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위하여 -방법으로서의 전고(典故)-

        김승룡 ( Kim Seung-ryong ),류재민 ( Ryu Jae-min ) 한국한문학회 2017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65

        이 글은 여말선초 시학사의 구도를 준비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시학사의 구도는 하나의 線을 이루지만, 그것이 개별 작품을 통해 구체적으로 검증해 낼 수 있는지는 확실하지 않다. 더구나 여말선초는 일찍이 하나의 흐름으로 파악되어 본 적이 없는 바, 전철을 밟지 않고 새롭게 준비될 방법이 필요하다. 이에 여말선초 시인으로 꼽히는 유방선을 중심에 놓고, 시학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읽는 방법으로 `典故`를 주목하였다. 유방선은 고려말의 이색ㆍ이숭인ㆍ권근ㆍ변계량(`선배`)의 계보를 이어 받아, 서거정ㆍ 이승소ㆍ성간(`후배`) 등 조선초를 대표하는 문인들을 길러내었다. 유방선은 창작에 있어 표절 혐의를 받을 정도로 앞선 이들의 시문을 적극 차용했는데, 이는 그가 선배들의 시적 성취를 계승해 자신의 창작의 근거로 삼았음을 보여준다. 실제 작품을 통해 검증한 결과, 유방선이 선배의 시적 성취를 차용하여 후배에까지 전수된 시적 표현이 있는 반면, 후배에게 선택받지 못한 표현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한 시적 표현이 계승되고 단절되는 사이에서 유방선이 연결고리 역할을 했던 것이다. 한시에 있어 전고를 관류하는 핵심원리는 `번역`이라고 할 수 있다. 고려들은 전고 를 번역함으로써 전고 출발지의 서사를 전유하였고, 이는 `또 하나의 전통`(`한국적 전고`)이 되어 그들의 창작을 풍요롭게 했다. 그 창작은 다시 `또 하나의 전고`가 되었고, 조선인들은 이 전고를 번역하여 그들의 시공간에서 창작하였다. 이처럼 전고의 계승과 단절은 새로운 전고의 창신과 파괴로 이어지면서 한반도의 시학사를 구성하고 있었던 것이다. 차후 `전고와 번역`을 화두로 하여 한국한시사의 맥락을 찾고, 그 시적 전통의 계승과 단절을 추적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newly construct history of poetics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In the event of understanding composition of the poetry history through the existing way, the big stream can be comprehended but it cannot be confirmed that it applies to individual works. Particularly, a new way is required for this since it has never been figured out as a single stream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This study will try to grasp the meaning of the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the poetic tradition through the `authentic precedent` based on a model of the poet, Yu Bang-Sun in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Yu Bang-Sun inherited the genealogy of Lee Saek, Lee Sung-In, Kwon Geun, and Byeon Gye-Ryang in late Goryeo, and brought up the literary persons who are representing Seo Geo-Jeong, Lee Seung-So, Seong Gan in early Joseon. Yu Bang-Sun has actively borrowed the works of his predecessors, enough to be accused of plagiarism when creating poetry. This shows the basis of his own creation by succeeding in the poetic achievements of his predecessors. As a result of verifying through actual works, the poetic tradition borrowed by Yu Bang-Sun continued to the next generations and stopped at him. Yu Bang-Sun played the role of connecting link while the tradition of the poetry history was succeeded and discontinued. The core principle of the authentic precedent in terms of Chinese poem is "translation". Authentic precedent translated by Goryeo`s authors has become a `new tradition` (`Korean authentic precedent`) and enriched their creative work. The creations that were born in such way became `authentic precedent` again. The authors of Joseon made their own creations through translating this new authentic precedent. Thus, the history of Korean poetics was made up through succession and discontinuity of authentic precedent. It is desired that we will find out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poetics and keep track of the succession and disconnection of the poetic tradition based on the keyword of `authentic precedent and transla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질편모충의 주사전자현미경적 관찰

