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식물기반 치료용 항체생산

        김영관,소양강,박다영,김현순,전재흥,추영국,고기성,Kim, Young-Kwan,So, Yang-Kang,Park, Da-Young,Kim, Hyun-Soon,Jeon, Jae-Heung,Choo, Young-Kug,Ko, Ki-Sung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10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7 No.3

        Antibodies are powerful and versatile tools to play a critical role i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many diseases. Their application has been enhanced significantly with the advanced recombinant DNA and heterologonous expression technologies, allowing to produce immunotherapeutic proteins with improved biofunctional properties. However, with currently available technologies, mammalian cell-based therapeutic antibody production, as an alternative for production in humans and animals, is often not plentiful for passive immunotherapeutics in treatment of many diseases. Recently, plant expression systems for therapeutic antibodies have become well-established. Thus, plants have been considered to provide an attractive alternative production system for therapeutic antibodies, as plants have several advantages such as the lack of human pathogens, and low cost of upstream production and flexible scale-up of highly valuable recombinant glycoproteins. Recent advances in modification of posttranslational processing for human-like glycosylation in transgenic plants will make it possible that plant can become a suitable protein expression system over the animal cellbased current production system. This review will discuss recent advances in plant expression technology and issues for their application to therapeutic antibody production.

      • KCI등재

        정현파로 구동되는 PZT 광경로 지연기를 이용한 광 간섭 단층촬영시스템

        김영관,김용평,Kim, Young-Kwa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07 한국광학회지 Vol.18 No.4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n optical delay line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The delay line was composed of a cylindrical piezoelectric transduce (PZT) and a single mode optical fiber. The OCT system used a duplex scanning optical delay line which was symmetrically driven in the reference and sample arms. We showed that the sinusoidal-wave was superior to a triangular-wave for driving the optical delay line for scanning depth and repeatability. 광간섭 단층촬영(OCT)용으로 원통형 압전소자(PZT)와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를 제작하여 정현파로 구동하고 특성을 분석하였다. 제작한 OCT 시스템은 검침단과 기준단을 대칭 구동하는 이중 광경로 지연방식을 사용하였다. 정현파 구동을 통한 PZT 광경로 지연 방식은 삼각파 구동과 비교하여 입력파형의 첨두 부분에서의 비선형현상을 제거하여 높은 반복성을 나타냄을 보였고, 삼각파 구동으로는 불가능했던 부분을 영상화 할 수 있었다.

      • KCI등재

        광간섭 단층촬영(OCT)용 PZT 광경로 지연기에서의 편광모드 분산 및 열요동 보상

        김영관,박성진,김용평,Kim, Young-Kwan,Park, Sung-Ji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05 한국광학회지 Vol.16 No.6

        광간섭 단층촬영(OCT)용으로 원통형 압전소자(PZT)와 단일모드 광섬유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광경로 지연기에서 발생하는 편광모드 분산은 편광조절기로 조절하였고, 열요동을 2중 광경로 지연기를 구성하여 최소화하였다. 이중 광경로 지연기는 단일 광경로 지연기에 비해 2배의 측정 깊이와 속도를 구현하여 $18.6\pm0.5{\mu}m$의 해상도. 측정 깊이 1.68 mm, 측정 녹도 360.4 mm/s를 각각 얻었다. We hav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optical delay lines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which is composed of cylindrical PZT(piezoelectric transducer) and single mode optical fiber. The polarization mode dispersion from the optical delay lines was compensated by the polarization controllers. By applying the duplex optical delay line, we minimized the thermal drift due to optical delay lines and obtained the scan range of 2 times that of a single optical delay line. The OCT system showed resolution of $18.6\pm0.5{\mu}m$, scanning range of 1.68mm, and scanning speed of 360.4mm/s.

      • KCI등재

        시간영역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의 소형 엔도스코프 제작 및 영상구현

        김영관,이성헌,김용평,Kim, Young-Kwan,Lee, Sung-Hun,Kim, Yong-Pyung 한국광학회 2010 한국광학회지 Vol.21 No.5

