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재혼가족의 가족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역할긴장 변수를 중심으로

        김효순(Kim Hyo-Soon),엄명용(Um Myung-Yong) 한국가족학회 2006 가족과 문화 Vol.18 No.4

          본 논문에서는 가족체계이론을 바탕으로 계부모와 계자녀의 가족경계의 모호성, 역할 모호성, 재혼가족 유형, 재혼기간, 계자녀의 연령 등이 재혼가족의 결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최소한 한쪽의 배우자가 과거에 결혼한 경험이 있는 60세 이하이며, 함께 살고 있는 중ㆍ고등학생 계자녀가 1인 이상 있는 재혼가족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이것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BR>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자의 사회ㆍ인구학적 특성만을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모델 1에서는 소득수준이 가족결속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ㆍ인구학적 변수 외에 역할긴장 변수(경계의 모호성, 역할의 모호성, 재혼가족 유형)를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회귀분석한 모델 Ⅱ에서는 계부모의 연령, 재혼가족 유형, 계부모와 계자녀의 가족경계의 모호성, 계자녀의 역할의 모호성 등이 재혼가족 결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혼가족의 결속을 촉진하기 위한 접근방법이 모색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step-families" family boundary ambiguity, role ambiguity, step-family type, and length of remarriage, step-children"s age on their family cohesion.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total of 286 families(146 stepmother families, 140 stepfather families) who lived with 13 to 18 year old adolescent children.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during the period of late June and August, 20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employed to analyze the data.<BR>  Statistically meaningful regression coefficients in family cohesion of Model I are the income level and step-parents" age as socio-demographic variables. That is, The higher the income level is and the younger the step-parents are, the higher the family cohesion level become. Statistically meaningful regression coefficients in family cohesion of Model Ⅱ are step-parents" and step-children"s family boundary ambiguity, step-children"s role ambiguity, and step-family type. Out of 5 research hypothesis four ones were accepted temporarily. With the study results recommend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in social work area we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의 새부모역할 경험에 관한 연구

        김효순(Kim Hyo-Soon),하춘광(Ha Choon-Kwang) 한국가족학회 2011 가족과 문화 Vol.23 No.1

        본 논문에서는 질적 사례연구를 통하여 재혼가족의 새부모 역할경험에 대한 사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청소년기 자녀(중·고등학교)가 있는 재혼자로 총 9인에 대한 사례연구와 심층면접을 바탕으로 재혼가족 부모의 새부모 역할경험을 살펴보았다. 범주화를 통하여 재혼가족부모의 역할경험에서 도출된 주제들은 모두 3개의 핵심범주와 14개의 하위 범주로 정리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청소년기 자녀 재혼부모는 재혼 초기에 새로 시작한 로맨스, 준비 안 된 결혼, 정서적 애착보다는 외로움으로부터의 탈출을 원함, 재혼상대에 대한 불신과 갈등, 부모-새자녀 간 친밀감 부족, 재혼가족 간 삼각관계, 새부모로서의 권위·권한의 부재, 친부모에 대한 충성심 갈등, 시댁친족관계에서의 소외감, 전혼자녀에 대한 차별 및 취약한 사회적 연계망 등의 불안정성이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남편에 대한 신뢰와 지지를 바탕으로 소속감과 연대의식이 형성된 한 가족으로 거듭 태어나는 새부모역할의 긍정적 경험도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새부모의 역할에 대한 가족복지적 개입의 필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재혼부모의 스트레스 감소방안에 대한 필요성, 재혼준비 교육 프로그램, 예비재혼부부 프로그램 및 재혼가족관계 강화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재혼가족을 위한 프로그램들은 재혼가족의 역기능은 예방하고 순기능은 기능적으로 작동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trying to analyze the stepparenting role experiences of stepfamilies with adolescent stepchildren at home by qualitative case stud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 remarried couples with adolescent stepchildren such as middle and senior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through purposeful sampling and interviewed in depth. Qualitative case researches revealed three major categories and 14 sub categories related to the step-parenting role experiences: the unstable starts(newly beginning romances, lack of preparation in remarriage, escape from loneliness without emotional attachment), factors of negative role experiences as step-parents(mistrust or conflict toward remarriage spouses, lack of intimacy between parent-stepchild relationship, triangulation between step-family members, loyalty conflict to biological parents, lack of authority and power as step-parents, exclusion from husband's family, vulnerable social networks, spouse's differentiation to a child), and factors of positive role experiences as step-parents(spousal support and trust toward a husband, expectation and trust toward biological children, confirmation for belonging and united consensus). Based on these researches, there are given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recommendations for necessity of family welfare intervention to the stepparenting role such as stepfamily education program, or remarriage preparation program

