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차원 축소를 이용한 주파수 영역 오디오 신호 압축

        김민제(Kim Minje),백승권(Beack Seungkwon),이태진(Lee Taejin),장대영(Jang Daeyoung),강경옥(Kang Kyeongo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08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08 No.-

        본 논문은 오디오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표현된 오디오 신호를 차원 축소 방법으로 압축하여 포현함으로서 오디오 부호화 효율을 증대시키고자 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차원 축소는 행렬을 특정한 조건을 바탕으로 두 개의 행렬의 곱으로 표현하는 방식으로, 특정 행렬로 표현된 데이터를 좀 더 작은 데이터량으로 표현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과정에서 데이터에 내재되어 있는 추상적인 정보까지도 함축적으로 얻어낼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압축에 좋은 성능을 보인다.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신호는 일반적으로(주파수 밴드의 개수)×(전체 프레임의 개수)인 행렬로 볼 수 있으며, 이 전체 행렬을 입력으로 간주하고, 차원 축소를 수행하여 신호의 압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행렬 전체를 입력 신호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실시간 부호화가 불가능하며, 신호 전체 길이만큼의 부호화 지연이 발생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특정 개수만큼의 프레임을 묶어서 여러 번의 차원 축소를 순차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부호화 지연을 최소화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 KCI우수등재

        동화 각색을 이용한 주크박스 뮤지컬 프로그램 개발 - 초등학교 1,2학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중심으로 -

        김민제(Minje Kim),공혜린(Hyearin Gong) 한국음악교육학회 2021 음악교육연구 Vol.50 No.4

        이 연구는 동화 각색과 주크박스 뮤지컬 형식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준비, 개발, 시범 적용(파일럿)을 통한 수정 및 보완의 3단계 절차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특징 을 가진다. 첫째,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과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주요 역량 중 하나인 심미 적 감성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함양을 포함한다. 둘째, 즐거운 생활 교육과정의 음악 활동인 노래 부르기, 노랫말(가사) 바꾸기, 몸으로 표현하기를 포함한다. 셋째, 실천적이고 창의적인 체험 활동 중심의 30차시(120분 블록수업, 10회) 교육프로그램으로, 학습자 수준에 따라 학습 활동 선택과 활용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보다 쉽게 뮤지컬을 교육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 초등학교 저학년 수준에 맞는 예시 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usic education program for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by using dramatization of fairy tale and jukebox musical format. To this end, the study has practiced through three stages procedures, including preparation, development, and example application(pilot) for supplement and modification.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has the following features. First, it contains the enhancement of capabilities pertaining about aesthetic sensibility,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which are the primary capabilities for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pleasant education for living. Second, there are music activities like singing, changing lyrics, and body language for the pleasant education for living. Third, the program has 30 courses (120-minute block, 10 times), mainly composed of practical and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the selection and application of study activities are possible according to the level of learners as well. This study presents new measures to teach students musicals in school with easy, and provides appropriate examples for elementary students in lower grades.

      • 교육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음악교육의 방향 모색

        김민제(Minje Kim) 한국융합예술치료교육학회 2021 예술과 인간 Vol.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가속화된 교육현장의 변화에 대비하여, 음악교육자들이 나아가야 할 교육적 가치와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함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교육 사례를 바탕으로 앞으로 음악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음악교육현장은 이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비하여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수업의 형태, 수업의 내용을 반영한 양질의 자료 개발이 음악교육 전문가의 참여로 이루어져야 하며, 음악을 중심으로 하는 융합교육이 각 분야의 전문가와의 협업을 바탕으로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he educational values and directions that music educators should take in preparation for the changes in the educational field accelerated by the COVID-19 pandemic. To this end,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various educational cases currently being conducted, the direction of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was examined.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has already been studied in preparation for a changing educational paradigm.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materials reflecting the changing form of classes and the contents of classes should be made with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in music education, and convergence education centered on music should be actively conducted based on collaboration with experts in each field.

