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로컬에서 1991년 5월투쟁을 다시 보기 :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김봉국 ( Kim¸ Bong Guk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이 글은 1991년 5월투쟁을 서울지역의 경험이나 정치적 성패 차원의 논의에서 벗어나 ‘광주’라는 로컬의 위치와 감성적 주체의 시각에서 다시 바라보았다. 광주지역은 5·18의 경험과 감성의 자장 속에서 5월투쟁에 직면했다. 80년 ‘5월 청산’의 문제가 지연된 상태에서 5·18 문제는 지속적으로 지역민의 사회인식과 실천에 (무)의식적 영향을 미쳤다. 91년 5월투쟁 당시 투쟁의 리듬과 강도와 지속성이 다른 지역과 달랐던 배경에는 이처럼 지속된 5·18의 상흔이 자리 잡고 있었고, 그것이 낳은 분노가 연이은 ‘열사’들의 죽음에 응답했기 때문이었다. 5월투쟁은 지역민들에게 반복되는 일상적 삶을 정지시키고 구조화된 삶의 경계를 해체하거나 전복할 수 있는 경험공간을 제공했다. 특히 애도와 투쟁의 리미널한 시공간은 지역민들에게 80년 5월의 ‘해방공동체’를 떠올리고 경험하게 했다. 또 하나의 5월로 경험되었던 5월투쟁은 광주시민에게 ‘5월 청산’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실패’나 끝이 아닌 계속되어야 할 투쟁의 한 과정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강했다. 결국 광주지역의 사례는 91년 5월투쟁이 지역에 따라 서로 다른 위치와 문맥 속에서 전개되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그렇기 때문에 91년 5월투쟁에는 에른스트 브로흐(Ernst Bloch)가 ‘비동시성의 동시성(die Ungleichzeitigkeit des Gleichzeitigen)’이라고 말했던 바와 같이, 여러 시간대가 중첩되어 흐르고 있었다. This article revisited the May 1991 struggl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emotional subject and the local location of 'Gwangju', away from discussions on the level of experience or political success or failure in the Seoul area. The Gwangju area faced the May struggle amid the memories and emotions of the May 18 Democratization Movement. While the issue of ‘May liquidation’ in 1980 was delayed, the May 18 issue continued to (un)consciously affect the social awareness and practice of local residents. The reason for the fact that the rhythm, intensity, and continuity of the struggle at the time of the May Struggle in 1991 wa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was that the sustained trauma of May 18 were located, and the anger produced by it was in response to the deaths of the “martyrs” in succession. The May Struggle provided local residents with an experience space where they could suspend their daily lives and dismantle or subvert the boundaries of structured life. In particular, the liminal time and space of mourning and struggle made the local people remember and experience the ‘liberation community’ in May 1980. The May Struggle, which was experienced as another May, has a strong tendency to be perceived by Gwangju citizens as a process of continuing struggle, rather than as a 'failure' or an end in a state where the issue of 'May liquidation' has not been resolved. In the end, the case of the Gwangju area suggests that the May 1991 struggle unfolded in different locations and contexts depending on the region. Also, for this reason, in the May 1991 struggle, as Ernst Bloch said, 'the simultaneity of asynchrony', several time zones overlapped and flowed.

