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정 이탈리아 가족법에서의 「자」의 지위

        김민동(Kim, Min-Dong) 한국가족법학회 2017 가족법연구 Vol.31 No.3

        A sequito della riforma della filiazione del 2012-2013 (Legge. n.219/2012 e D.Lgs. n.154/2013), ha modificato numerose disposizioni normative, del codice civile e di parte speciale. La ratio sottesa a tale intervento normativo è quella di depotenziare la centralità del vincolo coniugale e di mettere in primo piano i diritti dei figli. Tra le novità più rilevanti introdotti dalla riforma si segnalano l’unificazione dello status filiationis (“tutti I figli hanno lo stesso stato giuridico”, art. 315 c.c.). Logica consequenza della parificazione di stato nella filiazione, è l’abrogazione delle norme relative alla legittimazione del figlio naturale. Come unico modello famiglia considera rilevante dal punto di vista giuridico, la famiglia “di fatto”, cioè non “fondata sul matrimonio”. Sono state introdotte altre importanti modifiche, l’unificazione della disciplina sui diritti e doveri dei genitori. Il concetto di “potestà” che presuppone etimologicamente un soggetto in posizione di supremazia rispetto ad un altro, ad esso sottoposto è stato sostituito con quello “responsabilità genitoriale”, in adesione ai principi introdotti nella normativa comunitaria, e alle riflessioni della dotrina. Anche la nota pronucia Corte Costi., 27 marzo 1992, n.132, che la qualifica come diritto-dovere che trova nell’interesse del figlio il suo fondamento e il suo limite. Spero che questa tesi sia molto utile per il professionista, che costituisce un completamento della parte teorice del testo e riforma della filiazione.

      • KCI등재

        수의사의 애완동물 수의료과오행위에 대한 손해배상책임

        김민동 ( Min Dong Kim ) 안암법학회 2011 안암 법학 Vol.0 No.35

        What is the actual worth of a particular pet animal to a particular individual? Should the legal system recognize or respond to these valuations? And if so, how? It has recently been shown that pet-animal is treated like pet owner` family with affection. People really love their pets, invest sizable emotional and financial sums in caring for them, and want to do everything they can to reduce the chance that such beloved companions will endure unnecessary harm. Although our Code of Civil Law does not have like German Code of Civil Law §90(a), we don`t have to treat legally pet animal as things classified as mere property. Japanese courts actually are moving closer to consensus on the pet animal valuation. It may increase claim for the malpractice liability of veterinarians in our country. When matters veterinarian negligece, courts shoud consider various factors on a case-by-case basis, for example, different kind, purpose, relations of animal and so on. In the veterinary malpractice litigation, courts have to decide like human doctor`s malpralice. And courts are necessary to consider the emotional impact of pet loss. It`s not justifiable still limit pet owners to recovering only market value damages for the negligent or intentional deaths of their pet animals. If civil courts allows not more than market value damages in cases of veterinary malfeasance, human victims of veterinary negligence are not fully compensated for the emotional and financial investments made in their pet animals. It`s the problem of equity. And the inability to recover more than nominal damages financially precludes owners actually barmed by veterinary malpractice from even seeking civil redress in the courts. This preclusion in turn prevents any meaningful judicial oversight to ensure that veterinarians are adequately conforming to the level of care expected by pet owners and the rest of our society. It`s the problem of fairness. Accordingly, courts positively must allow consolation money about pet owner`s emotional damage.

