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네트워크 상의 종단 호스트에서의 실시간 데이터 처리 기법

        김경산(Kyung San Kim),성조(Sung J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1

        최근 네트워크의 전송 대역이 넓어지고 네트워크 전송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네트워크 통신의 실시간성을 만족하기 위한 요구사항 중 종단 호스트가 중요한 병목 지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종단 호스트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병목 현상은 사용자 공간과 커널 공간의 전환, 커널의 네트워크 모듈 처리, 네트워크 모듈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데이터의 전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중 첫 번째 병목지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커널과 사용자 공간 사이에 복사를 없애는 기법과, 세 번째 병목지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서 새로운 패킷 처리 구조를 제안 한다. 이를 통해 종단 호스트에서 데이터 처리 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실시간성을 지원하고, 부가적으로 시스템 리소스와 네트워크 대역사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시스템의 자원이 충분치 않은 임베디드 시스템에 적용 시 더 큰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병렬처리 시스템에 효율적인 영상처리 소프트웨어 모델

        김경산(Kyung-San Kim),성운(Sung-Wu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This paper present a Frame-Per-Processor (FPP) scheme. The proposed method allocates dedicated processors to each image frame for real time processin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thods, it requires less overhead to supply paralell computing platform and it does not require frequent modification of the code during the porting. Under the proposed scheme, unique processing mechanisms for image processing is implemented.

      • KCI등재

        제주도에서 재배되는 망고, 용과, 아떼모야의 주요 해충과 피해

        경산,양진영,박영미,소라,최활란,유동표,동순,Choi, Kyung San,Yang, Jin Young,Park, Young Mi,Kim, Sora,Choi, Hwalran,Lyu, Dongpyo,Kim, Dong-Soon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2 No.1

        제주도에서 열대과수로 망고(mango; Mangefera indica), 용과(dragon fruit; Hylocereus undatus), 아떼모야(atemoya; Annona cherimola ${\times}$ A. squamosa) 등이 주로 재배되고 있다. 2008년부터 2011년까지 이들 작물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와 피해를 조사하였다. 망고 해충 중 총채벌레, 진딧물, 깍지벌레, 나방류 피해가 많았다. 오이총채벌레(Thrips palmi)와 볼록총채벌레(Scirtothrips dorsalis)는 망고 전 재배기간에 걸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었다. 오이총채벌레는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볼록총채벌레는 잎과 과실을 심하게 가해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하였지만, 일부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es honmai.) 유충은 망고 과경지를 중심으로 과실표면에 서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과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은 신초에 피해를 주었고, 가루깍지벌레(Pseudococcus kraunhiae) 등 깍지벌레는 망고줄기와 과실에 많이 발생하였다. 용과는 개미와 목화진딧물(A. gossypii)에 의한 과실 피해와 담배거세미나방(Spodoptera litura) 유충은 줄기를 심하게 가해하였다. 아떼모야는 주로 나방류 해충인 담배거세미나방과 차잎말이나방(Homona magnanima) 피해가 심하였다. Tropical plants of mango(Mangefera indica), dragon fruit(Hylocereus undatus), and atemoya(Annona cherimola ${\times}$ A. squamosa) are cultivated in Jeju, Korea. A pest survey on those tropical fruits was conducted from 2008 to 2011. Major pests of Mango were thrips, aphid, mealybug, and lepidoptera species. Thrips palmi and Scirtothrips dorsalis were the most important pests in mango fields. T. palmi mainly injured the leaf but S. dorsalis injured the leaf and fruit. Lepidoptera mango pests injured leaves but some larva of Adoxophyes honmai injured fruit surface around the stem. Aphid pests, Aphis gossypii and Myzus persicae, injured the shoots and Pseudococcus kraunhiae occurred on the stem and fruit. Ant species, A. gossypii, and S. litura, were important pests on dragon fruit. Ants and aphid occurred and injured the stem, flower, and fruit. Spodoptera litura larva severely injured the stem. Among the atemoya pests, S. litura and Homona magnanima caused severe damage.

      • KCI등재

        제주도 올리브 과원에 발생하는 해충 종류

        경산,고상욱,오현석,효중,소라,안정준,Kyung San Choi,Sang-Wook Goh,Hyeonseok Oh,Hyojoong Kim,Sora Kim,Jeong Joon Ahn 한국응용곤충학회 202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62 No.2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제주도 올리브(olive, Olea europaea)에서 발생하는 해충을 조사한 결과, 총 15종의 해충이 확인되었다. 이중 나방류와 노린재류의 발생과 과실 피해가 매우 심했다. 나방류는 수수꽃다리명나방(Palpita nigropunctalis), 큰점애기잎말이나방(Aterpia circumfluxana), 차잎밀아나방(Homona magnanima), 차애모무늬잎말이나방(Adoxophyes honmai) 순으로 많이 발생하였다. 나방류 해충은 주로 잎을 가해했지만, 수수꽃다리명나방은 과실피해도 심하게 유발하였다. 노린재류로는 갈색날개노린재(Plautia stali), 썩덩나무노린재(Halyomorpha halys), 풀색노린재(Chinavia hilaris)가 주로 발생하여 과실 피해를 유발하였다. 깍지벌레류인 갈색깍지벌레(Chrysomphalus bifasciculatus)와 뽕나무깍지벌레(Pseudaulacaspis pentagona)는 무방제 시 과실에도 발생하여 피해를 주었다. 진딧물과 해충은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면충(신칭, Prociphilus oleae)만이 발생하였고, 갈색나무매미충(Ricania shantungensis)도 올리브에 처음 발생이 확인되었다. 국내 미기록종인 올리브철모깍지벌레(신칭, Saissetia olea)은 발견되었으나 방제후 더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이외 천공성 해충이 올리브에 심각한 피해를 유발하였으나, 종은 확인되지 않았다. Fifteen insect species have been identified as olive pests through a survey conducted in olive orchards on Jeju island from 2019 to 2022. The occurrence and fruit damage caused by Lepidopteran and hemipteran were significant severity. Among the moths, the order in which the population was large was as follows: Alpita nigropunctalis, Aterpia circumfluxana, Homona magnanima, and Adoxophyes honmai. These lepidopteran species primarily caused damage to leaves, but P. nigropunctalis inflicted severe damage to the fruits by feeding on the inside. Three stink bugs, namely Plautia stali, Halyomorpha halys, and Chinavia hilaris, were commonly observed and responsible for damaging olive furits. Chrysomphalus bifasciculatus and Pseudaulacaspis pentagona were found to occur and damaged fruit in non-controlled orchard. Prociphilus oleae, which is being recogniz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Ricania shantungensis discovered for the first timein olive orchard. Saissetia olea, a quarantine pest, was found in one farm, but subsequent pesticide spraying resulted in their elimination. Although severe damage was inflicted upon the olives, no perforated pests were found during the survey.