      • KCI등재

        1960년대 ‘호남푸대접’ 담론과 로컬리티

        김봉국(Kim, Bong-Guk) 역사학연구소 2020 역사연구 Vol.- No.39

        ‘조국근대화’의 슬로건으로 상징되는 1960년대 박정희 정권의 경제개발정책은 지역을 국가주도의 산업화정책에 맞춰 급속히 재편하는 계기였다. 하지만 박정희 정권의 지역 불균형적 산업화정책은 소외된 지역의 불만을 고조시켰다. 그 결과 조국근대화 담론이 구축한 ‘상상된 공동체’와 지역 차별적 산업화가 발생시킨 소외의 현실 간에는 상당한 간극이 존재했다. ‘호남푸대접’ 담론은 이 균열의 지점에서 등장했다. 1960년대 ‘호남푸대접’ 담론은 역사·사회적으로 형성된 호남에 대한 외부의 시선과 그에 대한 지역민들의 대응, 인식, 정서 등이 중층적이고 복합적으로 뒤엉켜 생산되었다. 또한 그것은 중앙의 지역주의 정치에 의해 지역 내·외부를 가로질러 다차원적으로 생산되고 확산되었다. 이 과정에서 ‘호남’이라는 로컬의 범주는 선명하게 부각되었고, 과거의 부정적이고 편향된 인식에 ‘낙후성’의 이미지가 덧씌워진 지역정체성이 형성되었다. 특히 지역 지배집단에 의해 생산된 푸대접 담론은 ‘조국근대화’라는 지배담론을 철저하게 내재한 것이자, 그 지배의 논리를 시정의 논리로 전유한 것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언설은 지배담론으로서 조국근대화론을 지역 내부로 침투시켰고, 그것에 의해 지역사회가 재편되도록 했다. 그 결과 한쪽에선 지배 권력의 차별정책에 대한 비판과 그것을 시정하고자 하는 집단행동이 조직되었고, 다른 한쪽에선 낙후된 지역에 대한 개발·계몽의 기획이 등장했다. 이 과정에서 지역 지배집단은 정부의 지역 차별 정책에 대한 지역민들의 누적된 불만을 자신의 이해관계를 위해 적극적으로 동원했다. 즉 푸대접 담론을 통해 지역개발과 관련된 그들의 이해관계를 지역민 전체의 문제로 전환시키면서 ‘푸대접’ 받고 ‘소외’된 ‘호남’이라는 지역정체성을 만들어갔다. The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the Park Chung-hee regime in the 1960s, symbolized by the slogan of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was an opportunity to rapidly reorganize the region in line with the state-led industrialization policy. However, the Park Chung-hee regime"s regional imbalanced industrialization policy heightened the dissatisfaction of the people in the marginalized region. As a result,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imagined communities” built up by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discourse and the reality of alienation caused by the regional discriminatory industrialization. The ‘poor treatment of Honam" discourse emerged at the point of this fissure. The "poor treatment of Honam" discourse in the 1960s was produced as the external view of Honam formed historically and socially and the responses, perceptions, and emotions of local residents toward the foregoing external view were entangled in a multi-layered and complex manner. In addition, the foregoing discourse was produced and spread multidimensionally across the inside and outside the region by the central regionalist politics. In this process, the local category termed “Honam” was clearly highlighted, and a regional identity was formed in which the negative and biased perception in the past was overlaid with the image of “falling behind.” In particular, the poor treatment discourse produced by local ruling groups was thoroughly embedded with the dominant discourse termed “the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and applied the logic of domination as the logic of rectification. Therefore, their statements made the theory of modernization of the fatherland infiltrate into the region as a dominant discourse, thereby leading to the reorganization of the local community. As a result, criticisms of the discriminatory policy of the ruling power appeared and collective actions to correct it were organized on one side, and the planning of development and enlightenment of underdeveloped regions appeared on the other side. In this process, local governing groups actively mobilized the accumulated complaints of local residents about the government"s regional discriminatory policy for their own interests. That is, while turning their interests related to local development into a problem of the entire local people through the poor treatment discourse, they created a regional identity termed ‘poor treated’ and ‘alienated’ “Honam.”

