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부모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내 적응 어려움과 대처 방식

        영아 ( Young A Cho ),김현아 ( Hyun A Kim ),김요완 ( Yo Wan Kim ) 한국가족관계학회 201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daptation process of single-parent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population to better understand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Ten single-parent families as a result of bereavement, divorce, and separation due to escaping from North Korea were interviewed.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and 2 main domains and 12 sub-domains were identified. The two main domains were ``challenges in adaptation`` and ``adaptation mechanism``. The challenges in adaptation were in regard to ``economic instability associated with childrearing and preparation for later years``, ``adaptation barriers as immigrant minorities``, ``the childrearing`s double burden of being a North Korean defector and single parent’, and ``stress due to recurrent family disorganization`` The adaptation mechanism was regarding ``economic dependency``, ``seeking for employment preparation opportunity that allows a grace period’, ``proactive help-seeking only for social capital``, ``optimal utilization of childrearing support system``, ``acceptance of life as a single parent and North Korean defector``, ``positive thinking``, ``strategic distancing from stress`` and ``effort to restore health``.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for North Korean single-parent families.

      • KCI등재

        신앙·성사·교계 안에서 교회와 친교 보존

        김현조(Hyun-Cho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1 가톨릭신학 Vol.- No.38

        포스트 코로나(Post-Corona)로 그리스도교 신자들이 교회에 결속되지 않고 교회라는 공간 안에서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친교가 급감하면서 신앙생활에 위기가 찾아온듯하다. 또한, 이러한 사태를 통해 가톨릭 신자들이 타 종교에 비해 교회에 대한 소속감이 부족하고 성사의 요청이나 전례의 시간 결정에 수동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교회의 친교에 관한 이해는 깊어져야 한다. 그리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그에 대한 적용의 연구는 더 활발해져야 한다. 본고에서는 제2차 바티칸 공의회에서 강조된 친교의 교회를 성사, 통치, 신앙의 유대 안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입법된 1983년 법전을 이해하기 위해 사전 작업으로 1917년 법전의 친교와 1983년 법전 안에 담겨진 친교 보존과 관련된 조항의 입법과정을 연구하였다. 여기서 도출된 결실과 더불어 1983년 법전 조항들 안에 담겨있는 세 가지 유대의 친교와 관련된 규정을 살펴보고 또한 그 상호 관계도 연구하였다. 그 결과 법적 제한성 때문에 축소될 수도 있는 교회법의 친교 규정이 공의회의 신학적 통찰을 아주 깊게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조항들의 연계적 적용을 통해 세 가지 유대를 통한 친교의 범위를 넘어서서 하느님 백성 전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친교의 확장도 새롭게 펼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것이 가능하기 위해 ‘성사적 친교’가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의 일치를 방해하는 벽을 허물고 모든 친교의 근간이 되는 가운데 ‘통치의 친교’가 공의회의 정신과 복음의 빛 안에서 ‘교계적 봉사의 친교’로 이해되고 적용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결국, 하느님으로 출발하여 성령으로 가능한 모든 그리스도교회의 친교의 완성이 각 교파의 교리를 고수하는 신념이 아니라 서로 간에 비난과 불신을 종식하고 열린 친교의 문을 ‘신앙의 친교’로 넓혀가는 가운데 공의회가 지향하고 교회법이 구체화한 하느님 백성 전체의 친교로 실현됨을 확인했다. With Post-Corona, Christians are not bound to the church, and the physical communion that takes place in the space of the church has sharply declined, so that it seems that a crisis has come to the life of faith.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Catholics lacked a sense of belonging and ownership to the church compared to other religions, and were passive in the request of the sacraments and in determining of the time of the liturgy. To overcome this situation, the understanding of the communion of the church must be deepened. In keeping with the trend of the times, therefore, more activ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it. This article examines the church of communion emphasized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bond of sacraments, of governance(hierarchical system), and of faith. In order to understand the 1983 code of law legislated on this basis, as a preliminary work, I studied the legislative process of the provisions related to the communion of the 1917 code and the preservation of the communion contained in the 1983 code. In addition to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I reviewed legal regulations related to the three bonds of communion contained in the provisions of the 1983 code. And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three bonds was also studied. As a result, it could be seen that the canonical communion regulations, which may be curtailed due to legal restrictions, reflect very deeply the theological insights of the Council. In addition, through the joint application of these provisions, the possibility of a new expansion of the three bonds of communion within the entire people of God was suggested. To make this possible, ‘sacramental communion’ must break down barriers that hinder the unity of all Christians and should be the basis of all communion. And ‘communion of governance’ should be understood and applied as ‘communion of hierarchial service’ in the spirit of the Council and in the light of the Gospel. Beginning with God, the “communion of faith” of all Christian churches made possible by the Holy Spirit overcomes the differences in the doctrines of each religious denomination, and the contact point of hierarchical communion can be confirmed and strengthened in the sacramental communion. It is expected that the communion of the people of God as a whole will be more fulfilled if the canonical regulations covered in this study are reflected and applied within the mutual relationship of the three communion described above.

