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SCIEKCI등재

        파종성 악성 핍지신경교종 환자에서 시행한 뇌실내 Methotrexate의 효과 - 증례보고 -

        김상돈,정용구,김세훈,임동준,조태형,이훈갑,서중근,이기찬,Kim, Sang-Don,Chung, Yong-Gu,Kim, Se-Hoon,Lim, Dong-Jun,Cho, Tae-Hyung,Lee, Hoon-Gap,Suh, Jung-Keun,Lee, Ki-Chan 대한신경외과학회 2001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Vol.30 No.7

        Oligodendrogiomas account for about 4 per cent of intracranial gliomas and surgery is known to be an essential first step to establish an accurate diagnosis and when oligodendrogliomas recur with or without anaplastic features after initial resection, radiation and chemotherapy consisting of the administration of procarbazine, lomustine, and vincristine are usually indicated. We report our experience of an excellent result with intraventricular methotrexate chemotherapy for a patient with disseminated anaplastic oligodendroglioma. A 29-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diplopia and headache for two months. MRI showed a irregular, faintly enhanced mass in the posterior fossa. The hisotological diagnosis was an anaplaplastic oligodendroglioma and he was treated with chemotherapy of PCV regimen and 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CSF dissemination was revealed by a follow-up MRI during the period. Intraventricular methotrexate(0.175mg/kg) was given twice a week for 4 weeks through ommaya reservoir and the size of the multiple tumors was decreased significantly on follow-up MRI. This case report suggests that an aggressive treatment involving intravent-ricular chemotherapy may be helpful even when anaplastic oligodendrogliomas disseminates to leptomeninges.

      • SCOPUSKCI등재

        유동층 반응기에서 전자 공장폐수로부터 동의 회수

        김상돈 ( Sang Done Kim ),강용 ( Yong Kang ),임완묵 ( Wan Mook Lim ),조용준 ( Yong Jun Cho ),우광재 ( Kwang Jae Woo ),원창환 ( Chang Whan Won ) 한국공업화학회 1997 공업화학 Vol.8 No.3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동을 포함한 전자회사 공장의 폐수로부터 순수 동을 회수하고자 하였다. 폐수에 포함된 동의 초기농도, 반응기 내부에서 액체의 유속, 반응온도, 반응기 내부에서 양극과 음극간의 전류밀도 그리고 반응시간 등을 실험변수로 선택하였으며 이들 실험변수들이 동의 회수율에 미치는 영향등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실제공정에 공업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연속공정에서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동층 반응기를 사용하여 동을 포함한 전자공장의 폐수로부터 매우 효과적으로 순도가 높은 동의 분말을 회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실험범위에서 동의 회수율은 폐수에 포함된 동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전류밀도와 반응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액체의 유속과 반응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범위에서 동의 회수율을 85% 정도 이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최적 반응조건은 폐수중의 동의 농도는 3wt%, 액체의 유속은 0.5 cm/s, 반응온도는 25℃, 전류밀도는 7A/dm² 그리고 반응시간은 2시간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한 동의 회수방법은 분말재료의 혼합이나 도금등에도 적용될 수 있을것으로 판단되며, 이 경우 복합분말재료의 균질도를 향상시켜 이를 원료로 하여 생산되는 제품의 상품성을 증가시키는데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전자공장에서 다량 방출되는 금속성 폐수로 부터 금속성분을 회수함으로써 수질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공정설계에도 적용할 수 있는 중요한 공학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opper recovery from waste water of electronic industry has been conducted effectively in a fluidized bed reactor. Initial concentration of copper in the waste water, liquid flow rate in the reactor, reaction temperature and time and current density between the cathode and anode in the reactor have been selected as operating variables. The effects of operating variables on the recovery of copper have been studied. It has found that the copper resolved in the waste water can be recovered continuously by means of a fluidized bed reactor. The recovery of copper de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copper in the waste water, while it increased with increasing reaction time and current density, however, it exhibited its maximum value with the variations of liquid flow rate and reaction temperature. The optimum reaction condition to maintain the copper recovery around 85% is as follows ; Xo=3 wt%, U_L=0.5 cm/s, T=25℃, I=7 A/dm² and t=2hrs with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 KCI등재
      • KCI등재

        유기물(有機物)(BIO-COM) 시용(施用)이 답토양(畓土壤)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과 수도수량(水稻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임수길,김상돈,이상규,Lim, Soo-Kil,Kim, Sang-Don,Lee, Sang-Kyu 한국토양비료학회 199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23 No.1