      • KCI등재

        우리나라와 이탈리아 제조물책임법의 비교연구

        김민동(KIM, MIN DONG)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18 No.1

        2013년 1월 또 다시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개정시안이 마련되었다고 한다. 학문의 저변성이 열약한 우리의 현실을 감안했을 때 개정안에는 적어도 비교법적 보편적인 합리성은 갖추고 있어야 할 것이다. ?제조물책임법?의 결함유형과 그 판단기준이 친기업적이라고 비판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제조자 내지 사업자와 피해소비자사이의 ‘정보비대칭’의 문제를 좀 더 명확히 인식하고 총체적인 균형점을 찾을 수 있는 효율적이고도 체계적인 개정작업을 하여야 할 것이다. 유럽공동체에서 제품안전법체계의 기본이 되는 지침으로는 1985년 제조물책임에 관한 유럽입법지침 제374호(85/374/EC)와 제품의 일반적 안전성에 관한 유럽입법지침 제95호(2001/95/EC)가 있으며, 이들은 점진적인 개정작업에 의하여 안전수준과 통일성을 높여가고 있다. 제품의 ‘안전’은 기술관련법은 물론 제조물책임법의 ‘결함’ 및 매매목적물의 ‘하자’ 그리고 제품안전규제법규에서의 안전과 상호관련되어 있다. ‘정보’(informazione)와 ‘정보의 결함’(우리의 ‘표시상 결함’)에 의해 제조물책임법과 제품안전규정은 상호 의존적으로 연관되어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위 제조물책임과 제품의 일반적 안전성에 관한 유럽지침을 모두 국내법으로 수용하였고, 그 후 다시 이탈리아 ?소비법?(Codice Del Consumo)으로 흡수통합하였다(제4부 ‘안전과 품질’). 우리 ?제품안전기본법?과 ?제조물책임법?과의 이와 같은 상호의존적 관계에서, 피해 소비자의 정보의 비대칭성을 인정하고, 피해소비자의 경제적 지위의 불균형을 법적으로 보완해 주어 총체적인 균형을 가져올 수 있는 통합된 단일법전을 제정할 것을 제안한다. 제품과 서비스를 제작하고 분배하는 각 경제활동 영역에 맞추어 피해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단계별 소비자규범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계약 이전단계, 계약체결과 이행단계, 계약 이외의 관계로 나누어서, 각 단계별 제품의 안전과 소비자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책임법규와 행정법규를 통합하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통합된 단일법전의 명칭은 이탈리아나 프랑스처럼 ?소비법?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소비자관련규정들을 소비과정을 기초로 통합적으로 체계화한, 단일법전으로서의 ?소비법?을 제정한다면, 우리 제조물책임법의 결함판단기준이 미국 제3차 불법행위 Restatement(1998) 제2조처럼 친기업적이라는 비난에서 벗어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소비자기본권과 같은 일반원리를 갖춘 상태에서, 피해소비자보호라는 본질적인 관점으로 다시 체계화할 수 있을 것이다. 제조물책임규정과 제품안전규정 상호간의 조화와 조정을 할 수 있고, 서로 체계정합적이지 못한 것들은 과감하게 감소시켜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계속적으로 입법화되고 있는 수준 높은 선진 소비자보호법령들을 신속하게 입법화할 수 있는 입법적 효율성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comparative research paper of product liability comparing Italian Product Liability Law. shows in particular at the interaction between regulation and civil liability. We have examined the current review of product safety at EU level with the proposed regulation on market surveillance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broader debate concerning better regulation. The European system, encompassing a liability (dir. 374/85/EC) and a regulatory system (dir. 95/2001/EC) has made important progress towards increasing safety levels and ensuring relative uniformity. Italy mostly applies EU directives, which it generally transposes textually. Private law and regulation interplay in the field of product safety. Not only it happens between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civil liability, as it has long been recognised, but also with contract law, given the increasing contractualization of standard-setting and the necessity to build contractual networks to implement monitoring of product safety in modern market economies. Lately increase contractualisation of standard-setting concerning safety and product defectiveness. which influences both regulation and civil liability systems. However, insufficient attention has been given to the implications of such a contractualisation for liability standards. Information duties in product safety and product liability is very important. By a broad view of the application of economic analysis, product safety should be conceived as an integrated strategy, combining regulation and liability. An integrated system of civil liability and regulation requires coordination mechanisms that go beyond regulatory compliance. So I contend that we should reform our FRAMEWORK ACT ON PRODUCT SAFETY and PRODUCT LIABILITY ACT like Italian Consumer Code(CODICE DEL CONSUMO: PARTE Ⅳ SICUREZZA E QUALITA). Provisions stemming from consumer are to be implemented by changes to the single code ensuring unification and harmonisation.