      • KCI등재

        임대료 대비 매매가격 비율(PRR)을 통한 주택금융시장과 실물경제 간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만(Man Cho),송인호(In-Ho Song),김현아(Hyun-Ah Kim)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2010년~2012년 우리나라의 거시경제 환경은 성장률 둔화와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고 있고, 이는 주택시장의 작동기제에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07년~2009년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실질 GDP 성장률은 빠른 회복세를 보였으나, 2010년 1/4분기 전년동기대비 8.7%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둔화하여 2012년 4/4분기 현재 1.5% 수준에 그치고 있다. 이자율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저금리 추세에 힘입어 우리나라에서도 지난 30년 동안 유례없는 저금리 환경이 유지되고 있다. 본 고는 현재와 같은 저성장·저금리 환경 하에서 저성장 및 저금리가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PRR을 통한 실물경제와 금융시장간의 연계성을 규명하여 주택금융 관련 장·단기 정책과제의 시사점을 정리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은행과 부동산 114, 그리고 통계청에서 발표하고 있는 ㎡당 평균주택매매 및 전세 가격, 주택금융변수(주택담보대출 잔액 및 금리, 주거용 투자 등), 주택공급변수(인허가물량, 착공면적 등)를 이용하였으며, LIR과 LVR은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PRR을 통한 주택 실물시장과 금융시장의 연계성이 외국의 경우와 유사하게 작동함을 보여주고 있다. 실물경제의 침체는 미래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기대심리를 약화시키고, 이는 주택의 투자재로서의 매력을 감소시킴으로써 주택가격 하락을 유발한다. 즉, GDP의 하락은 기대가격 상승률의 하락, 사용자 자본비용의 증가, PRR의 감소, 그리고, 주택가격의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주택은 투자재로서 가지는 가치가 하락함에 따라 주택시장에서 매매수요는 감소하는 반면 임대(전·월세)수요는 증가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한편, 금리 하락이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PRR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금리 하락 시 주택담보대출금리 하락으로 금융 비용이 감소하고, 이는 주택을 소유함으로써 발생하는 사용자 자본비용을 줄이고 PRR는 증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주택가격이 상승하게 된다. Macroeconomic conditions surrounding Korea between 2010 and 2012 can be described by a slowing growth rate and low interest rates, which consequently affects the operation of the housing market mechanism through various channel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whether the PR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channels in Korea. Moreover, the paper is to study the effects of low interest rates and GDP growth on financial sectors of housing. In this study, the data come from average house purchases and Chonsei prices per ㎡, housing finance variables (house mortgage loan balance and its interest rates, residential property investment, etc.) and housing supply variables (volume of building construction permits and initiated construction area, etc.) released by the BOK, Real Estate 114 Inc. and Statistics Korea. LIR and LVR were calculated using the data from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Results show that Korea also shows a significant linkage between the real housing market and financial market through PRR similar to foreign countries. Stagnation in the real economy weakens the sentiment of expectations for house prices to rise in the future and hence pulls down house prices. In other words, the fall in GDP could lead to a fall in the expected increase in house prices, a rise in users’ expenses, a decline in the PRR and eventually a fall in house prices. This means that housing would loose its value as an investment good and therefore the housing market would experience a decrease in the demand for house purchases and an increase in the demand for rent (Chonsei and monthly rent). A decline in interest rates causes financial costs and user costs, which increases PRR, so that house prices may increase.

