 성리학을 율곡 성리학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우암 성리학의 특징은 율곡의 성리설을 계승하되 개념의 엄밀한 사용을 전제로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는 고유의 특징을 부각시켜 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암 성리학의 리기론적 연원과 그 특징들을 살펴보았다. 우암의 사승관계를 통하여 그 학문적 연원이 율곡에 있으며, 우암 스스로도 율곡의 적전임을 계보화하는 도통론적 계보 위에 서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도통의 전통 위에 우암의 리기론이 율곡의 입장을 철저하게 계승하는 한편 그 논의의 심화 전개 속에서 리기호발의 쟁점인 리의 동정 및 선후 문제를 비판하기 위하여 리기 이해의 네 가지 층차와 리기형이라는 고유의 이해 지평을 제시함으로써 독자적 차별성을 확립하였다. 리기에 대한 논의는 심성정의의 문제와 함께 지각의 지평에서 전개됨을 아울러 살펴보았다. 율곡에게서 논의되었던 지각의 문제을 우암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문제로 다루고 있었다. 그리고 우암은 율곡철학의 쟁점들을 적실하게 지적하며 그 논란의 소지를 없애기 위해 그는 리기심성정의 등의 문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접근하는 한편 엄밀한 개념의 사용을 통하여 율곡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비판적 관점에서 더 심층적 이론체계를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특집 : 율곡학의 확산과 심화2 ; 율곡학파의 리기론 -리기 이해 문제를 중심으로

        리기용 ( Ki Yong Lee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1 율곡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율곡학파의 율곡 리기의 이해(분석) 방법을 살펴본 글이다. 분석의 대상은 시기적으로는 16세기에서 18세기까지, 구체적 인물로는 율곡 이이와 그의 적전으로 보기에 논란이 없는 우암 송시열, 수암 권상하, 남당 한원진을 선정하였으며, 그 분석 내용은 리기 이해에 국한시켰다. 먼저 율곡의 리기 이해를 분석하였으며, 그의 제자들이 그의 리기를 이해 방식이 어떻게 구체화하고 심층화시켰는지를 살펴보았다. 이 고찰을 통해서 살펴본 리기 이해의 변화는 율곡의 리기 이해를 원론으로 삼으면서도 그것을 다변화시켜 다각도로 설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리기론 자체의 발전만이 아니라 심성론의 심화로도 나타난다. 율곡과 그의 제자들은 리기를 이해하고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고백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는 리기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라는 주자학의 원론적 난제로부터 연유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이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리기를 다각도에서 접근하는 한편, 세분하여 분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율곡학파의 리기 이해에서 주리와 주기는 한 단편의 이해일 뿐이었다. 이를 통해서 퇴계학파의 주리와 주기의 대립이라는 도식은 제한적으로만 가능할 뿐이라는 것도 부차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focused on analysis and understanding of LiKi by Yulgok school. The subject of this thesis is the understanding of LiKi, from 16th century to 18th century. Specifically, this thesis analyzes the understandings of Yulgok Lee I, and his indisputable disciples, Wooam Song Si-yeol, Suam Kwon Sangha and Namdang Han Wonjin. First, this thesis analyzes Yulgok`s understanding of LiKi and how his disciples made depth in his understanding. Yulgok school could diversify and deepen the understanding of LiKi in various angles, based on Yulgok`s understanding. Also, this resulted not only in development of Theory of LiKi but also in advance of Theory of XinXing. Yulgok and his disciples confess that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and explain LiKi. This is drawn from neo-confucian dilemma of Li and Ki being one but two, and two but one at the same time. Yet, they approached LiKi in various angles, subdivided and analyzed LiKi to explain this dilemma. In Yulgok school`s understanding of LiKi, zhuli and zhuqi are only one part of fragmented understandings. Through this, it could be confirmed that Toegye school`s diagram of dialectic conflict between chuli(主理, principle(li) as the predominant factor) and chuki(主氣, materail force(ki) as the predominant factor) is only available in restrictive understanding.

