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원효의 본각과 여래장

        조수동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10 No.-

        깨달음의 가능성을 지칭하는 개념은 여래장, 불성인데, 『대승기신론』에서는 그것을 본각(本覺)이라 한다. 원효(617-686)는 본각을 마음의 본성으로 부각상(不覺相)을 여읜 것, 제9 아마라식이라 하고, 그것은 각조(覺照)의 성질이 있다고 하였다. 본각은 여래장이다. 여래장으로서의 본각은 생멸문의 본각으로 생의의 능력을 가진다. 그러므로 여래장은 수염본각과 관련된다. 여래장이 생멸의 의지가 된다는 것은 본각의 현실세계에 대한 작용 전개를 설명하는 것이다. 불생불멸한 여래장이 생멸의 세계를 전개하는 것에 대해 원효는 여래장과 아라야식을 동일시함으로써 해결한다. 여래장과 무명이 함께 하는 구조를 아라야식의 각과 불각의 구조로 본다. 본각은 불생불멸한 것으로 여래장이지만 불각에 의한 7전식이 생멸을 일으킨다. 원효는 여래장사상을 통해 심진여와 심생멸의 이원적 구조를 해결하려고 하였다. 우리의 본성은 본 각이다. 그러므로 무명에 의한 불각, 수행의 단계인 시각은 본래 본 각에서 근원한다. 불각의 상태에서 본래의 심원으로 돌아가기 위해서는 수행을 해야 하면 원효는 지관(止觀)병수를 강조한다. 悟りの可能性を指稱する槪念は如來藏そして佛性なのに, 『大乘起信論』ではそれを本覺という.元曉(617-686)は本覺を心の本性で不覺相を死に別れたこと, 第9阿摩羅識といって, それは覺照の性質があると言った. 如來藏としての本覺は生滅門の本覺で, 生意の能力を持つ. 如來藏が生滅の意志になるということは本覺の現實世界に對する作用展開を說明するのだ. 元曉は如來藏と阿羅耶識(阿賴耶識)を同一視して不生不滅の如來藏が生滅の世界を展開する問題を解決する. すなわち, 如來藏と無明が一視にする構造を阿羅耶識の覺と不覺の構造で見る. 覺は不生不滅したことで如來藏だ. 無明による7戰識が生滅を起こす. 元曉は如來藏思想を通じて心眞如と心生滅の二元的構造を解決しようと思った. 私たちの本性は本私だ. だから, 無明による本覺, 修行の段階である始覺は本來に本覺で根源する. 不覺の狀態で本來の心原に歸るためには修行をしなければならなければ元曉は止觀竝修を强調する.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전륜성왕의 정치이념과 평화

        조수동 한국민족사상학회 2011 민족사상 Vol.5 No.2

        붓다가 살던 시대에는 군주제와 공화정의 두 정치체제가 있었다. 붓다는 공화제를 민의가 잘 반영되는 민주적 국가체제로 보았다. 그러나 현실은 군주제국가들이 강력한 힘으로 이웃나라를 위협 정복하고 있었다. 그래서 붓다는 正法을 실현하는 이상적인 군주의 상 즉 전륜성왕의 이념을 제시하고 있다. 전륜성왕은 왕 중의 왕으로 갈등과 분쟁을 정법에 의해 평화적으로 종식시키고, 도덕적으로 통치하는 세계의 통치자이다. 전륜성왕이 다스리는 세계에서는 모두가 평등한 권리를 가지며, 정치, 경제적 자유를 누릴 수 있다. 전륜성왕은 정법에 의해 통치한다. 정법이란 보편적인 인륜의 이법이다. 그것은 불교의 五戒에 근거해 있으며, 우리들이 마땅히 지켜야 되는 도덕적 기반이다. 정법에 의해 통치할 때 진정한 평화가 실현된다. 전륜성왕의 정치의 목적은 이러한 정법을 가르치고 실천하도록 하여 세계적인 평화를 이루는데 있다. 불교에서는 인간의 이기적인 욕망이 모든 사회문제 발생의 원인이라 본다. 그래서 인간의 내면적인 자유와 평화의 실현에 의해서 여러 사회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참된 평화는 공포나 증오가 없는 자유롭고 자비로운 분위기 속에서만 가능하다. 평화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비폭력이나 자비의 실천이 요구된다.