      • KCI등재

        수도회 ‘총회의 권한’에 관한 연구

        김현조(Kim, Hyun Cho)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신학과 철학 Vol.- No.38

        본 연구는 수도회 ‘총회의 권한’에 관해 올바른 이해와 입법을 돕기 위한 것이다. 보편법은 총회의 권한을 각 수도회의 회헌에 규정하도록 열어두었다. 이에 수도회들은 총회의 권한의 종류와 의미를 알아야 한다. 그래야 자신의 수도회의 성격에 맞도록 적절히 취사선택하여 입법하고 적용할 수 있다. 그래서 필자는 먼저, 역사 속에 수도회들의 총회 권한의 배경과 발전의 추이를 간단히 살폈다. 이어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보편법 입법 과정에서 교회와 입법자의 총회 권한에 관한 입법 취지를 연구하였으며 이 입법 이후 학자들의 견해를 통해 총회 권한에 포함된 대표권, 식별권, 선거권, 의결권, 통제권(심사권), 제안권과 통치권(입법, 사법, 집행)을 세분하여 다루었다. 여기서 더 나아가 이러한 권한의 종류에 따라 현재 수도회들이 고유법으로 규정하는 실태를 분석하면서 실제적인 면도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 수도회들이 회의를 개최하고 활용하면서 추구하였던 목적과 총회의 권한의 변화 등에 관한 역사적 의미가 파악되었고 교회와 교회 권위들이 총회에 권한을 부여하고자 하였던 입법 취지가 밝혀졌다. 즉 총회의 권한들 가운데 중심이 되어야 하는 것은 회를 대표하는 권한과 회의 세습자산에 대한 식별의 권한이다. 이에 따라 다른 권한들이 상호 보완하여 회를 올바로 이끌도록 구체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실제 수도회들은 총회의 권한을 적절하게 규정하고 있었으나 주된 권한인 식별권을 규정한 수도회는 소수이며 일부 권한으로 치우쳐 규정하고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총회의 권한들은 보편법이 회들에게 열어둔 부분이기에 회의 자치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하여 규정할 수 있다. 하지만 총회의 권한들이 균등하게 규정되지 않고 구체적이지 않으며 회헌이나 근본규범에 규정되어 있지 않아 안정성과 지속성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총회마다 그 권한이 행정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면 총회는 불안정성과 불공정성의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들을 피하면서 총회 권한들을 각 회들의 성격에 따라 자유롭게 입법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성과물로 제공했다. This article aims to clarify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legislative functions of the religious institute’s ‘power of the General Chapter’. The universal law entrusts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to the constitutions of each religious institute. Therefore, religious institutes should know what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are, and what they mean. Through this understanding,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must be appropriately legislated and applied to suit the nature of the religious institute. The study first explain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the power of the General Chapter of the religious institute. Subsequently, in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in the process of legislating the universal law, the purpose of the Church and legislators was studied, to elucidate the power of the General Chapter. In addition, through the opinions of scholars following this legislation,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power of representation, discrimination, election, deliberation, control (examination), proposal and governing authorities (legislative, judicial, and administrative) includes in the power of the General Chapter. Furthermore, the practical aspect was also confirmed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s that the current religious institutes stipulate in their proper law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powers. This study illuminates the purpose that the religious institutes pursued while holding and using the General Chapter. Furthermore, the study shows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the change in the power of the General Chapter, and reveals the legislative purpose of the Church and Popes that sought to empower the General Chapter. The study argues that, among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the power of representation and the power of discrimination on the patrimony of the institute should be central. Accordingly, different powers must be specifically defined so that each power can be complemented and the institutes properly were led. This study confirms that several institute properly prescribed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However, most of the institutes overlooked the main authority or stipulated some power in focus. Of course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can be freely defined according to autonomy of the Institutes, because Universal Law left it open. But if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were not uniformly defined or specified, and were not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r fundamental norms, and stability and continuity were not secured,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may vary depending on the administration. This could expose the assembly to the risk of instability and injustice. In preparation for these issues, this study provides ancillary understanding for how constitutions could be revised, legislated and applied to the powers of the General Chapter.

