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순정리론』과 『성유식론』- 경량부와 관련하여 -

        권오민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100 No.-

        Masters of the East Asian Faxiang School (法相宗) had great interest in Sautrāntika. This was because, according to Kuiji (窺基), Sautrāntika was the strongest critic of Yogācāra. While explaining the heretical theory of the Vijñaptimātratāsiddhi śāstra, various terms related to Sautrātika were also introduced. Some of these included Dārṣṭāntika, Sautrātika, pre-Sautrāntika (本經 部) and latter-Sautrāntika (末經部), root-Sautrāntika (根本經部), Sthavira and Sthavirapāṣika (上座部, Sthavira sect), root-Sthavirapāṣika (上座部根本師), as well as fundamental thoughts (本計) and derived thoughts (末計) of Sthavirapāṣika, all of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other literature. It is of academic interest to un- cover where this information related to Sautrāntikas came from. These various terms related to Sautrāntika can be found in Samghabhadra's Abhidharmanyāyānusāra śāstra where their meaning can, at least to some extent, be understood. As such, it is reasonable to consider the information obtained on Sautrāntika originated here. Accordingly, Sautrāntika was proclaimed to be a sect of Sthavira (上座徒黨, 上座宗, Sthavira-pākṣika) by some proponents of Dārṣṭāntika and their Elder (Sthavira) Śrīlāta, as well as Saṃghabhadra. However, this opinion was not unanimous. The Abhidharmanyāyānusāra and Vijñaptimātratāsiddhi śāstras are closely related in that they are collections of materials from Sautrāntika research, which employs criticism with the same style of logic. This may have been why Xuanzang (⽞奘) learned the Nyāyānusāra śāstra through various routes during his trip to India, considering the purpose of his trip was to resolve suspicions about varying kinds of theories within Buddhism. 동아시아 법상교가는 경량부에 지대한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규기(窺基)에 의하면 그것은 경량부가 유가행파의 가장 강력한 비판자였기 때문이었다. 그들은 『성유식론』 상의이설을 해설하면서 다른 어떤 문헌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경량부와 관련된 다양한 명칭들, 이를테면 譬喩者, 經部(경량부), 本經部(혹은 經部本師, 經部本宗), 末經部(혹은 經部末 宗), 根本經部, 上座와 上座部, 상좌부 根本師, 상좌부 本計와 末計, 혹은 經部異師 등을등장시키고 있다. 그들은 이러한 경량부 관련 정보를 어디서 구한 것일까? 경량부와 관련된 이러한 다양한 갈래와 명칭은 어떤 식으로든 중현(Saṃghabhadra) 의 『순정리론』에서 확인할 수 있고, 그 의미 또한 이를 통해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기때문에 그들은 경량부에 관한 정보를 여기서 얻은 것이라 말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경량부는 일군(ekīya: ⼀類)의 비유자와 그들의 상좌 슈리라타(Śrīlāta: 勝受)의 자칭으로, 중현은 이들 상좌일파를 上座徒黨이나 上座宗(*Sthavira-pākṣika)으로 호칭하였다. 그렇지만 상좌와 그의 일파는 서로 견해를 달리하기도 하였다. 규기 등 동아시아 법상교가는 쿠마라라타가 비유(dṛṣṭānta: 世間現喩) 형식의 『유만론』(喩鬘論, Dṛṣṭānta paṅkti)을 지었다는 이유에서 그를 비유사(Dārṣṭāntika)로 간주하고, 당시는 아직 경량부가 출현하기 전이었지만 본경부(本經部, 혹은 經部本師, 경량부의 根本師)로 이해하였다. 그리고 상좌 슈리라타를 말경부(末經部), 그의 일파를 상좌부(上座部, *Sthavirapāṣika)로 명명하고, 상좌부를 다시 본계(本計)와 말계(末計)로 구분하였다. 따라서 상좌는 사실상 ‘경을 지식의 근거로 삼는 이들’인 경량부의 조사(즉 根本經 部)이자 상좌부의 근본사(根本師)였다. 『순정리론』과 『성유식론』은 경량부 연구의 일대 자료집이자 이들을 동일한 논리로 비판하고 있다는 점에서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불교 내부의 온갖 상이한 학설에 대한 의혹해소’라는 인도순방의 목적을 고려할 때, 현장삼장(⽞奘三藏)이 인도순방 중 다양한 루트를 통해 『순정리론』을 학습한 것도 이 때문이었을 것이다.

