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yper IgM Syndrome 환자에서 얻은 림프절 및 말초혈액 B세포의 특성

        김동수,신경미,양우익,신전수,송창화,조은경,Kim, Dong Soo,Shin, Kyuong Mi,Yang, Woo Ick,Shin, Jeon-Soo,Song, Chang Hwa,Jo, Eun Kye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2

        목 적 : Hyper IgM syndrome(HIGM)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누는데, CD40L 분자의 돌연변이로 초래되며 X-linked로 유전되는 형태를 HIGM1이라고 하고, 상염색체성 열성 형태로 유전되면서 CD40L는 정상적으로 표현되는 형태로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AID) 유전자에 이상 때문에 오는 경우를 HIGM2로 분류하고 있다. 다른 한 부류는 X-linked HIGM 증후군의 매우 드문 한 형태로서 발한 저하성 외배엽 이형성증이 동반된 경우로, 이 질환은 전사인자인 nuclear factor ${\kappa}B$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nuclear factor ${\kappa}B$ essential modulator를 coding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 때문에 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자들은 HIGM2와 유사하지만 AID 유전자에 변이는 없는 새로운 형태의 HIGM 환자의 말초 B세포를 이용하여 병인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방 법 :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를 분리하고, EBV로 immortalization을 시켜 Cycle TEST PLUS DNA Reagent kit를 이용하여 cell cycle을 분석하였다. 환자의 말초혈액 T 세포에서 CD40L의 표현을 immunostaining으로 알아보고, RNA를 추출하여 RT-PCR을 하고 direct sequencing을 통하여 CD40L 유전자의 돌연변이 부위를 찾아보았다. 아울러 AID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찾기 위하여 같은 방법으로 sequencing하고 조사하였다. 환자의 림프절을 병리학적인 검사를 시행하고 CD3, CD23, CD40, Fas-L, bcl-2, BAX의 표현을 알아보기 위하여 immunostaining을 실시하였다. 결 과: 림프절의 광학적 소견은 반응성 여포증식의 소견을 보였으며, 여포와 단구양 증식은 B-세포 표시인자인 L26에 양성을 보였고, 대부분의 형질세포는 IgM에 양성을 보였다. 여포는 CD40, Fas, BAX에 양성반응을 보이고, bcl-2와 Fas-L에 음성반응을 보였다. 말초혈액 B 림프구를 이용하여 cell cycle을 분석한 결과 정상(17.9%)에 비하여 G2/mitosis phase(M3 in figure)가 현저하게 감소(8.5%)되어 있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IL-4로 자극한 경우에는 정상인에서 보여주는 양상으로 회복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단핵수에서 CD40L의 표현은 정상이었고 CD40L 유전자에도 돌연변이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HuAID 유전자에도 돌연변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결 론 : 환자의 말초혈액 B림프구를 통한 연구 결과, 기존에 보고 되어진 HIGM2 형태와 임상적으로는 비슷하지만, 정상적인 AID유전자를 보이고, G2/mitosis phase가 정상에 비하여 감소된, 새로운 형태의 HIGM이라고 여겨진다. Purpose : Hyper IgM syndrome(HIGM) is characterized by severe recurrent bacterial infections with decreased serum levels of IgG, IgA, and IgE but elevated IgM levels. Recently, it has been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HIGM1, HIGM2 and a rare form of HIGM. HIGM1 is a X-linked form of HIGM and has now been identified as a T-cell deficiency in which mutations occur in the gene that encodes the CD40 ligand molecule. HIGM2 is an autosomal recessive form of HIGM. Molecular studies have shown that the mutation of HIGM2 is in the gene that encodes activation-induced cytidine deaminase(AID). Recently, another rare form of X-linked HIGM syndrome associated with hypohydrotic ectodermal dysplasia has been identified. We encountered a patient with a varient form of HIGM2. To clarify the cause of this form of HIGM, we evaluated the peripheral B cells of this patient. Methods : The lymphocytes of the patient were prepared from peripheral blood. B cells were immortalized with the infection of EBV. Cell cycle analysis was done with the immortalized B cells of the patient.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were stained with monoclonal anti-CD40L antibody. Total RNA was extracted from the peripheral mononuclear cells. After RT-PCR, direct sequencing for CD40L gene and HuAID gene were done. Immunostainings of a lymph node for CD3, CD23, CD40, Fas-L, bcl-2, BAX were done. Results : The peripheral B cells of this patient showed normal expression of CD40L molecule and normal sequencing of CD40L gene, and also normal sequencing of AID gene. Interestingly, the peripheral B cells of this patient showed a decreased population of G2/mitosis phase in cell cycles which recovered to normal with the stimulation of IL-4. Conclusion : We suspect that the cause of increased serum IgM in this patient may be from a decrease of G2/mitosis phase of the peripheral B cells, which may be from the decreased production or secretion of IL-4. Therefore, this may be a new form of HIGM.

