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베난티우스 포르투나투스(Venantius Fortunatus)의 십자가 찬미가에 대한 전례-신학적 연구

        김기태(Kim Kit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1 누리와 말씀 Vol.- No.30

        사람들이 쉽게 노래하며 암기했던 찬미가는 그리스도교 백성을 교육시키고 하느님 찬미의 거행에 공동체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이로써 교회는 구약성서의 찬가와 시편에서 기원하는 찬미의 전통을 지속할 수 있었다. 베난티우스 포르투나투스의 십자가 찬미가 Pange lingua gloriosi와 Vexilla regis prodeunt는 그리스도교 라틴 찬미가의 전통만이 아니라 십자가를 향한 그리스도교 백성의 각별한 신심을 증언한다. 십자가를 주제로한 라틴 찬미가의 역사는 6세기 중반 갈리아의 프와티에라는 지역에서 포르투나투스와 함께 시작된다. 그리스도교 라틴 찬미가의 역사적 기원이 4세기 중반까지 거슬러 올라가고 3-4세기 라틴 교부들의 작품에서 이미 그리스도의 수난과 십자가에 대한 신학적 성찰을 찾아볼 수 있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비교적 늦은 시기에 이루어진 십자가 라틴 찬미가의 등장은 다소 놀랍게 생각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7세기까지 서방 라틴 교회 안에 십자가 찬미가의 사용을 위한 직접적인 전례적 기회가 없었다는 사실로써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십자가와 관련된 두 축일 곧 성 십자가 현양 축일과 성 십자가 발견 축일은 7세기에 로마 전례 안에 도입되기 시작하였고 성 금요일의 십자가 경배 예식도 8세기 초반에 이르러서야 로마 교황 전례 안에서 그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더군다나 이 시기에 찬미가는 로마 전례 안에서 아직 어떤 확고한 자리도 차지하고 있지 못했다. 실제로 포르투나투스의 십자가 찬미가 저술의 직접적인 동기는 전례의 사용을 위해서가 아니라 569년 프와티에에서 성 십자가 성물의 성대한 안치를 기념하기 위해서였다. 포르투나투스의 두 십자가 찬미가는 성주간 전례를 노래로 장식하며 이천년대의 신심이 성 금요일의 고통스런 주님의 수난에 집중된 성삼일 전례 거행에서 표출했던 슬픔의 느낌과는 반대로 기쁘고 영광스런 느낌을 보존하는데 기여하였다. 두 십자가 찬미가는 그리스도의 죽음을 슬퍼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구원이며 죽음에 대한 그리스도의 승리의 결정적인 표지인 십자가의 영광을 노래한다. 부활하시고 영광스럽게 되신 우리의 구원자께서 그 위에 매달리셨던 십자가(십자가 나무)는 구원의 전 역사를 종합한다. L’inno, che il popolo cantava e facilmente memorizzava, era il mezzo più efficace per catechizzare il popolo, e rendere comunitariamente partecipata la celebrazione delle lodi divine. La Chiesa continuava così la tradizione laudativa, ereditata dai cantici e dai salmi del primo Testamento. Gli inni di Venanzio Fortunato in onore della S. Croce, in particolare Pange lingua gloriosi e il più noto Vexilla regis prodeunt, che è l’oggetto del presente lavoro, testimoniano una devozione particolare del popolo cristiano verso la croce, oltre alla grande tradizione dell’innodia latina cristiana. Infatti, la storia degli inni latini in onore della S. Croce comincia con Venanzio Fortunato nella seconda metà del VI secolo a Poitiers in Gallia. Ⅱ ritardo di tali composizioni è sorprendente, perché le origini dell’innodia latina cristiana risalgono alla seconda metà del secolo IV e le riflessioni teologiche sulla passione e sulla croce si trovano nei primi padri latini del Ⅲ e Ⅳ secolo. Questo può essere spiegato dal fatto che non c’era stata ancora nessuna occasione liturgica immediata per gli inni alla croce. Le prime due feste che riguardano la croce, Invenzione della S. Croce e Esaltazione della S. Croce, furono introdotte nella liturgia romana solo a partire dal Ⅶ secolo; anche l’adorazione della croce nel Venerdì santo è entrata nella liturgia papale nella prima parte dell’Ⅷ secolo. Inoltre in questo periodo l’inno non ebbe ancora un posto evidente nella liturgia romana. Infatti, il motivo della composizione degli inni di Fortunato non fu per l’uso liturgico, ma per l’occasione dell’ingresso solenne della reliquia della S. Croce a Poitiers nel 569. I due inni di Fortunato ritmano la liturgia della Settimana Santa, e contribuiscono a mantenere il senso gioioso e glorioso, contro il senso di tristezza che la devozione del secondo millennio ha dato alla celebrazione del triduo, concentrato sulla passione dolorosa del venerdì santo. Essi non piangono la morte di Cristo, ma cantano alla gloria della Croce, nostra salvezza, segno ormai della vittoria di Cristo sulla morte. La croce (il legno della croce) sulla quale è stato appeso il Redentore, ma che ora è risorto e glorioso, sintetizza tutta la storia della salvezza.