        1. 두 토양(土壤) 모두에서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BIO-COM, 퇴비 및 N-P-K 비료시용은 모두 수량증수효과(收量增收效果)를 보였으나, 그 중 BIO-COM 효과가 가장 크며 Humic acid 처리는 오히려 수량을 감소시켰다. 2. 특히 BIO-COM은 삼요소(三要素) 무시용구(無施用區)에서는 4% 시용수준(施用水準)까지, 그리고 삼요소(三要素) 병행(竝行) 시용구(施用區)는 2% 수준까지 수량증가(收量增加)를 보였다. 3. 수도수량(水稻收量)은 수량구성요소중(收量構成要素中) 주당수수와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 있는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보였으나 천립중(千粒重)과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4. BIO-COM 시용은 수도재배후(水稻栽培後) 토양의 pH, EC, OM, T-N, Av-P, Ex-Ca, Ex-Mg, 그리고 $Av-SiO_2$ 함량을 증가시켰다. 5. BIO-COM 시용은 전생육(全生育) 시기별(時期別) 초장, 분얼수, 생물중 및 건물중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이들 상호간에는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두 토양 공히 처리에 따라 수도체중의 엽록소함량(葉綠素含量) 및 질소, 인산, 칼슘, 마그네슘함량이 증가되었다. 7. 토양의 pH, 전기전도도, 유기물, 전질소, 치환성칼슘, 마그네숨 함량과 수량간에는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을 보였다. 8. 최고 분얼기, 출수기의 수도체중의 질소, 인산함량과 수량간에는 고도의 유의성 있는 정의상관율 보였다. The pot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effects of BIO-COM (Organic fertilizer made from industrial by-product) with the compost and humic aci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nd the yield of paddy rice (CV. Chucheong-byeo).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All the fertilizer treatments, except humic acid, increased rice yield compare to no fertilizer treatment, and Bio-Com was the highest among the fertilizer treatments. 2. Rice yields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BIO-COM only up to 4% but 2% with N.P.K. fertilizers. 3. Rice yield showed highly positive correlation with number of panicle per hill but negative correlation with 1000 grain weight. 4. BIO-COM application induced the noticeable increase of pH, EC, OM, T-N, Av-P, Ex-Ca, Ex-Mg, Ex-Na, and $Av-SiO_2$, contents in the soils after experiments, and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m. 5. BIO-COM application was positively affected on plant height, number of tiller, and fresh weight and dry weight of rice plant throughout entire growing stages and these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ice yield. 6. BIO-COM application also induced the increase of chlorophyll, N, P, Ca, and Mg contents in rice plant 7. It is revealed that there were high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ice yields and pH, EC, OM, T-N, Ex-Ca, and Ex-Mg in the soils. 8. It was also shown the high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ice yields, and N and P contents in the rice plant at heading stages, respectively.

      • 암모니아와 요소용액을 이용한 배출가스내 질소산화물 저감 비교 평가

        임영일(Lim Y. I.),이정빈(J. B. Lee),유경선(K. S. Yoo),김상돈(S. D. Kim) 한국태양에너지학회 1995 한국태양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 No.-

        50 ㎾_(th) 용량의 기체연료버너에서 암모니아 기체와 요소용액을 이용한 선택적 무촉매 환원법 (SNCR;Selective Non-catalytic Reduction) 으로 질소산화물 (NOx) 저감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암모니아는 요소요액보다 더 낮은 반응온도에서 더 높은 효율을 보여주지만 경제성과 암모니아의 부식성 및 맹독성으로 인하여 취급하기에 곤란한 점이 있다. 반면에 요소용액은 적절한 액상첨가제와 기상첨가제를 사용하여 넓은 반응온도 범위에서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으며 공정상의 조업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액상 첨가제인 CH₃OH와 C₂H_5OH 을 사용하여 50℃ 정도의 최적반응온도 감소를 얻었으며 LPG 와 합성가스 (CH₄:CO:H₂:CO₂-1:4:4:2) 를 기상 첨가제로 사용하여 높은 질소산화물 저감 효율을 관찰하였다.

      • 삼상슬러리 기포탑 반응기에서 기체-슬러리 물질전달의 Scaling

        임현오(Lim, Hyunoh),서명재(Seo, Myungjae),강용(Kang, Yong),정헌(Jung, Heon),이호태(Lee, Hotae),김상돈(Kim, Sangdo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06

