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빅데이터를 통해 본 한국에서의 신카이 마코토에 대한 인기 요인 분석

        권희주 ( Heeju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통해 일본 애니메이션 감독 신카이 마코토(新海誠)의 한국에서의 인기 요인을 고찰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한국의 검색 상위 포털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간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과 빈도수, 중심성,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신카이 마코토는 빛, 자연을 활용한 영상미,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목소리 연기, 기존 대표작의 영향이 작품의 인기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제까지의 선행연구가 ‘신카이 마코토’의 개별 작품 분석에 중점을 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4년간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인기 요인을 분석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한국에서의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인식 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uccess factors of Japanese animation director Makoto Shinkai in Korea through big data. Data for the four years from 2017 to 2020 were collected on major Korean websites and analyzed for frequency, centrality and CONCOR. As a result, Makoto Shinkai’s work gained popularity for its light, natural beauty, streaming services like Netflix, and voice actors. Previous research has been to analyze Makoto Shinkai's work, but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popular factors from a macro perspective using big data for four years. Analyzing perceptions of Japanese animation in Korea remains a future research project.

      • 가열조리 시 애호박 함유 수용성 비타민 B<sub>1</sub> 및 B<sub>3</sub>의 함량 변이

        권희주 ( Heeju Kwon ),김기쁨 ( Gi-ppeum Kim ),주하은 ( Haeun Joo ),정주영 ( Juyoung Jeong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정명근 ( Myoung-gun Cho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애호박은 예로부터 우리 식단에 많이 올라 친숙한 채소이며, 찌개류와 전, 볶음, 무침 및 죽 등 쓰임새가 다양한 채소이나 수용성 비타민 B군에 대한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조리방법(원재료, 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및 microwave)으로 처리한 애 호박을 이용하여 비타민 B<sub>1</sub> 및 B<sub>3</sub> 함량을 HPLC-DAD법을 적용해 정량분석 하였고, 적용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분석성분의 이론단수 및 분리능을 검토한 결과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조리방법별 애호박 8종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B<sub>1</sub>의 경우 구웠을 때 0.075±0.002 mg/100 g으로 원재료(0.061±0.002 mg/100 g)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찌기(0.051±0.001 mg/100 g), 로스팅(0.051±0.001 mg/100 g) 및 microwave(0.051±0.002mg /100 g)가 가장 낮은 비타민 B<sub>1</sub>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애호박 삶기(0.057±0.001mg /100 g)와 볶기(0.055±0.000 mg/100 g) 두 조리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비타민 B<sub>3</sub>는 애호박 굽기 (12.471±0.001 mg/100 g), 볶기(12.063±0.001 mg/100 g) 및 microwave(8.483±0.002 mg/100 g)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애호박 원재료의 경우 5.546±0.00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삶았을때는 1.134±0.002 mg/100 g의 함량으로 확인되어 원재료 대비 약 5배 낮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애호박 튀기기(0.832±0.002 mg/100 g)의 경우, 가장 낮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보였던 굽기 조리법과 약 15 배 이상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 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빅데이터를 이용한 코로나 시대의 외국어 교육 이슈 분석

        권희주 ( Heeju K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로나 시대 외국어 교육과 관련해 어떠한 사회적인 현안과 이슈가 생성되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현 상황에 대한 이해와 시사점을 모색하였다. 한국의 검색 상위 포털을 대상으로 2020년 1월부터 2021년 6월까지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텍스트 마이닝과 빈도수, 중심성,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미디어 리터러시의 역량 강화, 에듀테크를 기반으로 한 수요자 중심의 콘텐츠 생산, 온라인 교육 생태계에서의 다차원적인 소통에 대한 요구가 주요 이슈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거시적인 관점에서 외국어 교육의 현안을 탐색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교육대상별, 교육기관별, 언어별 외국어 교육에 관한 인식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긴다. This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and its implications by examining what social issues and issues are being generated in relation to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using big data. Text mining, frequency, centrality,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by collecting data from January 2020 to June 2021 targeting the top search portals in Korea. As a result, the major issues were the reinforcement of media literacy capacity, the production of consumer-oriented content based on edutech, and the need for multi-dimensional communication in the online education ecosystem.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current issues and issue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from a macro perspective using big data. The cognitive analysi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by elementary, middle, high school, educational institution, and language is left for future research.