      • KCI등재후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

        김봉국(Kim, Bong-Guk) 역사학연구소 2017 역사연구 Vol.- No.32

        이 글은 한국 반공이데올로기의 초기 형성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지속과 변주의 양상을 검토했다. 특히 이 글은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를 외력이 조성한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직접적 산물로 보지 않았다. 그 대신 그러한 구조화된 역사적 조건과 상호작용하면서 자신의 정치노선을 추구했던 우익의 반공담론에 주목해서 접근했다. 실제 초기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자기 완결적 논리를 갖추거나 공산주의와의 논쟁을 통해 형성된 것이 아니었다. 민족운동 내 좌우대립의 경험을 바탕으로 탈식민 전후 역사적 국면의 전환에 대응했던 우익 정치세력의 담론에 의해 구축된 측면이 강했다. 즉 한국의 반공이데올로기는 전변된 역사적 조건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면서, 늘 타자의 타자로서 자기 정체성을 형성했던 우익의 반좌반공담론과 그 궤적을 같이하면서 형성되었다. 이런 측면에서 이 글은 1920년대 이후 좌우갈등의 경험에서 비롯된 우익의 공산주의 운동에 대한 비판논리와 반감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민족 대 계급’의 논쟁구도가 반복되는 가운데, 좌익의 초민족적 국제주의 계급노선에 대한 우익의 비판이 탈식민 전후 반공담론의 한 축을 이루었음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식민과 탈식민 그리고 냉전의 국면 전환에 따른 반소반공담론의 변화양상을 분석했다. 특히 일제시기 ‘제국의 防共’ 담론과 해방 직후 민족·민주주의 시대의 그것 사이에 단절과 변화의 지점을 포착하여 양자 사이의 동형이질성을 드러냈다. 이어 미소대립의 심화 속에 반공담론의 논리가 재차 변화하는 가운데 냉전적 반공담론이 출현했음을 주장했다. 이를 통해 탈식민 전후 한국 반공담론의 다층적 구조와 함께 그것의 지속과 단절 그리고 변주의 과정을 밝혔다. To review the process early anti-communism was formed in Korea, this article studied the continuity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in South Korea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Liberation. This study did not approach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as a direct by-product of a series of the colonial, postcolonial, and cold war made by the external, foreign force, but as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caused by the right wing that pursued its political line, interacting with the structured historical conditions, instead. Actually, early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neither equipped with self-contained logic, nor formed through dispute with communism. It was almost established by the discourse of the right political power that coped with the historical change before and after the postcolonial based on the right-left conflict within the National Movement. That is, the anticommunism ideology in Korea was formed alongside the discourse of anti-left and anti-communism of the right wing that established self identity as the other of the otherness, coping with changing historical condition. On the aspect, this article examined the critical logic for and hostility towards anticommunism movement held by the right w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the right and left conflict since 1920. In the process, ‘Nation versus Class’ controversy was repeated, and criticism of the right for the class line of transnational internationalism by the left was the pivot of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And the study analysed the changing aspect in the discourse of the Anti-Soviet and Anticommunism according to the series of the colonial, liberation, and cold war. Especially, the study examined the point of disconnection and change between ‘Imperial Anticommunism’ discourse under Japanese imperialism and that in the period of nationalism and democracy right after the Liberation, which showed isomorphism between the two periods. And then the study suggested that with the changing logic of anticommunism discourse in the US-the Soviet Conflict, communism was defined as the other of ‘liberal democracy’, the advent of cold-war anticommunism discourse, on which the study reviewed the continuity, disconnection, and change in the discourse of anticommunism with its multi-layered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Liberation in Korea.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초기 자유민주주의론과 냉전담론의 확산