      • KCI등재

        지산 배종호의 한국유학관 연구(Ⅱ) ― 한국유학사 (1974)를 중심으로 ―

        리기용 한국철학사연구회 2024 한국 철학논집 Vol.- No.81

        이 논문은 전통 유학 연구에 철학적 입장과 방법론을 도입하여 유학(성리학) 연구를 근⋅현대적 학문 방식으로 정립시킨 지산智山 배종호(裵宗鎬, 1919~1990)의 한국유학사 와 한국유학자료집성 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 논문에서는 그의 이 두 저작의 집필 의도와 구상, 그리고 그 전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그의 한국유학 이해의 체계와 내용 및 그 전개가 갖는 학술사적 의미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첫째, 한국유학사 정주성리학 개관에서 보여준 조선 성리학의 주요 개념의 연원, 그리고 한국유학자료집성 하권의 송명 리학 관련 자료를 통해서 복선으로 전제한 리학과 심학의 대립, 그리고 절충파의 전개 구도가 한국유학사 의 주리⋅주기⋅절충이라는 큰 도식을 복선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둘째 한국유학사 에 첨부된 부록, 한국유학자료집성 상권과 하권에 수록된 유학자 50명 문집의 해제, 정은채 편 성적도후학록 에서 발췌한 도통원류도와 동방성학원류도, 그리고 동방유림연원록 분석을 통해서 주리파와 주기파 그리고 무사승을 포함한 절충파 구도 등을 종합해 볼 때 그의 한국유학사 의 주리⋅주기⋅절충이라는 전개 구도의 원형은 조선 후기 이미 윤곽이 잡혀 있었던 것이었다. 셋째, 주리⋅주기⋅절충의 분류는 배종호가 독일 바덴학파 W. 빈델반트의 철학사 서술 체계와 방식에 기초하여 조선조 유학사 전개를 위하여 한국유학사 서술에 사용한 것이다. 이후 그의 논저에서 이 분류 기준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는 학파, 지역, 당파 및 독자적 견해 등 어느 것도 철학사 전개에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주리⋅주기⋅절충의 분류를 편의상 사용한 것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한국유학을 분류하기 위한 종합적이고 구체적인 대안 모색은 그의 남은 과제였다. 마지막으로 덧붙이자면 배종호의 연구 성과가 일제 강점기의 한 관변학자가 조선성리학사를 정리한 분류 체계를 참조하였다는 것에 대한 오해는 종식되어야 마땅하다. 타카하시의 「조선유학사에 있어서 주리파⋅주기파의 발달李朝儒學史に於げる主理派主氣派の發展」이라는 논문은 제목에서 표방한 것과는 달리 실제 목차는 영남학파과 기호학파의 지역대립 및 당쟁으로 엮여있는 노론 내 분파처럼 노론계열의 농암학파를 분리하여 절충파로 분류시킴으로써, 지역 대립과 갈등 및 당쟁을 중심으로 한 조선중후기 혼란과 몰락, 그리고 망국으로 이어지는 책임의 전가를 위한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주리⋅주기의 대립적 분류는 타카하시의 분류체계를 배종호의 한국유학사가 따른 것이 아니라 타카하시가 동경제대에서 학습한 사상사 분류 체계의 도식을 조선조 유학사의 연원록 분류 체계에 적용시켜 전개한 것이었을 뿐이며, 배종호의 분류는 타카하시의 분류가 아닌 조선 후기 전통적 연원록의 분류에 근거하되 철학적 개념에 대한 이해와 쟁점에 대한 견해를 중심으로 이 분류 원칙에 근거하여 조선 유학의 전개 체계를 정립시켜 놓은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analyzes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and Compilation of data of Korean Neo-Confucianism, which can represent Jisan Bae Jong-Ho(裵宗鎬, 1919-1990) as the culmination of his study on confucian history, while looking at his Korean neo-confucianism established through this. In this paper, by discussing the intention, concept, and development of his two representative works, the academic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ystem and content development of his History of Korean Neo-Confucianism was examined as follows. First, by presenting the main concepts and ideological development - the school of li (lixue), the school of mind (xinxue), and the eclectic tendency of Chinese neo-confucianism, he flexibly presented the scheme of the confrontation among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Li[理],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Chi[氣], and the school of eclecticism.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genealogy among those schools of Korean neo-confucianism were already outlined in the late Choseon. Third, he used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frontational development of those three schools in the Choseon based on the system and method of describing the history of philosophy by the W. Windelvant of the Baden School of Germany. Since then, he has used this classification standard in his thesis, but he has made it clear that it was used for convenience because none of the schools, regions, or partisans could be used to develop the history of philosophy. His remaining task was to find a comprehensive and specific alternative to classifying Korean studies. Finally, the misunderstanding that his research achievements referred to the achievements that an official scholar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ad already classified Choseon neo-confucianism should be ended. In the title of Takahashi Toru's thesis, ‘The confrontational development of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Li[理], the school of the primacy of Chi[氣] in Choseon dynasty’ contrary to what was advocated, the actual content was a regional confrontation between Yeongnam school and Kiho school. And just as a faction within Noron(old doctron), which was woven into a partisan struggle, was formed, the Noron-based Nongam school was separated and classified as a the school of eclecticism. Through this, he passed on the responsibility that regional confrontation and conflict led to party strife and eventually caused the chaos and collapse of Choseon dynasty. In this way, Bae Jong-ho's classification of schools did not follow Takahashi's classification, but Choseon confucianism's classification. Takahashi's classification also followed the classification, but contained errors. His error was due to his lack of understanding of Choseon neo-confucianism, and at the same time, his political purpose preceded it.

