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출판학 연구의 국제 동향과 방향 분석(Ⅱ)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14 한국출판학연구 Vol.40 No.3

        본 연구는 30주년을 맞이한 국제출판학술회의(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tudies : IFPS)의 주요 업적인 발제 논문들을 분석하여 현재까지 학술적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발전 방향 논의를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 범위는 1회~15회(1984~2012) 동안의 전체 발제 논문 266편 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 자료는 국제출판학술회의 각 논문집을 바탕으로 하였다. 발제 논문들 의 분류 기준은 출판학의 학문 분야를 10개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한 다음, 총량적 성과, 분야별 성과, 국가별 관심 영역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총량적 성과에서 IFPS에 참가하여 발제한 국가는 15회까지 15개국에 이르며 발제 논문은 266편에 달한다. 둘째, 분야별 성과는 주제와 내용에 따른 분류로서 IFPS의 양적 분석에서 중요 의미가 있다. 10개 분야에서 관심 영역은 출판산업, 출판이론, 출판환경, 출판유통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가별 관심 영역은 발제국의 출판 관심분야 문제와 결부된다. IFPS의 주요 참가국인 중국(101편)은 출판산업, 출판생산, 출판이론의 순이며, 일본(71편)은 출판유 통, 출판환경, 출판이론, 한국(58편)은 출판환경, 출판이론, 출판법률의 순으로 나타났다. IFPS의 발전 방향은 주요 업적과 발제 논문의 분석을 바탕으로 30년 동안 해결되지 않은 채 남아 있는 문제나 의안을 위한 6개의 현안적 과제, 지금보다 좋은 상태나 더 높은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6개의 발전적 과제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papers presented in 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tudies (IFPS), which celebrates the 30th anniversary this year, as an evaluation of its academic performance and to discuss future directions for its development. The scope of research was 266 papers presented in the 1st to 15th forums (1984~2012), and IFPS thesis collections were used as basic analysis materials. The presented papers were divided into 10 areas of publishing science, and then they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formance in total, performance by area, and areas of interest by country. First, as to performance in total, until the 15th forum, a total of 15 countries participated in IFPS and presented papers, and the total number of papers presented was 266. Second, performance by area, which is based on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me and content, has significant meaning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IFPS. Among the 10 areas, the most interesting area was publishing industry, followed by publishing theory, publishing environment, and publishing distribution. Third, areas of interest by country are associated with publishing areas of interest in the presenting country. They were publishing industry, publishing manufacturing, and publishing theory in China(101 papers), one of the major participating countries of IFPS, publishing distribution, publishing environment, and publishing theory in Japan(71), and publishing environment, publishing theory, and publishing laws in Korea(58). As to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FP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of major achievements and presented papers, this study suggested 6 pending tasks for issues or agenda that have not been resolved for 30 years, and 6 developmental tasks for a better state or higher stage.

      • KCI등재

        디지털미디어 시대 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생산적 논의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08 한국출판학연구 Vol.34 No.2

        이 연구는 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에 관한 논리적 배경을 탐구하고 생산적 전략을 개발하여 출판산업에 활용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리적 배경에서는 상위 개념인 문화콘텐츠스토리텔링의 배경과 개념을 살핀 다음, 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생산적 전략은 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의 개발 - 전환 - 확산 전략으로 구분한 후 사례와 방향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생산적 전략의 접근 방법은 개발(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원천 소스 개발 전략) - 전환(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의 전환 전략) - 확산(향유 활성화 및 OSMU, MSMU, UCC, 스토리텔링 그룹 전략)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것이다.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문화산업의 원천 콘텐츠로 기능하는 출판콘텐츠 스토리텔링에 대한 출판 현장의 사례를 분석하고 적용하기 위하여 시도된 논문이다.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 the logical background and productive strategies of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and to apply the results to the publishing industry. In the logical background,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story telling, which is a higher concept, were examined, and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were presented. Productive strategies were divided into development, conversion and dissemination strategies of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and they were analyzed and discussed centering on cases and directions. The approach of productive strategies was analyzed in terms of development (strategies for developing the sources of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conversion (strategies for the conversion of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and dissemination (strategies for activating dissemination, OSMU, MSMU, UCC and storytelling groups). This study is the first attempt in this area that analyzed cases on publishing contents storytelling functioning as the source contents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suggested directions by applying the results. In particular, publishing contents should consider storytelling in which writers, storytellers, and genre specialists participate from the contents planning stage in order to secure the possibility of publishing contents as image and broadcasting contents.

