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의 에코페미니즘 : 도가 에코페미니즘을 중심으로

        권정임(Jeong-Im, Kwon)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마르크스주의 연구) 2024 마르크스주의 연구 Vol.21 No.2

        이 글에서는 도가 에코페미니즘에 대해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도가 에코페미니즘은 여성을 비롯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지배 및 생태파괴와 단절하고자 하는 서구 에코페미니즘의 대의에 공감하면서, 도가사상에 내재하는 생태 친화적 요소에 기반하여 도가사상을 에코페미니즘으로 재구성한 사조다. 그런데 도가 사상은 도(道)로 상징되는 형이상학적 실체를 상정한다는 측면에서 이 실체를 수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수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갖는다. 나아가 서구의 에코페미니즘을 문화적 에코페미니즘이라는 한 유형의 에코페미니즘 중심으로 이해하고 무비판적으로 수용함으로써, 본질주의와 환원주의로 대변되는 문화적 에코페미니즘의 오류를 답습한다. 도가 에코페미니즘, 나아가 문화적 에코페미니즘을 비롯한 서구 에코페미니즘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이 글에서는 마르크스의 이론에 기초하여 에코페미니즘을 재구성할 필요를 제기한다. This article critically studies Taoist ecofeminism. Taoist ecofeminism sympathizes with Western ecofeminism, which seeks to break away from domination of the socially vulnerable, including women, and ecological destruction. Against the background of this sympathy, Taoist ecofeminism reorganizes Taoist thought into ecofeminism based on the eco-friendly elements inherent in Taoist thought. However, Taoist thought assumes a metaphysical entity symbolized by Tao.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people who do not accept this reality to accept Taoist ecofeminism. Furthermore, Taoist ecofeminism understands and uncritically accepts Western ecofeminism as a type of ecofeminism called cultural ecofeminism. Because of this, Taoist ecofeminism also follows the errors of cultural ecofeminism, which are represented by essentialism and reductionism.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aoist ecofeminism, including Western ecofeminism, this article raises the need to reconstruct ecofeminism based on Marx’s theory.

      • KCI등재

        칸트 미 규정에 대한 헤겔의 수용과 비판: 취미판단의 네 계기를 중심으로

        권정임 ( Jeong-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21 美學·藝術學硏究 Vol.64 No.-

        본 연구는 칸트와 헤겔의 미 규정의 출발점과 특성, 그 의미들을 살펴보고, 양자의 차이와 공통점을 분석하여 헤겔 사유에서 고찰되는 칸트 사유의 발전과 확장을 논한다. 이는 형식주의와 내용주의 등 상이한 점만 부각되었던 칸트와 헤겔 미학의 연관성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할 것이다. 칸트와 헤겔의 사유와 미 규정은 상이하지만, 당대 철학의 과제였던 바인 주관과 객관, 보편과 특수, 이성과 감성 등 대립적 사태들의 통합 가능성과 그 원리를 찾으려는 시도의 연장선에서 미를 규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헤겔은 칸트 미 규정의 주관성과 추상성을 비판하였지만,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따른 미의 특성(무관심성, 보편성, 무목적적 합목적성, 필연성)을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자신의 예술미 규정에 수용하여 발전시킨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칸트의 취미판단 및 미규정의 맥락과 규정 근거들을 고찰하고, 미의 인식론적, 도덕적 의미들을 논한다. 이어 칸트 사유에 대한 헤겔의 비판과 그의 미 규정, 그리고 헤겔이 취미판단의 네 계기에 대한 고유한 해석을 통해 칸트 미 규정을 긍정적으로 수용하여 발전시킨 점들을 분석하고, 양자에게서 보이는 미 고찰의 의미를 조명한다. 칸트와 헤겔이 보여주는 미 고찰은 양자의 이론철학적 및 실천철학적 함의를 보여준다는 점, 그리고 대상과 주관의 ‘자유로운 상태’에서의 대상과 자기인식, 진리 직관 및 진리 생성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에서 오늘날에도 많은 의미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the starting point,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I. Kant’s and G. W. F. Hegel’s definitions of beauty. Also discussed are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Kant’s thought in Hegel's discussion by analyzing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both philosop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new understanding of the association between Kant’s and Hegel’s aesthetics, which are mostly interpreted from the view of the opposition of formalism and contents centered on thoughts. Although Kant’s and Hegel’s philosophical thought and definitions of beauty are different, there is certainly the same point in how they define beauty in the contexts of an attempt to find the possibility of unifying opposite situations such as object and subject, universal and particular, and reason and sensibility. Furthermore, Hegel criticized the subjectivity and abstractness of Kant’s definition of beauty, while we can see that Hegel actively interpreted the characteristics of beauty according to four moments of Kant’s judgement on taste. He accepted and developed it in his definition of beauty of art. The meaning of the contemplation of beauty that Kant and Hegel showed is important even today in that it implicates the issue of Kant’s and Hegel’s theoretical and practical philosophy and enables the recognitions of objects and oneself, the intuition, and the production of truth in the free state of being of objects and subjects.