      • KCI등재

        이탈리아 문화재 및 경관재법에서의 “문화재”개념

        김민동 ( Min Dong Kim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一鑑法學 Vol.0 No.33

        고도의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문화행정``에 대한 ``법률유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문화재`` 개념은 국가의 ``보호``, ``활용``, ``보존``과 같은 법적 조치를 해야 하는 문화적 가치를 가지는 것이어야 한다. 이탈리아의 현행 ``문화재 및 경관재법``에서는 1939년 이른바 ``보따이 법률``의 예술적·역사적 문화재 개념을 극복하고, ``문화적 가치의 증거``로서의 현대적인 문화재개념을 확립하고 있다(같은 법 10조). 전체적인 맥락에서 문화재를 파악하는 역동적이고 혁신적인이런 문화재 개념은 ``개방성``, ``복수성``, ``정형성``, ``유형``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개념적 특성으로 인하여 보호할 대상이 지나치게 확장되는 위험성이 있으므로, 그 중요성을 객관적으로 담보하기 위한 규범적인 제한이 필요하다. ``문화재 및 경관재법`` 에서는 위 개념 자체로서는 정의하기 어려운 두 가지 규범적인 요소들을 규정하고 있다. 첫째, 문화재 개념의 외부적 요소로서, 동산은 50년, 부동산은 70년이 지난 경우에 보호를 받는다고 규정하고 있다(같은 법 제12조 제1항). 50년 또는 70년의 ``시간성``, 둘째 내부적 요소로서 ``대표성`` 내지 ``의미성``을 확보하고 있다. 특정 시점에서의 인류 문화적 ``중요성`` 내지 ``대표성``을 그 물건 자체가 가지고 있어야 한다(같은 법 제12조 제2항의 ``감정``; 제13조의``지정`` 조치). 고도의 전문적인 문화재행정의 특성상 실제로 이 기준을 ``적용``하는 단계에서 비록 위법하지는 않지만 실무담당자의 부당한 처분 때문에 위 규범적 기준이 왜곡되거나 확장될우려가 있다. 이런 자의나 편견에 의한 부당한 행정조치에 대한 근본적인 방지책은 문화재보호의 직무를 맡은 공무원들에게 기술적인 관할을 보장해 주고 전문적이고 기술적인 능력의 확보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Le recenti esperienze culturali hanno superato il concetto ristretto di bene artistico e storico. Nuova visione e` bene culturale qualunque testimonianza del divenire umano nella storia. I beni culturali vengono definiti dall`art.2, comma 2 del Codice, per il quale appunto "Sono beni culturali le cose immobili e mobili che, ai sensi degli articoli 10 e 11, presentano interesse artistico, storico, archeologico, etnoantropologico, archivistico e bibliografico e le altre cose individuate dalla legge o in base alla legge quali testimonianze aventi valore di civilt?". Il concetto generale emergente dalla norme, dunque, e` quello del bene culturale inteso quale testimonianze aventi valore di civilta di cui alla Prima di chiarazione della gia` ricordata Commissione Franceschini, attraverso il quale, c.d. estetizzante del quid proprium di tali beni, prevalente fino almeno agli anni cinquanta del scorso, ispirata all`idea che si potesse riconoscere il carattere di bene culturale unicamente ai beni di pregio o di rarita` eminenti. Una simile dilatazione dell`oggetto della tutela determina un rischio di omnicomprensivita`. Quest`ovvia constatazione pone la necessita` di delimitare l`oggetto della tutela, in se stesso illimitato. In prima limitazione, che si coglie sul piano normativo, ha carattere temporale. E poi la significativita` o rappresentativita`, che si aggiunge al dato temporale. I principi esposti, sul piano applicativo possono essere distorti o dilatati, in rapporto alla cosa singola, quasi ad arbitrio di chi ne sia preposto all`applicazione. La competenza tecnica dei funzionari preposti alla tutela e` dunque una fondamentale garanzia per tutti coloro che di tale tutela debbono risentire gli eventuali effetti pregiudizievoli.