      • KCI등재

        출판 연구의 국제 동향과 방향 분석-국제출판학술회의 연구 성과와 방향을 중심으로

        남석순(Nam Sok-Sun) 한국출판학회 2004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47

        In order to analyze international trends and directions of current publishing research, this study attempts to delve into the results of as-published academic researches based on the International Forum on Publishing Studies(IFPS). As an international forum in academic publishing research, IFPS stands on the position of international conference which total 15 countries have participated in so far. IFPS is a publishing conference that publishing researchers in Asian countries have mainly attended. However, IFPS is significant in that it presents a basis to identify

      • KCI등재

        출판정책과정의 이론모형 개발 연구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2

        이 연구는 한국 출판정책과정의 기본모형을 개발하기 위하여, 정책학의 정책과정이론을 출판정책에 적용하여, 출판의제형성-→ 출판정책결정→ 출판정책집행-→ 출판정책평 가로 이루어지는 출판정책과정의 이론모형을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출판정책의제형성(publishing policy agenda setting)은 많은 출판이슈 중에서 일부를 정책문제로 채택하는 활동으로 정책환경, 정책참여자, 대안형성이 중요하다. 출판정책결정(publishing policy-making)은 정책문제의 해결을 위한 최선의 대안을 선택하는 행위로서 정책목표, 정책결정체계가 중심이다. 출판정책집행(publishing policy implementation)은 정책을 현실적으로 적용하는 과정인데 구체화시키는 활동으로 집행기준이 중요하다. 출판정책평가과정(publishing policy evaluation)은 한국 출판정책에서 매우 중요하며 평가방법의 개발과 사회과학적인 방법론의 도입이 요구된다. In order to develop the basic frame of publishing policy proces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theoretical model of publishing policy process composed of publishing policy agenda setting, publishing policy­making, publish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publishing policy evaluation by applying policy making process theories in policy science to publishing policies. With regard to publishing policy agenda setting, we discussed environments surrounding the publishing policy system (political, social, economic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and factors influencing policies such as policy makers and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s. With regard to publishing policy­making, we discussed the importance of the basic ideas and purposes of policies and the policy making system, and suggested the importance of specialty in publishing demanded to involved governmental officials (policy executors, mediators, and policy makers). With regard to publishing policy implementation, we suggested that decided policies should be materialized for the achievement of their goals but, at the same time, it is desirable to evaluate ‘the process of policy setting’ during the implementation in order to manage policy implementation and to revise or refine strategies. Publishing policy evaluation is quite important in Korean publishing policies,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evaluation methods and to introduce social science methodologies. In future research, we need to study the details of each stage from publishing policy agenda setting to publishing policy­making, publishing policy implementation and publishing policy evaluation and to reestablish theories related to the basic ideas, goals and values of publishing policies.

      • KCI등재

        출판콘텐츠의 다중 미디어 확산 전략 연구 : 스토리텔링 3방식을 중심으로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11 한국출판학연구 Vol.37 No.2