      • KCI등재

        건물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한 모듈러 공법 수요창출 방안 수립

        김동수,김경래,차희성,신동우,Kim, Dong-Soo,Kim, Kyung-Rai,Cha, Hee-Sung,Shin, Dong-W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5

        우리나라의 모듈러 공법은 컨테이너하우스나 경량스틸 하우스로만 인식되고 있어, 수요창출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실제로 모듈러빌딩 활성화에 가장 큰 장애요인은 안정된 수요에 근거한 지속적인 공장 생산이 거의 어렵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모듈러 공법의 대표적인 미국과 영국의 모듈러 기업의 사례 조사를 통하여, 건물 유형별로 모듈러 공법의 성공요인을 우선적으로 도출하였다. 10개의 건물유형과 9개의 성공요인으로 정리하여 조사한 결과, 주거시설은 공기단축, 설계성능, 경제성 순으로 중요도가 높았으며, 교육시설의 경우에는 공기단축, 친환경성, 경제성, 융통성 순으로 나타났다. 병원시설은 공기단축, 융통성, 경제성, 친환경성이 주요 성공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성공요인들이 확보될 경우 우리나라에서도 모듈러 공법의 성공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고 생각된다. 주거시설의 겨우 표준화된 모듈 설계안의 반복적인 활용을 통하여, 성공요인을 확보할 수 있으며, 교육시설의 경우, 단모듈-장모듈의 타입화된 모듈의 설계안을, 병원시설의 경우 증축기술의 개발을 통한 성공요인이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모듈러공법의 수요창출 방안을 적용할 수 있는 잠재적인 시장의 규모는 주거시설의 경우, 연간 약 12,000호 규모의 시장이 형성 가능하며 기숙사의 경우, 2012년 1,515억 원 정도의 시장규모를 볼 때, 모듈러 공법의 시장 확보가 충분히 가능하다. 교육시설의 경우, 주거시설보다 평면의 반복정도가 더 높기 때문에 충분한 시장형성이 가능하다. 병원시설의 증축시장은 2012년 1,045억 원 정도의 규모로 모듈러 공법이 적용된 사례가 전무하지만 앞으로의 진출 가능성은 충분하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건물 유형별 수요창출 방안은 발주자가 공법을 선정할 때, 건물 유형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에 조언으로서 활용할 수 있으며, 잠재적 시장을 파악한 결과 충분한 시장 규모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모듈러 설계 및 제조업체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안을 사업전략으로 활용함으로써 전략적으로 건물 유형에 맞는 사업 방향을 설정하여 지속적인 수요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It has been seriously difficult to create demand of modular construction because Korean modular method has been considered as container house or lightweight steel house. Actually, barrier factor of modular construction for activation was difficult to produce modular continuously in factories based on stable amount of demands. So, this research found successive factors of modular construction and proposed the method of demand creation through a plethora of case analysis by building types. In addition, this research found the scale of modular potential market. Owners will be able to use this strategy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when they make a decision about construction system. Also, the modular construction can make potential market in Korea. As a result, modular system producer can make their business strategies and make continuous demand by conjugating the method of creating demand for modular construction which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 KCI등재

