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졸중환자의 사회참여와 대인관계의 상관성

        김은주,Kim, Eunjoo 대한통합의학회 2019 대한통합의학회지 Vol.7 No.2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fter stroke. Methods : Scores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Reintegration to Normal Living Index (K-RNLI) and the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were determined using a face-to-face test for 98 patients who had a stroke between September 3, 2018, and January 10, 2019. SPSS 22.0 was used for the analysi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as determined. Results : According to the pati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ocial participation was related to sex, type of lesion, and affected sid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affected side (p<.05). The analysis of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the subjects revealed a high correlation with total score (r=.364; p<.01), and all the items showed correlations except sensitivity (p<.05). Conclusion : Social particip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important factors for reintegrating stroke patients into the commun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a clinical basis for rehabilitation interventions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간의 관계 검증

        김은주(Kim, EunJo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4 No.7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 자기주도학습 간의 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 개발원에서 5개년(2013-2017) 계획으로 대학의 교수-학습 질 제고 전략 탐색 연구 를 수행하면서 개발한 국가수준의 교수-학습 역량진단도구(NASEL :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를 통해 수집된 1차년도(2013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분석자료는 정보공개 제한으로 본 연구자가소속된 대학의 정보만을 분석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교수-학생 상호작용, 대학만족도가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을 설정하고 경로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자기주도학습은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과 대학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변인으로 학습성과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보다는 자기주도학습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직접적 인 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만족도와 교수-학생 상호작용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간접효과에서 대학만족도의 간접효과보다는 교수-학생 상호작용의 간접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llege satisfaction, professor-students inter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nd learning outcomes of students. Data from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 in Learning(NASEL) of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as analyzed by applying path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has a direct effect on the learning outcomes. Seco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college satisfaction mediated self-directed learning has a indirect effect on learning outcomes. Third, self-directed learning is larger direct effects on the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direct effects on the learning outcomes Fourth, professor-students interaction is larger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ing outcomes rather than college satisfaction indirect effects on the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적정기술 보조기기 개발을 위한 수요조사 및 분석

        김은주(EunJoo Kim),임명준(MyungJoon Lim),이성용(Sung Yong Lee),은선덕(Seondeok Eun)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21 재활복지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적정기술 보조기기(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AAT) 개발을 위해 보조기기 수요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자료를 분석하였다. 2020년 8월부터 2021년 6월 13일까지 수요를 제출한 176 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해당 수요를 더욱 구체화하였고,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를 사용하여 분류하였다. 수요는 총 176건이었으며, 보조기기가 필요한 일상생활 속 어려움 수요는 153건, 보조기기 맞춤 활용 수요는 23건이었다. ICF 분류 순으로 보면 이동 (82건), 자기관리 (35건), 가정생활 (18건), 의사소통 (15건), 지역사회생활, 사회생활 및 시민생활 (13건), 주요생활영역 (10건), 기타 (3건) 순이었다. 보조기기의 수요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이 시사점이 있었다. 첫째, 기존의 보조기기가 있다고 하더라도 실제 생활에서 적용하기에는 맞춤형 제작이 더 필요하다. 둘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사용하고 있으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더 이상 기업에서 생산을 하지 않아 구할 수 없는 보조기기가 있다. 셋째, 기존의 보조기기를 응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넷째, 기존에 없는 새로운 형태의 보조기기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본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국립재활원, 기업, 연구기관, 메이커스페이스, 보조기기센터 등에서 다양한 일상생활 영역에 대한 적정기술 보조기기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In this study, a needs survey for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was conducted from August 2020 to June 2021 through the website. As for the data collection method, we interviewed the users by phon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formation of the need, and classified it using ICF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 There were a total of 176 cases of needs, 153 cases of difficulties in daily life, and 23 cases of customized use of assistive technology. According to ICF classification, moving (82 cases), self-management (35 cases), family life (18 cases), communication (15 cases), community life, social life and civic life (13 cases), major life areas (10 cases), and others (3 cases). There wer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even if there are existing assistive devices, more customized production is needed to apply them in real life. Second, there are assistive devices that are not available because they are no longer produced by companies\ for various reasons. Third,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assistive device by applying the existing device. Fourth, there was a need to develop a new type of assistive device that did not exist before. Based on this needs survey, it will be necessary to research and develop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in various areas of daily life such as national rehabilitation centers, companies, research institutes, makerspaces, and assistive technology centers.