      • KCI등재

        수도회 평의회 입법: 법제사(法制史)적 연구를 통한 입법 기준 마련

        김현조(Kim, Hyun Ch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09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이루어졌다. 하나는 수도회 평의회의 기존 입법의 결실을 살펴보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이 토대 위에 평의회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도모하고 적절한 활용 방법을 고민함으로써 새롭고 구체적인 입법을 위해 평의회가 기본적으로 갖춰야 하는 중요한 요소들에 대해 어느 정도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기준점을 토대로 현재 수도회들이 평의회에 관해 고유법에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여 평가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수도회들의 평의회 운영과 회헌 수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연구의 큰 틀은 다음과 같이 세분화된다. 수도회 전통에서 평의회 제도의 흔적을 살펴보면서 현대적 평의회 이해의 기반 위에서 그것을 분석하였고, 입법의 의미를 밝힘으로써 평의회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였다. 이어서 평의회를 규정하는 현행법 안에서 법원의 입법 내용과 취지를 아래와 같이 연구하였다. 먼저 1909년 수도회성의 훈령과 1917년 법전의 교회 입법자 입법 취지에 따라서 고유하고 다양한 수도회들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공통적인 요소로서 제시된 평의회의 특징을 밝혔다. 이것은 이어지는 현행법의 입법 과정 토론에서 논의된 의견에 담긴 논리 전개상 차이를 조명하는 작업에서 더 섬세해졌다. 그리고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공의회 이후 문헌에는 평의회와 공동체에 대한 교회론적 전망을 반영하였기 때문에 그것을 살펴보는 과정에서 입법을 위한 확장된 안목을 갖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실들은 연구의 두 번째 부분이 되는 Ⅳ장과 Ⅴ장에서 활용되었다. 곧, 평의회의 ‘구성’, ‘선출 및 자격’, ‘역할’, ‘소집’ 그리고 ‘운영’이라는 전통적 입법에서 이끌어낸 주된 주제들을 교회법 학자들의 다양한 관점들과 접목시켜, 새롭게 평의회에 대한 규정을 제정할 때에, 기준점이 되는 자료들을 제공하였다. 아울러 이 기준들을 토대로 기존 수도회들의 고유법의 실태를 파악하여 평가하고 긍정적인 면과 더불어 보완할 점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본고에서는 평의회에 대한 기존 입법을 연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입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하였다. This paper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o examine the fruits of existing legislation on the Council of the religious institutes. The second part is to present some criteria for the important elements of the Council. So the council should have a deeper understanding about its proper utilization, and develop new and concrete legislation for its found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criteria, it has to grasp and evaluate the actual condition of how the religious institutes are applying the regulations of the Council to their inherent laws. And through this paper, I intended to help the religious institutes to operate their Council and revise their Constitutions. The framework of this study is subdivided as follows. Firstly, I analyzed it on the basis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odern Council to elucidate the meaning of legislation, and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Council, while examining the traces of the Council system in the religious tradition. Subsequently, I studied the contents and purpose of the legislation of the source of current law, which defines the Council as follows; According to the suggestion by the legislator in the ‘Congregation for institutes of Consecrated Life and Societies of Apostolic life’(S.C. de Religiosis) in 1909 and ‘Code of Canon Law’ (the CIC ’17) in 1917, I have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a Council which is presented as a common element, which unique and that all religious institutes should be equipped with. This has become more delicate in the work of illuminating the differences in logic development contained in the opinions discussed in debates on the current legislation process. And since the document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its post-Council reflected the ecclesiastical perspectives on the Council and community, I could make an opportunity to have an expanded perspective on the legislation in the process of studying. The fruits of this study were utilized in the Chapters Ⅳ and Ⅴ, which are the second part of this paper. This paper combines the main themes drawn from the traditional legislation of the Council such as ‘composition’, ‘election’ and qualifications’, ‘role’, ‘convocation’, and ‘operation’ with the various views of the scholars of Canon law. And when establishing new rules for the Council, it provided data that could be used as the standard. And based on these criteria, I identified and evaluated the actual condition of the inherent laws of religious institutes and checked the positive aspects of them as well as what needs to be supplemented. In conclusion, I studied the existing legislation on the Council and provided the standard for the new legislation.

