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동 역사에서의 고대

        김아리 한국고대사학회 2023 韓國古代史硏究 Vol.- No.110

        The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is usually considered to have started in 3500 B.C., the moment scripts appeared and to have ended in 331 B.C., when Babylon was conquered by Alexander the Great. The history of the Ancient Near East can be periodized in diverse ways, in which the forms of scripts, consecutive dynasties, and archeological evidence can be criterial. This reflects in the vision of modern scholars. However, the people of the Ancient Near East thought differently. For them, antiquity signified the moment civilization began and the period before the great flood. This concept of time is mythical. The people of the Ancient Near East thought of ancient time with historical concepts. The kings of the Ancient Near East were interested in the past, Specifically, the kings of New Assyria and the New Babylonian focused on the artifacts of the Akkadiane Empire, the first empire in world history. The monuments and traditions of the great Ancient Near Eastern kings were considered important and precious. For example, the code of Hammurabi created by the Great King Hammurabi, was copied even 1000 years later in the School of Babylonia. 고대 근동 역사의 시작은 문자가 나타나기 시작한 기원전 3500년이고 그 마지막은 알렉산더 대왕이 바빌론을 정복한 시점인 기원전 331년이다. 이러한 고대 근동의 역사는 다양한 방식으로 시기구분이 될 수 있다. 이때 시기 구분의 기준으로는 문자의 형태, 왕조의 변천그리고 고고학적 증거들이 사용된다. 이러한 기준은 현대의 역사학자들이 고대 근동의 시기를 다루는 방식이다. 그러나 고대 근동의 역사 안을 살았던 사람들은 좀 더 다른 방식으로고대를 인식했다. 그들에게 이상향적 성격의 고대는 문명이 시작되는 시점이었고 대홍수가세상을 쓸어가기 전의 시기였다. 이러한 신화적인 성향의 고대의 시간 개념말고도 고대 근동인들은 역사적 개념 안에서 고대를 인식하기도 했다. 특히 신아시리아 왕들과 신바벨론시대 왕들은 인류 최초의 제국이었던 아카드(Akkade) 제국 시대의 예술품이나 기념품에 지대한 관심을 가졌다. 더불어 고대 근동 역사의 위대한 왕들이 남긴 문물들 역시도 귀중히 여겨졌는데 고대 바빌론 시대에 만들어진 함무라비 대왕의 법전은 천년이 지난 신바빌론 시대학교에서도 그 내용이 필사된 것은 고대의 전통이 얼마나 후대에까지 중요하게 여겨졌는지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기원전 긴 6세기 바빌로니아 결혼계약서에 나온 간통문구 연구

        김아리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논총 Vol.41 No.2

        This paper examines adultery clauses preserved in marriage contracts dated during the long 6th century BCE in the context of other aspects of such contracts, including the family situation of brides, social and economic state of brides, and divorce clauses. The family situation of the bride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existence of the adultery clause. Analysis of the cases revealed that adultery clauses were more common in the marriage contracts of brides with a low socio-economic status. Adultery clauses had a close connection with divorce clauses. The highest alimony-payment(of six silver mina) was related to the adultery clause. In the Ancient Near East, traditionally, men were easily able to divorce their wives, so we can look into the divorce clauses to find alimony protections for the brides. The association between the adultery and divorce clauses indicated that divorce clauses were generally incorporated in the marriage contracts for brides, who agreed to write adultery clauses, promissing minimum level of morality and fidelity in marriage. The choice to insert adultery clauses was made most frequently by brides’ poor social or economic conditions. 본고에서는 바빌로니아에서 출토된 결혼계약서에 나오는 간통문구를 중심으로 결혼계약서에 나오는 신부의 가족사항과 경제상황, 이혼조건 등의 정보들을비교하여 간통문구의 의미를 알아보았다. 결혼계약서에 등장하는 신부의 가족상황은 간통문구와 깊은 연관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분석에 따르면 신부의 사회적 지위가 낮고 경제적 상황이어려울수록 간통문구는 많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간통문구는이혼문구와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가장 많은 액수의 이혼위자료(은 6마나)를제시한 결혼계약서는 모두 간통문구를 포함하고 있다. 고대 근동의 전통상 남편은 쉽게 여성과 이혼을 할 수 있었던 사실에 비추어 보았을 때 위자료 문구를포함한 이혼문구는 여성을 위한 배려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미래의 신랑은 위자료를 약속하는 이혼문구를 선택하여 결혼계약서에 넣었고 반대급부로 신부는결혼생활에서 최소한의 도덕인 정조를 간통문구에 적어 약속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문구는 사회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었던 신부들의결혼계약서에서 가장 많이 발견된다.

