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도의 홍보에 관한 방안 연구

        김도은 한국일본문화학회 2024 日本文化學報 Vol.- No.100

        This study focuses on the institutions involved in promoting Dokdo, an island in the East Sea of Korea. These organizations include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focuses o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related to Dokdo.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focuses on the place names of Dokdo, and the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focuses on the marine science related to Dokdo.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historical, marine scientific, and international legal aspects of the public relations of Dokdo, further strengthen Dokdo's territorial rights, and ensure its continued protection. The media is extremely effective in promoting Dokdo. The idea of ​​publicizing Dokdo using the media of Dokdo Metaverse and AI Convergence Technology System can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ublicizing Dokdo. この研究は大韓民國の東海の島である独島を広報するにあたっていくつかの機関を中心に分析する。対象機関は独島に対する人文社会科学的な研究機関の東北亞歴史財団、独島の地名表記に対する機関の国土地理情報院、独島の海洋科学的な研究機関の韓国海洋科学技術院である。本研究の目的は独島の歴史的、地理的、海洋科学的であり、国際法的に広報案を研究し、さらに独島の領有権を強化し独島を持続的に守ることにある。独島の広報の中ではマスコミの効果が非常に大きい。また、独島のメタバスおよびAI融合技術システムというマスコミを利用して独島を広報する方案も独島広報の効果に大きく作用する可能性がある。

      • KCI등재

        독도관련 평화선 해도의 국제지도증거법상 의미 연구

        김도은,김명기 한국일본문화학회 2022 日本文化學報 Vol.- No.93

        The Presidential Proclamation of Sovereignty over Adjacent Seas on January 18, 1952 annexed a sea map that contained the so-called “Peace Line.” If a map does not have an official name, it is called a “Peace Line Sea Map.” Since a Peace Line Sea Map is not annexed for treaty or toward a decision, it is not an authorized map, and cannot be considered as primary evidence, but only as secondary evidence which has no admissibility as evidence. However, the Peace Line Sea Map is a official map which presents the legal effects such as acquiescence, recognition or confirmation in international law. Thus this “Peace Line Sea Map’ presented the legal aspects of recognition but is not a confirmation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by Korea as per international law. It also means that effective control over Dokdo by the government of Korea since the Proclamation of the Ordinance No. 41 of 1900. Therefore the Peace Line Sea Map implies that the Empire of Korea was not distinguished by the annexation treaty of 1910 between Korea and Japan, on account of non-existence of the treaty in international law. Hence Japanese control over Korea is illegal as per international law. Dokdo has never been annexed to Japan since 1910. The Peace Line Sea Map is a Korean national symbol of the territorial sovereignty over Dokdo. 1952年1月18日、隣接海洋主権宣言には海図が添付された。いわゆる「Peace Line」を含むこの地図に公式名称はないが、これを「Peace Line Sea Map」と呼ぶことができる。平和線海図は条約や決定に付属しないため、 一次証拠ではなく二次証拠と認められるが公認された地図ではない。しかし平和線海図は国際法上の黙認・認定・確認などの法的効力を有する公式地図でもある。したがって、 「平和線海図」とは1900年に出された条例第41号の公布の以来、大韓民国の政府が独島を実効的に統制することを意味し、独島の領有権は韓国の国家的象徴であると言える。 独島に関する平和線海図に対し、国際地図証拠法による規則上の適用のために国際法・史学・地理学などの學界研究を積極的に主導し、そのための行政的・財政的支援も持続的にする必要がある。

      • KCI등재

        미용서비스 산업에 대한 청소년의 인식이 진로에 미치는 영향

        김도은,박은준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2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youth career support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the beauty service industr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beauty service industry’s ‘future potential’ and ‘professionalis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reliability’ and ‘empathy,’ which are career support variables. Second, the ‘future potential’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affected ‘planning’ and ‘shareability,’ which ar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and ‘social image’ and ‘professionalis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irecti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support variables ‘reliability’ and ‘empath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all of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variables ‘planning,’ ‘direction’ and ‘shareabilit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seem to have contributed to suggesting the direction of the beauty service industry.