        김승룡,류재숙,Kim, Seung-Ryong,Ryu, Jae-Sook 한국현미경학회 2001 Applied microscopy Vol.31 No.3

        여성의 질에서 분리한 질편모충을 생리주기 $5\sim10$일 사이의 인체 질상피세포와 10 : 1의 비율로 $37^{\circ}C$ 항온기에서 30분 반응시킨 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질편모충의 형해를 관찰하였다. 정상 질편모충은 난원형 모양인데 비해 인체 질상피세포와 반응시킨 충체는 위족을 길게 내밀고 몸이 얇게 퍼져 아메바모양으로 변화하면서 질상피세포에 강하게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 HeLa세포에 부착된 질편모충은 난원형모양을 유지하면서 부착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를 종합할 때 질편모충은 질상피세포에 부착할 때 질편모충의 생존에 유리한 아메바모양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morphological changes of Trichomonas vaginalis after contact with human vaginal epithelial cells,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The vaginal epithelial cells (VEC) (menstrual, days $5\sim10$) from normal women were mixed with T. vaginalis (VEC/trichomonads ratio of 1 : 10), and incubated for 30 min. The parasitic body was changed to a more elongated shape with pseudopodia or was flattened to ameboid transformation showing highly adherence to VEC.

      • KCI등재

        송도의 기억과 문학적 상상의 지향

        김승룡(Kim Seung R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0 No.-

        이 논문은 김택영(金澤榮)의『숭양가구시집(崧陽耆舊詩集)』에 보이는 송도(松都)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의 일면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김택영은 일찍이『숭양기구전』을 통해 송도인의 면모를 다양한 각도에서 조망한 바 있다. 이 시집은 그와 짝을 이루는 편서로서, 송도인 61인의 시 337수를 수록하고 있다. 이 책은 본래 17세기 마권(馬權)이 편집했던『송경풍아(松京風雅)』를 바탕으로 김택영이 보완하여 편간한 것이다.『송경풍아』는 간행되지 못했었다.『숭양기구시집』은 당대 송도의 지식인 및 자산가들이 결합하여‘동간(同刊)’했다. 이를 통해 이들은 송도의 기억과 형상에 특정한 지향성을 부여했다.『숭양기구시집』에 수록된 시를 스케치해보면, 송도는 청신(淸新)한 공간으로서 그 안에서 학문하는 지식인의 모습이 떠오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결론은 아직은 인상적(印象的) 스케치에 불과하다.『숭양기구시집』은 물론, 송도를 노래한 한시들에 대한 전면적 대조 및 분석을 통해, 송도의 기억과 형상이 시대마다, 작가마다 어떤 지점에서 나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ed to look back on the recollection of Songdo and aspects of literary form which could be seen by『Soongyangkiku poems(崧陽耆舊詩集)』written by Kim Taek-Yong. Kim Taek-Yong had early taken a view of Songdo people's aspects from various angles through『Soongyangkiku biography』. As edited work matching with that, This poetical works included three hundred thirty seven poem of sixty one Songdo people. In fact, This work was originally supplemented and published by Kim Taek-Yong based on『Song gyeong poong-a(松京風雅)』which edited by Ma Quan(馬權) in seventeenth century.『Song gyeong poong-a』didn't published yet. Intellectuals and rich men of contemporary Songdo had united and "published『Soongyangkiku poems』together(同刊)" By doing so, they gave specific orientation to memories and aspects of Songdo. As sketching the poem included in『Soongyangkiku poems』, we could find Songdo as a new and fresh space where the appearance of studying intellectuals is coming up. However, this conclusion is still remained a memorable(印象的) sketch. Naturally『Soongyangkiku poems』need to be examined which memories and figures of Songdo could be divided according to periods and authors through outright contrast and analysis of chinese poem which singing Songdo.

