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레슬링 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5

        본 연구의 목적은 레슬링 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 선수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한레슬링협회에 등록된 선수 250명을 대상으로 자기관리, 집단 응집력, 선수만족도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상관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관리와 집단 응집력,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은 대부분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는 집단 응집력의 대부분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주었고, 자기관리의 몸관리와 훈련관리는 집단 응집력의 대부분 하위요인에 부적영향을 주었다. 구체적으로는 대인관리가 집단 사회, 개인사회, 개인과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자기관리의 대인관리, 정신관리는 선수만족도 하위요인에 정적영향을 미쳤고, 자기관리의 몸관리와 훈련관리는 선수만족의 하위요인에 부적영향을 미쳤다. 구체적으로는 대인관리가 선수만족도의 전체 요인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관리는 과제수행과 상호작용, 훈련관리는 상호작용 요인에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집단 응집력은 자기만족에 정적영향을 주었고, 집단 응집력의 집단사회, 개인사회, 개인과제 요인은 선수만족의 과제수행, 상호작용, 지도성 요인 대부분에 통계적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레슬링선수의 자기관리가 집단 응집력과자기만족도에 주는 역할을 확인하였고, 개인종목임에도 불구하고 집단 응집력이 선수 만족도에 밀접한 영향을 주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restler’s self-management on group cohesivenesson and player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management, group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questionnaires for athletes registered with the Korean Wrestling Associ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05.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ub-factors of self-management, group cohesion, and player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inter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most sub-factors of group cohesion, and body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most sub-factors of group cohesion. Specifically, interperson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group society, individual society, and individual tasks. Third Personal management and mental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and body management and training management of self-manage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sub-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Specifically, interperson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ll 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mental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task performance and interaction, and training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interaction factors. Fourth Group cohe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satisfaction, and group society, individual society, and individual task factors of group cohe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ost of the task performance, interaction, and leadership factors of player satisfaction. In other words, the role of the wrestler's self-management on group cohesion and self-satisfaction was confirmed. If a method that can lead to group cohesion at the same time as self-management is devised and applied to players,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m to experience a high level of player satisfaction and lead a positive life as a player in the future.

      • 인권감수성을 지닌 판결을 통한 직장 내 성희롱 피해자 구제를 위하여 : 서울행정법원 2004. 2. 11. 선고 2003구합23387 판결, 서울중앙지방법원 2012. 8. 17. 선고 2011가단67239・235025 판결 및 수원지방법원 2010. 4. 15. 선고 2008가합5314 판결을 대상으로

        김예지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15 Ewha Law Review Vol.5 No.2

        대부분의 성희롱 사건은 권력관계가 명백한 고용관계에서 발생하며, 그 중에서도 특히 직접적 고용관계에 있는 상하관계에서 빈번하게 발생한다. 성희롱 가해자는 치밀한 계산 하에 피해자가 원치 않는 성적 언동을 하게 된다. 즉 자신은 잃을 것이 없다는 판단을 하는 것이다. 피해자가 민사소송을 제기하는 경우가 극히 드문 이유 또한 이러한 권력관계와 무관하지 않다. 이 글에서는 세 가지 대상판결을 다루고 있다. 첫 번째 대상판결은 반사회질서 및 선량한 풍속에 반하는 수준의 성적 언동만을 성희롱으로 인정하였다. 누구의 시각으로 어떤 기준에 따라 성희롱을 판단해야 하는지의 문제는 성희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다. 보수적이고 주류적인 법문화에서는 객관적인 것이 피해자에게 있어 편향적일 수 있다. 피해자에 대한 구체적 타당성이 있는 구제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피해자의 관점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대상판결이 제시한 기준의 문제점을 제기한 후, 국가인권위원회의 결정, 국제기구 및 미국 법원의 태도와 비교분석하여 성희롱 판단에 있어서 젠더적 관점과 피해자 관점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주장한다. 두 번째 판결과 세 번째 판결은 모두 성희롱에 대한 사용자책임에 관한 판결이다. 두 번째 대상판결은 민법상 사용자책임 규정을 근거로 업무관련성 및 예측가능성이 없는 성희롱에 대한 대표이사의 책임을 부정하고, 원청회사의 독자적인 책임 역시 부정했다. 반면 세 번째 대상판결은 최초로 남녀고용평등법을 직접 적용하여, 사용자에게 공동불법행위 책임뿐만 아니라 독자적인 관리 감독 책임을 지웠다. 사용자책임을 인정한 세 번째 대상판결은 획기적이지만, 여전히 피해자를 수동적으로 보호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노사 간 자치와 독일의 작업거부권 도입을 제시하는 바이다. 성희롱은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차별적인 폭력이자 인권침해에 해당한다. 법원이 중립적인 태도를 취하게 되면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를 보호하게 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소송까지 오게 된 피해자들은 많은 고통과 상처를 안고 있다. 법원은 사회적 약자를 위한 마지막 보루로서 적극적으로 성희롱을 성차별의 문제로 인식하고, 가해자에게 적절한 배상을 명하여야 하며, 성희롱의 근절을 위해 가해자 처벌을 통한 실천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Perpetrators of sexual harassment go through careful consideration before they force unwanted sexual conduct upon victims. They know that they have nothing to lose. This is the very reason behind the fact that most sexual harassment cases occur in employment relationships, especiall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where the power relations are obvious. This is the reason why it is so rare for the victims to file lawsuits on sexual harassment. This article deals with three court rulings. The first one accepted only those sexual conducts which are anti-social or against society’s morals as sexual harassment. The most important issue with sexual harassment is the perspective determining whether a conduct is sexual harassment or not. In the view of the conservative and mainstream law, an objective stance can be biased against women. Moreover, in order to provide specifically relevant relief to victims, the perspective of the victim must be considered. This article raises the problems that the standards of the court rulings contain and provides comparative analysis with the rulings of the National Human Rights Institution,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the courts of the United States. Ultimately this article argues that gender-based perspective and victim perspective are both necessary in the determination of sexual harassment. The second and the third court rulings both deal with employer liability. The second one denied the responsibility of the representing director based on the article on employer liability under the Civil Code, due to the absence of duty relation and predictability, and further denied individual responsibility of the contracting company. On the other hand, the third one applied the Equal Employment Opportunity Act for the first time and held the employer jointly responsible for tort liability as well as their own responsibility for negligence of management and supervision. While the last court ruling is a drastic leap in protecting the victim by holding the employer responsible, it still passively protected the victims. This article suggests protection through union-management relations and the adoption of rights to refuse to work in Germany as alternatives. Sexual harassment is gender-based violence and discrimination. It is also a grave human rights abuse. If the court takes a neutral stance towards sexual harassment, it only results in protecting the perpetrator not the victim. The victims have faced and will face pain and suffering before and after coming to the court. The court must actively take its role as a last resort for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should recognize that sexual harassment is sexual discrimination. It must provide adequate compensation and take its practical role in the eradication of sexual harassment by punishing the perpetrators.