      • 협소 공간에서의 스마트 주차 시스템

        김기태(Kitae Kim),안주현(Juhyun An),김기호(Kiho Kim),이인남(Innam Lee),유관호(Kwanho You) 한국자동차공학회 2013 한국자동차공학회 지부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3 No.5-2

        As an advanced safety system is a key point of smart car in automotive field, autonomous parallel parking system is widely studied to improve the convenience of inexperienced drivers who have a difficulty in parking properly. In this paper, we present an incremental sliding-mode fuzzy logic controller(ISMFLC), which is a sliding-mode controller using different fuzzy rules subject to each different situation. We also adapt unscented Kalman filter(UKF) to compensate for a sensor noise by unscented transformation. In order to compare an performance of ISMFLC and UKF, simulations have been provided. The simulation results confirm the advanced parallel parking accuracy and the safety obtained by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 KCI등재

        언어 네트워크 분석에 기초한 최근 ‘질문’ 연구 현황 분석

        김기태(Kim, Kitae),한기순(Han, Kisoon)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3

        본 연구에서는‘질문’을 주제어로 하는 연구 주제의 최근 5년 동안의 연구 현황을 분석함으로써 교육 현장에서 질문의 의미와 중요성을 탐색하고 질문과 관련한 연구들의 의미구조 확인을 통해 앞으로의 질문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으로‘질문’을 주제어로 최근 5년 동안의 국내학술지 논문 중 교육과 관련된 논문 204건을 선택하여 연구 주제 키워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질문’키워드를 제외하고 빈도 분석에서는‘교육’,‘발문’,‘교사’,‘학생질문’,‘초등’,‘수업’ 등의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다. 매개 중심성에서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질문전략’ 등이 높게 나타났으며, 근접 중심성이 높은 단어는‘초등’,‘국어교과서’,‘학생질문’,‘발문유형’,‘상호작용’로 나타났다. 아이겐벡터에서는‘교사용 지도서’,‘누리과정’,‘발문유형’,‘초등’,‘교사교육’ 등이 상위 순위로 나타났고, 커뮤니티 분석에서는 교사의 발문과 학생 질문의 상호작용에 주목하여 여러 수업 장면에 적합한 학생 중심의 질문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었다. 빈도수가 상위 10위 이내의 핵심어 중 매개, 근접, 아이겐벡터 중심성이 모두 높은 핵심어를 분석한 결과,‘초등’과‘발문 유형’이 세 가지 중심성 항목에서 공통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등교육에 비해 초등교육 현장에서, 그리고 학생의 질문에 비해 교사의 발문유형에 대한 연구주제가 상대적으로 활발했음을 알 수 있었다. 국어, 수학, 과학 등 특정 교과에 집중된 질문 관련 연구 현황을 볼 때, 보다 다양한 교과에서의 질문 연구와 중고등학교 상황에서의 발문과 질문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교사의 발문 뿐만 아니라 학생의 질문에 대한 피드백 역시 질문의 한 영역으로 인식되고 연구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overall structure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research status on ‘question’ in the field of education. 204 papers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over the last five years, with the keyword of question as the subject of research,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keywords such as education , exploration , teacher , student question , elementary , and class were found to be high use in a frequency analysis. Intermediate , Korean textbook , student question , type of teacher inquiry , and question strategy were high in the median centrality. In Eigen Vector, teacher s guide , Nuri course , type of teacher inquiry , elementary , and teacher education were highly ranked. The community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by not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s inquiry and student questions. As a result of analyzing key words with high mediation, proximity, and Eigen Vector centrality among the top 10 key words, elementary and type of teacher inquiry were found to be common among the three centrality items. When looking at research status focused on primary education and specific subjects (language, mathematics, and science),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question process of various subjects and to be interested in questions that can increase creativity and interact with learners in middle and high schools. Also,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not only the teacher s inquiry but also the feedback on the student s questions is important. As revealed in the study, ‘question’ is an effective tool that can develop the students high-level thinking, so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tudy at various levels and though more fields in the future.