      • KCI등재

        수도회 입회 장애와 교회법 관면: 법 속의 자비의 체험

        김현조(Kim, Hyun Ch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1 神學展望 Vol.- No.214

        수도회 입회를 위해서는 조건이 있고 장애가 설정되어 있다. 이 기준이 합당하고 자격 있는 이를 입회하도록 하여 그 성소자 개인이나 수도회와 교회에 유익하게 한다. 그러나 이 장애들은 때로는 훌륭한 수도자가 될 수 있는 사람에게 입회를 막는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교회법 제도 안에서 성소를 돕는 관면에 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입회의 장애를 관면하여 정의의 법체계에서 자비가 실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취지에서 우선 첫 장에서는 관면에 관하여 기본 이해를 시도하였고, 둘째 장에서는 관면을 수여하는 주체를 여러 권위에 따라 나눠서 수도회에 관한 관면의 권한 체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마지막 장에서는 수도회 입회에 다양한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장애에 대한 관면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장애의 대상들에는 입회를 무효로 하는 무자격들과 입회에 무효는 아니지만 금지 규정의 예들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주제를 보편법 입법 과정에서도 살펴보았는데 입회의 장애로 규정되지는 않았지만 관심을 갖고 다뤘던 장애들이 더 있었다. 그 가운데 수도회의 고유법으로 규정이 가능한 장애들도 같은 관점으로 다루었다. 이러한 연구의 과정에서 장애들을 관면과 연관지어 여러 범주로 평가해 볼 수 있었다. 수도회 입회의 장애에 관한 관면 제도는 관면을 수여하는 권위자의 자비를 통한 것이라기보다 법체계 자체에 관면의 여러 기준과 타당한 이유를 통해 관면이 가능하도록 이미 갖춰져 있는 것으로 드러난다. 결국 입회자가 법의 정의를 넘어 자비를 체험할 수 있는 가능성을 법 체계 자체가 이미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 자비는 법을 제정한 입법자의 자비이고 더 근원적으로는 교회법의 원천인 하느님의 자비일 것이다. There are conditions and impediments set in order for admission to the religious Institute. These standards ensure an admission of those who are worthy and qualified, benefiting the individual candidate, the religious Institute, and the Church. However, these impediments can sometimes be a stumbling block to the admission of someone who could become a good religious.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dispensation in helping these vocations within the legal system of canon law. Mercy can be realized in the legal system of justice by dispensing the impediments of admission. To this effect: the first chapt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dispensation. In the second chapter, concerns the subject of granting dispensation which are divided into various authorities and the system of authority of dispensation related to the religious Institute was examined. In the last chapter, concerns the possibility of dispensation of impediments was looked into by examining various cases in the admission of candidates. Among the subjects of impediment, there were examples of irregularities (disqualifications) that invalidated the admission, and those that were not invalid but prohibited the admission. While these research topics were dealt with, they were not set as an impediment to the admiss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of universal law, but they were treated with interest. Other impediments that could be set as the proper laws of the religious Institute were dealt with from the same perspective. In the process of this study, these impediments could be evaluated in several categories with regard to dispensations. It turns out that the system of dispensing with impediments of religious admission not through the mercy of the authority granting the dispensation, but it is already equipped in the legal system itself to allow dispensation through various standards of dispensation and good reasons. Eventu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legal system itself contained the possibility that the candidate could experience mercy beyond the justice of the law. And that mercy will be the mercy of the legislator who made the law, and more fundamentally the mercy of God, the source of canonical law.

      • 새로운 ERM-방법에 의한 미세구조 N-채널 MOSFET의 유효 캐리어 이동도와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정확한 분리 추출

        김현,수동,송상준,김대정,김동명,Kim, Hyun-Chang,Cho, Su-Dong,Song, Sang-Jun,Kim, Dea-Jeong,Kim, Dong-Myong 대한전자공학회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7 No.12