      • KCI등재

        독도 관련 고지도의 현황과 특징 분석-영남대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김도은,이태우,최재목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0 독도연구 Vol.- No.29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evidence that Dokdo is a Korean territory, using 48 maps of Ulleungdo and Dokdo out of the old map material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This study also aims at affirming Dokdo's territorial sovereignty using map materials and increasing the value of Dokdo-related old maps owened by Yeungnam University and at the same time, as a Hub for Dokdo Research, aims at establishing its status of Dokdo Institute of Yeungnam University. Since the 18th century, The old maps of Korea(Joseon Dynasty) have shown that "Dokdo" is located on the right side(East) or left side(West), bottom side(South) or up side(North) of Ulleungdo, especially a part of map of Gangwon-do. It can be seen that they are displayed separately on the left (southwest) and lower right (southeast). Next, the map also shows whether Dokdo is located correctly and how Dokdo displayed in different locations can be interpreted in the same location as the current Dokdo location. It can be seen through the status survey. Of the foreign maps depicting Korea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especially on the map of Japan, "Dokdo" is all drawn in "Ulleungdo". It is said that there is also a way to fold Dokdo inside or below Ulleungdo on an old map of Korea. Foreigners at the time, who did not know how to fold the map in this way, displayed Dokdo on the left side of Ulleungdo in order to imitate the name of a place in the detailed part of Korean map Gangwon-do. The point is that Such a difference in the position of Dokdo cannot be seen without considering the viewpoint of the cartographer and at that time the geographical and oceanographic aspects. These map status surveys are important materials and are seen as evidence in that they have taught us the well-known fact that there were two large islands in the East Sea since ancient times and the clear facts that they have been engaged in fishing activities in the nearby sea of Ulleungdo and Dokdo 이 연구는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고지도 자료 중 총 48점의 울릉도․독도 관련 지도를 통해 독도가 한국의 영토인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지도 자료를 통해 독도의 영토주권을 재확인하고, 영남대학교가 소장하고 있는 독도 관련 고지도의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독도연구의 구심점으로서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18세기이후 한국의 고지도, 특히 강원도 폭상에 나타난 ‘독도’의 위치는 ‘독도’가 울릉도의 오른쪽(동쪽) 또는 왼쪽(서쪽), 아래쪽(남쪽), 아래왼쪽(남서쪽), 아래오른쪽(남동쪽)에 각기 다르게 표시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렇다면 독도는 정확히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 것인지, 각기 다른 위치로 표시된 독도가 현재의 독도위치와 같은 곳으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도 지도의 현황 조사를 통해 살펴볼 수 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의 현황과 특징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 지도 가운데는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가 현재의 위치가 아닌 경우도 있었는데, 이것은 당시의 지도 제작법의 유형에 따른 현상으로 당시 고대 시대의 사람들은 독도와 울릉도의 위치와 크기를 정확하게 알고 있었고, 후대 시대로 오면서 지도로 나타난 증거자료가 되었다. 영남대 소장 독도 관련 지도는 이미 조선시대 이전부터 당시 사람들이 동해 바다에는 두 개의 큰 섬(울릉도·독도)이 있었음을 명확히 인지하고 있었다는 사실과 어로활동 등을 통해 두 섬과 인근해역을 이용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자 증거라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Analysi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김도은,강병련,이민희 영남수학회 2019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5 No.4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statistical litera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nd to discuss the impact of statistical literacy in lesson pla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analyzed 13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statistical literacy tests and lesson plan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did not have a high level of statistical literacy, and it was also observed that there was a big level difference between them. Second,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lesson pla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target grad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tudent, and the contents. Based on this study, we seek to find implications for how it is appropriate to educate teachers in charge of statistical education.