      • KCI등재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치료적 동맹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

        김예지,이영애 한국놀이치료학회 2019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and therapeutic alliance of play therapis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4 play therapists who work in Seoul, Gyeonggi-do, Incheon-based child counseling centers, play therapy rooms in welfare centers, play therapy rooms in hospitals, and university-based play therapy rooms were used. The play therapists reponded to the survey on Counseling Self-Estimate Inventory(COSE), Countertransference Factors Inventory(CFI), Working Alliance Inventory(WAI).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Baron and Kenny(1986) mediating effect analysis. Additionally, Sobel's(1982) test was us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on effec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and therapeutic alliances amongst play therapists. Second, the total score of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y (self-integration, empathy ability, anxiety management) had a partially mediating eff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therapeutic alliances. In conclusion, play therapist's higher self-efficacy and countertransference management abilities should be developed to improve their therapeutic alliances.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치료적 동맹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인천 지역 소재의 아동 전문상담기관, 복지관 내 놀이치료실, 병원 내 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에서 근무하고 있는 놀이치료자 204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역전이 관리능력 척도(CFI), 치료적 동맹 척도(WAI)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증절차를 사용하였다. 또한 매개효과 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검증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 역전이 관리능력, 치료적 동맹은 정적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치료적 동맹의 관계에서 역전이 관리능력의 하위요인 중 자기통합, 공감능력, 불안관리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내었다. 따라서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치료적 동맹이 향상되지만 역전이 관리능력을 통해서도 치료적 동맹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초등 수학에서 대푯값을 지도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예지,신항균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9 한국초등교육 Vol.30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Representative Valu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program. Through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be obtained. Firs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representative value in elementary school focuses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representative value, the concept of arithmetic mean, mode, median, and the use and interpretation of representative value, and it is designed based on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representative value. The program is aimed to increase the rational judgment ability of statistical information therefore it trea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based on statistical information as the most important issue. Seco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on Representative Value developed in this study helped student to be aware of representativeness of representative value. Through the program, students realized that the arithmetic mean is a reasonable value of representing the data and were able to extend the conceptual understanding of the arithmetic mean. It is also understood that the mode, median also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the data. Thir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on representative value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ifferentiated from the textbook contents, so it encourage participation of students. 학교 현장에서의 통계 교육은 많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통계 수업에서 다루고 있는 자료들은 학생들 의 실제적인 경험과 동떨어진 인위적인 것들로 학생들의 통계적 사고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는데 한계가 있다. 학생들은 주어진 통계 자료의 의미와 그 해석에 대한 진진한 고민의 기회를 갖지 못한 채 눈에 보이는 정보만을 이해하고 자료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평균’ 지도에서도 계산 알고리즘의 숙달과 적용을 위한 문제를 연습시키는 데만 치중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평균’ 지도의 목적을 재고하고, 그 지도 내용과 방법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대푯값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결과를 분 석함으로써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토하였다. 먼저 대푯값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방향 설정을 위 하여 여러 선행연구를 통해 대푯값 지도에 관한 시사점을 추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수학 교과서 및 교육과정을 분석하면서 ‘대푯값’ 교수·학습과 관련된 교과서 내용의 수정 및 보완점을 확인하였다. 프 로그램 개발 방향을 설정한 이후에는 차시별 지도 계획과 지도 내용을 선정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개발된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수업 장면 분석, 사전·사후 설문지 분 석 및 프로그램 만족도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 수학 대푯값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대푯값의 의미와 필요성, 대푯값의 개념, 대푯값의 활용과 해 석을 주요 주제로 학생들의 이해 수준과 대푯값의 역사-발생적 배경을 고려하여 계열성을 지니도록 하 였다. 또한, 대푯값 교수‧학습 프로그램은 통계 정보를 통한 합리적 판단 능력 신장을 목표로 통계적 정보를 바탕으로 의사소통하고, 의사 결정하는 활동들을 핵심적으로 다루었다는 특징이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대푯값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은 여러 대푯값의 대표성에 대한 개념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수업에 대한 내적 동기를 향상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시대적 변화에 따른 명절 식품선물