      • KCI등재

        새부모의 양육태도유형과 재혼가족 청소년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효순 ( Hyo Soon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30 No.-

        본 연구는 재혼가족 청소년 자녀 137명을 대상으로 새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 및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 간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표의 표집(purposeful sampling)을 활용하여 조사대상자를 선정하였으며 인문계 고등학교가 아닌 종합고등학교 40개 학교가 포함되었다. 회귀분석에서는 자녀 성별, 계부모 성별, 자녀연령, 형제유무, 가족유형, 동거기간 등을 통제변수로 투입함으로써 이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혼돈효과(confounding effect)를 줄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친구 지지와 학교 지지는 새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와 새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학교사회사업을 비롯하여 사회사업 실천현장에서 청소년 자녀의 심리사회적 적응을 촉진하기 위한 개입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tepparenting styles(warm and control) and social support(family support, friend support, school support) on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s stepchildren by surveying 137 adolescent stepchildren at home. The subjects including students at 40 comprehensive high schools were selected by purposeful sampling. In regression analysis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sex of stepchildren and stepparents, age of stepchildren, type of stepfamily, existence of brothers of sisters, and length of remarriage were input as controlling variables to reduce the confound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amily support and school support were proofe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stepparenting styles and adolescents psycho-social adjustment.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and programs in school and social work practice were introduced to promote the psycho-social adjustment of adolescent stepchildren.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재혼가족 관계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효과: 청소년기 자녀를 둔 재혼자를 중심으로

        김효순 ( Kim Hyo-soo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 保健社會硏究 Vol.3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재혼가족의 관계형성을 위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청소년기 자녀를 둔 재혼가족 관계향상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완성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그 효과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의 참여대상은 재혼한지 1년이 넘었고 청소년 자녀가 있는 18인의 재혼부부를 9인은 실험집단으로, 9인은 통제집단으로 하였다. 2015년 9월 첫 주부터 6주간 동안, 주 1회 총 6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재혼가족 결속, 부부만족도, 역할긴장, 의사사통 및 문제해결 변인 등에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재혼가족 관계향상 프로그램은 재혼가족의 역할긴장과 결속도를 높이고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능력을 증진시키는 데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결과는 청소년기 자녀가 있는 재혼가족이 그들의 가족관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역할갈등 등 가족 간 문제를 해결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는 재혼가족에게 재이혼에 따른 가족해체를 방지하여 성공적인 재혼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relationship enhancement program for stepfamilies with adolescent children. A total of 18 people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whom 9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9 as a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were those who had been remarried for more than a year with children. Consisting of 6 sessions, each with a distinct goal,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6 weeks from the first week of September, 2015. The program was found to have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hesion, role strain, marital satisfaction, communication, and problem solving in stepfamilies. This program can be used to help stepfamily members deal with and solve their interfamilial problems and conflicts and enhance their family relationship. Also, this program can help to prevent stepfamily breakups and contribute to successful remarriage life.