      • KCI등재
      • 컴퓨터활용교육 2, 4 : 미래 정보화 사회의 인터넷 역기능 분류에 관한 연구

        권정인 ( Jung In Kwon ),이성철 ( Seong Chul Lee ),안성진 ( Seong 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2

        정보화 사회의 문제점은 이제 단순한 생활의 불편함이 아닌 사회적 병폐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혼란스러움 역시 정보화 사회의 발전만큼이나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기존의 많은 연구는 정보화 사회의 역기능에 따른 문제점과 예방책을 내놓았으나 대부분의 연구는 특정분야와 대상을 상대로 한 문제점이나 예방책에 국한되어 있어 전체로 일반화하기는 어려웠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발생한 인터넷 역기능의 피해 사례를 사회적 현상분석이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여 인터넷 중독, 유해매체, 사이버폭력, 정보침해, 사이버범죄, 판단저해 등으로 그 영역을 나누고 각각의 영역에 따른 분류체계의 표준화 모델을 만들었다. 이러한 역기능의 표준화 모델은 정보화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역기능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역기능의 문제점까지 포괄적으로 수용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역기능의 피해를 미연에 방지 혹은 예방할 수 있는 사회적 제도 또는 교육방안을 제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헤겔 사유를 기초로 한 문화적 통일의 방향

        권정임 ( Jeong Im K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6 美學·藝術學硏究 Vol.47 No.-