      • 김치류 함유 수용성비타민 B<sub>6</sub>의 함량 평가

        김기쁨 ( Gi-ppeum Kim ),권희주 ( Heeju Kwon ),주하은 ( Haeun Joo ),정주영 ( Juyoung Jeong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정명근 ( Myoung-gun Cho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한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먹을 수 있도록 독특한 보존 및 저장 방식을 사용한 김치는 우리 조 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음식 중 하나이며,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아울러 김치는 여러 종류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발효식품으로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 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sub>6</sub>의 경우 종류별 김치에 함유된 함량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 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 비 김치류중 10종을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변화를 HPLC-FL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FL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 하였다. 다소비 김치류 10종을 분석한 결과, 갓김치(0.076±0.001 mg/100 g)가 가장 높은 비타민 B<sub>6</sub>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각김치(0.073±0.001 mg/100 g), 깍두기(0.067±0.002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열무김치 및 백김치는 각각 0.048±0.000 mg/100 g 및 0.047±0.000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이소박이(0.035±0.000 mg/100 g) 및 파김치(0.037±0.001 mg/100 g)도 두 시료간 유의 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장 높은 비타민 B6를 함유한 갓김치에 비해 약 2배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나박김치(0.022±0.001 mg/100 g), 동치미(0.020±0.000 mg/100 g) 및 열무물김치(0.017±0.001 mg/100 g)와 같이 국물 위주의 김치들은 다른 김치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타민 B<sub>6</sub> 함량을 나타내었고, 열무물김치의 경우 열무김치보다 약 2.5배 이상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 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축산물 중 유기인계 농약Acephate, Methamidophos 및 Monocrotophos의 잔류분석법 개발

        정명근 ( Myoung-gun Choung ),주하은 ( Haeun Joo ),권희주 ( Heeju Kwon ),정주영 ( Juyoung Jeong ),김기쁨 ( Gi-ppeum Kim ),황영선 ( Young-sun Hwang ),이영득 ( Young Deuk Lee ),김정한 ( Jeong Han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stablish a simultaneous analytical method for 3 kinds organophosphorus pesticide in livestock products using GC-NPD/MS. All the pesticides residues were extracted with acetonitrile and/or acetone from representative samples of five livestock products which comprised beef, pork, chicken, egg and milk. The proteins in milk and egg were dispersed adding sodium oxalate, also the extract was removed non-polar co-extractives and lipids by n-hexane partition. The extract was finally purified by optimized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and NH2 cartridge. The analytes were separated and quantitated by GLC with NPD using a DB-17 capillary column. Accuracy and precision of the proposed method was validated by the recovery experiment from 5 kinds livestock product samples fortified with acephate, methamidophos and monocrotophos at 3 concentration levels in each triplication. Mean recoveries ranged from 71.9 to 113.2% in every fortification levels and compounds.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all less than 10%, irrespective of fortification levels. Limit of quantitation(LOQ) of the all analytes were 0.005 mg/kg as verified by the recovery experiment. A confirmatory technique using GC/MS with selected-ion monitoring was also provided to clearly identify the suspected residues. Therefore, this analytical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determine the residues of acephate, methamidophos and monocrotophos in livestock products.

      • HPLC-UVD/MS를 이용한 농산물 중 Oxycarboxin의 잔류분석

        정명근 ( Myoung-gun Choung ),주하은 ( Haeun Joo ),권희주 ( Heeju Kwon ),정주영 ( Juyoung Jeong ),김기쁨 ( Gi-ppeum Kim ),황영선 ( Young-sun Hwang ),이영득 ( Young Deuk Lee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Oxycarboxin(5,6-dihydro-2-methyl-N-phenyl-1,4-oxathiin-3-carboxamide-4,4-dioxide) as oxanthiin fungicide is a systemic fungicide commonly used as a seed treatment to control various fungi that cause seed and seeding diseases in agronomic and horticultural crops. An analytical method was developed using HPLC-UVD/MS to precisely determine the residue of oxycarboxin. The oxycarboxin residue was extracted with acetone from representative samples of five raw products which comprised hulled rice, soybean, Kimchi cabbage, green pepper, and apple. The extract was diluted with saline water, and dichloromethane partition was followed to recover oxycarboxin from the aqueous phase. Florisil column chromatography was additionally employed for final purification of the extract. Oxycarboxin was separated and quantitated by HPLC with UVD using a Zorbax SB-AQ C<sub>18</sub> column. Accuracy of the proposed method was validated by the recovery from crop samples fortified with oxycarboxin at 3 levels per crop in each triplication. Mean recoveries ranged from 78.3% to 96.1% in five representative agricultural commodities. The coefficients of variation were less than 10%. Limit of quantitation of oxycarboxin was 0.04 mg/kg as verified by the recovery experiment. A confirmatory technique using LC/MS with selected-ion monitoring was also provided to clearly identify the suspected residue. Therefore, this analytical method was reproducible and sensitive enough to determine the residue of oxycarboxin in agricultural commodities.