      • KCI등재

        항공서비스전공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습몰입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은주(Kim, Eunjoo),박지현(Park, Jihyeon) 대한관광경영학회 2021 觀光硏究 Vol.36 No.4

        항공서비스 전공 교과목 중에서 이론전달이 주로 이루어지는 교과목 이외에 현장에서의 업무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실무를 병행해서 진행되는 실습수업들도 있다. 이러한 실습이 이루어지는 수업에서는 아무래도 말의 내용전달에 치중하는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 비해 교수자의 표정, 시범 자세, 태도를 교정해주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여러 형태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을 더 많이 받게 된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요인을 의미언어, 신체언어, 공간언어, 신체적 외모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학습자가 교수자와의 상호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수업내용에 집중하고 빠져들 수 있는 학습몰입을 인지몰입과 행위몰입으로 구분하여 보았다. 또한 이러한 학습효과로 인해 스스로 뭔가 해낼 수 있을 것 같은 자신에 대한 신뢰감을 높여주는 자기효능감과의 연관성도 함께 알아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공서비스 전공의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학습자의 학습몰입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2021년 2월 1일부터 총 20일간에 걸쳐 항공서비스 전공수업에서 실습수업에 참여해 본 적이 있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실습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인 커뮤니케이션 하위요인 중 의미언어, 신체언어는 인지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언어, 신체적 외모는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습몰입은 스스로의 자신감 형성과 좀 더 잘 할 수 있을 거라는 믿음으로 이어질 수 있는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re are also practical classes that are conducted concurrently with practical work among the aviation service major courses. In a class in which these practices are conducted, the non-verbal communication of the instructor is more influenced. The 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were divided into semantic language, body language, spatial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and the learning immersion that learners can concentrate on and immerse themselves in through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instructor was divided into cognitive immersion and action immersion. saw. In addition, we would lik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efficacy, which increases the confidence in oneself that one can do something on his own due to this learning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semantic language and body language among the sub-factors of non-verbal communication of teachers in the practice class affect cognitive immersion, and spatial language and physical appearance affect learning immers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learning commitment affects self-efficacy, which can lead to self-confidence formation and belief that one can do better.

      • 가미태음조위탕을 복용한 과체중, 비만인에서 초기 평균 체중 감량 예측

        김은주(Eunjoo Kim),임영우(Young-Woo Lim),박영배(Young-Bae Park),강지훈(Jihoon Kang),김서영(Seo-Young Kim) 대한미병의학회 2022 대한미병의학회지 Vol.3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the initial average weight loss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taking Gamitaeeumjowi-tang.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on 25,988 overweight and obese people taking Gamitaeeumjowi-tang from January, 2017 to May, 2019. Exploratory data analysis (EDA) was performed using age, gender, weight, BMI (body mass index), Lf/Hf of heart rate variability (HRV), and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fter categorizing using significant variabl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he average weight loss corresponding to the combinations of categories as the dependent variable. Results Through EDA, age, gender, initial weight, and initial BMI were identified as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initial weight los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fter categorizing the significant variables, the R2 was 0.820 and the Adj. R2 was 0.798. Conclusions In this stud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bination of categorized age, sex, initial weight, and initial BMI. As a result, the initial average weight loss could be predicted with high explanatory power.