      • KCI등재

        재혼가족의 적응에 관한 문헌고찰 : Bronfenbrenner의 모형을 중심으로

        김효순(Hyo-Soon Kim) 한국가족학회 2005 가족과 문화 Vol.17 No.1

        최근 통계자료에 의하면 유자녀 재혼의 증가와 계모 가족보다도 계부 가족 및 복합 재혼 가족이라는 다양한 유형의 재혼 가족이 증가하고 잇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재혼 가족은 많은 어려움을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을 뿐 미국에서도 오랫동안 ‘드러나지 않는 인구(invisible population’)로 여겨져 왔듯이 우리사회에서는 아직도 재혼 가족의 삶과 적응에 관해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재혼 가족의 적응에 관한 기존의 문헌들을 중심으로 적응관련 요인들을 Bronfenbrener의 모형으로 정리하여 재혼 가족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을 설명해 주는 요인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더불어 서구에서 재혼가족에 대한 연구를 문제 지향적 관점에서 시작하여 점차 규범ㆍ적응적 관점으로 접근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연구 방법론상의 이슈도 점검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재혼 가족연구를 위한 시각 형성은 물론 재혼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정책적 접근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the literature research on the adjustment of stepfamilies. Rescentiy the rate of stepfamilies is growing rapidly as a part of family change in Korea. Therefore we have to concern about factors affecting stepfamily's adjustment between stepparents and stepchildren so that we can make an intervention toward stepfamilies and prepare for remarriage programmand policies for stepfamilies. So as to find out adjustment factors, this study used Bronfenbrenner's person-process-social context of human development model.

      • KCI등재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의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효순(Hyo-soo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4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구성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 이해, 양육문제에 대한 합의 능력, 사회적 기업 및 기업문화에 대한 학습, 직장 내 갈등 및 스트레스 대처기제, 직무역량 향상을 위한 문제해결, 의미 있는 삶을 추구하는 결혼이주여성의 모습이라는 프로그램 목표를 갖춘 역량강화 프로그램을 개발, 각 10인으로 구성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게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살펴보았다. 검증결과, 사회적 기업에서 활동하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은 자아정체감, 자기효능감, 대처기제능력 및 사회적 문제해결에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결혼이주여성 역량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논의 및 정책적 제언이 소개되었다.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and apply the empowerment program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working in social enterprises. Empowerment program consisted of six main construct factors such as job or child, being acknowledged as a family member, enduring for economic work, developing myself, getting to know company culture, living a meaningful life for a korean. According to research analysis, self-identity, self-efficacy, coping ability and social problem solvi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discussion and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empowerment program for internationally married women in social enterprises.

      • 인터넷 환경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김효순(Hyo Soon Kim),김경숙(Kyung Sook Kim),이상호(Sang Ho Lee) The Research and Information Service 2009 남부대학교 논문집 Vol.9 No.-

        본 연구는 인터넷환경인 인터넷기대, 익명성, 접근성이 청소년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환경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요인을 규명해 봄으로써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이론적 ·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직접적으로 차단하기는 어려운 인터넷 환경요인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인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오랜 시간 컴퓨터를 앞에 앚아서 다양한 정보들을 접해야만 하는 청소년들을 인터넷 중독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며 인터넷 환경이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터넷 환경적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에 구체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설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인터넷 기대(.549)가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터넷에 의존하는 집단일수록 인터넷이라는 가상세계를 통해서 현실세계의 어려움과 욕구를 해소하고자 함을 알 수 있다. 2. 익명성(.225)이 인터넷 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익명의 상황에 더 노출 되는 청소년은 실명을 사용하는 청소년보다 사이버공간에서 일탈행동의 가능성이 더욱 높다고 볼 수 있다. 3. 접근성(.030)은 인터넷 중독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은둔형 외톨이 성향 청소년의 온라인 게임 중독과정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김효순(Hyo-Soon Kim),김서연(Seo-Yeon Kim),박희서(Hwieseo Park)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me policy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the youth‘s internet game addiction by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of Oiettolie propensity and game addic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study set a research model about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study variables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surveyed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research. The analytical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lack of communication and impulsivity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Oiettolie propensity. Second, Oiettolie propensity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youth"s game addiction. Third,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Oiettolie propensity and youth’s internet game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youth internet game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