      • KCI등재
      • KCI등재

        『삼국유사』에 나타난 불교사상에 관한 연구

        조수동 새한철학회 2001 哲學論叢 Vol.24 No.2

        『삼국유사』는 우리 나라의 불교전래의 모습을 충실하게 기록하고 있다. 삼국유사에 나타나고 있는 불교사상은 호국불교, 민중불교, 화엄사상, 정토사상, 유식사상, 밀교사상, 미륵사상, 관음신앙 등이다. 종파로는 명랑의 신인종과 유가종이 언급되고 있으며, 의상의 화엄종 성립도 추론할 수 있다. 호국불교는 『인왕반야경』과 『금광명경』을 근거로 하며 백고좌회, 팔관제회, 호국사탑의 건립 등을 통해 실천되고 있다. 해동 화엄학의 개조는 의상이다. 그는 화엄사찰의 창건, 제자 양성 화엄교학의 연구뿐만 아니라 민중들에게는 관음신앙, 아미타신앙 등을 홍해서 불교신앙을 보급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정토신앙은 불교를 민중의 마음에 심었으며, 追善, 往生淨土, 현신성도, 인간평등사상이 나타나고 있고, 미륵사상은 민중들에게는 이상사회 도래의 희망, 군주에게는 전륜성왕 사상을 심어주었으며 追善, 현실에서의 재생, 미륵 감응 등의 신앙이 나타나고 있다. 진표는 미륵사상과 점찰참회법, 계율을 융합시킨 독창적인 불교를 보이고 있다. 신라의 밀교는 순밀 보다는 잡밀이 유통되었고, 鎭護國家사상과 除患愈病, 禳災與樂의 사상이 나타나고 있다. 관음신앙은 현실의 괴로움을 극복하고 개인의 소원을 들어주는 이상적 신앙인데, 민중구원사상, 평등사상, 진신주처사상, 서방왕생 사상 등을 통해서 관음의 자발적 응현구제를 나타내고 있다. Sam-Guk Yu-Sa reports profiles of transmission of our nation substantially. The Thought of Buddhism in Sam-Guk Yu-Sa contains Dedence-Buddhism, Popular Buddhism, Hua-en, Pure Land, Vijnpti-matrata, Esoteric Buddhism., Maitreya, Avalokite- ?vara etc.. The Thought of Buddhism that Sam-Guk Yu-Sa represent consistently is as following; The consistent inhabitance of Buddha and Bodhisattva and the thought of human-equality and salvation of the general people. Hua-en emphasizes the praxis rather than the sophisticated theory of the Avatamsaka philosophy and I-sang and non-I-sang play an active part In Hua-en. The thought of Pure Land is the faith that transplants Buddhism in popular spirit and pray for the dead. And The thought was developed to faith that pray for the rebirth in Pure Land and for becoming Buddha in this world. The thought of Maitreya represent doctrine that give a expectational massage the general people, naimly ideal Land will advent soon, and that pray for the dead and rebirth posthumously and respond to Maitreya in this life. The thought of Esoteric Buddhism contains faith that defend a nation from foreign enemy, treat disease, repel disaster, and invoke blessing. The faith of Avalokitesvara is ideal salvation that make one overcome agony in this life and fulfill indiviual wish. In here, The faith of people-salvation and human equalty and intentional salvation of people by Avalokitesvara are distinctive featur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대승불교의 복지사상

        조수동(曺洙東)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3 No.1

        불교의 복지사상은 정신적 복지와 물질적 복지로 나누어진다. 불교에서는 정신적, 물질적으로 충족한 상태가 진정한 복지라 본다. 불교복지의 기본 이념은 보살사상, 보시, 보은, 복전사상이다. 불교복지는 대승불교의 보살정신의 확립과 그 실천에 의해서 구체화된다. 보살은 자신의 성불은 뒤로 미루고 자비심에 근거하여 중생들을 정신적 물질적으로 구원한다. 불교복지는 자비와 보시의 정신에 기초하여 사회의 전반적인 부분에서 시행되었다. 그것은 빈궁자에 대한 구제, 재난으로부터의 구제, 소외계층과 장애인들에 대한 복지 실천, 간병과 같은 의료복지, 그리고 죄수들에 대한 교정복지 등 사회적 인식을 토대로 여러 방면에서 이루어졌다. 불교복지의 궁극적 목표는 보시를 통한 利他적 사회에로의 移行이며, 궁극적으로 모든 사람을 해탈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불교사회복지가 나아가야 될 방향은 정신과 물질이 조화된 복지이다.

      • KCI등재

        소외와 복지관광에 관한 연구

        조수동 새한철학회 2011 哲學論叢 Vol.65 No.3

        소외는 여러 계층에서 생겨나지만 특히 노인 소외는 산업화와 고령화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이다. 노인 소외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는 노인 각자의 세대적 환경의 변화, 늙음, 죽음, 여가에 대한 가치관의 변화, 가족, 사회, 국가의 해결책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우리나라의 노인복지정책은 물질적 조건이나 신체적 조건의 개선에 집중되는 측면이 있다. 그러나 고령화 문제는 물질적 차원만이 아닌 정서적이고 실존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을 필요로 한다. 노인들의 수명연장에 의해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삶에 대한 시간의 운용이 필요하다. 그 하나의 대안이 여가시간의 적절한 활용이다. 복지관광은 관광 소외계층에게 관광의 기회를 평등하게 제공하여 삶의 변화를 이끌어 내고자 한다. 따라서 복지관광은 관광에 참여할 수 없는 계층에게 최소한의 휴식과 여행의 권리를 부여함으로써 사회정의의 실현과 복지사회 구현 등 사회 안정과 개인의 복지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 나아가 문화개발과 국민결속의 효과적 수단이 될 수 있다. 복지사회 구현을 위해서 소외 계층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와 정부의 구체적인 복지정책의 수립과 실천이 따라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