      • 암브로시우스 찬미가의 기원과 특징

        김기태(Kim Kitae)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12 누리와 말씀 Vol.- No.31

        암브로시우스는 당시 직면한 두 가지 현실적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서 찬미가를 지었다. 우선 아리우스파에 대항하여 정통 삼위일체 신앙을 수호하기 위한 교의적 동기가 있다. 여기에 찬미가를 신앙교육의 탁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전례 안에서 활용하려는 암브로시우스의 의도가 조화를 이룬다. 암브로시우스 찬미가의 주제에서 이미 전례(성무일도)안에 쉽게 편입시키려는 목적성이 잘 나타난다. 암브로시우스의 친저성을 인정받고 있는 14편의 찬미가는 성무일도 매일 거행의 세 가지 큰 범주에 따라서 구분될 수 있다: 1) 아침기도, 저녁기도와 소시간경, 2) 성탄과 부활 대축일, 3) 성인과 순교자들의 기념. 이운율 단장격(dimetrus giambicus)의 운율과 고정된 형식(8연-4행-8음절)외에도 암브로시우스 찬미가는 내용과 문장 구성에 있어서 치밀한 대칭 구조를 그 특징으로 삼는다. 또한 총 8개의 연으로 구성된 찬미가는 일반적으로 두개의 연이 주제적인 통일성을 이루며 도입(1-2연)-전개(3-6연)-결말(7-8연)의삼중 구조를 띤다. 어떤 경우에는 넷째 연의 마지막 행이나 다섯 째 연의 첫행은 주제적인 전환이나 찬미가의 중심 내용에 대한 환기의 역할을 함으로써 이중 구조를 취하기도 한다. 찬미가 Aeterne rerum conditor에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이 잘 나타나는데, 찬미가의 후반부(5-8연)의 첫 행은 그리스도의 구원업적에 대한 하느님의 백성의 응답을 독려하는 공동체적 권고의 말로써 전반부(1-4연)의 어조를 전환시킴과 동시에 후반부(5-8연)의 시작을 연다. 찬미가의 대칭구조는 찬미가를 교창방식으로 노래하기에 쉽게 해준다. 암브로시우스 찬미가의 내용에 있어서도 몇 가지 특징적인 요소를 발견할 수 있다:1) 찬미의 대상인 하느님을 호명하는 인상적인 도입구(Aeterne rerum conditor), 2) 전례기도로서 찬미가의 성격을 강화시키는 공동체 기원과 찬미, 3) 찬미가의 기도시간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이나 암시. 이 밖에도 암브로시우스는 자신의 찬미가에 풍부한 상징과 표상들을 사용함으로써 신자들이 큰 어려움 없이 신학적-교의적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스도교 라틴 찬미가의 역사 안에서 암브로시우스의 독창성은 간결한 형식과 이해하기 쉬운 시적 표현 안에 사목적-교의적 요구를 조화시킨 탁월한 전례 찬미가를 창조하였다는 데에 있다. Gli inni di Ambrogio sono stati composti in carattere liturgico e dogmatico per rispondere alle due esigenze del tempo che Ambrogio doveva affrontare: 1) l’istruzione dei fedeli per la professione di una fede trinitaria ortodossa contro gli Ariani; 2) la massima diffusione degli inni in funzione liturgica. A differenza di quelli di Ilario, gli inni autentici di Ambrogio mostrano, per i loro argomenti, che sono stati concepiti per inserirsi facilmente nella preghiera liturgica. Quattordici inni considerati oggi autentici, infatti, possono essere raggruppati secondo le categorie delle occasioni liturgiche in tre: a) gli inni per le principali ore dell’ufficio quotidiano come mattutino, terza e vespro; b) quelli per le feste maggiori come Natale e Pasqua; c) quelli per la celebrazione dei santi e martiri. Oltre alla forma costante di 8 strofe con quattro versi composta in dimetri giambici, gli inni di Ambrogio ha una tendenza a costruire simmetricamente la struttura: le strofe sono raggruppate spesso tematicamente ad ogni due formando l’introduzione, lo sviluppo del tema e la conclusione. Nello stesso modo l’inno potrebbe essere diviso in due parti (ss. 1-4 e ss. 5-8), nel caso che l’ultimo verso della quarta strofa o il primo verso della quinta strofa rappresentasse una svolta o una dichiarazione centrale