        본 연구는 통일과 교육에 관한 헤겔의 사유에서 논의의 실마리를 찾아 남북한 통일의 실현과 연관하여 우리가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 것이며, 앞으로 해나가야 할 바가 무엇인지 고찰한다. 이를 위해 먼저, 헤겔이 베른 시기(1793-96)과 프랑크푸르트 시기(1797-1800)에 철학과 종교의 실정성을 비판하며 삶의 영역에서 이분되고 대립된 상태들을 통합하고 통일하는 원리로 논한 미와 사랑 개념을 통해 ‘통일’에 관한 헤겔의 사유를 살펴본다. 그리고 이를 토대로 예나 『정신현상학』(1806)에서 발전시킨 ‘상호인정’의 의미를 파악하여 우리가 추구해야 할 남북 ‘통일’의 의미와 필요성을 성찰하고, 이를 수행할 수 있는 틀로서 헤겔이 규정한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문화적 통일’의 의미와 방향을 살펴본다. 헤겔이 의미하는 ‘이론적 교육’과 ‘형식적 교육’은 ‘보편적 관점(allgemeiner Standpunkt)’에서 사태를 보게 하여 자신의 한정된 인식의 지평을 넓히게 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이 추구하는 ‘형식적 보편성’은 내용을 규정하는 범주가 아니라 ‘사유의 형식’, ‘관점의 보편성’을 말한다. 이러한 “보편적인 것의 형식”을 헤겔은 주체이면서도 특수자인 개별자에게 보유되어 있다고 보았으며, 특수자가 보편자로 고양 혹은 발전하는 가능성이라고 생각했다. 따라서 형식적 보편성을 획득하는 것은 근대 필수적인 ‘형식적 교육’이 추구하는 바로서, 한정적 개인이 가지는 편협한 의식과 사고방식을 확장하고 하나의 공동체 속에서 타자와 함께 삶을 영위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 된다. 형식적 교육의 내용은 인간의 삶과 정신적 활동의 산물들로서의 문화 일반이며, 예술, 종교, 철학 모두가 형식적 교육의 계기가 된다. 특정한 내용을 유일한 진리나 유일한 가치로 제공하기보다는 다양한 가능성들을 제시하며 비판적 사유와 성찰을 통해 보편적 관점을 획득하게 하는 이론적 및 형식적 교육은 통합 속에서도 독립성을 유지하는 ‘상호인정’을 바탕으로 한 남북의 참다운 통일을 실현하는 데 있어 선행적 과정으로의 문화적 통일의 중요한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화적 통일이 궁극적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으로 미래적이며 열린 민족공동체 형성을 상정하고, 최근 연구들에서 제안되고 있는 ‘상호문화주의’에 기초한 통합적 공동체에서 그 모델을 찾는다.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동체는 이질적 문화의 다양성 혹은 복합성만을 주장하는 다원주의나 복합문화주의와 달리 다양성과 차이를 인정하면서도 공통성과 통합성을 추구해나가는 특성을 갖는다. 그러한 이유에서 본 연구는 이러한 성격의 통합공동체가 헤겔이 미와 사랑, 상호인정에서 논한 참된 합일의 성격에 부합하다고 보며, 무엇보다 타자적인 것에 대한 개방성과 상호작용의 과정을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상호문화주의적 통합공통체 형식을 문화적 통일이 지향해야 할 방향으로 고찰한다.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ie notige Einstellung und die weitere Aufgabe fur die Verwirklichung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untersucht. Der Ansatzpunkt der Uberlegung wird aus Hegels Gedanken uber die Vereinigung und Bildung entnommen. Dabei werden zunachst Hegels fruhe Gedanken uber die Schonheit und die Liebe als das Prinzip der Vereinigung der Entgegengesetzten im Leben betrachtet. Anschliessend daran wird die Bedeutung der gegenseitigen Anerkennung in d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aufgefasst. Durch diese Begriffe werden der Sinn und die Notwendigkeit der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reflektiert. Danach werden als die Grundlage der Verwirklichung dieser Vereinigung die Zuge der theoretischen und der formellen Bildung analysiert, die auf die Bedeutung sowie die Richtung der kulurellen Vereiningung hinweisen. In Hegels theoretischer und formeller Bildung geht es darum, den allgemeinen Standpunkt zu erreichen und die beschramkte Erkenntnis zu erweiteren. So ist die formelle Bildung eine Bildung zur ‘Allgemeinheit’, die aber nur formell und ‘dle Form des Denkens’ ist. Da die formelle Bildung in der Moderne statt der absoluten Wahrheit die verschiedenen moglichen Formen des Lebens bzw. Kulturen vorschlagt und durch das kritische Denken und die Reflexion auf der Basis des allgemeinen Standpunkts die einer vereinigten Gemeinde notige gegenseitige Anerkennung ermoglicht, gilt sie als die Grundlage der kulturellen Vereinigung, die der politischen Vereinigung vorausgehen sollte. In der vorliegenden Studie wird als eine vereinigte Gemeinde, die durch die formelle kulturelle Bildung zu verwirklichen ist, die zukunftige offene Volksgemeinde vorgeschlagen. Das Vorbild dafur findet sich in der Form ein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iese Gemeinde sucht nach der Gemeinsamkeit und Vereinigung mit dem Anderen, indem sie die Differenzen und Eigenheiten der anderen Kulturen anerkennt. Sie unterscheidet sich durch diesen Charakter von dem Pluralismus sowie Multikulturalismus, die nur die Mannigfaligkeit und das Zusammensein fur wichtig halten. In der vorliegenden Studie werden daher behauptet, dass die Form der interkulturalistischen Vereinigungsgemeinde der Hegelschen Konzeption der wahren Vereinigung, der die gegenseitige Anerkennung zugrunde liegt, nahe steht, und dass sie im Blick auf ihre Offenheit fur das Andere und auf ihre Betonung des Prozesses der Interaktion zwischen den verschiedenen Kulturen als die Richtung fur unsere kulturelle Vereinigung von Sud- und Nordkorea geltend ist.

      • KCI등재

        공유의 분배정의와 보편복지의 새로운 체제: 마이드너의 임노동자 기금안에 대한 비판과 변형

        권정임(Kwon, Jeong-Im),강남훈(Kang, Nam Hoon)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3