        우리나라에서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확산

        임유진,이상명,김동수,김준범,최광식,이신혜,박정규,이동운,Lim, Eu-Gene,Lee, Sang-Myeong,Kim, Dong-Soo,Kim, Joon-Bum,Lee, Shin-Hye,Choi, Kwang-Sik,Park, Chung-Gyoo,Lee, Dong-W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1

        솔껍질깍지벌레는 우리나라 곰솔림의 주요한 해충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7개도 3개 광역시, 91개 시군구, 686 읍면동의 해송림에서 2010년 밀도를 조사하였다. 5개도 2개 광역시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었는데 시군구별로는 조사대상의 64.8%인 59개 시군구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는 남해안 전역과 동해안의 포항, 서해안의 충남 보령지역까지 분포하였다. 충북과 대전광역시 및 제주도에서는 솔껍질깍지벌레의 분포가 확인되지 않았다. 부산지역은 16곳의 모든 구에서 솔껍질깍지벌레가 분포하였고, 시군 단위에서는 전남 해남군의 솔껍질깍지벌레 평균밀도가 1.713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으며 읍면동 단위에서는 해남군 송지면이 6.36마리/0.785 $cm^2$로 가장 높았다. 곰솔 가지 내의 솔껍질깍지벌레 밀도와 솔껍질깍지벌레가 서식하고 있는 빈도와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상관계수=0.89). The black pine bast scale, $Masucoccus$ $thunbergianae$ (Hemiptera: Margarodidae), is a serious pest of the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in Korea. The distribution of the black pine bast scale was examined, looking overall at 686 towns (eup), townships (myeon) or neighborhoods (dong). There were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s in 91 cities, counties (gun) and borough (gu), in seven provinces and three metropolitan cities during 2010. Black pine bast scale were found in 64.8% of cities or counties or borough (59) in 7 provinces and 3 metropolitan cities, and were distributed in all South Costal regions, Pohang in East Costal region and Boryeong in West Costal region. Chungcheongbukdo, Daejeon and Jeju did not have black pine bast scale. All the gu regions in Busan had black pine bast scale, of which the area with the highest prevalence was Haenam in Jeollanamdo (1.713 crawlers/0.785 $cm^2$). Songji-myeon had the highest occurrence rate (6.36 crawlers/0.785 $cm^2$) from the towns, township and dong. The density of black pine bast scale in twigs was highly correlated with percentage of the sample with scale (Correlation coefficacy=0.89).

      • 폐구균의 혈청형 분포와 항생제 감수성에 관한 연구

        최경민,김정현,신경미,연수인,신전수,용동은,이경원,김동수,Choi, Kyoung-Min,Kim, Jeong-Hyun,Shin, Kyoung-Mi,Yeon, Soo-In,Shin, Jeon-Soo,Yong, Dong-Eun,Lee, Kyoung-Won,Kim, Dong-Soo 대한소아감염학회 2003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Vol.10 No.2