        김봉국(Kim, Bong-Guk) 고려사학회 2017 한국사학보 Vol.- No.66

        이 글은 분단정부의 출범과 함께 가속화된 남한의 냉전 반공국가로의 재편과정을 냉전담론과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론의 확산현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무엇보다 이 글은 ‘냉전’ 개념 자체를 미국과 이승만정권의 당파적 세계인식의 논리와 시각으로 문제시하고, 그것의 정치성과 확산양상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당대 복수의 진영담론과 反냉전담론이 경쟁・공존했음에도 불구하고 냉전담론이 어떻게 지배와 저항의 메커니즘과 맞물려 확산되었는가를 분석했다. 동시에 이 글은 당대 냉전논리와 시각의 확산을 집권세력에 의한 위에서 아래로의 일방적 선전과 강요에 의한 것이 아니라, 위와 아래가 모두 그것에 긴박되어갔던 양상에 주목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출범 초기 취약한 남한의 체제 및 지배정당성의 확보를 위해 이승만정권의 ‘이데올로기적 담론’으로 기능했던 냉전담론이, 역으로 체제 내 비판세력의 저항논리와 자원으로 전유되었음을 밝혔다. 즉 지배의 자원인 냉전논리와 그것에 밀착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역으로 저항의 논리와 이념으로 전유되어 지배권력을 비판하는 양가적 현상을 발생시켰음을 주장했다. 그리고 바로 이와 같은 지배와 저항의 구조와 맞물린 냉전적 시각과 논리의 순환구조에 의해 남한 내 냉전담론의 사회적 확산이 이루어졌음을 강조했다. 요컨대, 이 글은 이승만 정부 초기 냉전논리와 시각을 기축으로 지배와 저항의 동학이 발생시킨 사회상에 주목해서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이승만 정부 초기 특정 ‘보기의 방식’ 중 하나였던 냉전논리와 시각이 세계인식의 틀로 체제화 되어갔던 과정을 분석했다. 동시에 냉전담론의 확산과정에서 부상한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남한의 지배적 가치와 규범으로 자리잡아갔던 양상 역시 검토했다. This study examined South Korean accelerated reconstruction into the Cold War and anticommunist state with the advent of the divided government by focusing on Cold War discourse and diffusion of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that. First of all, the study defined the concept of ‘Cold War’ as partisan logic and world view of the United States and Rhee Syngman Government, and questioned its politicality and diffusion. And also it analyzed how Cold War discourse got diffused under interlock with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despite the competition and coexistence of multiple bloc discourses and anti-cold war discourses. In the process, the study reviewed that Cold War logic and the diffusion of such a view was not made by one-sided propaganda or pressure of top-down approach by the governing power, but both top and down got bound with that. The review showed that the Cold War discourse used by Rhee Government as an ‘ideological discourse’ to secure vulnerable South Korean regime and its legitimacy to rule at its beginning, on the contrary, was appropriated as resistance theory and resources of the critical force in the regime. That is, cold war logic and liberal democracy attached to as the resource of dominance was contrarily appropriated as the logic and ideology of resistance which criticized the ruling power, ambivalent phenomenon. The study emphasized that cold war view and circulation structure of logic interlocking with the dominanceresistance mechanism led to social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in South Korea. In conclusion,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 was examined centering around the social aspect caused by the dominanceresistance dynamics based on the Cold War logic and view in the early period of Rhee Government. Through the review, the study analyzed the process that the theory and view of Cold War as one of specific ‘ways of seeing’ of early Rhee Government got ideologized as the framework for world view. At the same time, the study reviewed how the ideology of liberal democracy emerging during the diffusion of Cold War discourses got settled into the dominant value and norm in South Korea.

      • KCI등재

        이승만 정부 초기 애도-원호정치 애도의 독점과 균열 그리고 그 양가성

        김봉국 ( Kim Bong Guk ) 역사문제연구소 2016 역사문제연구 Vol.2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social aspect of mourning and veteran support during the early period of Syngman Rhee`s government from a multilateral view, questioning the ritual and narrative of mourning as a product of real politics for crackdown on and solidarity of the living through the dead. First of all, the study approached mourning and supporting from two aspects of the same symbol manipulation interconnected, and analyzed the way of operation of `the politics of mourning and veteran support.` And also the study estimated the domination effect of the politics of mourning and support and focused on its crack born of that and its ambivalent social aspect. In the beginning, Syngman Rhee`s government continuously held a memorial service for the war dead soldiers and policemen in order to build up its weak system and justification of domination. Such a ritual and narrative held by the government was a domination skill which converted mourning the dead into loyalty to the state and ruling power. What matters is a potential gap between the virtual world built by the ritual and narrative of mourning and the practical reality. Disabled veterans increasing during the Korean War were worshipped as the dead`s other self, but failure of the government in supporting them threatened the justification of domination which Syngman Rhee`s government built through the politics of mourning. Especially, the larger the gap was between the virtual world built by politics of mourning and the reality world shown by the politics of support, the more tightened and threatened the ruling power was by the view reflected in the living through the dead. The critical force within the system identified such a gap and resisted the ruling power, re-appropriating the dead and disabled veterans, that is, building a new narrative of mourning and support.