      • KCI등재

        容軒李原의 한시에 나타난 몇 가지 마음에 대하여

        김승룡(Kim Seung Ryo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5 동양한문학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이원의 한시에 등장하는 관건어를 찾아서, 그에 담겨있는 시인의 마음을 검토할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원은 固城李氏를 조선 초기문벌로 만들어낸 관료이자 시인이었다. 그의 시는 『鐵城聯芳集』 『容軒集』에 전한다. 그의 시를 일별하면 ‘獨’ ‘客’ ‘淸’이란 세 가지 관건어가 포착된다. 그는 여기에 각각 讀書人으로서의 자긍심, 報國하는 관인으로서의 사명감, 淸遊와 宦路의 경계에서 갈등하는 마음을 담아놓았다. 이 세 가지 관건어는 지식인으로서의 이원을 이루어주는 주요한 논리적 항목들이다. 즉 ‘獨’은 그를 지식인으로서 존재하도록 만드는 근간을 표현하고, ‘客’은 관료로서 살아가는 자신의 형상을 드러낸 것으로 흔히 정처없는 나그네의 이미지와는 다르다. ‘淸’은 ‘客’과 대비되는 淸閑의 공간, 비온 뒤 맑고 깨끗한 느낌을 안겨주는 淸新한 풍경, 그리고 그 안에서 노닐고 싶은 淸遊의 逍遙로 이뤄진다. 이를 통해 이원은 지식인으로서의 像을 모색해나갔다. 그는 시를 통해 여말선초 지식인들과의 연대를 꾀한다. 그가 관계를 맺었던 이들은 그동안 문학사에서 거론된 이를 비롯해 새로운 사람들이 많다. 이제 여말선초 지성사는 또 다른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간 몇몇 인물들을 중심으로 이뤄져 온 시대상을 넘어서 당시를 살아갔던 지식인들의 목소리를 올곧게 경청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fine key words existed in Won Lee’s Chinese poems and to analyze the poet’s mind. Won Lee is a poet and government official who made the Go-sung(固城)Lee clan renowned lineage. His poems were introduced by 『鐵城聯芳集』, 『容軒集』. With glimpse of his poems, three keywords-dok(獨), gaek(客), cheong(淸) could be catched. This is where he showed a self-esteem as Reader, a sense of duty as government official, and inner conflicts between spiritual pleasure outing (淸遊) and official career. These three key words are main logical items which form Won Lee as an intellectual. That is, ‘Dok(獨)’ let him exist as an intellectual, ‘Gaek(客)’ represented his living style as official, and ‘Cheong(淸)’ which compared with ‘gaek’ expressed clean and pure place, landscape, hope for a pleasant ramble(逍遙) Won Lee tried to band together and solidify with Yeomalsuncho intellectuals. Through revision of their unaffected voice, We need to catch the new phases of the times