dell’inno. Per un esempio, nell’inno Aeterne rerum conditor, la seconda parte(ss.5-8) comincia con l’esortazione «surgamus ergo strenue»(v.17), che è la risposta spontanea della comunità al richiamo di Dio, così cambiando il tono della prima parte dell’inno. Questa struttura simmetrica permette ai fedeli di seguire facilmente il canto svolto in modo alternato e di comprendere l’andamento del pensiero. Dall’esame della struttura emergono anche alcuni elementi costitutivi: 1) una formula introduttiva di carattere dossologico (cfr. Aeterne rerum conditor, Deus creator omnium, Splendor paterne gloriae etc); 2) l’elemento eucologico prevalso sia sotto la forma della rogazione diretta, sia sotto la forma più in diretta dell’invocazione e dell’augurio; 3) il preciso richiamo cronologico al momento incui l’inno veniva cantato. Inoltre, Ambrogio utilizza molto il simbolismo e le immagini ben chiare in modo che i fedeli possono comprendere senza difficoltà i contenuti teologici e dogmatici evitando gli argomenti troppo astratti. La genialità di Ambrogio consiste tuttavia nel aver saputo conciliare, nella forma semplice e agevolmente memorizzabile di una strofa composta di quattro dimetri giambici, le esigenze pastorali di una innografia veramente liturgica.

      • AHP 기법을 이용한 비알콜성 지방간에 인진호탕(茵蔯蒿湯) 선택과정 분석

        김기태 ( Kitae Kim ),고흥 ( Heung Ko ),신선미 ( Seonmi Shin ) 대한한의진단학회 2015 大韓韓醫診斷學會誌 Vol.19 No.3

        Abstract Objectives: Lately, non alcoholic fatty liver patients are increasing rapidly and the average age of patients are getting younger. Non alcoholic fatty liver often represents asymptomatic and korean pattern diagnosis is difficult to implement without symptom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interrelationship between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and Injinho-tang. Methods The AHP is a systematic procedure for analyzing the elements of any problem hierarchically. Based on survey of expertise, as series of pairwise comparison judgements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various elements in the hierarchy. We are expected to use the AHP analysis that would apply to oriental doctor`s diagnostic process analysis. Results and conclusi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uced complex cause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jinho-tang has been widely used disease that causes jaundice and liver biliary disease. According to AHP analysis, LFT is the most important facor in choosing Injinho-tang on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BMI and body composition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re the next important factors. Personal hot temper also gives a big impact on choicing Injinho-tang on non 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 KCI등재