        목 적 : 폐구균은 비인두에 존재하는 정상균주이나 중이염 등의 국소 감염 뿐 아니라 폐렴, 뇌수막염, 패혈증 등의 침습성 질환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제내성 폐구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큰 문제가 되고 있는바 이에 저자들은 폐구균의 혈청형과 항생제 감수성을 검사하고, 향후 시행될 폐구균 예방접종의 효용성 등을 예측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1년 9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연세의료원에 내원한 환자 중 배양 검사상 폐구균이 검출된 11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폐구균의 혈청형 검사는 Quellung 반응을 통해 결정하였고, 페니실린 내성 여부는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 폐구균은 객담 76례(65.5%), 혈액 13례(11.2%), 이루 12례(10.3%), 인두 7례(6.0%), 비강 2례(1.7%), 뇌척수액, 안구분비물, 복수, 수술 후 창상부위, 두부 농양, 도관 각 1례(0.9%)로 총 116례에서 배양되었으며, 98례에서 혈청형 검사가 가능하였다. 분리된 혈청형을 살펴보면 19F 15례(15.3%), 19A 11례(11.2%), 11A 8례(8.2%), 6A, 14와 3이 각 7례(7.1%), 6B, 23F와 35가 각 6례(6.1%)의 순이었다. 총 116례 중 82례(70.7%)에서 페니실린 내성을 보였으며, 페니실린 내성균주의 혈청형은 19F, 19A, 11A, 23F, 6A, 9V등이 49례(59.8%)를 차지하였고, cotrimoxazole(74.4%), tetracycline(69.5%), erythromycin(90.3%) 등의 다른 항생제에도 높은 내성률을 보였다. 소아 환자 22례 중 20례에서 혈청형 분석이 가능하였고, 19A, 19F가 각 5례(25.0%), 6A, 6B, 23F가 각 2례(10.0%), 11A, 14, 19, 29가 각 1례(5.0%)를 차지하여 7가 폐구균 단백결합백신에 포함되는 혈청형이 50%(10/20), 백신관련 혈청형을 포함하여 85%(17/20)이었으며, 22례 중 86.4%(19/22)에서 페니실린 내성을 보였다. 결 론 : 이전의 보고에 비해 백신포함 혈청형의 빈도가 약간 낮은 소견을 보였으며, 최근 일부 폐구균 혈청형의 변화가 보고되고 있는 바 7가 폐구균 단백결합 백신의 상용화에 앞서 전국적인 폐구균 혈청형의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Streptococcus pneumoniae is part of the normal flora but is also responsible for causing many invasive diseases such as pneumonia, meningitis, and sepsis in addition to noninvasive diseases such as otitis in children. Multi-drug resistant strains has raised a lot of concern worldwide and thus the importance of prevention has been emphasized. We have analyzed the current serotypes and antibiotic sensitivity of each serotype as a baseline study to estimate the efficacy of the pneumococcal vaccine in Korean children. Methods : One hundred sixteen cases of pneumococcus cultured at Yonsei Medical Center from September 2001 to January 2003 were analyzed. The serotyping was done with the Quellung reaction and penicillin resistance was tested using the oxacillin disc diffusion method. Results : Pneumococcus were cultured from the sputum in 76 cases(65.5%), from the blood in 13 cases(11.2%), from the ear discharge in 12 cases(10.3%), from the throat in 7 cases(6.0%), from the nasal cavity in 2 cases(1.7%), and one case(0.9%) each from the cerebrospinal fluid, eye discharge, peritoneal fluid, post-operational wound, brain abscess, and catheter tip. Serotyping was possible with 98 cases and the following serotypes were found; 15 cases of type 19F(15.3%), 11 cases of 19A(11.2%), 8 cases of 11A(8.2%), 7 cases each of 6A, 14 and 3(7.1%), 6 cases each of 35, 6B and 23F(6.1%). Eighty two cases(70.7%) out of 116 cases were penicillin resistant and serotypes 19F, 19A, 11A, 23F, 6A, 9V constituted the majority, 48 cases(59.8%). These serotypes showed resistance to cotrimoxazole (74.4%), tetracycline(69.5%), and erythromycin(90.3%) as well. In the 22 cases cultured from children, 19A and 19F were found in 25.0%, 6A, 6B, and 23F in 10.0%, 11A, 14, 19, and 29 in 5.0%. Fifty percent(10/20) of the clinical isolates were represented in the current 7-valent 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 vaccine, and 85%(17/20) when the cross-reacting serotypes were included. Penicillin resistance was found in 86.4%(19/22). Conclusion : The percentage of serotypes included in the 7 valent pneumococcal protein conjugate vaccine found in our study was 40.8% which was less than other prior studies. In anticipation of a change of pneumococcal serotypes, a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is needed before the initiation of pneumococcal vaccines in Korea.