        This paper critically studies Meidner s wage-earner funds project. On the basis of this, this paper intends to create new prospects for a universal welfare regim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welfare system, the funds project is a correction or supplement of the Swedish welfare system of the Swedish model centered on ‘redistribution’. However, the funds project shares the ideology of Swedish model and its fundamental premise, I.e. guild socialism and labor-centrism. This paper discusses the limitations of the funds project resulting from this, especially with regard to its three purposes: equalization of property distribution, economic democracy and the correction of excess profit. It then highlights that the alternativ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unds project and the Swedish universal welfare system should be based on a new ideology and fundamental premise that is cut off from guild socialism and labor centrism. As an alternative fulfilling this, this paper focuses on theories that suggest that the Common Wealth Fund should be created and basic income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dividends as its dividend. As a result, Commons Capital Stock and the basic income as its dividend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prospects for the funds project. 이 글에서는 마이드너(Meidner)의 임노동자 기금안을 비판적으로 연구한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보편적 복지체제를 위한 새로운 전망을 창출하고자 한다. 복지체제의 관점에서 기금안은 ‘재분배’를 중심으로 하는 스웨덴 모형의 보편복지체제에 대한 시정 또는 보완이다. 그런데 기금안은 길드 사회주의라는 이념 및 그 근본전제, 곧 노동중심주의를 스웨덴 모델과 공유한다. 이 글에서는 이로 인한 기금안의 한계를, 특히 기금안이 추구하는 세 목적, 즉 재산분배의 균등화, 경제 민주주의 및 초과이윤의 회수와 관련하여 논의한다. 이어서 기금안의 한계, 나아가 스웨덴 보편복지체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안이, 길드 사회주의 및 노동중심주의와 단절되는 새로운 이념과 근본전제에 기초해야 함을 부각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요건을 갖춘 대안으로 공유부 기금을 조성하고 그에 대한 배당의 형태로 기본소득을 실시할 것을 제안하는 이론들에 주목한다. 특히 ‘기금안’에 대한 대안적 전망을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이 글에서는 미드, 바루파키스, 라이트의 이론을 비판적으로 연구하여, 공유부 기금의 독립적인 한 부분으로 공유 주식자본 및 이에 기초하는 기본소득을 기금안에 대한 대안적 전망으로 제시한다.

      • KCI등재

        컴퓨터교과교육 :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 기반의 정보통신 윤리교육 교수-학습과정 연구

        권정인 ( Jung In Kwon ),안성진 ( Seong Jin Ahn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6 No.3

        인터넷 역기능 문제의 심각성이 더해 갈수록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필요성을 우리 모두 실감하고 있지만 체계화된 교수-학습의 방법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다. 이 논문은 초등학교 실과교과서의 ‘사이버 공간의 특성과 윤리 단원’ 중 정보통신 윤리 영역의 교수-학습 과정으로 Alex Osborn과 Sidney Parnes의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의 6단계 모형을 활용함으로써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험방법은 초등학교 5학년 학생 54명을 두 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후 교수-학습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창의적 문제해결과정을 활용한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윤리의식이 통제집단에 비해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기존의 정보통신 윤리교육의 교수-학습 과정의 한계에서 벗어나 윤리문제의 해결 과정에 초점을 두어 학습자의 인지구조의 변화를 유도하는 체계적인 접근방법에 하나로 자리 잡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It is not easy to find out well organiz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ology as the adverse effects of the internet have made a lot of problems because we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cyber ethic education. In this paper, I suggest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of the information/cyber ethic education as applying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of the six-step model proposed by A. Osborn and S. Parnes. We divided fifth grade 5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to two groups,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conducted the the teaching and learning experimental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conducted education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information ethics education using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got a better result compared to the other group. It must be one of the systematic approach to lead changes of learners`; recognition, focusing on the ethics problem-solving process.

      • KCI등재

        러시아 풍경화 - 쉐드린에서 레비탄까지 : 풍경의 역사, 토포스, 내면, 정치사회학, 시선

        권정임(Kwon Jyoung Im)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노어노문학 Vol.21 No.1