        결함 있는 안전성 증명을 갖는 수신자 지정 서명기법들에 대한 정확한 안전성분석

        김기태(KiTae Kim),양대헌(DaeHun Nyang),이경희(KyungHee Lee) 한국정보보호학회 2010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0 No.5

        수신자 지정 서명은 서명자가 지정된 검증자에게 서명의 유효성을 증명할 수 있도록 하는 서명기법이다. 한편 그 지정된 검증자는 제삼자에게 서명문서의 소스 즉 두 가능한 서명자들 중에서 누구에 의한 서명인지를 확인시킬 수 없다. 일반적인 전자서명과 달리, 수신자 지정 서명은 서명자가 지정된 수신자를 제외한 누구에게든 자신의 서명을 부인할 수도 있다. 그동안 제안된 몇몇 기법들 중에서, 최근 Zhang등의 기법과 Kang등의 기법이 다양한 공격에 취약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본 논문에서, 위의 기법들이 저자들에 의해서 안전성 증명이 제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허용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를 밝히고, 더불어 Huang-Chou 기법과 Du-Wen 기법이 같은 문제를 갖는다는 사실을 보인다. 나아가 Huang-Chou의 기법에 대하여 실질적인 공격들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Du-Wen 기법은 안전성 증명과정에서 저자들이 위 기법들의 저자들과 동일한 오류를 범하였으나 그 오류를 수정하여 실제 증명가능한 안전성을 갖는 기법임을 보인다. Designated verifier signatures allow a signer to prove the validity of a signature to a specifically designated verifier. The designated verifier can be convinced but unable to prove the source of the message to a third party. Unlike conventional digital signatures, designated verifier signatures make it possible for a signer to repudiate his/her signature against anyone except the designated verifier. Recently, two designated verifier signature schemes, Zhang et al.'s scheme and Kang et al.'s scheme, have been shown to be insecure by concrete attacks. In this paper, we find the essential reason that the schemes open attacks while those were given with its security proofs, and show that Huang-Chou scheme and Du-Wen scheme have the same problem. Indeed, the security proofs of all the schemes reflect no message attackers only. Next, we show that Huang-Chou scheme is insecure by presenting universal forgery attack. Finally, we show that Du-Wen scheme is, indeed, secure by completing its defective security proof.

      • KCI등재

        천이 지연 고장 테스트를 위한 개선된 IEEE 1500 래퍼 셀 및 인터페이스 회로 설계

        김기태(Kitae Kim),이현빈(Hyunbean Yi),김진규(Jinkyu Kim),박성주(Sungju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07 電子工學會論文誌-SD (Semiconductor and devices) Vol.44 No.11

        SoC의 집적도와 동작 속도의 증가로 인하여 지연 고장 테스트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본 논문은 천이 지연 고장 테스트를 지원하는 개선된 IEEE 1500 래퍼 셀 구조와 IEEE 1149.1 TAP 제어기를 이용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를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을 제안 한다. 제안 하는 셀 구조는 한 번의 테스트 명령어를 이용하여 상승 지연 고장 테스트와 하강 지연 고장 테스트를 연속적으로 수행 할 수 기능을 유지하면서 기존의 셀 구조에 비하여 적은 면적 오버헤드를 가지며 테스트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른 클럭으로 동작하는 코어에 대한 테스트를 동시에 수행 할 수 있다. As the integration density and the operating speed of System on Chips (SoCs) become increasingly high, it is crucial to test delay defects on the SoCs. This paper introduces an enhanced IEEE 1500 wrapper cell architecture and IEEE 1149.1 TAP controller for the wrapper interface logic, and proposes a transition delay fault test method. The method proposed can detect slow-to-rise and slow-to-fall faults sequentially with low area overhead and short test time. and simultaneously test IEEE 1500 wrapped cores operating at different core clocks.