      • KCI등재

        율곡의 도학과 사회개혁

        리기용 ( Ki Yong Lee ) 율곡학회 2010 율곡학연구 Vol.21 No.-

        상기 연구는 율곡학파의 전개를 의식하면서 기호학파 혹은 주리파의 의미보다 율곡학파라는 명칭의 당위성을 우선적으로 확보한 후, 율곡학파의 리기론과 사회개혁론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명칭으로 도학道學과 정통성에 입각한 도통의 계승인 도통론道統論을 살펴보는 한편, 율곡 도학의 구체적 전개를 한편으로는 리기론적 사유의 틀과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개혁 즉 경장更張의 구체적 내용과 구조를 분석 제시하였다. 율곡의 사회개혁 즉 경장은 리의 인식과 실천이라는 학문 방법과도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그 역도 성립한다. 다시 말하면 리의 인식과 그것의 실천은 바로 이상적인 의미의 지향성으로서의 인간과 사회개혁 즉 기질의 변화인 경장을 말하는 것이다. 율곡은 인간에게 있어서는 인간의 마음을 개명시킴 즉 리에 대한 개명으로 바뀔 수 있으며, 유비적으로 국가에 있어서는 군주의 영명함, 기강의 확립, 언로의 확보를 통하여 이상적 정치가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율곡은 현실 속의 모든 모순과 불합리한 것을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본연의 리를 인식하고 기질을 이에 맞게 변화시킴으로써 이 사회적 문제를 바로 잡을 수 있다고 주장한 것이다. 그리고 그것은 소변지기所變之氣를 진원지기眞元之氣로 회복시키는 리기理氣의 구조에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율곡의 도학에서 사람과 국가는 유비적 구조로 파악되며, 양자가 변화기질하기 위해서 성인의 말로써 이치를 살피고 밝히는 것이 기질을 변화시키는 것과 연관되고 합일되어야 한다. 굳이 양자를 구분하자면 리에 대한 탐구와 개명이 실천에 선행되는 것이라고 본 것이다. 율곡이 리의 인식과 기질의 변화 즉 변통變通의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당시의 일상적인 삶과 자연 현상, 그리고 정치적 상황 등에서 나타나는 일련의 문제들을 리기, 심성의 문제로부터 해결하려는 문제의식으로부터 시작된 것이고, 이러한 율곡의 도통론은 율곡학파에 계승되며, 이것은 율곡학파의 인물들이 구체적 변통의 문제를 어떻게 전개하는가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Yulgok and his school inherit authenticity of Confucianism, especially Neo-Confucianism that originated from Confucius and continued to ZhuXi. This authenticity was handed down to Poeun(圃隱), Jungam(靜庵), and finally to Yulgok. They applied the theory of ‘li’ and `qi` to the theory of mind and nature, and this analogically applied to the social reform. The key point of this authenticity is Tao. It is in the practice, in accordance with the perception of `li`. They dream of realizing of Tao. So they emphasize change of personality and furthermore, social reform. This thesis will focus on the view of social reform on the Yulgok`s Neo-Confucianism, specifically, the view of media, Neo-Confucian intelligence, public opinion, and national policy. Such opinions have righteous form and its degenerated form. Yulgok concentrated in the correction of degenerated ideas to its original status. So, he systemized the way of correcting unrighteous ideas in the basis of theory of `li` and `qi`. This system applies to social reform as well as changes of personality. Yulgok`s way of social reform is `geongjang`. In the system, even though what he emphasizes is perception of `li`, but what changes is `qi`. He also called it `byuntong`, based on the profundity and mysteriousness of `li` and `qi`. This theory and system was continued by descendants of his school.