        본고는 18세기 후반 - 19세기 후반에 이르는 약 백 년간의 러시아 풍경화에 대한 글이다. 서구 풍경화와 맥을 같이하지만 자국의 고유한 특성을 배태한 러시아 풍경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러시아 풍경화의 역사, 토포스, 내면, 정치사회학, 시선이라는 5개의 범주를 정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러시아 미술에서 풍경은 중세 이콘화의 일부로 처음 등장했으나 그 역할은 미미했다. 18세기 후반 페테르부르그를 그 주요 토포스로 삼은 베두타 풍경화로 정식 출발하게 되는 러시아 풍경화는 실베스트르 쉐드린의 로마와 소렌토를 토포스로 하는 이탈리아 풍경화, 이어서 등장하는 19세기 초중반 스위스를 비롯한 이국적 장소를 토포스로 하는 아카데미 화파, 그리고 19세기 후반 모국 러시아를 토포스로 하는 사실주의 화파의 시대로 이어진다. 각각의 시대는 그 시대를 증거하는 시각과 사회정치학을 지니게 된다. 베두타 화가들의 시대는 ‘지도적 시선’과 ‘제3로마로서의 페테르부르그’의 형상을 담아내고자 했으며, 베네치아노프 화파는 고국 러시아의 자연을 아름답고 조화로운 무갈등의 사회구조 속에서 보여주고 있으며, 아카데미 화파는 이국적 자연의 아름다움을 포착하기 위한 ‘만화경적 시선’과 여행가적 취미를 선보이고 있다. 한편 19세기 후반 등장하는 사실주의 화파는 러시아 자연에 대한 ‘과학적 시선’으로 출발하여 종국에는 ‘철학적 시선’으로의 도약을 보여주고 있으며, ‘국가정체성’을 정립하는 자연풍광들이 등장함으로써 러시아 풍경화는 자신의 풍경을 획득하게 됨도 알 수 있다. 풍경이 지니는 내면적 변화 역시 시대적 흐름을 쫓아간다. 베두타 화가들이 그린 러시아 제국의 젊은 수도에는 이들 화가들이 쏟아 붓고 있는 내밀한 애정과 관심을 ‘서정적 모두스’로 읽어낼 수 있으며, 아카데미파 화가들의 그림같이 아름다운 풍경들에서는 ‘풍려적 모두스’를, 그리고 사실주의 화가들에 이르러서는 ‘서정적 모두스의 회복’과 더불어 ‘철학적ㆍ종교적 모두스’로의 지향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페도토프와 페로프: 러시아 풍속화의 1840년대와 1860년대

        권정임 ( Jyoung Im Kwon )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슬라브연구 Vol.29 No.2

        본 논문은 19세기 중반 러시아 풍속화의 대표자인 페도토프(П. Федотов)와 페로프(В. Перов)의 작품세계를 그들이 활동한 시대인 1840년대와 1860년대의 시대적 특성 속에서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러시아 문학계에서 푸시킨의 예브게니, 혹은 고골의 아카키 아카키예비치와 같은 ‘작은 인간’ 부류들이 19세기 초반에 일찍부터 등장했다면, 러시아 미술계에서 이같은 부류의 인간의 출현은 상당히 늦게 이루어졌다. 페도토프와 페로프는 러시아 문학에서 시작되었던 이러한 ‘작은 인간’의 전형들을 화폭으로 옮겨오면서 러시아 풍속화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1840년대를 자신의 주요 활동무대로 삼은 페도토프는 자유주의자로서의 면모를 띠며 자신의 화폭에서 당대의 구태와 악습을 실컷 조롱했다. 그는 자신의 많은 그림들에서 시대의 모습을 풍자한 것에 머물지 않고, 자기 자신을 희화화하며 희극배우의 기질을 여지없이 발휘하였다. 그는 시대의 미묘한 변화와 변화의 방향에 대한 도덕적 벡터를 제시하였던 것이다. 반동적 시대의 희생양이 되어 자신의 재능을 끝내 다 펼치지 못한 불운의 풍속화가였지만, 러시아의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기초를 닦은 화가로서의 그의 묵직한 존재감은 러시아 미술사에 여전하다. 1860년대를 자신의 주요 활동무대로 삼은 페로프는 바자로프주의자 ? 혁명주의자로의 면모를 띠며 병든 시대를 세밀히 진단하고 그 환부를 도려내고자 메스와 채찍을 들었다. 페도토프식의 단순한 조롱과 풍자에만 머물지 않고, 한 발자국 더 앞으로 나가 거친 비판과 독설적인 폭로를 추구했다. 혼외자로 태어나 평생 예술적 반골의 삶을 추구한 페로프는 사회적 억압자들과 피억 압자들을 주시하며, 시대의 악에 대한 분노와 시대의 고통에 대한 슬픔을 화폭에 담아내었다. 그 가 추구한 러시아 사회에 대한 근본적인 부정의 시선은 곧이어 도래한 이동전람회파의 회화적 근간이 되어주었다. 시대의 병적인 징후를 포착하고 변화의 희망을 키워낸 페도토프와 페로프의 풍속화를 통해 러시아 미술은 시대의 도저한 흐름인 리얼리즘의 물꼬를 트게 되었다. 시대는 그들의 그림을 통해 새로운 눈과 의식을 얻게 되었다. This article is devoted to the representatives of the Russian genre painting of the mid 19th century - P. Fedotov and V. Perov. At that time, while in the circles of Russian literature appeared ``little man`` as Pushkin`s Evgenii or Gogol`s Akakii Akakievich, in the circles of Russian art of painting has appeared much later such a ``little man``. Fedotov and Perov, who have started to portray such people, belonging to the types of ``little man``, opened a new era of Russian genre painting. Fedotov had liberal character and laughed at old and bad customs of the his times. Fedotov, who had the temperament of the comic artist and liked self-caricature in his many paintings, was regarded as Russian Hogarth and offered moral vector in connection with delicate changes of times and direction of these changes. Although he was a victim of a reactionary times of Nikolai I and couldn`t deploy his outstanding artistic talent, he left the big trace in the history of Russian realistic genre painting. Perov had radical nature and took the whip and the lancet to make the diagnosis of social disease and cut the sick places. He not only focused on a simple mockery and satire, but also went further, seeking sharp criticism and exposure of social injustice and evil. Perov, who was born as a illegitimate son, and has lived all his life of a nihilist, watched social types of ``the oppressors`` and ``the oppressed`` and portrayed the anger against evil, sadness and suffering of times. His fundamental negative viewpoints on the Russian society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future of the russian fine art school ``the Wanderers``. Genre painting of Fedotov and Perov showed not so much the sweetness and fragrance of his times, as the bitterness and the symptoms of the times and the hope of change for a better world. Thanks to them, the pictures of Russian genre painting was able to take part in the world realistic art.