      • KCI등재

        스테레오 음악 신호에서의 보컬 음원 분리를 위한 통합 알고리즘

        김민제(Minje Kim),장인선(Inseon Jang),강경옥(Kyeongok Kang) 大韓電子工學會 2010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7 No.5

        본 논문에서는 스테레오 형식의 음악 신호에서 가창 신호와 같은 음원을 분리하기 위한 통합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스테레오 형식의 음악 신호에서 특정한 악기 음원을 분리하는 문제는, 획득한 음악 신호가 다양한 악기들이 동시에 연주되는 혼합신호라는 점을 고려하고, 각각의 악기를 음원이라고 가정할 때, 획득한 혼합 신호의 개수가 음원의 개수보다 적은 비결정(underdetermined) 환경에서의 음원 분리 문제가 된다. 비결정 환경에서는 신호가 혼합되는 공간에 대한 가정을 기반하는 전통적 음원 분리 방식을 적용하기 힘들며, 목표 음원의 특정한 특성을 활용하여 추출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통합 알고리즘은 이종의 특성을 활용하는 음악 음원 분리 알고리즘들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구조이며, 구체적으로는 가창 신호와 같은 특정한 음원 추출을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던 스테레오 채널 정보를 활용하는 방식과, 모노 혼합 신호에서 두드러지는 음원의 음정을 이용하여 음원을 추출하는 두 가지 방식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구조는 각각의 음악 음원 분리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고유의 약점을 해소함으로써, 목표 음원의 복원 신호가 통합 과정에 의해 향상될 수 있다는 강점이 있으며, 그것을 실제 상업 음악 콘텐츠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A unified method for separating musical sources, singing voice for example, from stereophonic mixtures is provided. We usually have two observed signals in stereophonic music contents, where more than two instruments are played together. If we regard each instrument as source, this problem becomes an underdetermined source separation problem and cannot be solved by conventional methods, which infers the spatial environment of the downmixing process happens. Instead, source-specific information has been exploited to recover a particular instrumental source. This paper provides a unifying structure consists of heterogenious ad-hoc separate algorithms, which are designed for separating vocal sources using stereophonic channel information and dominant pitch information of the sources, respectively. Experiments on real world music contents show that the proposed unification can neutralize the drawbacks of the two ad-hoc separation algorithms and finally enhance the separation results.

      • KCI등재

        AI 펭톡 연계 초등영어 수업과 평가의 설계와 적용에 관한 연구

        김민제(MinJe Kim),심규남(KyuNam Shim),민덕기(DeokGi Min) 한국영어평가학회 2023 영어평가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incorporate spaced practice activities into an elementary English teaching model using AI Pengtalk, analyze its learning effects, and visualize learning experience data. For this purpose, a spaced practice using AI Pengtalk was conducted over five lessons with temporal intervals aimed at sixth-grade elementary students. Each lesson consisted of six periods, and during six periods, the spaced practice was conducted three times, with the intervals set at one day, three days, and eight days, progressively widening the temporal gaps from one day to four days for each session. The results show that positive effects were observed across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achievement levels, and it was particularly effective for students with lower achievement levels. It is also shown that data visualization using the AI Pengtalk’s assessment data can be effectively used for instructional guidance, such as determining the need for supplementary pronunciation teaching. Moreover, students positively perceived the learning facilitated by AI Pengtalk and acknowledged the usefulness of spaced practice. However, to obtain meaningful learning and assessment data, it is necessary to create optimized conditions that consider the environmental factors within the classroom to reduce the voice recognition errors of AI Pengtalk.

      • Overlapping NMF와 Sparseness를 이용한 단일 채널 다성 음악의 음원 분리

        김민제(Minje Kim),최승진(Seungjin Choi)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In this paper we present a method of separating musical instrument sound sources from their monaural mixture, where we take the harmonic structure of music into account and use the sparseness and the overlapping NMF [1] to select representative spectral basis vectors which are used to reconstruct unmixed sound. A method of spectral basis selection is illustrated and experimental results with monaural mixture of voice/cello and trumpet/viola are shown to confirm the validity of our proposed meth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