      • KCI등재

        락헌 (樂軒) 이장용의 시세계 연구

        김승룡(Seung Ryong Kim)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고려후기 문학사의 균형잡힌 연구를 위하여, 원간섭기(元干涉期) 강화론(講和論)을 제기했던 문인들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13세기 전반의 성과를 잇고, 14세기를 예비한다는 역사적 의의와 함께, 현실과 명분, 민족과 외세의 경계에 섰던 지식인들의 날카로운 의식과 문학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원간섭기(元干涉期) 초기를 살았던 낙헌(樂軒) 이장용(李藏用:1201-1272)의 화친론(和親論)과 그 대원(對元) 자세의 성격을 살펴보고, 유자(儒者)로서의 오도의식(吾道意識)을 점검한 뒤, 사찰제영시(寺刹題詠詩)에 담긴 자아의 갈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그는 당시 강화론을 제기했던 인물들의 대표격인 문인이다. 비록 불교적 취향이 남달랐던 것으로 평가받고 있지만, 근본적으로 유술(儒術)을 존숭하고 오도(吾道)를 자각하며, 유자적(儒者的) 삶을 살고자 했던 지식인이었다. 특히 그는 문교정책(文敎政策)의 기획자를 꿈꾸며, 유종(儒宗)의 현창(顯彰)과, 이를 위한 학교의 설립, 그리고 영재의 육성을 제기하였다. 그러나 그가 돌아본 자신의 삶은 애상적(哀傷的)이었다. 주로 사찰에서 쓰여진 시 속엔 불교적 정취가 한껏 배어있어, 그의 선취(禪趣)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지만, 현재 남겨진 시에 보이는 `강산(江山)`과 `공명(功名)`의 대조 속엔 항상 현실과 선경(禪境) 사이에서 갈등하며 고뇌하는 자아의 서글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선월사(禪月寺)의 `해탈경(解脫境)` 속에서도, 문주사(文珠寺)에서 잠들었어도, 그의 주위를 맴돌고 있는 `공명(功名)`의 흔적에 슬퍼하는 마음이 시상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그가 자신의 고뇌를 백련결사(白蓮結社)를 통해 나누고 있는데서, 그의 정서와 문학이, 일개인의 서정에 그치지 않고, 13세기 후기 지식인들의 정서와 맞물리는 것으로 보인다. For a well-balanced study on the literature of the Goryo Dynasty, it is essential to investigate into those scholars who supported amicable relations with Won Dynasty during the period of Won`s intervention in Goryo. That is because such an investigation offers an "opportunity" to appreciate the acute consciousness as well as the literature of the intellectuals who found themselves on the boundaries of reality vs cause, autonomy vs outer influence as they succeeded to the achievement of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as well as preparing for the 14th. This thesis intends to examine the peace proposal made by Rakhun Lee Jangyong who lived during the early period of Won`s Intervention, his attitude toward Won Dynasty, his approach to Tao as a Confucianist and then the personal conflict within his ego as is reflected in Sachaljeyoung-shi. He was a typical example of those literary people who supported amicable relations with Won Dynasty at the time. Though he is known to have had strong inclinations toward Buddhism, he was basically an intellectual who revered Confucian principles, was spiritually enlightened, and longed to live a life as a faithful Confucianist. In particular, he aspired to be a planner of an educational policy, dreamed of a world where Confucian principles prevail, and proposed establishing schools that would foster young promising scholars in order to achieve such a world. Nevertheless, his life as he reflected upon it was a kind that was elegiac. True, those poems that were written mostly in temples were saturate with Buddhist sentiment allowing us to understand his proclivity toward Zen. However, in the contrast of the poems Kangsan and Kongmyong, which are still extant, can we witness his disconsolate self that agonizes over the conflict woven between the reality and the world of Zen. Even the overall mood of Haetalgyong of Sunwolsa is dominated by his woe in which he laments over the lingering vestige of his desire for exploit, though he body is asleep in Munjusa. The fact that he shares his agony through Bakrungyulsa seems to indicate that his sentiment and literature are not those that are confined to himself only, but rather they seem to he interconnected with those of other intellectuals of the late 13th century.