        We fabricated and characterized a compact endoscopic catheter for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The optical delay line (ODL), composed of a cylindrical piezoelectric transducer (PZT) and an optical fiber, was operated with a 1 kHz sinusoidal driving wave in the time-domain. When the ODL was driven with a sinusoidal wave function, the axial scanning speed was 6 m/s and the axial acquisition rate was 2000 line/s at a depth of about 3 mm. Endoscopic OCT images of a human finger and earhole were successfully obtained with an image rate of ten frames per second. 광 간섭 단층촬영 시스템(OCT)을 위한 소형의 광섬유 도관형 주사장치인 엔도스코프(endoscope catheter)를 제작하였다. 깊이방향 주사장치인 원통형 압전소자(PZT)를 이용한 광경로 지연기는 정현파 1 kHz로 구동하여 시간영역에서 엔도스코프 OCT 영상을 구현하였다. 정현파로 구동한 광경로 지연기의 속도는 6 m/s 이고, 깊이방향 스캐닝의 데이터 획득은 3 mm 기준에서 초당 2000 라인이다. 제작한 엔도스코프로 사람의 손가락 및 귀에 대한 초당 10프레임의 OCT 영상을 성공적으로 획득하였다.

      • KCI등재

        660년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한 고찰

        金榮官(Kim, Young-kwan) 신라사학회 2010 新羅史學報 Vol.0 No.20

        660년 백제 멸망 당시 신라와 백제의 국경선에 대하여 문헌과 고고학 자료를 검토해 본 결과 《三國史記》 지리지의 실제 양국의 국경선은 차이가 있었다. 《삼국사기》 본기와 열전의 기록을 지리지의 양국의 군현과 비교해 본 결과 서로 부합되지 않는 부분을 찾을 수 있었다. 지리지에 오늘날의 청주, 문의지역은 백제영토로 기록되었으나 신라의 영토였다. 또한 소백산맥 동쪽이 모두 신라영토로 기록되었으나 상당부분 백제영토였다. 소백산맥을 넘어 영남지역으로 진출한 백제가 원래 대가야 세력권이었던 낙동강 서쪽을 상당부분 차지했던 것이다. 백제 멸망 당시 양국의 국경선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우선 백제의 북부지역을 보면 안성천 남쪽 직산 부근에서 경계를 이루었다. 백제는 아산만으로 흘러 들어가는 안성천과 곡교천 하구에서 아산 영인산, 음봉 용와산, 천안 성거산 등 동서방향으로 이어지는 차령산맥의 산줄기를 경계로 삼아 신라와 맞섰다. 성거산 부근에서 진천과 천안 사이를 가르는 산줄기를 자연적인 경계로 삼아 남쪽으로 국경선이 이어졌다. 청주 부근에서는 미호천을 경계로 하여 목천, 전의, 연기는 백제영토였고, 진천, 청주는 신라영토였다. 문의 부근에서는 회덕과 문의 사이를 흐르는 금강 본류가 경계였다. 문의 남쪽 회인은 청주, 보은과 접경을 이루는 백제의 영역이었고, 옥천과 대전의 자연적인 경계를 이루는 계족산과 식장산의 험한 산줄기는 그대로 양국의 국경이 되었다. 옥천 남쪽으로는 금산 서대산과 영동 천태산으로 이어지는 산줄기기가 국경이 되었다. 영동 양산에서 국경을 나눈 양국은 소백산맥으로 줄기를 타고 남하하여 무주 무풍의 羅濟通門 부근으로 이어진다. 무주에서는 덕유산 줄기를 타고 소백산맥을 넘어 거창, 합천, 의령으로 이어진다. 의령에서 남쪽으로는 남강 물줄기를 따라 진주와 사천을 잇는 선을 국경으로 했을 것이다.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documents and archeological data on the border line between line between Silla(新羅) and Baekje(百濟) dynasty in 660, when Baekje collapased, there was a inconsistency between the real border line of two dynasties recorded in Samguksagi(三國史記) jiriji(地理志 ; Geography). A discrepancy was found through comparing data of Bongi(本紀) and Yeoljeon(列傳) of Samguksagi with Gun(郡) and Hyeon(縣) of two dynasties of Jiriji. Cheongju(淸州) and Munui(文義) was Baekje`s territory in Jeriji, but in actual fact the areas were a part of Silla. Also, while eastern Sobaek Mountains(小白山脈) belonged to Silla completely in the book, a considerable part of it was Baekje`s territory in reality. As Baekje expanded its territory over the Sobaek Mountains, it occupied a large part of west Nakdong River(洛東江) which was originally a part of Daegaya(大伽倻). When Baekje was on the brink of collapse, the border line of two dynasties is as follows: The northern border line met southern Anseong Stream(安城川). Baekje was facing Silla on the border line of the Charyeong Mountains(車嶺山脈) which stretched from east to west. The Southern border line was made by natural mountain range near Mt. Seongeo(聖居山). With Miho Stream(美湖川) in between, Mokcheon(木川), Jeonui(全義) and Yeongi(燕岐) belonged to Baekje, while Jincheon(鎭川) and Cehongju belonged to Silla. Within the vicinity of Munui, the main stream of Geum River(錦江) divided Hoedeok(懷德) and Munui. Hoein(懷仁), south of Munui, was a part of Baekje, the rough mountain range of Mt. Gyejok(鷄足山) and Sikang(食藏山) became the border line of two dynasties. While in Southern Okcheon(沃川), Mt, Seodae(西大山) of Geumsan(錦山) and Mt. Cheontae(天台山) of Yeongdong(永同) became the territorial boundary. The border line which divided Yangsan(陽山) of Yeongdong, trailed down to Mupung(茂豊) of Muju(茂朱) near Najetongmun Gate(羅濟通門) along the Sobaek Mountains. At Muju, it continued up to Mt. Deokyu(德裕山) across the Sobaek Mountains and led to Geochang(居昌), Hapcheon(陜川) and Uiryeong(宜寧). At Uiryeong, the boundary along the Nam River(南江) would have divided Jinju(晋州) and Sacheon(泗川).