      • KCI등재
      • KCI등재

        USIM 이용 모바일 메신저 데이터에 대한 압수·수색 허용성 고찰

        김민동(Min-Dong Kim),이현진(Hyeon-Jin Lee),이성진(Sung Jin Lee),이연주(Yeon-Ju Lee),김기범(Gi-Bum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21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31 No.2

        최근 스마트폰이 파괴되거나 비밀번호를 해제하지 못해 모바일 메신저의 데이터를 압수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수사기관은 암호 해독, 백업 데이터 확보 등 다각적 방법을 강구하지만, 많은 한계에 부딪히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피의자 스마트폰에 있는 유심을 압수하고, 수사관 스마트폰에 삽입하여 메신저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험을 하였다. 텔레그램과 카카오톡에서 각 대화방에 메시지를 전송하고, 일부를 삭제한 직후와 3일이 경과한 이후의 확보 가능 여부를 살펴보았다. 실험 결과, 텔레그램에서는 경과일에 관계없이 삭제하지 않은 활성 메시지만 확보할 수 있었고, 카카오톡에서는 삭제 직후의 경우 ‘선택한 메시지를 모두에게서 삭제’ 방법으로 삭제된 메시지를 제외한 모든 메시지를 확보할 수 있었으나 3일이 경과된 이후에는 모두 확보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한 압수·수색은 형사소송법상 영장절차를 준수할 수 있고, 송·수신이 완료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적법한 압수·수색으로 봐야 할 것이다. 대법원 판례에 의하면 관할권 위반이라 보기도 어렵다. 다만, 압수·수색 방법에 대한 법원심사가 필요하고, 영장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는 제외해야 하며 집행 이후 메시지를 수신하는 행위는 통제해야 할 것이다. There have been the cases in which mobile messenger data cannot be seized at the crime scene due to the damage to the smartphone or the unlocking fail of the password. Investigation authorities are trying to devise many solutions such as decryption, and securing of backup data. However, it is running up against technical limitations. So, in this study, we conducted the experiment to seize the USIM from the suspect’s smartphone and insert it into the investigator’s smartphone to extract the messages. The result of the experiment confirms that, while Telegram messages can be secured messages that were not deleted even if 3 days have elasped after sending it, KakaoTalk messages cannot be acquired after 3 days. But, KakaoTalk message can be secured except for selectly deleted messages for all chat room participants immediately after sending and deleting the messages. The search and seizure using a USIM is the legal considering the warrant execution procedure, not a violation of jurisdiction, and the sending and receiving data. But to minimize the abuse, the court needs to review the way of search and seizure, the data beyond the scope of the warrant should be excluded , and the receipt of messages needed to be strictly controled after the execution of warrant.

      • KCI등재

        단일대상연구의 증거기반 정도에 관한 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를 중심으로

        김민동 ( Min Dong Kim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4

        이 연구의 목적은 「정서·행동장애연구」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의 증거기반 정도를 분석하고 향후 연구를 위한 시사를 얻는데 있다. 이를 위해 2003년∼2014년까지 「정서·행동장애연구」에 게재된 총 714편 중 단일대상연구 방법으로 연구한 논문 121편을 선정하여 최종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으로 연구 대상자 수는 3명, 실험설계는 중다 기초선 실험 설계가 주류를 이루었다. 단일대상연구 121편의 증거 정도는 ‘증거 강함’으로 나타난 영역은 연구대상자 선정과정의 명확성, 독립변인의 조작적 정의, 자료수집 과정의 구체성, 기록방법 선택의 적절성 등이었으며, ‘증거 보통’으로 나타난 영역은 자료점 기준영역 이었고, ‘증거 없음’으로 나타난 영역은 내적 타당도(통제)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정서·행동장애연구」에서 단일대상연구의 보다 강한 증거를 확보하기 위한 영역은 자료점 기준영역, 내적 타당도(통제) 영역, 사회적 타당도 영역, 연구 충실도 영역이 보완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to analyze single subject research for evidence-base standard appeared in th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 Disorders.This study analyzed 121 papers among the 714 on singled subject research method appeared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from year of 2003 to 2014. The result of study, the number of 3 people with typical trait, research design is made up with multiple baseline design. Evidence standard of single subject research 121 books showed that section of evidence strong were clarity of subject selection process, operant definition of the dependent variable field, concreteness of data collection process, adequacy of recording mode selection, section of evidence normal was data point and section of evidence nil was internal validity. In terms of the result, in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should conduct complementary research that the field for strong evidence security of single subject research is data point standard field, internal validity field, social validity field, research fidelity field.