      • KCI우수등재

        생태계문화서비스 관점에서 지역생태자산의 인지된 자연성 평가

        김도은,권혁수,손용훈 한국조경학회 2023 韓國造景學會誌 Vol.51 No.3

        인지된 자연성(perceived naturalness)의 평가는 인간이 자연공간을 바라보는 ‘과정’으로서의 인식을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으며, 자연환경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교호작용을 설명하고 자연환경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개개인 인식의 차이점을 평가하는 데 주안점이 있다. 한 지역 내에서 뚜렷한 특성을 보이는 생태자산에 대한 인식은 같은 공간임에도 이용자마다 각기 다른 인식으로 드러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자산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 및 인터뷰를 근거로 문화서비스 관점에서 인지된 자연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근거이론 틀을 활용하여 안산시 지역활동가와 시민으로부터 도출한 지역 생태자산에 대한 서로 다른 4가지 측면의 자연성 인식의 범주를 발견하였다. 안산시 생태자산은 크게 생태자산의 보전과 현명한 개발에 대한 필요성, 생태계의 혜택에 대한 인식, 지역의 자산으로서 대표성, 자산의 이용성과 매력도 등의 자연성 가치가 논의되고 있었다. 이후 Q 방법을 활용하여 25명의 이용자에게 25개 대표 생태자산을 제시하고 4가지 제시된 기준에 따라 개인에게 인지된 가치가 높은 순으로 자산을 구분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질문항목별로 서로 다른 가치관을 가지는 이용자 그룹을 구분하고 문화서비스 향유에 대한 가상의 페르소나를 구분하였다. 안산시 25명 이용자의 대표적인 페르소나는 AWP(수생태계의 보전에 대해 중요하게 생각하면서, 수변 경관을 선호하고, 평지형 수변공원을 즐기는 유형)로 나타났다. 인지된 자연성은 생태계서비스 평가 관점에서 ‘이용자가 인지하는 혜택’ 개념과 유사하므로 문화서비스의 평가에 있어서 보다 실질적인 이용자 평가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헤메로비 등급(Hemeroby Index)을 활용한 도시공원의 인지된 자연성 평가

        김도은,손용훈 한국조경학회 2021 韓國造景學會誌 Vol.49 No.2

        This study evaluated the degree of interaction between the people and the environment using perceived naturalness measure. The seventh-grade index of Hemeroby was divided into subclasses of land cover according to degrees of human influence. The grade was standardized for each indicator to evaluate the current state of urban parks in Seoul by applying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and weight. User evaluation was conducted on six distinctive parks selected. In the results, three implications were found between spatial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erceived naturalness. First, park users evaluated highly for the spaces such as broad-leaved forest, coniferous forest and mixed forest evaluated highly in the Hemeroby grade index. Park users generally recognized that various types of trees in the area had high naturalness. The density of trees is one of the factors in perceived naturalness. Second, water spaces were highly evaluated for naturalness in the Hemeroby grade index. However, the perceived naturalness of water spaces such as inland wetlands, pond and reservoir evalu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environmental conditions around the park. Third, perceived naturalness is easily evaluated through vertical landscape elements such as trees rather than horizontal landscapes such as grassland. The perceived naturalness is similar to the naturalness evaluation using land cover. However the study found the perceived naturalness for a specific space was different from the Hemeroby index. Perceived naturalness by the user includes the content that the individual sees, hears, and experiences. Park users are usually structuring naturalness through evaluating the value of urban green spaces based on personal perception. Therefore there is no absolute standard criterion for evaluating the naturalness of urban green spaces. A deeper study is needed that considers user bundles or user groups with conflicting interests on the perceived naturalness in urban parks. These studies will be essential data on the direction of naturalness urban park service should provide. 본 논문은 개인과 환경의 상호작용 정도를 ‘인지된 자연성’의 척도로 평가하였다. 헤메로비 7등급(Hemeroby)을 인간의 영향의 정도에 따라 토지피복 세분류로 구분하고, 지표별로 등급을 표준화하여 확률밀도함수와 가중치 적용을 통해 서울시 도시공원의 현 상태를 평가하였다. 그중 특징 있는 공원 6곳을 선정하여 이용자 평가를 시행하여, 자연성 지표에 따른 공간적 평가와 이용자 인식 사이에 3가지의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수목이 군락을 이루는 활엽수림·침엽수림·혼효림 등의 공간은 Hemeroby 등급 체계에서 자연성이 높은 공간으로 평가되며, 이용자에게도 일반적으로 자연성이 높은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용자는 다양한 형태의 수목 공간이 자연성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수목의 울창함은 인지된 자연성에 있어서 하나의 요인이 된다. 둘째, Hemeroby 등급 지표에서 자연성이 높게 평가된 ‘내륙 습지’ · ‘호소’ 등 수공간의 인지된 자연성은 공원 주변의 환경 상태에 따라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초지 등과 같은 수평적 경관보다는 수직적인 경관 요소인 수목 등을 통해 자연성이 높게 평가되었다. 녹지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의 자연성 인식은 토지피복을 활용한 자연성 평가와 일반적으로 유사하지만, 특정 공간에 대한 자연성 인식은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이용자가 인식하는 자연성에는 개인이 직접 보고, 듣고, 경험한 내용도 포함되기 때문이다. 이용자는 개인적 인식을 바탕으로 자연성을 구조화하고, 도시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도시 녹지의 자연성 평가는 모든 이용자에게 통용되는 절대적인 기준이 존재할 수 없다. 향후 이용자 번들 혹은 도시공원의 인지된 자연에 대한 상충된 이해 그룹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는 각 도시공원 서비스가 제공하는 자연성에 대한 방향성 설정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일본의 독도 상륙작전에 대한 한국의 방어 작전통제권 연구