        A new method, the external resistance method (ERM method), is proposed for accurate extraction of the gate bias-dependent effective channel carrier mobility (${\mu}_{eff}$) and separated parasitic source/drain resistances ($R_S$ and $R_D$) of n-channel MOSFET's. The proposed ERM method is applied to n-channel LDD MOSFETs with two different gate lengths ($W_m/L_m=30{\mu}m/0.6{\mu}m,\;30{\mu}m/1{\mu}m$) in the linear mode of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I_D-V_{GS},\;V_{DS}$). We also considered gate voltage dependence of separated $R_2$ and $R_D$ in the accurate modeling and extraction of effective channel carrier mobility. Good agreement of experimental data is observed in submicron n-channel LDD MOSFETs. Combining with capacitance-voltage characteristics, the ERM method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for accurate and efficient extraction of ${\mu}_{eff},\;R_D,\;R_S$, and other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structure MOSFET's in which parasitic resistances are critical to the improvement of high spee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미세구조 N-채널 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존하는 유효 채널 캐리어 이동도와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정확한 분리 추출을 위해서 새로운 ERM-방법을 제안하였다. ERM-방법은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는 게이트 길이가 다른 두개의 소자($W_m/L_m=30{\mu}m/0.6{\mu}m, 30{\mu}m/1{mu}m$)에 적용되었고 유효 채널 캐리어 이동도를 모델링하고 추출하는 과정에서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존하는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영향을 고려하였다. ERM-방법으로 추출된 특성변수들을 사용한 해석적 모델식과 소자의 측정데이터를 비교해본 결과 오차가 거의 없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RM-방법을 사용하면 대칭구조 및 비대칭구조 소자의 유효 채널 캐리어 이동도,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과 다른 특성변수들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탈북 1인 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김현아 ( Kim Hyun-ah ),영아 ( Cho Younga ),김요완 ( Kim Yowa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의 특성이 어떠한지 파악하고 이들에게 적합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표집 하였고, 탈북 후 남한에 혼자 사는 1인 가구 중 서울경기의 수도권 4명, 지방 5명 총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 (CQR)에 의하였으며, 면접 조사 및 자료 분석은 교육학 및 심리학 박사 3명에 의한 삼각 검증법으로 진행되었다. 합의도출 결과 5개 범주, 14개 하위영역, 62개 개념이 도출되었다. 탈북 1인 가구는 남한입국 이전의 가족 해체된 경험으로 결혼보다는 남한 사회 정착이 우선이었고 재북 가족과의 미해결과제가 남아있으며, 남한입국 후 가족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었다. 또한 1인 가구로서의 심리적 고통, 가족부재로 인한 사회문화 적응의 취약성, 경제적 독립과 주거 안정의 어려움, 혼자 챙기는 건강 문제로 인한 홀로서기의 어려움도 겪고 있다. 하지만 생존을 위해 전략적으로 대인관계를 맺거나, 긍정적 자원으로서의 적응유연성, 적극적 배움을 통한 삶의 의미추구와 같은 심리적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문화적 유능성의 신장, 경제적 자본습득을 위한 부단한 노력, 체험과 적성을 고려하는 안정적인 진로탐색과 같은 사회문화적 적응을 위한 노력을 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 추후연구에 대한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haracteristics of one-person household among North Korean refugees to better understand a background of occurrence, their difficulties in adaptation and coping in South Korea. Based on qualitative research, the main method of research is the in-depth interview. The subject of the interview are 9 one-person household among North Korean refugees. For data analysis,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was used. There were 62 concepts, 14 sub-categories and 5 categories extracted fro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ose 5 categories were `Change in the family relationship as one-person household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difficulty in independency as one-person household in South Korea`, `interpersonal relationship to a strategic coping for survival`, `psychological resources`, `effort to adapt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for policy and program development for the North Korean one-person household.

      • 새로운 ERM-방법에 의한 미세구조 N-채널 MOSFET의 유효 캐리어 이동도와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정확한 분리 추출

        金炫昌(Hyun Chang Kim),曺洙東(Su Dong Cho),宋尙駿(Sang Jun Song),金大井(Dea Jeong Kim),金東明(Dong Myong Kim) 大韓電子工學會 2000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37 No.12