      • KCI등재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 디지털 증거 획득의 적법성 검토

        김민동(Mindong Kim),이경렬(KyungLyul Lee) 대검찰청 2021 형사법의 신동향 Vol.- No.72

        클라우드 스토리지(Cloud Storage)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술을 이용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 서비스이다. 저자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자체에서 생성・수정・관리되는 데이터의 유형을 조사하고, 이를 수사절차에서 적법하게 획득하기 위해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해외에 본사를 둔 다국적 기업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대상으로 하는 역외 압수·수색 방법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이때 여러 제약사항과 법적 쟁점이 초래될 수 있다. 이에 연구는 클라우드 스토리지 내에 생성되는 다양한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는 역외 압수・수색 과정 중 계정 정보를 획득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접속하고, 저장 및 관리되는 사건 관련 데이터를 수색하며 이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증거사용의 허용 여하에 따른 법적인 문제를 검토하였다. 다국적 기업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사전에 적법하게 확보된 피압수자의 계정 정보를 이용하여 국내 사법관할권 내의 별도 장소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하고, 당해 사건과 관련된 파일을 압수・수색하는 원격지 압수・수색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이는 서비스제공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정당하게 이용한 것이고, 나아가 인터넷을 통해 국내에서 사건 관련 파일을 확보하여 정보주체인 피의자가 소유 또는 소지한 파일을 대상으로 한 압수・수색의 집행방법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버 존재 국가의 관할권을 침해한 것으로도 볼 수 없다. 계정 정보를 획득하고 클라우드 서버에 접근하기 위하여 피압수자 또는 서비스 제공자의 협조를 받거나, 또는 이것이 불가능한 경우 서비스 이용자가 접속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하였다면, 이는 적법한 접속으로 보아야 한다. 원본 파일이 존재하지 않고 비교적 저화질로 변경된 사진 및 동영상 파일이 클라우드 스토리지 상에 존재하는 경우 ‘최량증거의 법칙’ 관점에 따라 원본의 제출이 불가능하거나 곤란하며, 그것이 원본을 정확히 전사한 것으로 인정된다면 이는 증거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사건 관련 파일을 대상으로 한 행위 기록은 비록 해당 파일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압수·수색영장의 집행단계에서 추후 해당 범죄사실에 대한 증거물이 될 ‘가능성’이 있어 사건과의 관련성 요건을 충족시키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업로드・수정・삭제 등의 행위 기록과 파일 이름이 관련성을 지닌다면 그와 같은 행위 기록은 증거로 사용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을 수색 장소의 PC로 다운로드한 후 이를 선별하는 행위는 비가시성・비가독성과 같은 디지털 증거의 특성으로 인해 그 파일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필요행위이므로 이는 압수가 아닌 수색행위로 이해한다. 나아가 그 후 선별된 파일을 수사기관이 가져온 저장매체로 최종 복제되거나 문서로 출력되었을 때 이를 압수행위로 본다.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의 서버를 대상으로 하는 압수・수색은 서로 공통적으로 고려되는 부분도 존재하는 반면 각 서비스에 저장된 데이터의 유형에 따라 달리 고려되어야 하는 부분 또한 존재하는 것이 현실이다. 정보통신기술 및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점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기존의 저장매체에서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옮겨 보관되고 있는 만큼, 클라우드 유관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루어져 클라우드 포렌식 수사 시 적법절차 여부에 관한 혼란을 감소시키고 적법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관련 법률의 제・개정을 기대한다. Cloud storage services can store files on remote servers using cloud computing technology. The author investigated types of data created, modified, and managed in cloud storage services, and suggested a method to