      • KCI등재

        근대계몽기 김택영의 南通 생활에 대한 소고

        김승룡(Kim, Seung-ryong) 대동한문학회 2012 大東漢文學 Vol.36 No.-

        이 논문은 근대계몽기 김택영의 남통 생활을 재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1905년 창강은 중국 남통으로 건너가, 1927년 삶을 마감할 때까지 32년을 그곳에서 생활하였다. 그동안 渡中한 이후의 삶에 대하여, 그의 시문에 의지하여 문학적 성취를 다룬 논의만 있었을 뿐, 남통을 생활공간으로 확보하여 연구한 적은 없었다. 무엇보다 자료적, 지리적 한계로 인한 결과였다. 이로 인해 ‘남통’이란 공간과 창강의 시문 사이에는 ‘공백’을 가진 채 논의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남통’이 창강의 생활공간으로서 갖는 의미를 확인하기 위해, 그의 삶을 구체적으로 고증하고자 하였다. 논의의 결과, 1910년대 남통은 근대적 문명 건설이 가장 활발했던 계획도시로서, 창강 또한 그 문명의 한 자락을 직접 목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남통의 ‘근대적 모습’에 비해 창강의 의식이나 시문에 나타난 ‘근대성’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이방인이란 낯선 위치가 고향에 대한 미련을 버릴 수 없도록 하였던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그 대신 창강은 한묵림인서국을 통해 고국의 문화를 정리해내었고, 이는 그의 생활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한 장의 사진에 보이는 1907년경 창강은 젊은 남통인들과 어울리며 저들을 격려하는 식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준다. 비록 스케치에 불과한 논의였지만, 차후 창강의 하반생을 점검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기를 기대해본다. This paper is the study of Changkang(滄江) Kim Taek-Young(金澤榮)’s Namtong(南通) life. Since Chang-Kang went to Nantong, he lived there untill he died in 1927. In order to entirely restore his life, reorganizing his life in Namtong(南通) is necessary work. Namtong is the first mordern planned city in China. Particularly, Namtong in which Changkang arrived was getting fully morden appearance. As watching this city, Changkang would sing modern achieving. Also, he edited Chosun’s historical books in Hanmooklim inseokuk(翰墨林印書局) and made friends with Namtong intellectuals. The young who met Changkang was the best of elite in Namtong. By enjoying companionship with them, he can free from agony as a ‘stranger’. Although he felt sense of detachment from the Namtong, now it became established definite living space in his life.

      • KCI등재

        소파(小坡) 오효원(吳孝媛) 한시의 마음에 대하여 - 시학의 성격과 의경 ‘원(怨)’을 중심으로 -

        김승룡 ( Kim Seung Ryong ),이현정 ( Lee Hyun Jung ) 근역한문학회 2018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9 No.-

        본고는 근대기 여류시인인 소파 오효원의 한시를 대상으로 그 한시에 들어있는 ‘마음’의 일단을 읽고 그 의경의 구성을 심미적으로 이해하고자 시도한 글이다. 소파 연구는 기본적인 자료의 한계 때문에 그녀의 삶에 대한 재구는 물론 의식에 대한 역사적, 사회적 접근이 용이하지 않다. 自序를 제외하고 그녀 자신의 생각을 알 수 있는 자료는 한시뿐이라는 점에 주목하여 한시를 읽기 위한 방법으로 ‘마음독법’을 제시하였다. 마음독법은 시 속의 관건어를 통해 시인의 마음을 엮어내는 방법으로, 오롯하게 시속의 감정과 논리를 주목하기 위한 방법적 전략이었다. 아울러 소파의 自述을 더욱 신뢰하면서, 시에 있어서 감정에 예민하고, 나 자신의 감정에 주목해야 한다는 논의를 추려내었다. 아울러 감정의 갈래를 짓고 그 감정들의 결을 읽어내려 한 소파의 시를 찬찬히 검토한 뒤, 소파의 시학을 감정의 시학으로 정리했다. 