      • KCI등재

        순례공감장 ― 망월묘역과 5월의 기억 ―

        김봉국 ( Kim Bong Gu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21 감성연구 Vol.- No.22

        이 글은 1980년 5ㆍ18항쟁 이후 5월운동 과정에서 전개되었던 애도와 순례(巡禮)를 5월 공감장(共感場)과 감성적 주체의 형성 과정이자 그 출현을 실증하는 것으로 바라보고, 그 구체적 양상을 추적했다. ‘기억의 정치’ 속에서 항쟁의 진실과 참상을 실증하는 망월묘역을 향한 순례행렬은 권력이 강제한 집단기억과는 다른 대항기억을 새긴 새로운 감성적 주체들의 저항적 실천이었고, 그들의 실천 속에서 망월묘역은 ‘폭도들의 묘지’에서 ‘민주 성지’로 재편되었다. 동시에 망월묘역의 장소성은 그것을 매개로 한 광범위한 순례공감장을 형성하고 5월운동을 촉진했다. 하지만 망월묘역에 뿌리를 둔 순례공감장이 균질하고 정적인 것은 아니었다. 그것은 한국사회의 5ㆍ18항쟁을 매개로 한 정치적 역학관계 및 담론지형을 배경으로, 민주주의를 내기물로 상정했던 ‘공범’ 세력 간 상호 대립과 충돌이 지속된 유동적인 공간이었다. 결국 5ㆍ18항쟁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면서 망월묘역은 ‘구묘역’과 ‘국립5ㆍ18 민주묘지’로 분리되었고, 오늘날 두 개의 묘역은 5월에 대한 서로 다른 기억의 뿌리이자 출발점이 되고 있다. 기념의 국가화가 낳은 문제를 성찰하는 데 있어 순례공감장이 만든 망월묘역의 장소성과 5월의 기억은 지금 여기 무엇을 말하고 기억할 것인가를 시사한다. This paper regards the mourning and pilgrimage that took place during the May Movement after the May 18 People's Uprising in 1980 as a demonstration of the formation of a sympathetic field and emotional agent, as well as the emergence of it. It traced the specific aspect of it. The pilgrimage procession toward Mangwol Grave Yard, which demonstrates the truth and tragedy of the struggle in the “politics of memory,” was a resistive practice of new emotional subjects who engraved a counter memory different from the collective memory forced by the power. In their practice, the Mangwol Grave Yard was reorganized from the “Mobs' Cemetery” to the “Democratic Holy Land”. At the same time,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formed an extensive pilgrimage sympathy through it and promoted the May Movement. It was a fluid space in which confronta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accomplices” forces who assumed democracy as a stake against the backdrop of the political dynamics and discourse terrain through the May 18 Uprising in Korean society continued. Eventually, as the May 18 Uprising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anniversary, Mangwol Grave Yard was divided into 'Old Grave Yard' and 'National 5.18 Democratic Cemetery', and today the two cemeteries are the roots and starting points of different memories of May. In reflecting on the problems created by the nationalization of the commemoration, the placeness of Mangwol Grave Yard created by Pilgrimage Sympathetic and the memory of May suggests what to say and remember here and now.

