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위한 말뭉치 구축의 필요성과 방법론

        김한샘,한지윤,최경호,정해연,곽용진 국제어문학회 2017 국제어문 Vol.0 No.75

        The teaching - learning utterance has a strong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utterance turns and a low occurrence rate in spontaneous utterances. Generally speaking, language resources composed of a vocabulary, a presentation unit, and a dialogue unit and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and topic are needed. Since the existing corpus does no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teaching - learning utterance, it is less useful for developing Korean tutoring chatbot. In this paper, we construct a quasi-spoken corpus that reflects the actual situation of teaching-learning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natural language use collection, tool-based collection, subject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and gradual construction procedure. The language learning situation in the classroom is constituted as a scenario to control the conversation flow and construct the corpus through a tool similar to the chat messenger.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the first time to build a quasi - spoken corpus that generates utterances based on scenarios of Korean learner and Korean instructor to develop Korean tutoring chatbot. 교수-학습 발화는 발화 턴 간에 규칙화된 인과관계가 강하고 자연 발화에서의 출현율이 낮으며, 일반적으로 어휘부, 표현 제시부, 대화부로 구성되고 커리큘럼과화제를 고려하여 진행된다는 특징이 있다. 기존의 말뭉치는 이러한 교수-학습 발화의 특징을 반영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어 교육용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는 데에활용도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자연스러운 언어 사용 수집, 도구 기반의 수집, 주제별 수집 및 분류, 점진적 구축 절차의 원칙에 따라 교수-학습의 실제 상황을 반영하는 준구어 말뭉치를 구축한다. 교실에서 발생하는 언어학습 상황을 시나리오로 구성하여 대화 흐름을 제어하고 채팅용 메신저와 유사한 형태의 도구를 통해 말뭉치를 구축한다. 이 연구는 한국어 튜터링 챗봇을 개발하기 위해 말뭉치 구축용 챗봇을 활용해 한국어 학습자, 한국어 교수자가 시나리오를 기반으로 발화문을 생성하는 준구어 말뭉치 구축 방법론을 제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말뭉치 기반 한국어 연구의 현황과 전망

        김한샘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3 No.-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present state of corpus-based Korean language research and to forecast the future. As a result of applying the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to the title and keywords of the corpus-based research, it was analyzed as three main areas including the Korean education area, the 21st Century Sejong Corpus area, and corpus area related main concepts in corpus linguistics. Corpus-based Korean language research has been accumulated in consideration of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corpus in terms of corpus building, corpus annotation, and corpus information extraction. From now on, the research on various registers and genres should be activated, and the corpus-based research can be broadened by inducing the combination of data-based social science and linguistics. It is necessary to activate multilingual resource construction and research. As the importance of semantic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has increased, attention to the meaning representation of Korean is needed.

      • KCI등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 이미지 연구

        김한샘,라경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ypes of images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o analyze each type’s characteristic. Around 300 Q-samples were extracted by conducting semi-structured interview of 12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nalyzing previous research about contracted teaches. 40 Q-classifications were selected after testing validities of questions and contents from the Q-samples. Selected Q-classifications were carried out on the image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30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were objects of this study. The results shows that images of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ere classified as 4 types. The first type was “Student-centered practitioners with responsibility”, second “Assistant with unclear work limitations”, third “Theorists with difficulty in relationships”, and fourth “Good but passive and immature newcomer.” Type 1 contract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re considered as they care their students the most, and do their best at work. Type 2 teachers are considered unclear in their limits of work due to unfair divisions of work, and also show the perceptions of their social status is lower than special education teachers’. Type 3 teachers are less likely show their emotions, believed as having hard time in building relationship, but generally have plenty of theoretical knowledge. Type 4 teachers are considered as less likely express their own opinion, and lack of the skills needed as a teacher, but they are kind. Therefore, it suggests that practical proposals. such as policy ideas and school life adjustment program for contracted special teachers, are needed.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하여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에 대한 이미지를 유형화하고 각 인식유형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특수교사 12명을 대상으로 반구조화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기간제 교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일차적으로 약 300개의 Q-모집단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Q모집단은 적절성과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여 최종적으로 40개의 Q-표본으로 추출한 후 P표본으로 선정된 30명의 특수교사에 주관적 동의정도를 7점 척도로 분류하고 통계 프로그램(PQMethod)을 통해 요인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특수교사가 지각하는 기간제 특수교사의 이미지에 대한 유형을 분석한 결과 4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제 1유형은 ‘학생중심의 책임감 있는 실천가’, 제 2유형은 ‘관계형성에 어려움을 겪는 이론가’, 제 3유형은 ‘업무의 한계가 불명확한 도우미’, 제 4유형은 ‘소극적이고 미숙하지만 착한 신참내기’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기간제 교사의 이미지 제고 및 교사양성 프로그램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공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