      • KCI등재

        백제의 대외 교류사 인식에 대한 단상

        김영관(Kim, Young-kwan)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백제세계유산센터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따르면, 지금까지 백제에 대해 약 50편의 박사 논문, 600편의 석사 논문이 제출되었다. 관련된 학술 연구 논문도 1,823편을 넘나든다. 이러한 논문 제출 건수는 신라에 비해서는 적지만 고구려에 비하면 적은 편이 아니다. 오히려 고구려를 능가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에 비해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관심이 덜한 백제에 대해 이런 연구 성과를 낸 것은 아이러니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대외관계와 문물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백제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편향되게 흐른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백제 연구를 활성화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려면, 지금까지 드러난 편향된 인식을 바로잡고 공정한 잣대를 백제사 연구에 들이대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광범하고 치밀한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몇 가지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로, 전문 백제사 연구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고대사를 강의하는 전임 교수 숫자는 대략 88명이다. 이중 백제사 전공 교수는 20명뿐이며, 9명이 문헌사 전공이고, 11명이 고고학 전공자이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으로 백제사 연구자를 제대로 양성하기는 어렵다. 백제사 전문 연구 기관이 3곳이 있지만, 전임 인력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백제 연구기관은 허울뿐인 것이다. 둘째로, 백제 연구에 대한 중앙 정부의 관심 확대이다. 백제사 연구가 이제까지는 대개 백제의 고토지역 내에서 이루어졌다. 앞서 언급한 백제에 대한 연구 논문 대부분이 백제 지역 소재 대학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백제사를 향토사적인 시각에서 편향되게 바라보고 연구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지역 중심의 연구는 중앙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로, 중앙정부 또는 역사 연구기관에 백제사 전문연구자가 거의 없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은 사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에 백제사 전공자는 없다. 백제 역사와 문화 보급을 위해 세워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도 마찬가지이다. 전문연구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들이 있지만, 백제사를 전공한 박사급 인력은 아예 없다. 이들 기관에 백제사 연구자의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백제에 대한 연구는 기반이 튼튼하지 못하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하다. 백제의 역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토대로 백제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교육하고 알릴 수 있는 것인데, 지금으로서는 부실하기만 하다. 연구기반의 확충 없이 백제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리고 교육하기는 어렵다.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external relations and cultural exchanges in order to examine why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Baekje history and culture has been biased in Korea. In order to activate Baekje research and enable it to be widely inform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biased perceptions so far and to apply fair judgment standards to Baekje history research. It should also be based on extensive and detailed research. To that e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there are about 88 full-time professors teaching ancient Korean history at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there are only 20 professors majoring in the Baekje history: 9 professors study history through texts and 11 through archeology. It is difficult to educate Baekje researchers properly with suc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Even though there are three Baekje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re are few full-time workers. The institutes are just unsubstantial.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studies. Until n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was usually conducted within the old area of Baekje. Most of the research papers on Baekje mentioned above were published at Universities in Baekje area. This was the background where the Baekje history has been studied from a biased viewpoint of local history. Indifference of central government also resulted in area-bas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get out of it. Third, it is an underrepresented fact that there are few Baekje researchers at central government or historical research institutes. There is no researcher majoring in Baekj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same goes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uyeo National Museum, and the Gongju National Museum. Although there are curatorial researchers who a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researchers, there are no researchers getting a Ph.D. in Baekje history. It is essential for these institutions to expand the researchers of Baekje history. Thus, research of Baekje is not well established. Future prospects are not bright at the present time. After being based on specializ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ekje, you should be able to educate Baekje culture widely both in and out of count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at the moment. It is difficult to publicize and educate broadly Baekje history and culture without expanding its research base.