      • KCI등재

        심리상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어머니의 남성상담사 인식에 대한 주관성 연구

        김아리,이상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3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mothers utilizing psychological counseling services towards male counselors, exploring subjectivity and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these perceptions. Methods For this purpose, a male counselor based in Hwaseong, Gyeonggi Province, visited two psychological counseling centers where he conducted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10 mothers, resulting in 153 statements. A total of 24 mothers were selected as the P sample, and Q classification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QUANL Program.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a total of three types: Type 1, characterized by a 'Positive Perception of Healthy Male Archetype'; Type 2, identified as 'Gender Aversion with Emphasis on Traditional Gender Roles'; and Type 3, manifested as the 'Ambivalent Feelings of Appreciation but Unfamiliarity. Conclusions Through the Q methodology,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subjective percep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male counselors of mothers using psychological counseling institutions, and to suggest the professional identity of male counselors working in the counseling field and the direction of counseling education and counseling training process for male counselors.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심리상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남성상담사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 남성상담사에 대한 주관성과그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화성시 소재의 남성상담사가 상주해있는 심리상담기관 두곳을 방문하여 10명의 어머니들과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153개의 진술문을 도출하였으며 총 24명의 어머니들을 P표본으로 선정하여 Q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QUANL Program을 통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로는 총 3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유형 1 ‘긍정적인 남성의 표본이라고 생각하는 건강한 남성상형’으로 나타났으며, 유형 2 ‘전통적인 성역할을 강조하는 성별거부감 형’, 유형 3 ‘좋지만 익숙하지 않은 양가감정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통해 심리상담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어머니들의 남성상담사의 주관적인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알아보고상담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남성상담사의 직업적인 정체성과 남성상담사에 대한 인식개선 과 상담교육 및 상담 수련과정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IATI와 원조정보 활용에 관한 최신 논의 동향

        김아리 한국국제협력단 2018 개발과 이슈 Vol.- No.45

        문재인 정부는 새로운 개발협력 추진방향으로 ‘효과적 ODA, 투명한 ODA, 함께 하는 ODA’의 3가지 큰 원칙을 내 놓았다. 그 중 "투명한 ODA"를 위하여 정부는 개발협력의 철학과 원칙에 부합하지 않아 많은 논란이 있었던 과거 ODA 사업을 교훈 삼아, 개발사업 전 과정의 외부 공개와 외부 인사 참여 확대와 같은 전반적인 투명성 제고 계획을 밝혔다. 이와 함께 국제원조투명성기구(IATI)의 국제 기준에 따른 원조정보 공개 확대 추진을 통해 모두가 쉽게 더 많은 원조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개발협력분야의 투명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기 위한 다방면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본고는 국내외적으로 투명성 제고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어 가는 시점에서 원조투명성과 IATI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우리나라의 원조정보공개 현황 및 투명성 확대 노력과 IATI 연례총회 내에서 집중적으로 논의되고 있는 원조데이터 활용 전략 등 국내외 최신 동향을 담았다. 이와 함께 IATI 데이터 활용을 돕는 오픈소스 플랫폼인 d-portal과 해외 활용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전반적인 투명성 개선부터 데이터 활용까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신바빌론 상속법 연구 -재산별 유산상속의 특징-

