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문화와 제주어 ; 제주도 도서지역어의 생태학적 연구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의 어촌생활어를 대상으로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3 탐라문화 Vol.0 No.43

        이 논문은 우도·비양도·가파도·마라도 등 제주도 안의 4개 도서를 3지점으로 나누어 어촌생활어를 생태학적으로 조사, 연구한 것이다. 조사된 어휘 가운데 바 다동물 관련 35개 어휘와 바다식물 관련 16개 어휘 등 51개 어휘를 포함하여 총 8개 분야 106개 어휘에 대하여, 생태 측정을 위한 설문지가 작성되었다. 설 문 조사는 30·40대, 50대, 70대 이상 등 3세대로 나눠 실시하였다. 30대와 40 대를 묶어서 조사한 것은 조사 지점이 도서지역이어서 30대 인구가 많지 않기 때문이다. 조사 결과, 70대 이상 응답자들은 51개의 해산물 관련 어휘 중 52.9%인 27 개 어휘에서 방언형을 100% 쓰고 있으나, 50대에선 29.4%인 15개 어휘, 30대 에선 11.7%인 6개 어휘만 방언형을 쓰고 있다. 생태 지수가 50% 이하인 어휘 는 70대 이상에서 13.7%인 7개 어휘이고, 50대에서는 5.9%인 3개 어휘, 30·40 대에서는 27.5%인 14개 어휘로 나타났다. ``이해하지 못하거나 모르겠다``는 응답을 보인 어휘는 70대에서 ``듬북`` 외 6개 어휘, 50대에선 ``보제기`` 외 9개 어휘로 나타났다. 30대에서는 ``모르거나 이해하지 못하겠다``고 응답한 어휘가 72.5%인 37개나 되었다. 위의 결과를 보면, 세대가 낮을수록 ``모르겠다``는 응답자가 많아 생태 지수 가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해당 지역의 30대·40대 인구 비율이 현저히 낮을 뿐만 아니라 이들 세대가 어로 활동과 관련한 일을 하지 않는 것도 언어 사멸 속도를 빠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사멸되거나 사멸의 길을 걷는 어촌생활 어는 물론 환경 등의 변화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제주도방언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시급한 것으로 드러났다. Vocabularies about ocean creatures (ocean animals and ocean plants) in islets near Jeju Island are searched and systematized ecologically. 4 islets near Jeju Island, U-do, Biyang-do, Gapa-do and Mara-do,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re searched for this study. After that, 51 words are chosen including 35 words about ocean animals and 16 words about ocean plants. Then the survey form with 106 questions is made from the result. The survey for three age groups is conducted to check ecological index. The age groups are the thirties-forties, the fifties and over seventies. There are not so many people in their thirties in these islets so one groups have to be consisted of the thirties and forties. The result shows younger generation doesn`t understand dialect more and this means their ecological index is low. There are a few young people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they usually don`t have fishery jobs so it quickens extinction of the language. That is why we need a methodical approach to extinct or endangered vocabularies about sea creatures and endangered Jeju dialect.

      • KCI등재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수의)’ 관련 어휘 연구

        김순자 ( Soon Ja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7

        ‘호상옷’은 ‘염습할 때에 송장에 입히는 옷’을 말한다. 표준어 ‘수의(壽衣)’에 대응하는 제주도방언으로, 사람과 지역에 따라 ‘호상’ 또는 ‘저승옷’이라고도 부른다. 이 논문은 사라져가는 제주의 언어 유산을 복원한다는 의미에서, 상례와 관련된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수의)’ 관련 어휘를 종류별 명칭과 부분 명칭, 바느질법 관련 어휘 등으로 나눠 살폈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제주도방언의 ‘호상옷’은 일상 옷 가운데 가장 갖춰 입었던 ‘혼례’ 때의 옷차림에다가 ‘대렴’ 때 필요한 제구(諸具)인 ‘갖은수의’로 이루어진다. 둘째, ‘호상옷’ 관련 어휘 중 옷가지의 명칭은 한자어보다 고유어 명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반면에 부속물은 예전과 같이 한자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지만 시대가 변하면서 고유어 사용이 늘고 있다. 셋째, 부분 명칭에서는 제주도방언의 특징인 문헌어와 특이 어형을 간직하고 있다. 특히 이들 어휘 가운데는 국어사전에 표제어로 올라 있지 않은 어휘도 있어 새 어휘의 발굴이라는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하겠다. 넷째, 바느질법 관련 어휘인 ‘손바농질, 뒷바농질, 뎅침, 동근술’ 등 ‘침선’ 관련 특이 어형을 새롭게 소개했다. 제한된 지면으로 이 논문에서 다루지 못한 ‘호상옷’ 관련 부분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Hosangot’, ‘sueui’ in standard Korean, is a garment or piece of cloth used to wrap a dead body and the terms are different from people and regions like ‘hosang’ or ‘jeoseungot’. In this study, the vocabulary about shroud is divided into some categories such as names, names of the parts of clothes, and how to sew, etc. to restore endangered Jeju dialect. The purpose of this study, moreover, is to Korean-linguistically systematize and analyze the words. Here are the conclusions. First, ‘hosangot’ in Jeju dialect meansthe most formal clothes for wedding ceremony with ritual utensils for shroud. Second, there are more Korean native words for the clothing than sino-Korean words while words for ritual utensils are often sino-korean. However, as time have changed, more Korean native words are used for the ritual utensils. Third, some names of the parts of clothes are from document language and have special word forms, which is the characteristic of Jeju dialect. It is meaningful to find these words as some of them are also especially novel and couldn`t be found in the Korean dictionary. Fourth, there are some interesting new words about sewing such as ‘sonbanongjil, dwitbanongjil, dengchim, donggeunsul’It is shame that more words for a shroud, taboos and sayings could not be listed because of the limited pages. It is for the next study.