      • 가열조리 시 버섯류 함유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 변화

        김기쁨 ( Gi-ppeum Kim ),안경근 ( Kyung-geun Ahn ),강련웅 ( Ryeon-woong Kang ),권희주 ( Heeju Kwon ),김명현 ( Myunghyun Kim ),황혜지 ( Hyeji Hwang ),주하은 ( Haeun Joo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김행란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버섯은 특유한 향과 쫄깃한 맛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식품이다. 특히 버섯은 채식식단에서 결핍되기 쉬운 비타민 B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식품이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6의 경우 버섯에 함유된 함량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비 버섯류 중 일부를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변화를 HPLC-FL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FL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하였다. 버섯류 중표고버섯을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기둥(0.023±0.000 mg/100 g)부위가 갓(0.017±0.001 mg/100 g)부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표고버섯 기둥 부위를 데쳤을 시, 0.015 0.001 mg/100 g으로 함량이 감소하였고, 갓 부위를 데쳤을 시에는 0.018±0.000 mg/100 g 으로 생것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둥 및 갓 부분 모두 말렸을 시, 생것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새송이버섯은 0.007±0.000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팽이 및 양송이버섯에서는 비타민 B6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가열조리 시 닭고기 부위별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 변화

        김기쁨 ( Gi-ppeum Kim ),안경근 ( Kyung-geun Ahn ),강련웅 ( Ryeon-woong Kang ),권희주 ( Heeju Kwon ),김명현 ( Myunghyun Kim ),황혜지 ( Hyeji Hwang ),주하은 ( Haeun Joo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김행란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최근, 닭고기 부분육의 공급으로 개인의 취향이나 필요에 따라 닭고기 부위별 섭취가 늘어나고 있으며, 닭고기 부위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성분 함량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비 닭고기 부위 중 일부 부위를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변화를 HPLC-DA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DA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하였다. 국내 다소비 닭고기 부위 중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을 평가한 결과, 닭 모래주머니가 1.602±0.018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판토텐산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리 (1.154± 0.024 mg/100 g), 넓적다리(1.076±0.002 mg/100 g), 날개(0.943±0.007 mg/100 g) 및 가슴살(0.801±0.018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닭다리의 경우, 삶았을 때 1.365± 0.013 mg/100 g으로 생것보다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다리를 제외한 기타 부위에서는 삶았을 때, 생것보다 함량이 낮아진 양상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넓적다리, 날개 및 다리의 경우, 생것보다 구웠을 때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으나, 가슴살 및 모래주머니의 경우에는 함량이 낮아지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는 양상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의 제작뿐만 아니라 관련 임상, 단체급식, 식품개발 및 영양교육 등 식품 및 인체 영양 분야의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소셜 데이터를 이용한 일본 추리소설의 소비양상 분석

        권희주 ( Kwon¸ Hee-ju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2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68

        이 연구는 소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일본추리소설의 소비양상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17-2019년 최근 3년간의 ‘일본추리소설’ 관련 소셜 데이터를 텍스톰 프로그램을 이용해 수집, 텍스트 마이닝을 하였다. 분석은 UCINET 6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키워드 빈도수 분석, 연결중심성과 위세중심성, CONCOR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빈도수 100위 안의 키워드에는 특정 작가와 작품명이 랭크되었다. 이는 일본추리소설이 특정 작가와 작품에 한정되어 인기가 유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위세중심성이나 TF-IDF 분석을 통해 ‘히가시노 게이고’와 그의 작품이 일본추리소설 소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 일본추리소설 인기로 인한 원작의 미디어믹스 현상을 볼 수 있었다. 즉 원작의 인기로 주목을 모았지만 그것을 다시금 새로운 작품으로 탄생시킨 국내 관계자의 힘도 상당히 컸다고 할 수 있다. 향후 미디어믹스 현상은 더욱 가속화되겠지만 창의적인 작품의 확보가 동반되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consumption factors of Japanese mystery novels by analyzing social data. The social data of Japanese mystery novels for the last three years from 2017-2019 was collected using the textom. For the analysis, keyword frequency analysis, Degree centrality, Eigenvector centrality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UCINET 6.0. As a result of the study, specific authors and work names were ranked in the keywords in the top 100 frequency. This suggests that Japanese mystery novels are limited to specific authors and works and remain popular. In particular, it was confirmed that “Higashino” and his work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onsumption of Japanese mystery novels through the prestige centering and TF-IDF analysis. Also, I could see the media mix phenomenon of the original work due to the popularity of Japanese mystery novels. In other words, the popularity of the original work attracted attention, but it can be said that the strength of the domestic officials who brought it back into a new work was also quite strong. The media mix phenomenon will accelerate further in the future, but it must be accompanied by securing creative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