        김예지,정라나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overall trends of holiday food gifts and understand the changes in holiday food gifts according to contemporary changes, as well as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background factors and holiday food gifts. Newspaper articles related to holiday food gifts from 1930 to 2022 were collected to classify them by historical time periods, and word frequency analysis and TF-IDF analysis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shed light on how the cultural element of holiday food gifts has been changing in Korean society. The trend changes in holiday food gifts were found to have a deep association with contemporary changes and also impact consumers' percep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These research findings serve a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the meaning and value of holiday food gifts in Korean society and further provide guidance for consumers and businesses to develop a more meaningful gift-giving culture by considering various perspectives on holiday food gifts.

      •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 또래관계의 질과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김예지,이소연 숙명여자대학교 아동연구소 2021 兒童硏究 Vol.33 No.1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 는지 그리고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을 통계적으로 통제하여도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 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소재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177명을 대상 으로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로 첫째, 청소년의 높은 긍정생활사건 경험과 또 래관계의 질은 낮은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높은 긍정반추는 낮 은 우울증상을 예측하였고, 높은 가라앉히기는 높은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과 또래관계의 질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긍정반추, 가라앉히 기)이 우울증상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의 긍정생활사건, 또래관 계의 질,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주요 환경 변인인 긍정생활사건, 또래 관계의 질의 영향과는 독립적으로 긍정정서에 대한 반응이 우울증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검증함에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습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김예지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0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learning flow,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 graduate students ,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197 male and female office workers who are enrolled in D University, Y University's special graduate school, or general graduate school. Self-determination, learning flow, innovative behavior,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cales were used as research tools. The collected survey results were analyzed using SPSS 29.0 and Smart PLS 4.0 statistical programs. Results First, The self-determination of office worker graduate students, a significant impact o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flow, but it was not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office worker graduate students had a positive (+) effect on learning flow and innovative behavior. Third, Self-determination has an indirect effect on learning flow and innovative behavior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Four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and innovative behavior,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on. Conclusions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the partial mediat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confirm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etermination, learning flow, and innovative behavior of office worker graduate students. also,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s a complete mediational effect on learning flow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prepared basic data for interventions and solutions necessary for office worker graduate students' learning counseling and job competency development. 목적 본 연구는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습몰입,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고, 그 구조적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국내 D대학, Y대학의 일반대학원, 특수대학원 재학생 중 재직자 남녀 총 197명이다. 연구의 도구로 자기결정성, 학습몰입, 혁신행동, 긍정심리자본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수집한 설문 결과는 SPSS 29.0와 Smart PLS 4.0 통계프로그램을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은 긍정심리자본과 학습몰입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나, 혁신행동에 유의미한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긍정심리자본은 학습몰입과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은 긍정심리자본을 매개하여 학습몰입과 혁신행동에 간접효과를 가진다. 넷째,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과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이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직장인 대학원생의 자기결정성과 학습몰입, 혁신행동 간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부분매개효과를확인하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이 혁신행동에 완전매개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직장인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는 학습과 직무 역량 발전을 위한 상담에서 필요한 개입과 해결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KCI등재

        PSP를 이용한 15<sup>°</sup> 반와류 홀과 30-7-7 팬형상 홀의 막냉각 효율 비교 연구

        김예지,박순상,이동호,곽재수,Kim, Ye Jee,Park, Soon Sang,Rhee, Dong Ho,Kwak, Jae Su 한국유체기계학회 2016 한국유체기계학회 논문집 Vol.19 No.4

        The various film cooling hole shapes have been proposed for effective external cooling of gas turbine blade. In this study,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by three different hole shapes (cylindrical hole, $15^{\circ}$ angle anti-vortex hole, 30-7-7 fan-shaped hole) were examined experimentally. Pressure Sensitive Paint (PSP) technique was used to measure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The coolant to mainstream density ratio was 1.0 and three blowing ratios of 0.5, 1.0, and 2.0 were considered. Results clearly showed that the effect of hole shape on the distribution of film cooling effectiveness. For the cylindrical hole case, the film cooling effectiveness decreased remarkably as the blowing ratio increased due to the jet lift off. Because of large hole exit area and low coolant momentum, the 30-7-7 fan-shaped hole case showed the highest film cooling effectiveness at all blowing ratio, followed by the anti-vortex hole c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