      • KCI등재

        인적자원관리와 조직 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인적자원관리 성과로서 종업원 태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태(Kitae Kim),조봉순(Bongsoon Cho) 한국인사조직학회 2008 인사조직연구 Vol.16 No.1

          본 연구는 인적자원관리가 조직의 성과와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인적자원관리의 결과로 나타나는 산출물을 인적자원관리의 대상인 조직구성원과 관련된 성과지표인 ‘인적자원관리 성과(HRM Outcome)’와 기업의 최종적인 성과지표인 ‘조직 성과(Organizational Outcome)’로 구분하고, 인적자원관리는 일차적으로 인적자원관리 성과에 직접 영향을 미치고, 인적자원관리 성과는 최종적으로 조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인 모형을 검정하기 위하여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2005년 실시한 인적자본 기업패널 조사결과와 한국신용평가의 재무자료를 활용하였으며, 299개 제조업의 9,783명의 응답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연구결과 인적자원관리 제도 중 선발관리의 엄격성, 평가방법의 다양성, 교육훈련에 대한 투자, 그리고 보상수준 및 인센티브는 인적자원관리 성과에 영향을 미치며, 인적자원관리 성과는 조직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Just a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practices and firm performance by HR scholars have been expanding for the past twenty years, major criticisms have been addressed on the following issues. First, the outcome of HRM practice was mostly evaluated by financial measure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practice and firm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without providing sufficient explanation on the process how or why both are related. This paper aims to answer the two criticisms. Its main purpose is thus two-fold. First, the study measures firm performance from the employees’ perspective along with the financial aspect. As HRM is a system or practice that directly affects the attitudes, behaviors, and performance of employees, it is logical to see how HRM has an impact o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that we call ‘HRM outcome’ in contrast to the ‘organizational outcome’ that captures the financial performance at the firm level. Second, the study provides and testsa model that delves into the black box of HR, i.e., the way HRM contributes to the firm performance. We suggest that HRM influences firm performance mediated by HRM outcome that is measured by employees’ positive work attitudes. In other words, this model explains that HRM directly affects attitudes and behaviors of employees that, in turn, have a subsequent impact on firm performance.<BR>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strategic human resource management, we draw several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RM practice and HRM outcome as follows;<BR>  H 1-1. HRM practice that provides job security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ositive attitudes.<BR>  H 1-2. Selectivity in recruiting and employee selection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ositive attitudes.<BR>  H 1-3. HRM practice that adopts diverse evaluation methods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ositive attitudes.<BR>  H 1-4. Investment in employee training and development i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ositive attitudes.<BR>  H 1-5. Amount of compensation and incentive are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ositive attitudes.<BR>  From the theories and ample evidence in the field of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O Psychology, we draw several hypothes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HRM outcome and organizational outcome as follows;<BR>  H 2-1.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employee turnover.<BR>  H 2-2. Employees’ positive attitudes are positively related with firm performance.<BR>  H 3. Employee turnover is negatively related with firm performance.<BR>  To test the above mentioned hypotheses, we used 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HCCP) data collected by the Korean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KRIVET) at 2005 and KISLINE data from the Korea Information Services(KIS). Company HRM practices and employee attitude data were selected from HCCP and firm performance data were from KISLINE. HCCP dataset consists of a corporate survey on corporation and business place and an employee survey on employees. Corporate survey includes external factors such as market and change of technology, management strategy, HRM, structure of manpower, and HRD. Employee survey includes participation in HRD of the management/production/service/core professional job, level of skillfulness, and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HCCP 2005 data were collected from 14,000 employees of 454 Korean corporations. Data on HRM practice were collected in 2004, and data on HRM Outcome and firm performance were collected in 2005.<BR>  To reduce any possible industry effect, we excluded companies of financial services and other services industry from the original dataset. Final sample is composed of 9,783 employees of 299 companies in manufacturing indus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