비록 감정의 시학이란 이론을 제시하진 않았지만, 시를 통해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외부와 다소 단절된 ‘진공상태의 소파’를 들여다볼 것을 시도하였다. 소파는 마음을 중심에 놓고 수많은 감정과 생각들을 직조하며 시를 지었다. 이 가운데 그녀가 가장 정성을 기울였던 감정은 ‘怨’이었고, 다양한 형상을 통하여 하나의 의경으로 표현하였다. <玉階怨>을 통해 기존의 방식을 준용하되 내포의 전복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동제의 다른 시인들과 비교할 경우, 소파가 전래의 주제나 구성방식을 그대로 수용하기 보다는 나름의 방식으로 낯설되 서툴지 않게 의경을 그려냈던 것이다. 소파가 모색했던 주체의 확인, 허나 그것의 좌절로 겪어야 했던 아픔들, 이들이 간단없이 지속되면서도 멈추지 않는 모습은 ‘怨’을 일시적 감정을 넘어 시적 의경으로 승화시켰다. 이제 소파의 시는 또 하나의 시세계를 갖춰가고 있었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read a part of the 'mind' contained in the poetry of Sopa Oh Hyowon, who is a poetess in the modern period, and try to understand the composition of the artistic conception in aesthetic sense. Because of the limitations of data, it is not easy to reconstruct her life and to take historical and social approach to her consciousness. We focused on the fact that the poems are only sources to know her own thought besides 『autobiography』 so proposed the ‘mind-reading method’ which is a methodological strategy for paying attention to the feelings and the logic of poetry in a way that weaves the poet 's mind through the main words of poetry. In addition, we relied more on the Sopa's self-expression and caught up the argument that it is required to be sensitive to emotions and pay attention to own emotions. Furthermore, her poetics was summarized as the poetics of emotion after carefully examining the poetry of the Sopa that made the division of emotions and read the resulting emotional texture. Although we did not suggest the theory of emotional poetics, we tried to reconstruct it through poetry and look into the 'Sopa in a vacuum' that was somewhat disconnected from the outside. The Sopa centered on the mind and wrote the poems by weaving a lot of emotions and thoughts. Among them, she put her heart on the 'grudge', and it was presented with a single artistic conception through various forms. We confirmed that the existing way was applied through < Okgyewon >, but the new meaning was created through the overturning of the implication. Compared to other poets in the same age, the Sopa’s description about the artistic conception was not strange and uncomfortable in her own way, rather than accepting the original theme or composition. The identification of the subject that the Sopa searched for, the pain that she had to suffer with its frustration, and their continuation turned the ‘grudge’ from passing emotion into the poetic conception, so the Sopa’s poetry had been constructing her own poetic world.