        김아리 한국서양사학회 2022 西洋史論 Vol.- No.155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the tradition of inheritance based on Neo-Babylonian texts. Generally, in the Neo-Babylonian period, the first-born son received two portions of their father’s property and the other sons received one portion each. Some of the inherited real estate properties were not divided but held in common among the heirs. Even if these properties were controlled in common, profits from the properties were distributed and portioned to the owners separately, and each individual owner exercised their rights. Women also receive real estate as dowry. These practices were exercised mostly among the high social status family. The prebend was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same rule that was applied to the real estate. The prebend was seldomly given to women. The meuble properties were given individually to the heirs and could be held in common. The women received mostly meuble property such as silver, household goods, and furniture as a dowry. Gold was also given as a dowry, but it was not common. The first-born son had priority rights when compared to the other heirs. Except for the first son, the other sons shared the rest of the inherited properties evenly. However, there was some discriminations between first marriage children and second marriage children. The children born by slavery women were not entitled to their fathers’ properties without certification of the father. 본 고에서는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에 관련된 문헌들을 상속 재산의 종류별로 분류 분석하여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관행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신바빌론 시대의 상속 비율은 일반적으로 장남은 일반 아들보다 2배로 받았고 나머지 아들들은 다 일정하게 1의 비율로 배분받았다. 부동산의 경우 일부는 상속이 되어도 공동의 재산으로 여겨져서 분할되지 않고 관리되는 재산들이 존재했다. 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땅에서 나오는 이득은 상속분의 비율대로 가지고 갔던 것이 확인되었고 개개인들은 공동으로 관리된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지분에 대한 권리를 행사할 수있었음을 알 수 있다. 여성들 역시 부동산을 지참금의 명목으로 상속받았다. 여성에 대한 부동산의 증여는 주로 상류 계층에서 이루어졌지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었다. 사제직과 직접적인 연관을 가지고 있는 성직록 역시도 상속의 대상이었다. 성직록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장남은 2 나머지 아들들은 1의 비율로 배분받았다. 하지만 성직록의 특성상 동일하게 배분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부족 부분에 대해서 다른 금전적 보상을 하는 형식으로 상속이 이루어졌다. 특징적인 것은 성직록은 여성에게 아주 드물게 상속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성직록이 기본적으로 성직을 행할 수 있는 권리를 주는 재산이었기 때문에 그러했던 것으로 보인다. 동산의 소유형태는 일반적으로 개별소유였지만 노예와 같이 개별 혹은 공동소유가 되는 소유형태가 다양한 경우도 존재했다. 가장 많이 여성에게 재산으로 주어진 것은 동산이고 그 중에서도 은이나 가재도구 혹은 가구가 가장 많이 언급이 된다. 금은 드물게 여성에게 주어졌는데 이는 당시 금이 드물게 유통된 것도 있고 희귀했기 때문일 것이다. 장자를 제외한 모든 아들들은 상속권에 관해서는 평등하게대우되었고 문헌들은 이들 사이에 불평등한 분배가 생기는 경우 다른 방식으로그 불평등을 해소하고자 바빌로니아 사람들이 노력했음을 보여준다. 단, 두 번째결혼에서 태어난 아이들은 첫 번째 결혼에서 태어난 아이들보다 적게 상속받았고, 노예에게서 난 아이들은 아버지의 승인이 없는 상황에서는 상속을 받지 못했던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노가재연행일기 (老稼齋燕行日記)』 의 글쓰기 방식 : 상호텍스트성을 중심으로 A Discussion of Intertextuality

        김아리 한국한문학회 2000 韓國漢文學硏究 Vol.25 No.-

        The Nogajae Yeonhaeng Diary(老稼齋燕行日記) travel record, written by Kim Chang-Eob(金昌業) describes state visits by Choseon high officials to the Qing(淸) Dynasty. It is considered a good example of later travel records and shows influences of pragmatism of the 18th century. Previous travel records focused mainly on official events and were not concerned with conveying knowledge and experiences. Nogajae Yeonhaeng Diary though, contains copious description and narration in sharp contrast to previous, dull records. This new style was the result of a combination and modification of the traditional writing style and the traditional style of recording travels. This article review this new approach to writing in the Nogajae Yeonhaeng Diary, focusing on the essential role that 'intertextuality' plays in the structural aspects, as well as spiritual and textual aspects, of writing. First, I examine intertextuality in the previous writing tradition, reviewing the specific writing methods in intertextuality. Nogajae Yeonhaeng Diary combines the 'travels style'(遊記體) and the 'essay style'(筆記體) with the 'diary style'(日記體), a writing style typical to previous travel records. This combination of various writing styles led to increase in description and narration in travel record. Also, I examine the communic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new travel style and essay style with the tradional writing methods. The communicative intertextuality in composition led to the expansion of ideological horizons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existing texts, free of the formal structures. I also investigated the 'quotation', 'conversation' and 'comparison' methods in intertextuality of the concrete writing methods of the Nogajae Yeonhaeng Diary. The text is charaterized by the use of diverse quotation methods and the discussion is augmented by the communicative writing style that makes use of these quotations. The conversation and comparison methods were also significant writing methods, in addition to the intertextuality of the signified text.