acquire it. However, this method can be utilized for extra-territorial search and seizure of cloud storage by multinational companies headquartered abroad, which can lead to a number of constraints and legal issues. Thus, this study reviewed legal issues with acceptance of evidence on issues that may arise during extra-territorial search and seizure of various data generated within cloud storage, accessing, storing, and managing case-related data. For cloud storage of multinational companies, it can consider searching and seizing files after accessing the server using account information of the persons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secured in advance through a method cannot be regarded as infringing on the jurisdiction of the country where the cloud storage server is located. because it justly uses the service provided by the service provider, and because it is the execution of files owned or possessed by the suspect who is the information subject by securing files in Korea through the Internet. The legitimate way to obtain account information and access the server is to obtain the cooperation of the persons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or service provider, or if this is not possible, it is considered a legitimate connection if service users use the normal method of accessing it. According to ‘the Best Evidence Rule’, Photo and video files that do not exist the original file and are relatively low quality stored in cloud storage may be considered evidence ‘if the original used to exist’, ‘if it is impossible or difficult to submit the original’, and ‘if the original is recognized to have been accurately transcribed’. Although the file does not exist, to use the history as evidence, ① the requirements of relevance must be met as possibility to be evidence of a crime during search and seizure, and ② the file name and file operation history(such as upload, modification, and deletion) must be related to each other. Downloading files from cloud storage to a PC in the place to be searched and selecting files stored is a necessary act to verify the content of digital evidence, such as non-visibility and non-readability, and should be viewed as a search rather than seizure. Furthermore, the selected file should then be viewed as a seizure when it is finally duplicated as the investigator s storage media or printed as documents. While search and seizure targeting servers based on cloud computing have common considerations, but there are also other considerations due to the different types and conditions of data present in each servic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technology, various types of data are being transferred from existing storage media to cloud storage. Therefore, it is hoped that cloud-related studies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and those relevant laws will be enacted and revised to reduce confusion and enhance legality in the case of cloud forensics investigations.