        삼상슬러리 기포탑 반응기의 설계 및 Scale-up을 위하여 기포탑의 직경변화에 따른 기체-슬러리 계면에서의 물질전달 현상의 Similarity를 검토하고, 기체-슬러리 계면에서의 물질전달 현상과 슬러리 기포탑 반응기의 운전변수 및 반응물들의 물성들과의 연관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삼상슬러리 기포탑의 물질전달계(System)에서 주요 파라메타를 도출하였으며, 이들 파라메터들을 이용하여 슬러리 기포탑반응기의 물질전달 Scaling을 검토하였다. 물질전달계의 주요제어인자로는 기체-액체 부피물질전달계수(k_La), 슬러리상의 확산도(D_{SL}), 기포탑의 직경(D), 기포탑 반응기에 유입되는 기체의 유입속도(U_G), 기포탑 반응기 내부의 연속상인 슬러리상의 표면장력({sigma}_{SL}), 슬러리상과 기체상간의 밀도차({rho}_{SL}-{rho}_G) 그리고 슬러리상의 점도({mu}_{SL})등 슬러리 상의 물성을 선정하였으며 중력가속도(g)를 선정하였다. 물질전달계의 Scling을 검토하기위하여 이를 재구성하였으며 기포탑 반응기의 구조와 직경이 변화함에 따라 이들 무차원군의 변화양상을 고찰하였다. 실험적으로 측정된 물질전달계수와 Scaling에 의해 예측된 물질전달계수를 비교 검토함으로써 본 연구의 Correlation의 적용범위를 제시하였다.

      • SCOPUSKCI등재

        플라즈마를 이용한 상수원 이취미 및 독성물질 분해 연구

        조진오 ( Jin Oh Jo ),김상돈 ( Sang Don Kim ),임병진 ( Byung Jin Lim ),현영진 ( Young Jin Hyun ),목영선 ( Young Sun Mok ) 한국공업화학회 2013 공업화학 Vol.24 No.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egradation of taste-and-odor compounds and toxins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plasma. The degradation of taste-and-odor compounds was conducted on geosmin and 2-methyl isoborneol (2-MIB), and the toxins investigated were microcystin-LR (MC-LR), microcystin-RR (MC-RR), microcystin-YR (MC-YR) and anatoxin-a. Largely depending on the type of gas fed to the plasma reactor, the degradation efficiencies of the taste-and-odor compounds decreased in order of oxygen (100%) > dry air (96%) > nitrogen (5%) for geosmin and in order of oxygen (100%) > dry air (94%) > nitrogen (2%) for 2-MIB on the basis of 150 s reaction time.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oxidative reactive species generated during plasma treatment, especially long-lived ozone, a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degradation of these compounds. When using oxygen as the feed gas, geosmin and 2-MIB were totally degraded within 150 s, microcystins within 10 s, and anatoxin- a within 30 s. It was found that the taste-and-odor compounds and toxins were degraded more rapidly in real lake water than in distilled water.

      • KCI등재

        호소저수구역에서 침수식물체의 수온별 영양염류 용출 특성

        임병진(Byung-Jin Lim),이상규(Sang-Gyu Lee),서동철(Dong-Cheol Seo),최익원(Ik-Won Choi),강세원(Se-Won Kang),서영진(Young-Jin Seo),이동진(Dong-Jin Lee),김상돈(Sang-Don Kim),허종수(Jong-Soo Heo),조주식(Ju-Sik Cho) 한국토양비료학회 2012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5 No.4

        호소저수구역에서 수온이 침수식물체의 영양염류 용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5℃ 및 25℃ 조건의 칼럼에서 이삭사초와 물억새를 침수시킨 후 COD, T-N 및 T-P 함량을 조사하였다. 이삭사초의 침수 후 60일째 COD 용출량은 5℃ 조건에서 60.4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78.0 ㎎ L?¹이었다. 물억새의 침수 후 60일째 COD 용출량은 5℃ 조건에서 62.5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70.5 ㎎ L?¹이었다. 전반적으로 이삭사초에서는 25℃ 조건이 5℃ 조건에서 보다 COD 용출이 급증한 시기가 초기에 나타난 반면에 물억새에서는 COD 용출이 급증하는 시기가 온도별로 서로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삭사초의 침수 후 60일째 T-N 용출량은 5℃ 조건에서 45.8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60.0 ㎎ L?¹이었다. 물억새의 침수 후 60일째 T-N 용출량은 5℃ 조건에서 55.7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61.0 ㎎ L?¹이었다. 식생 종류에 관계없이 25℃ 칼럼의 T-N 용출이 급격히 증가한 시기는 5℃ 칼럼에서 보다 더 빠른 시기에 나타났다. 이삭사초의 침수 후 60일째 T-P 용출량은 5℃ 조건에서 5.7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8.7 ㎎ L?¹이었다. 물억새의 침수 후 60일째 T-P 용출량은 5℃ 조건에서 7.1 ㎎ L?¹이었으며 25℃ 조건에서 8.2 ㎎ L?¹이었다. 식생 종류에 관계없이 25℃ 칼럼의 T-P 용출이 급격히 증가한 시기는 5℃ 칼럼에서 보다 더 빠른 시기에 나타났다. 25℃로 유지된 칼럼의 COD, T-N 및 T-P 용출량은 전반적으로 5℃로 유지된 칼럼에 비해 높았다. To evaluat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s on nutrient releases of submerged plants in lake reservoir, COD, T-N and T-P releases of submerged plants were investigated for 60 days under different incubation temperatures (5℃ and 25℃) in columns. The amounts of COD releases by Carex dimorpholepis were 60.4 ㎎ L?¹ at 5℃ and 78.0 ㎎ L?¹ at 25℃.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 amounts of COD releases were 62.5 ㎎ L?¹ at 5℃ and 70.5 ㎎ L?¹ at 25℃. The amounts of T-N releases in Carex dimorpholepis at 5℃ and 25℃ were 45.8 and 60 ㎎ L?¹, respectively. In Miscanthus sacchariflorus, the amounts of T-N releases were 55.7 ㎎ L?¹ at 5℃ and 61.0 ㎎ L?¹ at 25℃. At 5℃, the amounts of T-P releases in Carex dimorpholep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5.65 and 7.10 ㎎ L?¹, respectively. At 25℃, the amounts of T-P releases in Carex dimorpholepis and Miscanthus sacchariflorus were 8.70 and 8.18 ㎎ L?¹, respectively. In the column experiment, the amounts of COD, T-N and T-P releases by submerged plants at 25℃ were generally higher than those at 5℃.

