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인식

        나수현 ( Su Hyun Na ),윤선아 ( Sun Ah Yoo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2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2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을 대상으로 친구관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이들의 친구관계의 특성 및 친구관계의 형성과 유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구체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얻기 위하여 아스퍼거 증후군 초등학생 10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인 심층면담(in-depth interview)을 실시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는 모두 전사되었고, 지속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전사 자료를 코딩하고 범주화하여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은 5개의 주제와 20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ㄱ) 친구의 개념, (ㄴ) 아스퍼거의 특성, (ㄷ) 친구관계의 특성, (ㄹ) 친구관계 변인, (ㅁ) 친구관계에 대한 요구.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친구관계에 대한 이해 및 관계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friendship faced by children diagnosed With Asperger syndrome.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ir children`s friendship features and the influential factors on building and maintaining their friendship.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students with Asperger syndrome in elementary schoo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semi structured interview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nterview transcriptions, five themes emerged as follows: (a) concepts regarding friendships, (b) characteristics of Asperger syndrome, (c) friendship features, (d) influential factors on friendships, (e) desire for friendship. Based on the findings, further implications were provid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erception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the insights provided by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are valuable for teachers and parents playing in facilitating friendship formation and in supporting ongoing relationships in Asperger childre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6 특수교육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the social skills related to friendship about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It was reviewed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friendship in the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 syndrome by selecting six of there searches published inspecial education journals from 1990 to 2005. This research is written for (1) finding out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riendship in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aspergersyndrome, (2) analyzing factors that influence on their perception of friendship, (3) explaining how this perception of friendship is related to the nature of social deficits in autistic children, (4) discussing the way of developing the friendship of children with high-functioning autism and asperger syndrome. 본 연구의 목적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성과 우정 발달의 특징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1990년부터 2005년까지 특수교육 분야의 주요 저널에 간행된 논문 중 6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문헌 검토를 통하여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 특징 및 변인들을 알아보고,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관계의 특징이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1)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로는 사회적 맥락에 대한 인식, 언어 이해 능력, 정서적 능력, 자기 인식 및 자아 개념등이 나타났고, 2) 이러한 변인들은 자폐의 사회성 장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3) 우정 발달 촉진을 위한 방법들로는 사회성 기술 교수, 정서적 능력 향상을 위한 전략 교수, 구조화된 프로그램의 활용 및 성인과 교사 역할의 중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결론에서는 고기능 자폐 및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들의 우정 발달에 관한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연구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박승희,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9 특수교육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data for developing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for staff in the group homes run by Seoul Group Home Supporting Center. The questionnaire classified into 10 subcategories with 57 items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by the researchers to assess the staff’s need for inservice-training. The 10 subcategories included: (1) basic understanding of service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2) the laws related to disability; (3) understanding of disability and persons with disabilities; (4) understanding about group homes; (5) supports for independent lif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6) staff’s roles in a group home; (7) understanding of IPP(Individual Program Plan); (8) behavioral suppor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9) making use of community resources; (10) relation between staff and parents/family. The total of 101 staff of the 101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self-reported ratings of the 10 subcategories with 57 items of the in-service training contents were high. Subcategories rated highest in the need assessment were behavioral support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understanding of IPP, and making use of community resources. This study based on the staff’s need assessment was the first study validating the contents of in-service training for staff in group homes.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aim of provoking a discourse on the nature of the services of group home and accordingly establishing the roles of staff in group homes and advancing the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services and supported living arran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그룹홈지원센터 산하의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의 연수교육 내용 개발을 위해 본 연구자들이 개발한 질문지 통하여 그들의 요구를 조사하여 그들에게 보다 적합한 연수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서울시그룹홈지원센터에 소속된 101개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종사자 101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연수교육 요구를 다음과 같은 10개 영역의 문항들에의 응답으로 수집하였다: (1)장애인서비스의 기본 철학 및 이해; (2)장애인 관련 법; (3)장애 및 장애인에 대한 이해; (4)장애인공동생활가정에 대한 이해; (5)거주 장애인의 자립생활에 대한 지원; (6)장애인공동생활가정 운영에 대한 종사자의 역할; (7)거주 장애인의 개별화 프로그램에 대한 이해; (8)문제행동 지원 방안; (9)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10)거주 장애인 부모 및 가족과의 유대. 연구 결과,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들은 모든 영역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교육의 필요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장애인의 문제행동 지원 방법, 개별화 프로그램 계획 및 지역사회 자원 활용 방안 등에 대한 교육에 높은 요구를 보였다. 종사자의 배경변인에 따른 연수교육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는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성공적 역할 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연수교육의 내용을 처음으로 타당화했다는 의미를 지니며, 종사자의 역할을 정립하기 위해 장애인공동생활가정의 성격에 대한 후속 논의를 촉구하고, 종사자를 위한 체계적인 연수교육 및 관리체계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제기하며, 향후 장애인을 위한 지역사회 기초 주거 서비스의 활성화와 질적 제고에 기여할 수 있다.

      •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와 대처에 관한 질적 연구

        윤선아,나수현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05 특수교육 Vol.4 No.1

        본 연구는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통하여 장애아동 어머니의 스트레스의 특성과 스트레스를 대처하는 방법 및 자원을 심도있게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의 스트레스의 양상, 스트레스의 요인, 대처행동, 스트레스가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등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스트레스 양상은 어머니 개인 내적인 증상과 외적 발산의 형태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의 요인으로는 전반적 발달 장애아동의 특성, 자원의 부재, 부정적 사회 인식, 역할기대에 대한 부담감 및 자아실현의 어려움과 같은 하위 요인들이 나타났다.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로는 대처자원을 활용하는 것 이외에도 아동의 발달적 향상을 인식하는 발전된 내적 지각력이 나타났으며, 스트레스를 잊기 위한 방법으로 취미활동을 하는 어머니들도 있었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스트레스가 가족(배우자, 비장애 형제, 장애아동)구성원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궁극적으로는 가족의 결합력이나 가족의 적응에 영향을 주고 있음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esses and coping strategie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Five mothers of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 (1) features of stress, (2) the stressors, (3) coping, (4) impacts on the family. In the present study the first stressor was the child-related factors focusing on unique behavioral challenges of children with PDD, and concerns about their children's successful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to life stages beyond childhood. The second stressor was lack of resources available to caregivers of their children. And they were stressful without economic support and more helpful knowledges/experts for PDD. The third stressor was the other persons' negative perspectives toward their children. These three factors were main stressors of mothers with PDD children. In our interviews, all of the mothers reported the symptoms of stress, frustrations and disappointments about their children, themselves and their spouses. But also their primary coping resources were their children's progress and the supports of their family. That suggested a significant redesign of comprehensive and coordinated ways to deliver support at the individual family level as well as at the systems level. That was finally the results in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the family support model. So we expected future research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be undertak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