      • KCI등재

        聖學輯要를 통해 본 聖人의 학문과 정치

        리기용 한국사상문화학회 2005 韓國思想과 文化 Vol.28 No.-

        Yulgok Yi I (1536-1584) is the author and compiler of SeongHakJipYo that is a digest of the way to become a sage. This is known to all that To become a sage is a ultimate concern of Confucianism. He carefully arranged and ordered materials designed for the instruction of rulers, King Seonjo in his great work. It can be summarized two way of be come a sage. It's systematic structure is mainly based on The Doctrine of the mean and on the Great Lear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eneralize the problem of learning and politics in Yulgok's SeongHakJipYo.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also attempts to show its system and methods to become a sage. He present the essentials of cultivating self and pacifying the people. The one is the learning of the sage that is focused on the reforming of one's and social psycho-physcial constitution. Its usage the essential learning for all government to be the cultivation of oneself as a full and proper human being, and it is to this book is addressed. And the others is the politics of the sage concentrated on engage men of ability ; on open one's sincere mind in order to obtain the sympathy of all subordinates. He also stressed to arouse the ruler's aspiration to the hope of returning to the prosperity of the three dynasties and to encourage the ruler's scholarship so that it completes of the making will sincere and rectifying the mind. 성인(聖人)의 도(道)는 유학의 근본이념인 수기치인이라고 할 수 있다. 수기(修己)는 주로 마음의 문제와 관계가 된다면, 치인(治人)은 주로 사회의 구조나 제도와 관련된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시대의 상황에 따라 사회의 구조나 제도의 개혁[更張]이 현실적으로 절실하게 요청될 때 개혁의 주체로서의 인간 변화, 특히 성인의 자각과 개명이 절실하다. 중용의 핵심을 대학의 체계로 풀어낸 성학집요는 수기와 정가와 위정의 문제에 거경, 궁리, 역행의 방법론을 일관되게 적용하여 유가의 근본 목표인 수기치인의 문제를 조선조의 사회 속에 구현할 수 있는 구체적 방법과 내용을 제시하였다. 율곡은 성학집요에서 성인의 학문의 요체를 변화기질의 문제로 성인의 정치의 요체를 추성용현의 문제로 정리하였으며, 이 핵심은 이에 대한 개명성과 실천 구체적으로는 이치를 살피고[察夫理], 이치를 밝히고[明其理], 실행에 옮기는[措諸行] 요강에 있다고 보았다. 변화기질과 추성용현 이것이 바로 성현 심법[心術]의 핵심 문제이다. 그는 이 논의를 통하여 그가 주장하는 이상적 학문과 정치는 수기 즉 심성의 함양에 의한 도덕적 자기수양의 차원의 논의들이 사회 정치 경제적 문제의 해결과 그 교화에까지 동일하게 일관된 이론체계이자 실천적 주장을 개진하였다.이렇게 볼 때 율곡이 제시한 성인의 학문과 정치는 변화기질과 추성용현을 통해서 그가 실현시키려고 하는 이상적 세계관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성현의 학문과 정치론의 이론적 근거를 성학적 심법인 윤집궐중(允執厥中)에 그 연원을 두고 있는 것에서 볼 때, 그는 성인의 학문과 정치를 현실정치에 실현시키는 사회의 변화를 통해서 요(堯)순(舜)과 같은 대동사회를 실현시키고자 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타카하시 토오루(高橋亨) 조선유학 이해의 허와 실