      • KCI등재

        현대 패션쇼 공간에 나타나는 비선형 내러티브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김은주 ( Eunjoo Kim ),안성모 ( Seongmo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에서의 경험 확장을 위한 광범위한 미디어의 활용과 결합의 실험은 공간의 디자인 연출에 있어서 중요한 시도로 여겨진다. ‘비선형 내러티브’는 상업적, 문화적으로 의미 있는 현상으로 자리 잡고 있는 유형을 중심으로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미디어의 변화된 현상은 사회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패션 분야에서 가장 빠르고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현대의 패션쇼 공간은 내러티브 중심에서 더 나아가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무한한 가치를 인정하는 유동적인 형태로 감성, 감정, 감동의 정서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예측 불가능한 비선형의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특성을 도출하고 비선형적이고 통합적인 상호작용과 공감을 위한 또 하나의 새로운 공간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우선 이론적 고찰을 통해 내러티브의 개념과 과거와 현재의 흐름을 파악하고 넬슨(Theodor Nelson)의 하이퍼텍스트의 비선형성, 상호작용성, 무경계성과, 헨리 젱킨스(Henry Jenkins)의 트랜스미디어 내러티브의 확장성, 혼성성, 서사성을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으로 도출하였다. 패션쇼의 구성요소를 평면언어, 입체언어, 공간언어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6가지의 비선형 내러티브 특성이 현대 패션쇼 공간에 어떻게 적용되어 새로운 가치적 표현방법이 도출되는지를 최근 2년 이내의 각각 다른 명품 브랜드 패션쇼를 중심으로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그 결과, 현대 패션쇼 공간은 비선형의 공간, 상호작용 공간의 특성을 가지며, 현대 패션쇼 공간의 표현방법으로는 관객으로 하여금 또 다른 관련 내러티브로 이동해 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완결의 이탈적 서사성, 관객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선택되는 무수한 비선형적인 내러티브의 요소들의 통합적 접점의 혼성성, 미디어 확장의 과정에서 관념적인 형식에 존재했던 것의 소멸이나 전통성의 부정성과 같은 가변적인 공간의 불연속적인 확장성, 공간이 경계성을 띄지 않고 관객에 의해 새로운 내러티브가 생성되어 재목적화의 무경계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표현방법은 공간분할과 동선유발, 시각적 차단 등의 기능적 측면도 내포되어 표현된다. (결론) 현대 패션쇼 공간의 비선형 내러티브는 하이퍼텍스트적이고 트랜스 미디어 내러티브적인 특성을 통해 연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현대 패션쇼 공간이 고정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예술이 결합된 혼성적인 변화를 통해 이전 보다 비선형적이고 무한하며 통합적인 상호작용적 특성을 가지고 패션쇼 공간의 또 하나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Experimentation on the use and combination of a wide range of media to expand experiences in space is considered an important attempt in displaying the space design. The “Non-linear Narrative” allows us to understand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regarding the types that are believed to be commercially and culturally significant. The changed phenomenon of media is emerging as the fastest and most prominent aspect of fashion in various social fields.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has some emotions such as sensitivity, feeling, and impression as a flexible shape that can interact with others and recognize infinite values, moving away from a narrative-centered position. In the light of the above, this study aimed to derive new value characteristics and to present another new direction for non-linear and integrated interaction and sympathy by applying unpredictable non-linear narrative characteristics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Method) The researcher first conducted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of narrative and the flow of the past and present and derived Theodor Nelson’s non-linearity, interactivity, and borderlessness of hypertext and Henry Jenkins’ expandability, hybridity, and narrativity of trans-media narrative as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narrative. The elements of fashion shows were categorized into flat, three-dimensional, and spatial languages and then analyzed using a case analysis (within the past two years) on how six non-linear narrative features are applied to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leading to a new value representation method that focuses on fashion shows for different luxury brands.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the spaces of modern fashion show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non-linear and interactive spaces. In addition, narrativity in total defection (which encourages audiences to move on to other related narratives), hybridity of integrated points of contact in numberless non-linear narrative elements selected through interaction with audiences, discontinuous expandability of variable spaces such as the extinction of things that existed in ideological form, negativity of traditionality, and borderlessness of re-purposing through the formation of new narratives by the audiences in an unbounded space were derived as a representation method for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The representation method also implies functional aspects such as spatial division, induction of movement, visual interception, etc. (Conclusion) The study found that the non-linear narrative of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is displayed through hypertextual and trans-media narrativ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found that the space of modern fashion shows presents a new direction for fashion show spaces with more non-linear, infinite, and integrated interactive characteristics than ever before through a hybrid change in which various media technologies and arts have been combined out of a fixed framework.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 : E대학을 중심으로

        김은주(Eunjoo Kim)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국내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인성교육의 현황분석 및 E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교양교육과정으로 인성교육을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대학생을 위한 인성교육과정 개발의 방향성을 정립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E대학의 인성교육 개발은 다양한 의견수렴을 통한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재학생과 교수를 대상으로 인성교과목에 대한 만족도와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고, 산업체와 전문가를 중심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있었다. E대학은 교양교육과정에 EU인성영역을 편성하였고, EU인성영역의 소영역에서 대학의 핵심역량 중 봉사헌신 역량을 제고할 수 있는 교과목을 개설하였다. E대학 인성교육과정은 1학년의 경우, 인간의 본성을 이해하고 대학생활 및 대인관계 능력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2학년의 경우, 인간다움, 소통능력, 리더십 함양에 중점을 두고 있다. 3~4학년은 E대학의 교육이념인 ‘인간사랑과 생명존중’을 기반으로 실천적 인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나아가서 교과와 연계된 비교과교육과정을 개발하여 단계별 로드맵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양교육과정 개발은 소극적 차원의 인성교육이 아닌 교양교과와 연계된 비교과교육과정도 함께 개발·운영하여 적극적 차원의 인성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esent situation of personality education centered on domestic 4 - year universities, to examine what and how to teach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liberal arts curriculum focusing on E university cases an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personality curriculum for university students I want to.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in E university was organized into EU character education courses, starting with the required survey of professors and businesses, the satisfaction and demand survey of students and professors on personality subjects, and the process of collecting expert opinions. In the small areas of the EU s human rights area, a subject was opened to enhance the ability of universities to contribute to their services. The personality education course at E University focuses on human nature understanding and adapting to college life in the first grade, while in the second year, it focuses on fostering personality, communication skills and servitude leadership. The third and fourth graders focus on exercising practical leadership based on the university s education concept of human love and life-respect. Furthermore, a step-by-step road map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comparative and educational courses linked to the curriculum.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ersonality educ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and operated with comparative and education courses related to liberal arts, not passive level personality education, so that a positive level of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achiev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