      • KCI등재

        연구보문 : 토양환경 ; 게르마늄 함유 기능성 쌀 생산을 위한 최적 품종 및 게르마늄 시비 방법 선정

        임종서 ( Jong Sir Lim ),서동철 ( Dong Cheol Seo ),박우영 ( Woo Young Park ),천영석 ( Yeong Seok Cheon ),박성규 ( Seong Kyu Park ),이성태 ( Seong Tae Lee ),박종환 ( Jong Hwan Park ),김상돈 ( Sang Don Kim ),조주식 ( Ju Sik Cho ) 한국환경농학회 2008 한국환경농학회지 Vol.27 No.4

        게르마늄 함유 기능성 쌀 생산을 위한 최적 품종 및 게르마늄 시비방법을 선정하기 위해 토양처리와 엽면처리로 게르마늄 시비방법을 달리하여 호평, 주남, 일미 및 동진벼 등 총 4개 품종하에서 벼의 생육특성, 게르마늄 흡수 특성 및 쌀 품질특성을 각각 조사한 결과 벼의 생육은 호평벼가 타 품종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하였으며, 게르마늄 무처리와 토양처리 시 벼의 생육은 엽면처리에 비해 양호하였다. 벼의 품종에 따른 쌀 생산량은 게르마늄 토양처리의 경우 호평 ≒ 주남 > 일미 >> 동진벼 순이었으며, 엽면처리의 경우 주남 > 일미 ≒ 호평 >> 동진벼 순이었다. 또한 쌀 생산량은 전반적으로 토양처리 > 엽면처리 순이었다. 벼 품종별 현미 중 게르마늄 함량은 토양처리의 경우 호평, 주남, 일미 및 동진벼가 각각 14.5, 8.0, 11.6 및 10.4 mg kg-1로 호평벼가 가장 높았고, 엽면처리의 경우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게르마늄의 흡수율은 전반적으로 엽면처리가 토양처리에 비해 높았으나 실제 주식으로 사용되는 현미나 백미 중의 게르마늄 흡수율은 토양처리가 엽면처리에 비해 약 2배정도 높았다. 따라서 게르마늄 함유 기능성 쌀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현미나 백미 중 게르마늄 흡수량을 증대시켜야 하므로 게르미늄 토엉켜리가 엽면처리에 비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며, 최적 품종은 호평벼이었다. To select of optimum rice species and germanium (Ge) application method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rice with Ge, the growth characteristics, Ge absorption and grain quality of rice plant were investigated under different rice species (Hopyungbyeo, Junambyeo, Ilmeebyeo and Dongjinbyeo) and Ge application method (soil application and foliar spray). The rice yield by soil application was higher in the order of Hopyungbyeo ≒ Junambyeo > Ilmeebyeo >> Dongjinbyeo. On the other hand, the rice yield by foliar spray was higher in the order of Junambyeo >> Ilmeebyeo > Dongjinbyeo > Hopyungbyeo. The rice yield by soil application was higher than that by foliar spray regardless of rice species. For soil application, the Ge absorption in various parts of the rice was higher in the other of rice bran > brown rice > polished rice regardless of rice species. The Ge absorption of brown rice in Hopyungbyeo, Ilmeebyeo, Dongjinbyeo and Junambyeo by soil application was 14.5, 8.0, 11.6 and 10.4 mg kg-1, respectively. In leaf, stem and root, the Ge absorption by foliar spray was higher than that by soil application, whereas, in rice bran, brown rice and polished rice, the Ge absorption by soil application was higher than that by foliar spray. The optimum rice species and Ge application method were demonstrated to be Hopyungbyeo and soil application, respectively, which provided suitable conditions for production of functional rice with 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