        김도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22 독도연구 Vol.- No.33

        Recently Japan established so callde, the Amphibioes Unit’s Japanese Marin Corp, under the Ground Self-Defense Force the Unit’s Landing operation on Dokdo constitates Armed about provided in Anticte 51 fo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us the defending operation of the ROK Forces constitates self-defense, lawful use of Force by the charter of the United Nations. The ROK Forces are under operation control of the commander of the UNC. since 1950. The mission of the United Nation Forces under operation control fo the United Nations Command has been to repel the armed attacks. The Secounty Coaneal in its Resolution of June 27 recommanded that the members of the United Nations to repel armed attack ... This mission of the United Nations Forces was confirmed in the Securit Counale Resolution of July 7 whish established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erefore the mission of the Commander of the UNC is to UNC repel the armed attacks. On account of the mission of the commander, the operation control authority of the Command, UNC id restrickted to repel the No, the Roream armed attack. There id no The operation control autherity of the Command, UNC on the ROK Force’s defending operation against the landing operation of the Japanese Self-defense Force on Dokdo. 한국정부는 1952년 1월 18일 “인접해양의 주권에 관한 대통령 선언”을 공표하였다. 일본은 2018년 3월 27일 미해병대를 모델로 2개 연대 2,100명 규모의 수륙기동대를 발족하고 미해병대의 첨단장비를 도입하였고 2021년까지 연대 규모로 확대해 나간다는 계획을 발표하였다. 이에 따라 일본 수륙기동대가 독도에 상륙작전을 전개해 올 경우 한국해병대는 여러 가지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한국의 영토와 독도에 일본 수륙기동대의 상륙작전은 국제연합헌장 제51조에 규정된 자위권 행사의 요건중 하나인 ‘무력적 공격’(armed attack) 발생이라는 요건을 구비한 것으로 한국의 방어 작전은 헌장상 합법적인 자위권의 행사로 인정될 검토의 여지가 없다. 국제연합군사령관의 작전통제권은 북한의 무력적 공격을 격퇴하는데 한정된다. 1969년 4월 10일 체결된 주월 한국군사령관과 주월 미군사령관간에 체결된 “군사실무약정서” 제3항은 “주월 한국군 전 장병의 지휘권은 대한민국 정부가 임명한 주월 한국군사령관에게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독도는 통합방위법상 갑종 또는 을종 사태의 경우 제1함대사령관의 관할 하에 있고, 독도에 상륙하는 일본자위대에 대한 한국군의 방어 작전은 국제연합군사령관의 작전통제권이 미치지 않는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