      • KCI등재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의 세 원칙과 공유사회

        권정임 ( Kwon Jeong-im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17 시대와 철학 Vol.28 No.1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의 주요원칙은 다음 세 가지다. 첫 번째는 실질적 자유의 축차적 최소극대화원칙이다. 두 번째는 자신의 순수한 생산적 노력의 산물에 대한 소유는 정의롭다는 노력소득원칙이다. 세 번째는 각자의 순수한 노력의 산물이 아닌 외적 자산에 대해 모두가 평등한 권리를 가진다는 공유원칙이다. 이 글에서는 첫째, 이 세 원칙 및 이들 간의 관계에 대한 엄밀한 연구에 기초하여,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론을 재구성한다. 이를 통해 무엇보다 이 세 원칙이 서로의 전제가 되거나 서로를 보완함으로써,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론을 논리적으로 일관된 체계로 형성함을 보인다. 둘째,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론에 대한 이러한 재구성을 통해, 판 빠레이스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론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동시에 공유주의 분배정의론을 발전시킴을 보인다. 공유주의 분배정의의 핵심원칙은 공유원칙이다. 그런데 이 공유원칙은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 원칙의 하나이기도 하다. 또한 실질적 자유지상주의 분배정의론의 다른 두 원칙은 이 공유원칙과 함께 일관된 체계를 구성한다. 이 글에서는 공유주의 분배정의의 관점에서 이 세 원칙 및 그들의 관계를 엄밀하게 연구하여, 공유주의 분배정의론의 발전된 유형의 하나로 재구성한다. 셋째, 이러한 재구성에 기초하여 판 빠레이스가 사실상 공유주의 분배정의론을 구현하는 공유사회에 대한 전망을 제시함을 보인다. 그렇지만 그가 무엇보다 공유지에 대한 엄정한 평가와 구획을 결여함으로써, 그의 공유사회, 곧 최적 자본주의가 모순과 난점에 봉착함을 보인 것이다. 또한 미드(J. Meade)의 공유사회모형을 비판적으로 변형한 모형을 그 대안으로 제시한다. Three principles of the real-libertarian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are as follows; the leximin principle of real freedom, the principle of income resulting from one`s pure productive efforts and sharing principle, i.e., the equal right of all to external assets which is not the result of one`s pure productive efforts. In relation to these three principles, this paper studies on following further themes. First, based on the rigorous studying on these three principles, the real-libertarian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is reconstructed as a logically consequent system of these three principles. In this system, these principles function as premise for one another or complement one another. Second, this paper shows that van Parijs also develops a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for commons through his endeavor to develop the real-libertarian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The core principle of the distributive justice for commons is the principle of commoning or sharing. The other two principles of the real-libertarian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construct a consequent system of distributive justice with the principle of commoning. Connected to this, this paper reconstructs a new form of the theory of distributive justice for commons. Third, based on this reconstruction and the critical study on the optimal capitalism of van Parijs, this paper presents that van Parijs suggests in fact a prospect for a sharing society which realizes the distributive justice for commons. Simultaneously, this paper shows the contradictions and problems of his sharing society, i.e. his optimal capitalism which result from his lack of the clear assesment and distinction of commons. As the alternative perspective for the sharing society of van Parijs, this paper presents the model of sharing society of J. Meade, but in a critically modified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