      • 한국 김치산업의 수출경쟁력 및 수출강화에 관한 연구

        김순자 ( Soon Ja Kim ),홍진영 ( Jin Young Hong ),배기형 ( Ki Hyung Ba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6 유통정보학회지 Vol.19 No.3

        Purpose: Kimchi is a famous commodity of Korea. But now it is imported from China by large quantit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ing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kimchi on global markets. This paper deals with a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Kimchi and export reinforcement strategies. Global market including Korean and Chinese distribution companies. The competitiveness of Kimchi industry in major country and world market are investigated and discussed in this paper.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export competitiveness, we calculated Trade Specification Index and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 Index based on UN Comtrade data. Results: The result of our analysis clearly shows that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Kimchi reducing continually. And we also found that China become strong position in Korean and Japan market. Conclusions: Our results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rategy in Korean Kimchi industry to maximize export competitiveness. Using by SWOT analysis, we have suggest some strategies for export reinforcement. Increased confidence in the products with Korean kimchi material, relaxation of the SPS regulations, research on various recipes, product lines, design and packaging development for the global market will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Kimchi. Therefore Export prospects of kimchi are bright for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China.

      • KCI등재

        캐나다 밴쿠버의 인디언 보호구역

        김순자 ( Soon Ja Kim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1 No.4

        North America was the home of the Indians long before Europeans came to the New World. As more and more settlers arrived and pushed West, these Native Americans were slowly and forcibly pushed from their lands. Although they attempted to fight for their land, most were forced to assimilate to the European culture and religion in order to live peacefully with these new people. North American Indians have been taken away their rights and are under the rule of the European colonist even in their own territory as ever. Despite many oppression, First Nations handed down their own unique culture and way of life for generations. British Columbia was joined in Canada Government in 1871. The province has abundant mountains and forest as well as large quantities of natural resources. In this study, the history and culture of Indian Reserves in Vancouver will be examined. First, Indians definition and history before Europeans enter in North America. Second, the period of the rule and impact of the Europeans. Finally, today`s culture and rights of Indians in British Columbia. This study was done by touring Indian Reserves in this area by myself.

      • KCI등재후보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김순자(Kim, Soon Ja),희태(Kim, Whee Tai)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0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4 No.4

        This study aimed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n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based on types of institutes and teachers’ careers. 262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on teacher’s perception about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contacted with their friends to learn korea traditional play.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ass for traditional play between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For instructing traditional play, teachers provided pictures, picture books, and actual objects. Teaching materials were instructional materials for educational activities for traditional play, the Internet and so on. Teachers thought that in performing traditional play, they didn't know how to play it. Third, the more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long career, the more they had interest in traditional games in general. In addition, teachers with longer careers applied traditional play activities regarding educational activities, traditional festivals like Chuseok. Because teachers want education program and opportunity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opportunity and educational program for learning korea traditional play for young children is needed to give them to learn it. It suggests that one should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training programs and lectures regarding traditional play and at the same time, develop and supply teaching materials and tools.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의 유형과 유아교사들의 교육 경력에 따라 전통 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는 어떻게 다른지, 유아교사들의 근무기관에 따른 전통놀이의 인식과 교육 실제에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서울 E구와 경기도의 E시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전통놀이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제에 대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이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로는 주변의 사람들을 통해서 획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친구들과 놀이를 통해서 전통놀이를 접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전통놀이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 이유로는 전통놀이는 협동놀이를 장려하여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경력이 많을수록 전통놀이에 대한 관심을 많이 가지고 있었다. 경력이 많은 교사들은 교육 활동의 주제와 관련하여 전통놀이를 잘 활용하고 있었으나 경력이 적은 교사들은 주로 추석이나 명절 등 일정 시기에만 전통놀이를 활용하고 있었다. 넷째, 유아교사들은 전통놀이의 활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 연수 및 교육 기회의 강화에 많은 응답을 보였으며 전통놀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육 자료로 유아의 신체 크기와 수준에 맞는 악기 및 놀이 도구 개발 및 보급이 필요다고 하였다. 그리고 교사 연수에 필요한 전통놀이 내용은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의 종류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전통놀이에 대한 연수 및 강연 등의 기회가 강화되어야 하고 유아의 발달 수준에 적합한 전통놀이와 관련된 교재 및 교구 개발 보급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교과서의 고려시대 대외관계사 쟁점 연구