      • KCI등재

        영역『논어』의 번역어 생성과정과 의미의 경계

        김승룡(Kim, Seung Ryong),송병우(Song, Byung Woo) 동악어문학회 2016 동악어문학 Vol.69 No.-

        본고는 英譯『논어』속의 ‘君子’ 개념의 번역어가 생성되어가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 의미의 경계를 갈래지어 설정할 것을 목적으로 한다. 논어는 서구에서 가장 많은 주목을 받는 동양 경전의 하나이자, 가장 많이 번역된 것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가장 상세한 주석이 달려 있는 제임스 레게(Jaems Legge)의 번역본을 필두로 그 뒤 현대에 이르기까지 16종의『논어』영역본을 대상으로 ‘君子’의 영역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논어』에서 ‘군자’라는 말이 최초로 언급되는 「학이」편의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라는 문장의 영역 양상을 전체적으로 제시하고 이 속에서 각 번역가들이 ‘군자’를 번역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동일한 문장 속 ‘군자’의 영역 양상을 비교해 보기 위해서이다. 그 결과 이 문장의 ‘군자’는 번역가에 따라 ‘man of complete virtue’, ‘wise and good man’, ‘true philosopher’, ‘gentleman’, ‘high breed’, ‘to be gentlemanly’, ‘moral leader’, ‘exemplary person’, ‘great nobility’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고 있다. 이는 동양의 ‘군자’에 대한 의미를 각기 다르게 형상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번역가들이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그들이 바라본 동양의 ‘군자’에는 ‘도덕적으로 훌륭한 인품’이라는 도덕성의 의미 자질이 공통적으로 들어가 있다. 3장에서는 16명의 번역가들이『논어』속 ‘군자’를 번역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들은 ‘군자’를 ‘군자’라는 단일한 표현으로 지칭했던 동양과는 달리, ‘군자’의 의미 범주를 적어도 7개 이상 상정한 각기 다른 표현을 사용하고 있다. 이상적인 존재로서의 ‘superior man’, 賢者와 德者의 개념을 겸비한 ‘wise and good man’, 사회적 지위 속에서 이해한 ‘man of high position’, 도덕성에 초점을 맞춘 ‘man of virtue’, 학자로서의 군자인 ‘scholar’, 교양인인 ‘gentleman’, 귀족의 행동 규범을 강조한 ‘noble man’ 등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들의 번역의 특징은 초기에는『논어』속 각 문맥에 기대어 ‘군자’의 구체적인 의미를 다양하게 표현하려 하지만, 후대로 올수록 관념화되고 보편화된 하나의 번역어로 표준화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이처럼『논어』속 ‘군자’의 번역어 생성과정은 동아시아의 고전적 가치가 서양의 근현대 언어로 옮겨지는, 시공간을 횡단하는 과정으로서 지난한 시간이 소요된 사회적 문화행위였다. 이는 로컬과 로컬이 만나 글로벌이 되는 문화적 소통의 과정이었다. The Analects of Confucius is one of the Eastern scriptures that Westerners most pay attention to and translate into English. I examine translational aspects and features about Junji (君子) in its sixteen different scholars’ english versions: from James Legge to Annping Chin. There are two reasons for this research: one is my curiosity about how Western scholars have understood the concept of Eastern Junji, another is my intention to give shape to the concept Junji in english versions of The Analects of Confucius. Chapter two investigates translational aspects of Junji in The Analects of Confucius. The sixteen translators used more than seven different categories to indicate Junji: ‘superior man’ as an ideal being, ‘wise and good man’ as a being with intelligence and morality, ‘man of high position’ as a being with high social classes, ‘man of virtue’ as a being with excellent virtue, ‘scholar’ as a being focused learning somethings, ‘gentleman’ as a being of culture and refinement, ‘noble man’ as a being with aristocratic behavior rules. The tendency of these translations is to articulate and express Junji in multiple ways in early periods, while it became standardized various words into an abstracted and stereotypical word in the latter period. Chapter three examines the translational aspects of Junji in the one sentence of the sixteen english versions, “人不知而不慍, 不亦君子乎,” which is in the first chapter of The Analect of Confucius. It compares translational features of Junji among the sixteen english versions. As a result, I figured out that there are lots of expressions of Junji in the same sentence: ‘man of complete virtue,’ ‘wise and good man,’ ‘true phiolosopher,’ ‘gentleman,’ ‘the high breed,’ ‘to be gentlemanly,’ ‘moral leader,’ ‘exemplary person,’ ‘great nobility.’ Translators made the meanings of Junji differently. However, almost all translators agree on that the concepts of Junji have the meaning feature of morality, morally excellent characters in common.

      • KCI등재SCOPUS

        폐경 여성의 난소종양 염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김승룡(Seung Ryong Kim),조수현(Soo Hyun Cho),김경태(Kyung Tai Kim),문형(Hyung Moon),황윤영(Youn Yeung Hwang),신중식(Joong Sik Shin),문영진(Young Jin Moon)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7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a postoperative diagnosis of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8. Results : The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constitute 20/94 (21.3%) of all adnexal torsion patients en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mean (±SD) age of the 20 patients was 63.5±9.0 years, with a range of 52-90 years. The mean time since menopause was 16.5±10.3 years, with a range of 1-39 years. The mean parity was 5.4±2.0 (range of 3-10). Lower abdominal pain (65%)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symptom, palpable mass(20%) or diagnosed mass(15%) being the second. But, in 20% of cases there was no lower abdominal pain. The torsion occurred at the right side in 11cases (55%) and at the left side in 9 cases. The most frequent degree of torsion was those cases that was rotated twice (720˚). The neoplasms undergoing torsion ranged in diameter between 5cm and 30cm and the most prevalent size was 6 to 10 cm (8 cases). Most of the patients (17cases) were treated by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varied histologically and the most common type was cystic teratoma (in 5 cases), simple cyst(in 3 cases), serous cystadenoma(in 2 cases), mucinous cystadenoma(in 2 cases). Conclusion : In our study, ovarian tumor torsion occurring in postmenopausal patients constituted approximately 20% of all torsion patients, therefore adnexal tor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ostmenopausal woman presents with lower abdominal pain. When torsion is diagnos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s the usual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patients. Histologically, in more than 90% of cases,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were benign. If cancer is evident, more extensive surgery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