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젠더 개념을 통해 본 잡지에 게재된 주거공간의 특성과 변화 -1980년에서 2003년 사이에 게재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김항아,강미선 대한건축학회 2005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1 No.6

        A gender is the first order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reality. Classifying popular magazine is a valuable instrument for perceiving gender realities in society that dominates our thoughts and behavior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how Contemporary Korean Houses have been changed and regulated since 1980's, through the specific Causality of Gender and Magazine. Contemporary Korean Houses appear to be conceived as systematic, rational and contemporary space, reflecting closely to the changes of gender issues. However, Korean Houses signify socio-spatial power by gender. Therefore, the purpose is to, First, 1) analyze the features of Korean Houses through social changes of gender in relation to social status of woman and value of family and gender classification of role regulation. Second, 2) find out gender issues, which being implied in the space of Contemporary Korean Houses in popular magazine. : it includes the feminism, class, user, consume and ostentation of residential space. Finally, 3) establish the specific Causality and effects of Gender.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Houses, illustrated in popular magazine, has developed through changes of the interaction and causality of gender. Second, despite of magazine's successful influence on Contemporary Korean Houses, the magazine has produced discriminate effects such as, the distortional feminism, user and class definition and consume and ostentation of residential space. Therefore, Magazine, as leading mass media depicting social and gender space, needs to consider a new role behind these changes and disparities of region, class and gender.

      • KCI등재
      • 젠더적 시각에서 본 잡지에 게재된 주거공간의 변화 특성-1980년에서 2003년 사이에 게재된 주거공간을 중심으로-

        김항아(Kim. Hang-A),강미선(Kang. Miseon)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4 No.1

        A gender is the first order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reality. Classifying popular magazine is a valuable instrument for perceiving gender realities in society that dominates our thoughts and behaviors. This study intends to understand how Modern Korean Houses have been changed and regulated since 1980's, through the specific Causality of Gender and Magazine. Modern Korean Houses appear to be conceived as systematic, rational and modern space, reflecting closely to the changes of gender issues. However, Korean Houses signify socio-spatial power by gender. Therefore, the purpose is to, First, 1) analyze annalistic features of Korean Houses through social changes of gender in relation to social status of woman and value of family and gender classification of role regulation. Second, 2) find out gender issues, which being implied in the space of Modern Korean Houses in popular magazine. : it includes the feminism, class, user, consume and ostentation of residential space.<br/>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Korean Houses, illustrated in popular magazine, has developed through changes of the interaction and causality of gender. Second, despite of magazine's successful influence on Modem Korean Houses, the magazine has produced discriminate effects such as, the distortional feminism, user and class definition of residential space. Therefore, Magazine, as leading mass media depicting social and gender space, needs to consider a new role behind these changes and disparities of region, class and gender.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변화와 과제

        김항인 ( Hang In Kim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6

        본 논문의 목적은 현행 초등도덕과 교육과정을 과거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장단점을 분석하고, 향 후 과제와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는 것이다. 초등 도덕과는 10여 차례의 교육과정 변화에 맞물리면서 다문화 사회 및 갈등 해결 능력을 강조한 교육목표 구성, 가치덕목 배열의 세련화, 교육 내용의 축소와 심화, 생활의 길잡이 미도입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이와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향후 과제로서 첫째, 가치덕목 체제에서 주제 중심 체제로의 변환이 요구되며, 가치 덕목을 선정함에 있어 학문적, 경험적 근거를 확보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도덕적 탐구능력의 강화로서 학생들의 도덕 추론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교사의 발문 혹은 토론 과정을 자세히 안내하도록 하는 교재가 요구된다. 셋째, 실천위주의 인성교육 연계 강화 방안으로 학생들의 수준에 적합한 인성교육 프로그램과 경험적 결과에 근거한 프로젝트형 수업이 요구된다. 넷째, 교과용 도서 개발에 있어서 검인정 체제 도입 고려 및 모바일 정보기기의 발달로 인한 신세대 학생들의 수준에 맞추어 도덕과 교수-학습 방법의 세련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의 변화를 이끌기 위해 도덕성의 인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행동적 측면을 골고루 발달시키기 위한 통합적 노력과 가정과의 연계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urrent Moral Education curriculum with the past curriculum, to analyze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it, and to present the challenges and look toward improvement.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has undergone many changes including multi cultural society, the need for conflict resolution skill, refinements of virtue array, and reduction of educational content over 10 times change of curriculum. Despite these changes, several recommendations are needed. First, the system needs a transformation of the subject centered in the value system as future challenges. In selecting the core values, research and empirical evidence are required. Second, the materials need to be developed to guide the questioning of the teacher and the process of discussion in detail that can lead to students` moral reasoning skills. Thir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action-oriented character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Fourth, for the development of moral education textbook, bottom-up development by various agencies is needed. Also the refinement of mobile textbook is required for new technology generation. Finally, moral education should be cooperated with the home side and integrate the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morality for the change of students` moral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토의 학습의 활성화 방안

        김항인(Hang-In Kim)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2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4

        많은 교육학자들을 비롯하여 학부모들과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교육에 대해 항상 논의할 경우, 교사 중심의 수업이 대부분을 차지한다고 지적하며 보다 수요자 중심, 즉 학생 중심의 교육이 더욱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요구는 결코 새로운 것이 아니다. 1970년대 사회과와 과학과를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되었던 ‘탐구학습’방법은 학생 중심의 과학적 사고와 적용을 강조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오늘날 교수학습이론에서 ‘탐구학습’이론을 찾기는 쉽지 않다. 즉 탐구학습의 열풍이 1990년대 들어와 식은 것이다. 또한 1980년대 후반부터 1990년대 초∙중반까지 학급 혁명이라고 불릴 정도였던 ‘열린 교육’의 열풍 역시 수요자 중심의 대표적인 교육이론이었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교사들로부터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외면되어오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 KCI등재

        탈근대의 철학, 반근대의 정치: 박종홍의 한국사상과 민족주의

        김항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民族文化硏究 Vol.52 No.-

        이 논문은 박종홍의 한국사상 연구와 그의 민족주의 및 정치참여 사이의 내적 관계를 추적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는다. 이 때 박종홍에게 한국사상이란 실존주의와 과학철학이라는 아포리아에 봉착한 서구 현대철학을 초극하는 대안이었으며, 그런 한국사상에 기초한 민족주의는 법제도를 근간으로 하는 합리적 근대정치를 부정하는 정치적 원리로 귀결되었다. 따라서 그의 유신정권 참여는 독재정권에 대한 협력이기 이전에 자신의 철학적 논리 전개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도출된 것이며, 박종홍은 누구보다도 자신이 세운 철학적 원리에 충실했던 철학자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박종홍에게 민족주의는 한국사상이라는 혈맥 속에서 꽃피어날 수 있는 반근대적 정치원리였던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ternal relations between Park Jong Hong's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and his participation to Park Jung Hee's totalitarian regime. For Park Jong Hong, Korean philosophy was an alternative for overcoming an aporia of modern western philosophy which has been divided into existentialism and epistemology. Based on studies of Korean philosophy, he could found his own nationalism which denied the priciples of modern politics which has in its core legal and rational way of governing. Although his participating to totalitarian government has been blamed for collaboration, his political action was not a simple collaboration but a result of his philosophical deliberation. This sort of philosophical inquiry and political action could be named as 'philosophy of overcoming modernity' and 'politics of anti-moder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