        리기용 대동철학회 2011 大同哲學 Vol.55 No.-

        이 논문은 타카하시 토오루의 조선유학 이해가 가진 특성과 그 내용을 분석 정리함으로써 그 위상이 가진 허와 실을 드러내는 한편, 타카하시가 한국유학사 정립에 미친 영향을 재평가한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는 식민지 지배의 정당화를 위해 다카하시는 조선유학을 부정적으로 기술했다는 비판과 함께 근대적 방식으로 조선유학 이해의 틀을 제공한 최조의 철학자로 평가되고 있다. 타카하시는 분명 한국유학을 근대적 방식으로 정리한 최초의 학자임에 들림없다. 그러나 타카하시는 당시 일본의 한국이해 방식을 조선유학 이해에 적용하였을 뿐, 자신의 철학적 견해는 갖고 있지 않은 일본 제국주의의 관변학자 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 타카하시가 규정한 조선유학의 특성인 고착성, 종속성, 분열성은 당시 일본의 동양이해의 틀을 그대로 조선에 적용한 것이며, 그의 조선유학의 기술 내용 역시 그가 새롭게 제시해 주었다기 보다는 퇴계학파가 퇴계의 주리 주기의 구분을 원용하여 율곡학파를 비판한 퇴계학파의 조선유학 이해를 정리하고 있을 뿐 그 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타카하시가 제시한 주리파와 주기파의 대립이라는 이해 방식은 퇴계학파의 입장을 차용한 것이며, 그것을 서술한 대립과 발전이라는 형식적 체계 역시 당시 일본 학자들이 일본과 동아시아 이해에 사용한 구도로, 독일 헤겔이후 신칸트주의의 변증법에서 유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그는 퇴계학파의 이해를 빌어 퇴계학의 옹호와 율곡학의 비판이라는 도식으로 조선유학사를 근대적 방식으로 정리해 준 것이다. 그리고 주리와 주기의 대립 뒤에 덧붙인 절충파의 제시 역시 변증법적 발전의 형태만을 갖추고 있지, 그 내용은 율곡학파가 주자학적 정통성을 갖지 못하였고, 율곡학파 내부에서도 율곡을 비판했으며, 결국 율곡학파의 발전 과정에서 그 견해가 퇴계학적으로 수렴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퇴계학파 중심의 견해가 일방적으로 제시된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타카하시에 대한 기존의 평가는 과평가 되어 있으며, 오히려 그럴듯한 제목과 형식에 전통유학의 체계적 이해가 가려지게 된 것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타카하시의 허명에 가려진 전통 조선유학의 계보학적 이해와 기존 한국철학사 류의 저술들이 재평가되어야 하는 이유는 자명해 질 것이다. This Thesis reveals the truth and falisty in Takahashi Toru's understanding of Chosun Confucianism and re-evaluates his influence over Korean Confucianism through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Takahashi Toru's understanding of Chosun Confucianism. In former studies, Takahashi Toru is appraised for providing outline for understanding Chosun Confucianism with modern method. And at the same time, he is criticized for negatively describing Chosun Confucianism to justify colonial rules. Even though it is true that Takahashi was the first scholar to organize Chosun Confucianism with modern method, being a Japanese-patronized scholar, he only applied 'Japanese way of understanding Chosun' in understanding of Chosun Confucianism without his own philosophical opinion. Characteristics of Chosun Confucianism defined by Takahashi are fixation, subordination and disassociation. However, these characteristics are based on Japanese way of understanding of Chosun. Also, his description of Chosun Confucianism is rather from ChuLi-ChuKi seperation of Toegye school, which criticized Yulgok school, meaning that it is not his own understanding. Takahashi's described Chosun Confucianism as development in school of ChuLi(主理zhuli, principle(li) as the predominant factor) and school of ChuKi(主氣zhuqi, materail force(ki) as the predominant factor). However, this type of understanding is dialectic method of neo-Kantianism, which was widely used by Japanese scholars in understanding Japan and East-Asia. Through this modern method, Takahashi criticized Yulgok school and supported Toegye school. Suggestion of eclectic school only had dialectic development. The idea was that Yulgok school was criticized within itself, and it was inevitable for Yulgok school but to be absorbed by Toegye school. Conclusionally, former evaluation of Takahashi is overrated and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onfucianism is shaded by his elaborate title and form. Therefore, it is obvious that writings of genealogy of traditional Chosun Confucianism and History of Korean Philosophy, which was covered by false name of Takahashi, should be re-evalu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