      • KCI등재

        분단 전후 ‘반제민주’론의 세계 재현

        김봉국 ( Kim Bong-guk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71 No.-

        제2차 세계대전의 종전과 함께 ‘하나의 세계’로 상징되는 협력과 평화를 구축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가 펼쳐졌다. 동시에 전후 세계질서의 재편을 둘러싼 미·소의 긴장과 충돌이 병존한 채 이를 바라보는 상이한 입장과 시각이 경쟁하고 있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전후 세계의 추이와 전망에 대한 다각적인 해석과 평가가 쏟아졌다. 해방 직후 남한의 정치세력 역시 이와 같은 세계사적 전환의 분위기와 담론을 흡수하는 가운데 자파의 정치노선에 입각해 전후 세계를 해석하고 규정했다. 대체로 한민당을 중심으로 한 우익은 민족을 단위로 한 ‘세력균형’의 논리를 통해 전후 세계를 이해했다. 그리고 그 연장선에서 첨예화된 미소대립을 ‘냉전(Cold War)’이라는 개념을 수용해 규정했다. 반면 좌익을 주도했던 조선공산당은 국제주의 계급노선에 기초해서 전후 세계를 ‘민주 대 반민주’의 대결구도로 해석했다. 이후 1947년 제2차 미소공위가 결렬되고 분단이 가시화 되자 ‘제국주의적 반민주주주의 대 반제국주의적 민주주의(반제민주)’ 진영론을 내세웠다. 두 개의 서로 다른 진영론은 좌우가 비자주적 해방과 미·소 점령이라는 구조에 긴박되어 국제정세에 종속되지만은 않았음을 말해준다. 오히려 자파 정치노선의 실현을 위해 국제정세를 재해석하고 의미화한 주체이기도 했음을 보여준다. 즉 해방 직후 좌우의 정치노선이 달랐듯이 그들이 바라본 전후 세계 역시 달랐으며, 역으로 국제정세에 대한 시각의 차이가 서로 다른 정치노선을 추동했다. 이 과정에서 좌우는 서로의 세계에 대한 해석과 평가를 비판하면서 스스로의 정치노선을 정당화하는 담론을 생산했다. 좌우가 상대방의 세계 해석과 규정에 맞대응하고 스스로를 재조정해갔다는 점에서, 좌우의 전후 세계를 둘러싼 재현 경쟁은 타자를 통한 자기구성의 과정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사태에 주목하여 본고는 해방 이후 세계 재현의 경쟁이 어떻게 ‘민족’과 ‘민주주의’를 기축으로 한 좌우대립의 시각 및 논리와 맞물려 전개되었는가를 추적했다. 또 그렇게 생산된 세계 재현을 둘러싼 담론이 남한의 냉전질서로의 재편 과정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살폈다. 특히 분단 전후 ‘냉전’의 시각과는 다른 세계 해석과 규정의 틀로서 존재했던 ‘반제민주’론의 출현 맥락과 그것의 세계 재현 양상 및 영향에 대해 검토했다. 궁극적으로 이 글은 분단 전후 ‘반제민주’론의 세계 재현 문제를 통해 그것과 대쌍관계에 위치한 냉전적 시각과 논리를 대상화하고 그 정치성을 드러냈다. With the end of the Second World War, there appeared various discussions to build peace and cooperation symbolized as ‘One World’. And there was a competition between different positions and viewpoints on the tension and conflict between US and USSR related to reconstitution of the post-war world order. In that process, multilateral interpretations and estimations were pouring on the progress and prospect of the post-war world. The political power of South Korean also interpreted and defined the post-war world based on their political line, absorbing such situational mood and discourse of the change in world history right after the Liberation. The Right Wing centering around the Korean Democracy Party (KDP called Hanmindang) understood the post-war world through the logic of ‘balance of power’ based on the nation-state, and in the context, they absorbed and defined the acute US-USSR conflict as the concept of ‘Cold War’. While the Left Wing led by the Chosun Communist Party interpreted the post-war world as confrontation between ‘Democracy vs Anti-democracy’ based on class lines of internationalism. And then, they advocated ‘Imperial Anti-democracy vs Anti-imperial Democracy’ partisan theory when the 2nd US-USSR Joint Commission was broken in 1947 and Korean division was in sight. Two different bloc theories show the fact that both of the Left and Right were not subordinate to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structure of dependent liberation and US-USSR Occupation. On the contrarily, they reinterpreted and signifi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n order to realize their political lines. That is, as the Left-Right political lines were different right after the Liberation, the post-war world they viewed were different, and even their different views of the international situation drove different political lines respectively. In that process, the Left and Right criticized the other’s interpretation and estimation of the world each other, and produced discourses which could justify their political line. It can be said that the representation competition surrounding the post-war world was the process of self-construction through the other in that the Left and Right counteracted against the other’s world interpretation and definition, and rearranged themselves. Focused on that historical situation, this study traced how the competition of the world representation after the Liberation was developed with the view and logic of the Left-Right conflict based on ‘people’ and ‘democracy’, and also reviewed the influence that such discourses surrounding the world representation had on the reconstitution process into the Cold-War order in South Korea. Especially, the study focused on the context how ‘Anti-imperial democracy’ appeared as the standards for the interpretation and definition of the world, different from ‘Cold War’ at the pre-post Division, and examined its representation aspect and influence. Ultimately, this study objectified the Cold-war view and logic interfaced with ‘Anti-imperial democracy’ and showed its politicality through the world representation of ‘Anti-imperial democracy’ theory at the pre-post Division.