      • KCI등재후보

        인광특성이 있는 금속 착물의 합성과 그 물질을 이용한 소자 제작 및 소자 특성 평가

        김영관(Young Kwan Kim),손병청(Byoung Chung Sohn),김준호(Jun Ho Kim) 한국유화학회 2002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19 No.2

        N/A Recently, the phosphorescent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for their high internal quantum efficiency. In this study, we synthesised several phosphorescent metal complexes, and certified their composition using NMR. We also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sphorescent OLEDs with the green emitting phosphor, Ir(ppy)_3. The devices with a structure of indium-tin-oxide(ITO)/ N,N`-diphenyl-N,N`-(3-methylphenyl)-1,1`-biphenyl-4,4`-diamine (TPD)/metal complex doped in host materials/2,9-dimethyl-4,7-diphenyl-1,10-phenanthroline(BCP)/tris (8-hydroxyquinolinato) Aluminum(Alq_3)/Li:Al/Al was fabricated, and its electrical and optical characteristics were studied. By changing the doping concentration of tris(2-phenylpyridine)iridium (Ir(ppy)_3), we fabricated several devices and investigated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백제 웅진천도의 역사적 배경

        김영관(Kim, Young-Kwan) 역사문화학회 2017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20 No.2

        이 논문은 475년 문주왕이 웅진으로 천도하게 된 배경을 문헌 기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웅진천도는 고구려의 공격으로 인한 한성 함락과 국왕의 참살이라는 국가적인 위기상황이 직접적인 원인이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그리고 고구려군의 약탈과 파괴로 인해 한성이 폐허가 되어 더 이상 기능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새로운 도읍지를 찾게 되었다고 보았다. 웅진은 한성과 지리적인 형세가 유사한 곳으로 도읍지로서의 면모를 갖추기 수월한 곳이 었다. 우선 방어에 유리한 지형이었고, 충적대지를 끼고 있어 농사에도 유리한 지역이었다. 또한 금강 수운을 이용해 대외 교류와 물자 이동 등에 편리한 교통의 요지였다. 신라와 왜 등으로부터 구원병이 왔을 때 접근하기 쉬운 곳이기도 했다. 웅진천도를 주도한 세력은 문주와 그와 함께 움직인 왕족과 중앙귀족이었다. 웅진의 재지세력들이 천도에 영향력을 행사한 것 같지는 않다. 웅진천도는 불과 한 달 만에 이루어진 것이므로 계획적인 천도였다고 볼 수는 없다. 대신에 웅진은 이미 성곽과 궁실 등 기반시설이 갖춰진 지방지배 거점이었으므로 갑작스런 결정에도 천도 후 왕도로서 기능할 수 있었다. 웅진천도는 계획된 것은 아니었지만 준비된 곳으로의 천도였다. This paper examines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the historical background for the King Munju(文周王) to move Baekje’s capital city to Ungjin(熊津) in 475 AD. The results can be briefly summarized as follows. It was re-affirmed that the national crisis of the fall of Hanseong(漢城) and the killing of the King by Goguryeo’s attack was a direct cause of moving Baekje capital to Ungjin. I think because Hanseong became ruined due to the plundering and destruction of the Goguryeo army, and Hanseong could not function anymore, Baekje searched a new city. Ungjin was an appropriate place with a facade as the capital as a place similar in geographical shape to Hanseong. It was a terrain favorable for defending, and it was also advantageous for agricultural work because it was surrounded by the alluvial ground. It was also a gist of transportation convenient for foreign exchange and material transfer, using the Geumgang(錦江) river water transportation. It was also a place that was easy to access when relief soldiers came from Silla and Japan. The forces leading Ungjin transition capital were the King Munju, the royalty and the central aristocrat who moved with him. It does not seem that the local powers of Ungjin exercised influence on the transfer. Since the capital relocation to Ungjin was held in only one month, it cannot be regarded as a planned event. Instead, Ungjin was able to function as a royal city after the sudden decision, because it was a Damno(檐魯) which was a local ruling base equipped with infrastructures such as fortress and palace. Though the relocation was not planned, it can be said to be transferred to a prepared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