      • KCI등재

        NAND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 시스템 계층에서 프로그램의 페이지 참조 패턴을 고려한 캐싱 및 선반입 정책

        박상오,김경산,성조,Park, Sang-Oh,Kim, Kyung-San,Kim, Sung-Jo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14 No.4

        메인메모리와 저장장치사이의 속도차이에 대한 소프트웨어적 보완 기법으로서 캐싱 및 선반입 정책이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램의 페이지 참조 패턴을 고려하지 않은 리눅스 커널의 캐싱 및 선반입 정책을 개선하고자 NAND 플래시 메모리용 파일시스템 계층에서 동작하는 Flash Cache Core Module(FCCM)을 YAFFS 상에서 설계 및 구현하였다. FCCM은 커널의 안정성과 호환성을 지원하기위해 커널과 독립적인 구조를 가지며, 플래시 메모리의 특성을 고려한 Dirty-Last 메모리 교체 기법과 페이지의 히트 여부에 따른 선반입 페이지 대기큐를 구현하였다. FCCM은 리눅스의 캐시 및 선반입 정책과 비교해 I/O 횟수와 요구되는 선반입양이 각각 최대 55%(평균 20%) 및 최대 55%(평균 24%)까지 감소했다. Caching and prefetching policies have been used in most of computer systems to compensate speed differences between primary memory and secondary storage devic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Flash Cache Core Module(FCCM) on the YAFFS which operates on a file system layer for NAND flash memory. The FCCM is independent of the underlying kernel in order to support its stability and compatibility. Also, we implement the Dirty-Last memory replacement techniqu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flash memory, and the waiting queue for pages to be prefetched according to page hit. The FCCM reduced the number of I/Os and the amount of prefetched pages by maximum 55%(20% on average) and maximum 55%(24% on average), respectively, comparing with caching and prefetching policies of Linux.

      • KCI등재

        커널 레벨 RTP를 지원하는 확장 BSD 소켓 API

        최문선(Mun Seon Choi),김경산(Kyung San Kim),성조(Sung J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시스템 및 이론 Vol.33 No.5·6

        유무선 통신 기술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터넷 방송, VOD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가 일반화되고 있다. RTP는 인터넷상에서 실시간 멀티미디어 데이타를 전송하는데 적합하도록 IETF에서 제정한 프로토콜이다. RTP는 주로 라이브러리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되나, 라이브러리 형태로 사용되는 RTP는 성능 측면에서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한 프로토콜이 embeddedRTP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커널 레벨 RTP인 embeddedRTP를 기반으로 그 문제점을 보완하며, API를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서 널리 사용되는 BSD 소켓 API와 통합하고 그 성능을 개선한 ExtendedERTP를 제안한다. embeddedRTP의 API가 BSD 소켓 API에 통합되어 기존의 네트워크 스택이 RTP를 내장하게 되면, 사용자들은 별도의 RTP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필요 없이 익숙한 BSD 소켓 API 형태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실시간 데이타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또한 embeddedRTP에 비해 패킷 처리 속도를 15~20%가량 향상시키는 방안과 패킷 처리에 필요한 메모리 요구량을 기존의 3.5% 수준으로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Due to the evolution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and the Internet, multimedia services such as Internet broadcast and VOD have been prevalent recently. RTP is designed to be suitable for transmission of real-time multimedia data on the Internet by IETF. While a variety of applications have utilized different RTPs implemented as a library, embeddedRTP is RTP-based kernel-level protocol that resolved performance issues of this kind of RTPs. This paper proposes the ExtendedERTP protocol based on existing embeddedRTP. This new protocol resolves a couple of issues such as packet processing overhead and buffer requirement and combines its APIs with BSD socket APIs which have been widely utilized in network application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this integration makes it possible to transmit real-time multimedia data through the accustomed interface of BSD socket APIs with nominal extra overhead. This paper also proposes a scheme for improving packet processing time by 15~20% and another scheme for reducing memory requirement for packet processing to about 3.5%, comparing with those of embeddedRTP.

      • 확장성을 고려한 병렬처리 시스템 모델

        치열(Chi-Yeol Kim),성운(Sung-Un Kim),이승현(Seung-Hyen Lee),김경산(Kyung-San KIM) 대한전자공학회 2007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07 No.7

        This paper describes the Parrallel Processing System model and performance. The proposed Parallel Processing System will softly be able to change a system configuration after the system is develop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