        金順子(Kim, Soon-Ja) 역사교육연구회 2017 역사교육 Vol.143 No.-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histori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in the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used from 2014 and to suggest a new historiography. The current studies on the foreign relations of Goryeo period consist of three aspects: (1) investiture and tribute relation with Chinese dynasties ; (2) anti-invasion history ; (3) international exchange history. The proportions of (1), (2), and (3) in the current Korean History textbooks are 2.2~7.8%, 55.8~58.0%, and 36.4~39.8%, respectively. This results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oportions of three aspects and indicate the nationalistic approach to foreign relation history in Goryeo period. This analysis recommends five historiographic approaches, as follow. First, Korean historians have been avoiding writing on (1), while emphasizing (2). Further writing is required to increase the proportion of (1) and to describe (1) as a diplomatic system. Second, current studies have excessively focused on anti-invasion history from Khitan Liao, Jurchen Jin and Mongol Yuan. Further textbook needs to be written on peace-period with Khitan Liao and Mongol Yuan and to refrain from regarding Jurchen as an enemy. Third, multi-states system and Goryeo’s emperorship structure should be stated more importantly. Forth, the writing on Goryeo-Ming relation during the late Goryeo is required. Lastly, Goryeo’s perception of foreign countries and tribes needs to be written more importantly and objectively, as a country’s diplomatic policy is based on its perception of external countries and tribes.

      • KCI등재

        제주어의 보전과 활용 방안

        김순자(Soon Ja Kim) 제주학회 2011 濟州島硏究 Vol.36 No.-

        제주어는 제주 사람들의 생각이나 느낌을 전달하는 데 쓰는 전래적인 언어다. 이러한 제주어가 사라지거나 사라질 위기에 놓여 있다. 이에 따라 학계와 행정기관, 시민단체, 연구자, 뜻있는 도민 등을 중심으로 제주어 보전을 위한 크고 작은 사업들을 펼쳐왔다. 그럼에도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온전히 보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대안들은 부족한 상태다. 유네스코도 2010년 12월 8일 제주어를 인도의 코로(KORO)어와 함께 사라지는 언어 5단계 가운데 4단계인, 아주 심각하게 위기에 처한 언어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로 분류하였다. 유네스코의 이런 진단이 내려진 이후 행정에서는 제주어연구소 설립 방침을 밝히고, 교육 당국에서는 제주어 교육 강화 정책을 펼치고 있다.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지면과 방송 시간을 늘리는 등 제주어 보전에 힘을 보태고 있다. 각종 상품과 상호 이름으로 제주어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제주어 보전을 위한 노력과 지원이 필요한 상태다. 사라져가는 제주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주어의 체계적인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다. 또 일상생활에서 제주어가 생활화할 수 있도록 제주어 교육이 전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주어 교사 양성과 연구자 육성 등의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그 방안의 하나로 연구자와 교사 양성 등에 필요한 기금을 지원할 수 있는 제주어 기금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 제주 사람들의 삶과 정신이 깃는 문화의 정수인 제주어 보전은 제주어 정책을 담당하는 제주특별자치도, 연구를 담당하는 대학 당국, 그리고 제주도민 모두 에게 주어진 과제다. Jeju language is traditional language delivering thoughts and feelings of Jeju people but it is endangered nowadays. So academia, administrative agencies, civic organizations, scholars and other interested citizens engage in various preservation projects of Jeju language.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alternatives conserving Jeju language entirely. UNESCO categorized Jeju language and KORO India language as critically endangered language which is fourth degree out of five in December 8, 2010. After UNESCO s decision, administrative agencies decided to establish Jeju language Institute and educational authorities implemants a policy on Jeju language education. Newspapers and broadcasting also expand their air time and articles. More Jeju language is used for the namas of goods and shops. However, we still need more support. It is important to take a systematic approach in preserving Jeju language and keep educating people Jeju language as a part of life. For this, Jeju language teacher and researcher training is needed. First of all, Jeju language funding is need to be found to raise teachers and researchers. Jeju language preservation is the task for the governmant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educational authorities and even all of us.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