      • KCI등재

        해방 직후 민주주의 공론장의 안과 밖

        김봉국 ( Kim Bong-guk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2018 감성연구 Vol.0 No.16

        해방은 한국인들로 하여금 새로운 민족국가건설을 위한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운동을 동시에 촉발시켰다. 그 결과 에른스트 브로흐(Ernst Bloch)가 ‘비동시성의 동시성’이라고 말했던 바와 같이, 남한에는 과거/현재/미래의 상이한 역사적 시간대가 응축된 채 민주주의 국가건설을 위한 공론장(公論場)이 형성되었다. 공론장을 통해 분출했던 다양한 민주주의 담론 역시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착종된 하나의 결과였다. ‘파시즘 대 민주주의’의 전쟁에서 민주주의 연합국의 승리는, ‘민주주의’를 전후 세계의 새로운 이념과 가치이자 “한 개의 상식”으로 부각시켰다. 하지만 이때의 민주주의는 反서구/근대 사조의 영향 속에서 과거 부르주아민주주의론이나 프롤레타리아민주주의론과는 일정하게 거리를 둔, ‘非階級獨裁 非金力獨裁’를 지향한 것이었다. 물론 당시 민주주의라는 ‘간판’은 공론장을 주도했던 좌우정파나 지식인들의 전유물만은 아니었다. 기층 농민, 노동자 역시 자신들의 생존과 삶으로부터 출발하는 아래로부터의 민주주의를 주장했다. 인구 대부분을 차지했던 이들 노농계층은 자신들이야말로 진정한 민주주의 국가건설의 주체라고 자임했다. 이와 같은 사태에 주목해서 이 글은 해방 직후 분출했던 민주주의에 대한 열망과 그것이 추동한 사회변화 및 민주주의의 다채로운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해방 직후 ‘신민주주의’론이 출현했던 역사적 맥락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그것이 갖는 근대성을 드러냈다. 동시에 ‘민주주의’를 축으로 전개된 다양한 주체들 간에 상호경쟁의 양상을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공론장은 물론 그것의 안과 밖을 가로질러 밑으로부터의 민주주의를 구축하고자 했던 인민의 ‘민주주의 공감장(共感場, sympathetic field)’을 드러냈다. 이어 민주주의를 둘러싼 이 공론과 공감의 길항관계 속에서 해방 직후 한국 민주주의의 동역학을 분석했다. The Liberation stirred both de-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movement of the Korean to build a new national state. Accordingly, as Ernst Bloch’s ‘die Ungleichzeitigkeit des Gleichzeitigen’, there formed ‘public sphere’ to build the democratic state, with condensed different tim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in South Korea. Diverse discourses on democracy through public sphere were the result of the entangled past, present, and future. The victory of the united nations of democracy at the ‘fascism-democracy’ war highlighted ‘democracy’ as a new ideology and value, and “one common sense” in the postwar world. But, democracy at that time was to aim ‘non-class dictatorship, non-money dictatorship’,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past bourgeois democracy or proletariat democracy under the influence of the anti-Western and modern trend. Of course, ‘the sign’ called democracy was not any exclusive property of the left-right faction or the intellectuals who led public sphere. The peasant and workers also claimed bottom-up democracy from their survival and life. The working class and peasant class that constituted most of the population regarded themselves as the agent of building a true democracy. Focusing on the situation that time, this study reviewed the desire for democracy exert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social changes and various aspects of democracy driven by the desire. Especially, the review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xt that the theory of neo-democracy appear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revealed its modernity shown in the process. And also, the study reviewed the aspects of mutual competition between the agents developed on the axis of ‘democracy’. In the process, there revealed not only public sphere, but also ‘democratic sympathetic field’ of people who tried to build democracy from the bottom crossing the in and outside. In addition, the study analyzed dynamics of Korean democracy right after the Liberation in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sphere and sympathetic field surrounding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