      • An Experiments and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Sealless Cylinder

        Shin Hur(허신),Kwangsoo Kim(김광수),Dong-Soo Kim(김동수) 대한기계학회 200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9 No.11

        This paper shows a performance analysis for conical type sealless cylinders and rod bearings. The pistons without seal have partly cylindrical and corneal shapes. 2 dimensional Reynolds equation and FD(finite differential) numerical techniques are utilize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The relationship among self-centering forces and leakage flows are investigated. Also, optimal design values for a sealless cylinder are presented. A prototype of sealless cylinder which had rod bearing with four pockets, five pockets, and six pockets was manufactured respectively. Leakage flow test is conducted to evaluate performance of piston and rod bearing in seelless cylinder.

      • 공기압 서보 실린더 특성 해석

        김동수(Dong-soo Kim),김강대(Kang-Dae Kim),김명섭(Myoung-sub Kim),허신(Shin Hur)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11

        This paper shows a performance analysis for pnumatic servo cylinder. The pistons without seal have partly cylindrical and conical shapes. 2 dimensional Reynolds equation and FD(finite differential) numerical techniques are utilize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The relationship among self-centering forces and leakage flows are investigated. Also, optimal design values for a servo cylinder are presented. A prototype of servo cylinder which had rod bearing with four pockets, five pockets, and six pockets was manufactured respectively.

      • 골전이로 인한 장골의 병적 골절의 수술적 치료

        신규호,김동수,한수봉,한대용,Shin, Kyoo-Ho,Kim, Dong-Soo,Hahn, Soo-Bong,Han, Dae-Yong 대한근골격종양학회 1995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Vol.1 No.1

        Metastatic cancer is the most common tumor of the skeleton. The prevalence of pathologic fracture may increase as patient survival is prolonged by improved cancer therapy. With recent advances in orthopaedic procedure and medical management of terminal cancer patients, it is generally agreed that aggressive treatment should be undertaken for patient with pathologic fracture secondary to metastatic disease, and a team approach should be utilized. The authors have reviewed twenty cases of pathologic fracture of the long bone due to metastatic tumor treated in the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from April 1989 to April 1994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mean age at surgery was 58.4 years (ranged from 24years to 86years) and among 20 cases, 10 cases were male and the others were female. 2. The most frequent site of pathologic fracture in long bone is femur(15 cases, 75%), and followed by humerus(4 cases, 20%), tibia(1 case). 3. The frequently encountered primary tumors that metastases to long bone are those of the lung(7 cases, 35%), breast(4 cases, 20%), and prostate(2 cases, 10%). 4. The operative procedure was performed by resection of the tumor mass extensively, and we used polymethylmetacrylate for filling the dead space after resection, in all cases. 5. The mean survival period after operation is 9.2 months(ranged from 1 month to 4 years and 9 month). 6. The results of postoperative pain relief status were graded as fair to excellent in 17 cases(85%).

      • 광역계통에서 주파수에 영향을 주는 요소에 관한 연구

        신동광(Dong-Kwang Shin),이유진(You-Jin Lee),김철환(Chul-Hwan Kim),김동수(Dong-Soo Kim) 대한전기학회 2010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0 No.7

        WAM(Wide-Area Measurement)는 전력 계통의 과도상태를 관찰하기 위한 강력한 도구인데, 현재 WAM의 정보를 이용한 부하차단 전략 및 계통안정도 향상을 위한 여러 안정도 제어 전략들이 개발되고 있고, FNET(Frequency Monitering Network)를 기반으로 측정된 광역주파수의 변동을 관찰하여 고장점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이 부분적으로 제안되어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 전력계통의 전력 주파수 움직임에 관한 시뮬레이션에 집중하여 발전 감소와 같은 외란으로부터 변하는 주파수를 전자기파의 전파현상으로 관찰한다. 이러한 전파현상은 전자기파전파의 속도로 측정할 수 있고, 이 측정값을 통해 주파수변동특징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확인하고 분석함으로써 고장점을 추정하는 알고리즘에 관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