        출판의 본질은 콘텐츠이며 출판콘텐츠는 모든 미디어들을 팽창시키는 원동력으로서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미디어의 무한경쟁과 무한융합 속에서 한국 출판은 종이책의 발행 감소와 전자책의 비활성화로 발전적 확산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 논문은 한국 출판의 활로 모색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으로서 출판콘텐츠를 다중 미디어로 확산하기 위한 전략인 OSMU(media franchise), 트랜스미디어, 크로스미디어의 개념과 성격, 각각의 스토리텔링 사례 분석과 적용 방법을 논의하였다. 한국 출판산업에서 우선적으로 다중 미디어 확산에 적합한 콘텐츠 분야는 에듀테인먼트(edutainment)와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이다. 이 분야에서 원천 콘텐츠를 개발하면서 동시에 기존 콘텐츠를 다중 미디어로 전환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개발 방식은 콘텐츠의 성격에 따라 OSMU 스토리텔링(OSMU storytelling),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transmedia storytelling),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crossmedia storytelling contents) 전략을 각각 이용하거나, 둘 이상의 스토리텔링방식을 병행하는 새로운 전략이 요구된다. The essence of publishing is contents, and publishing contents have potential as motive power that expands all media. Korean publishing has not achieved developmental spread due to the decreasing production of paper books and the inactivation of electronic books in the middle of infinite competition and infinite fusion of media. This study proposed a new approach to find a way out of this deadlock for Korean publishing. For this, we discussed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OSMU (Media Franchise), transmedia and crossmedia as strategies for spreading publishing contents through multimedia, as well as cases and application methods of each storytelling methods. The terms describing the three ways of storytelling, which are suggested in this study for the first time, are not mutually exclusive but interdependent. The best types of contents for spreading through multimedia are edutainment and entertainment. We need to develop strategies for developing source contents and, at the same time, to convert existing contents in these areas. For development methods, we may use OSMU storytelling, transmedia storytelling, and crossmedia storytelling separately or combine two or more of them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contents.

      • KCI등재

        출판정책의 기본방향 정립을 위한 고찰

        남석순(Nam Seok-Soon) 한국출판학회 2007 한국출판학연구 Vol.0 No.53

        이 연구는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서 한국 출판정책 기본방향의 재정립을 논의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출판정책과정에서 기본방향은 정책의 전반을 아우르는 좌표의 역할을 수행한다. 기본방향의 논의를 위해서 출판정책의 법률적, 이론적 배경의 탐색을 바탕으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법률적 배경과 이론적 배경의 검토를 통한 출판정책의 기본방향은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구현하는데 두어야 한다고 명확하게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바탕위에서 〈국가경쟁력 제고〉보다는 〈국민의 지식문화복지의 향상〉을 우선 가치로 설정하고 이에 맞는 정책의 심도있는 개발이 요구된다. 국민은 개인과 집단으로 구성되며 이들의 지식문화복지 충족과 개발이 이루어져야 국가의 지식문화의 경쟁력이 확보되며 이를 통하여 출판지식산업도 융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출판지식산업의 기반시스템을 공고히 하고 성장동력 개발에 집중해야 한다. 기반시스템은 출판휴먼웨어, 출판하드웨어, 출판소프트웨어로 구별되며, 성장동력은 출판지원동력, 출판생산동력, 출판유통동력, 출판소비동력이 유기적으로 개발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출판정책의 관점이 출판지식산업 자체만을 분절시켜 보지 말고 문화산업의 전반의 관점에서 보아야 하며, 글로벌 출판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reestablish the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in Korea. In executing publishing policies, the basic directions play the role of coordinates directing the general trend of the policies. In order to discuss the basic directions, we explored the legal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ublishing policies and suggested new basic directions of publishing policies. First, the basic direction of publishing policies should be set in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Based on the direction, priority should be given to 〈the enhancement of people’s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rather than 〈the enhancement of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corresponding policie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in-depth research. Second, competitiveness in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begins with satisfying individuals’ and groups’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People are composed of individuals and groups,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knowledge and culture can be attained through satisfying their desire for the welfare of knowledge and culture, and through this,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an prosper. Third, the base systems and elements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solidified. The base systems are substructure for the prosperity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and they can be divided into publishing humanware, publishing hardware, and publishing software, and they can be divided again into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support,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produc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distribution, driving force for publishing consumption. Fourth,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efforts should be concentrated on developing driving force for growth. Driving force for the revival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hould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support ? production ? distribution ? consumption〉. It is because the base and growth of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come from solid support system, producers’ competitiveness, healthy distribution system, and active consumption. Fifth, competitiveness in global publication should be attained. Publishing policies should not view the publishing and knowledge industry separately but see it as a part of the cultural industry, and need new approaching strategies to secure competitiveness particularly in East Asia by region and in the IT industry by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