        미세구조 N-채널 MOSFET의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존하는 유효 채널 캐리어 이동도와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정확한 분리 추출을 위해서 새로운 ERM 방법을 제안하였다. ERM-방법은 선형영역에서 동작하는 게이트 길이가 다른 두개의 소자(W<SUB>m</SUB>/L<SUB>m</SUB>=30㎛/0.6㎛, 30㎛/1㎛)에 적용되었고 유효 채널 캐리어 이동도를 모델링하고 추출하는 과정에서 게이트-소스 전압에 의존하는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의 영향 을 고려하였다. ERM-방법으로 추출된 특성변수들을 사용한 해석적 모델식과 소자의 측정데이터를 비교해본 결과 오차가 거의 없이 일치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ERM-방법을 사용하면 대칭구조 및 비대칭구조 소자의 유효 채널 캐리어 이옹도, 소스 및 드레인 기생저항과 다른 특성변수들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추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 new method, the external resistance method (ERM method), is proposed for accurate extraction of the gate bias-dependent effective channel carrier mobility (μ<SUB>eff</SUB>) and separated parasitic source/drain resistances (R<SUB>S</SUB> andR<SUB>D</SUB>) of n-channel MOSFET’s. The proposed ERM method is applied to n-channel LDD MOSFETs with two different gate lengths (W<SUB>m</SUB>/L<SUB>m</SUB>=30 ㎛/0.6 ㎛, 30 ㎛/1 ㎛) in the linear mode of current-voltage characteristics (I<SUB>D</SUB>-V<SUB>GS</SUB>, V<SUB>DS</SUB>). We also considered gate voltage dependence of separated R<SUB>S</SUB> and R<SUB>D</SUB> in the accurate modeling and extraction of effective channel carrier mobility. Good agreement of experimental data is observed in submicron n-channel LDD MOSFETs. Combining with capacitance-voltage characteristics, the ERM method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for accurate and efficient extraction of μ<SUB>eff</SUB>, R<SUB>D</SUB>, R<SUB>S</SUB>, and other characteristic parameters in both symmetric and asymmetric structure MOSFET’s in which parasitic resistances are critical to the improvement of high speed performance and reliability.

      • KCI등재

        수도회의 ‘형제적 공동생활’·‘카리스마와 세습자산’·‘사도직’에 관한 교회 문헌과 교회법적 체계 안에서 상호관계

        김현조(Hyun-Cho Kim)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0 가톨릭신학 Vol.0 No.37

        본고는 공동체 안에서 ‘형제적 공동생활’과 ‘카리스마(세습자산)’, ‘사도직’에 관하여 그 상호관계를 교회 문헌과 법체계 안에서 조명하고 각 주제를 상호 연관성 차원에서 고찰하였다. 무관하게 분리되어 존재하는 법 조항들을 이 세 가지 개별 주제로 나누어 이해를 도모하는 동시에 이들의 상관관계를 조명함으로써 독립된 개념들 사이로 가교역할을 하는 상호 협력의 연결고리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이에 필자는 첫째로 ‘형제적 공동생활’의 기본 개념과 이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마련된 관련 교회법 조항들을, 둘째로 수도생활에 관련된 다양한 종류의 카리스마(세습자산)의 개념을 정리하고 교회법 안에서 이에 상응하여 대체된 용어인 ‘세습자산’을, 셋째로 위 두 주제와 연관된 ‘사도직’의 기본 개념과 이해를 다루었다. 이후 이 세 가지 주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각 주제 간의 상호관계를 부각하고 이렇게 드러난 관련성에 따라 법 조항들의 연관된 체계를 구성해보았다. 이 작업은 표면적으로 서로 다른 세 주제가 궁극적으로는 선순환 관계로 통합된 일치를 구축하고 있음을 명시하는 효과를 목표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필자는 본고를 통해 흩어져 배치된 교회법 조항들을 세 주제의 같은 구도 안에서 연결하고 종합할 수 있는 개괄적 안목을 제공하여 각 조항의 보다 깊은 이해와 확대될 수 있는 적용의 폭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세 주제와 관련된 법 조항 각각의 내용을 분석하고 구체적으로 연결 짓는 작업은 본고의 범위를 넘어선다. This article consider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brotherly community life’, ‘charisma(patrimony)’ and ‘apostolate’ in the context of church documents and canon law.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se three topics this study takes a three-part approach. First, each are examined individually. Second, the study looks at how they are correlated, and how they work together to illumine mutual understanding. Third, this study explicates the concept of ‘brotherly community life’ within the supporting canonical provisions. The study locates the canonical term of ‘patrimony’ and how this concept later allowed for the substitution of various ‘charismas’ and defined their relation to religious life. Subsequently, the study surveys the basic idea of ‘apostolate’ and its connections to the concepts previously examined. Finally, the remodeled legal system is presented wtihin a new understanding of the themes’ mutuality. This process demonstrates agreement among three seemingly different themes which are in fact united within a virtuous circulation. In this stream of the text, scattered canonical provisions are assembled into the same structure, provid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law, and illuminating the range of the subject’s application. Linking the contents of each legal provision to an in-depth analysis, however, is beyond the scope of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