      • KCI등재

        기원전 7세기부터 5세기까지 바벨론의 종교 관련 범죄에 관한 연구

        김아리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19 서양고대사연구 Vol.55 No.-

        In the Ancient Babylonian society, religion contained great meaning and rite played a main role in religion. The temple made every effort to practice rites correctly. However, sometimes the temple could not prevent committing crime during the procedure. The aim of this paper is to know what kinds of crimes existed, what were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crimes and what were the punishments imposed for these crimes and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documents dated from the 7th to the 5th century B.C. The documents coming from Babylonia dated from the 7th century to the 5th century B.C testify that there were various crimes associated with the religion at that time. If we list the names of crimes, we can describe the following : offerings to god made under bad conditions ; forbidden entry to the cella where the divine statue was located ; stealing the holy vessel belonging to god ; teaching sacred knowledge to a non-initiated person ; and not respecting the obligations of purification for the rite. These various crimes reflect the conception of the religion of Mesopotamia in that period. According to these criminal records, rank was important in the Babylonian religion. The temple area was divided according to rank and the accessing of each place was limited according to personal status. If someone did not respect this regulation, he would be punished. This kind of ranking restriction was also applied to knowledge. Knowledge connected with rites was not allowed to be taught to non-initiated persons. If someone taught sacred knowledge to a non-initiated person, he was punished. Studies on the personal status of criminals show us that crimes associated with the religion were committed not only by priests and temple slaves, but also outsiders. However, if we look at ratios, priests committed religious crimes more frequently than temple slaves and outsiders. Temples slaves and outsiders committed crimes at a ratio of 2:1, respectively. Therefore, although we can not disregard the possibility of outsiders committing religious crimes most of the crimes associated with religion were committed by those related to the temple. The documents do not clearly indicate the punishments imposed for crimes associated with religion. However, we can suggest that the punishments were various as the crimes associated with religion were various. The same crime was not punished in the same way. The temple imposed punishment on religious crimes. However, some crimes were punished under royal jurisdiction. 고대 바벨론 사회에서 종교는 많은 의미를 담고 있었고 사원은 종교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사원의 활동들은 제의를 중심으로 돌아갔고, 사원은 제의가 올바르게 행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했지만, 그 과정에서 범죄가 발생하는 것을 때로는 막지 못했다. 본 고에서는 기원전 7세기부터 5세기에 바벨론에 나왔던 문서들을 통해서 이 시기에 종교 관련하여 어떠한 범죄들이 존재하였고, 그 범죄들의 특징을 무엇이었는지 또 그러한 범죄들에 적용되었던 처벌들과 그 특징은 무엇이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7세기부터 5세기에 바벨론에서 나온 법률문서들은 우리에게 당시 다양한 종교 관련 범죄들이 존재했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다. 좀 더 자세히 언급하면 종교 관련 범죄로는 질이 좋지 않은 봉헌물을 성찬에 올리는 것, 사제가 아닌 사람이 성스러운 영역이 신을 모셔 놓은 방 안으로 들어가는 것, 제사 제기를 훔치는 것, 입문자들에게만 허락된 지식을 비입문자에게 가르치는 것, 제의에 필요한 정결의 의무를 지키지 않는 것 등이 존재했다. 이러한 다양한 범죄들은 그 당시의 메소포타미아의 종교관을 반영한다. 이 범죄기록에 따르면 메소포타미아의 종교에서는 위계질서가 중요했다. 사원의 구역들은 위계질서에 의해 나누어져 있었고 구역마다 신분에 따라 접근권인 제한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규칙을 어긴 경우에는 처벌을 당했다. 또한, 위계질서는 비단 공간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지식에 있어서도 존재했다. 비입문자들이 중요한 제의 의식의 지식들을 학습하는게 허락되지 않았고 비입문자에게 이를 학습을 하게 하는 사람은 처벌을 받았다는 사실이 이를 증명한다. 종교와 관련된 범죄를 관련된 범죄자들의 신원에 대한 연구는 종교와 관련된 범죄가 비단 사제뿐만이 아니라 사원노예 그리고 외부인에 의해서 행해진 사실을 보여준다. 단 본 연구에 소개된 문서들을 토대로 비율적인 측면에서 보자면 사제에 의해서 범죄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고 사원 노예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은 두건, 외부인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한 건에 불과했다. 이로 보아서 외부인의 범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지만, 종교 관련 범죄는 주로 사원과 관련 있는 내부집단에 의해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종교와 관련된 범죄의 처벌에 대해서는 사료에서 언급이 명확하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종교와 관련된 다양한 범죄만큼이나 그 처벌도 다양했다. 그리고 동일한 주제의 범죄라고 하더라도 동일하게 처벌받지는 않았다. 처벌의 주체는 사원에 국한되지 않았으며, 종교 관련 범죄 중에 몇몇 범죄는 왕의 사법권에 의해 처벌을 받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