      • KCI등재

        우리 문화재보호법에 문화적 경관 개념의 도입 -이탈리아 문화재 및 경관법에서의 경관 개념을 중심으로-

        김민동 ( Kim Min-dong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一鑑法學 Vol.0 No.41

        1992년 이후 세계유산으로 선정된 문화적 경관들이 유럽과 북미에 치중되어 있어서 소외지역과의 불균형을 해소하여야 한다는 논의가 상당히 진행되어 있음에도 우리 경관법이나 공공디자인법, 문화재보호법에서는 문화적 경관의 개념조차도 직접적으로 규정되어 있지 않다. 문화재보호법에 규정되어 있는 기존 문화재 유형에 포함시키려는 개정 노력이 있었으나 온전한 문화적 경관 개념을 담아내지는 못했다. 문화재보호법에서는 1999년 포괄적인 문화재 개념을 신설하였다. 문화재 개념 안에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을 포함시키려고 했던 것으로 해석되지만, 결과적으로 ‘문화재’와 ‘문화적 경관’이 서로 다른 개념이라는 점을 간과하였다. 문화재 개념에 문화적 경관 개념을 잡종 교배한 결과가 되어 혼란을 가중하고 있다. 첫째, ‘문화재’와 ‘문화적 경관’을 문화재보호법으로 통합하여 일원적으로 보호하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로 도시계획과 관련해서 종합적인 관리와 규제를 중심으로 하는 경관법에서의 ‘경관’개념, 즉 통제적 경관 개념에 문화적 경관의 특징에 적합한 문화적 경관 개념을 담기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 문화재 ‘보호’에 중점을 주는 소극적인 규제 중심에서 적극적인 ‘활용’까지도 포섭하는 보다 더 유기적이고 체계적인 문화재보호법이 되기 위해서, 국가 문화자산의 보호와 활용이라는 목적에 입각해 ‘문화적 경관’에 대한 개념을 직접적으로 문화재보호법에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 신설된 규정을 기초로 경관법의 경관계획과 조화로운 범위 내에서 공공디자인법에서의 공공디자인 실행 과정을 거치면서 지역주민과 지역 사회의 문화적 경관을 구체적으로 형성하고 그 실행 과정을 보장하는 것이다. 둘째, 문화재보호법 제2조 제1항에 규정하고 있는 포괄적인 문화재 개념 중 “경관적 가치가 큰”이라는 문구는 삭제하여야 한다. 만약 이 문구를 그대로 사용하려면 ‘문화재’라는 개념 대신에 문화재와 문화적 경관을 통합하는 ‘문화자산’이라는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이탈리아 문화재 및 경관법 제2조). 아울러 명승의 개념이라고 해석되는 제2조 제1항 3. 기념물 중 “나.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곳”을 삭제한 후 종래의 문화재와는 구별되는 독립된 문화재 유형으로서 문화적 경관의 개념을 따로 규정할 필요가 있다. 계속 발전하는 살아있는 생명체인 문화적 경관의 둥지로서 기존 문화재 유형과는 다른 독립된 유형을 제공해주고 그 발전 과정을 수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셋째, 문화적 경관을 적극적으로 형성시켜 나가기 위해서는 종래 행정기관 중심의 경관규제와 관리에서 지역 주민과 전문가들과의 효율적이고도 정당성 있는 소통을 보장할 수 있도록 그 참여 방식 등을 규정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자연유산, 문화적 경관 개념을 부분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역사문화환경,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명승 개념을 포섭하고, 우리 경관법이나 공공디자인법 등 경관 관련 법규정들과 조화로울 수 있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독립된 장을 따로 둘 필요가 있다(이탈리아 문화재 및 경관법 제3부 ‘경관재’ 규정 참조). Paesaggio, tout court, paesaggio culturale vengono definiti dall’art.131, comma 1 del Codice dei Beni Culturali e del Paesaggio, per quale “Per paesaggio si intende il territorio espressivo di identita, il cui carattere deriva dall’azione di fattori naturali, umani e dalle loro interrelazioni” e per beni paesaggistici dall’art. 2, comma 1, “Il patrimonio culturale e costituito dai bein culturlai e dai beni paesaggistici”. Con la locuzione “beni paesaggistici” il Codice individua “gli immobili e le aree indicati all’articolo 134”, come requisito il fatto di costituire “espressioni dei valori storici, culturali, naturali, morfologici ed estetici del territorio e gli altri beni individuati dalla legge o in base alla legge”. Le definizioni di paesaggio(art.131) e degli altri beni paesaggisiti(art. 134) sono contenute nella parte Ⅲ del Codice. Il concetto di paesaggio trova le sue radici in merito alla Convenzione europea del paesaggio, firmato i n I talia a F ire nze 2000. Purtroppo noi non abiamo nessun articolori del concetto ‘paesaggio’ come Convenzione europea del paesaggio(art.1) e Codice dei Beni Culturali e del Paesaggio((art.131). Per concludere, e necessario mettere a fuoco le nozioni di di paesaggio che si possono trarre dai tratti internazionali vincolanti e Codice dei Beni Culturali e del Paesaggio per il nostro ordinamento. Vorrei fare notare che disposizioni di caratte re gene rale r e lative sia a lla salvaguardia del paesaggio nonche agli strumenti amministrativi per la tutela e la valorizzazione dello stesso dovrebbero essere in termini piu organici e sistematici la disciplina sulla tutela e la valorizzazione dei beni paesaggistici.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