      • KCI등재

        世親과 經量部

        권오민 한국불교학회 2010 韓國佛敎學 Vol.56 No.-

        In general, Vasubandhu was known as belonging to Sautrāntika because he wrote Abhidharmakoṣabhāṣya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this sect, but Saṃghabhadra provided a totally new fact. Namely,Sautrāntika at that time was a sect of Sthavira Śrīlāta that was Dārṣṭāntika, and Vasubandhu was ‘foreign Sautrāntika’. This thesis argued the following facts about the relation between both parties through Saṃmghabhadra’ suggestive evidence. Vasubandhu was belong to school of Foreign(Bahirdeśaka) also called as Gandhāra or Western(Pāścāttya) at first. This school was a heretic in the inside of Sarvāstivāda opposed to Kāśmīra Vaibhāṣika. But a Sautrāntika of Sthavira Śrīlāta, based in the Eastern(perhaps Ayodhyā), as those who succeeded to Dārṣṭāntika, which was a different school from Sarvāstivāda. Namely, according to Mahāvibhāṣaśāstra,Masters of Gandhāra differed from Dārṣṭāntika in school and phase,therefore Vasubandhu(or his purvācārya) and the Sautrāntika of Śrīlāta who succeeded to them perhaps did so. However, Vasubandhu who associated with one sect of Sthavira wrote Abhidharmakoṣabhāṣya based on their thinking. Thus, the Sautrāntika in the Koṣabhāṣya almost referred to the sect. But he also reported that the theory of Masters of Gandhāra which he actively sympathized with was Sautrāntika(i.e., foreign Sautrāntika)’s. Therefor he was recognized not as ‘master of Sarvāstivāda (Abhidharmika) in the Gandhāra’ but as ‘the one who associated with Sautrāntika(or Dārṣṭāntika)’. Later, some commentators also understood him as Sautrāntika. But Saṃghabhadra who lived in the same age as him understood him as ‘the one with the same views(同見者)’ who turned against Vibhāṣa of Sarvāstivāda and who sympathized with one sect of Sthavira Śrīlāta, and often asked him not to associate with them. It was probably because he originally belonged to the Gandhāra school. 일반적으로 世親은 經量部의 사유에 기초하여『구사론』을 저술하였기 때문에 이 부파 소속으로 알려지지만, 衆賢은 전혀 새로운 사실을 제공한다. 즉 당시 경량부는 譬喩者인 上座 슈리라타(Śrīlāta) 일파이며, 세친은 ‘外方의 경량부’라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중현의 암시적인 증언을 통해 양자의관계에 대해 논의하였다.『순정리론』에서 세친은 경량부(혹은 비유자)로 일컬어지기도 하지만, 애당초 外方 즉 西方의 간다라논사 계통이었다. 이들은 카슈미르 毘婆沙師와대립한 유부 내부의 異說者였다. 이에 반해 상좌 슈리라타 일파는 유부와는다른 학파(他宗)인 譬喩者를 계승한 이들로서 東方(아유타국)이 그들의 주요거점이었다. 즉『대비바사론』 상에서 간다라논사와 비유자는 계통과 위상이 다른데, 이들을 계승한 세친(혹은 선대궤범사)과 슈리라타의 경량부도역시 그러하였을 것이다. 그러나 세친은 상좌 일파와 가까이하고 그들의 사유에 기초하여『구사론』을 저술하였다. 따라서『구사론』 상의 경량부는 거의 대개 상좌 일파를 가리키지만, 자신이 적극 동조한 간다라논사의 학설도 경량부(즉 外方의 경량부) 설로 전하기도 하였다. 이에 따라 세친 역시 더 이상 ‘간다라 계통의 유부논사’가 아닌 ‘경량부(혹은 비유자)와 가까이 한 이’로 인식되었으며, 이후『구사론』의 주석가들은 그를 경량부 논사로 이해하기도 하였다. 그렇지만 그와 동시대를 산 중현은 세친을 유부 毘婆沙를 등지고서 상좌일파에 동조한 同見者 정도로 이해하여 그들과 가까이하지 말 것을 누누이당부하고 있다. 이는 그의 소속이 원래 유부(간다라 계통)였기 때문이었을것이다.

      • KCI등재

        고감도 탈기체분석법을 이용한 비정질 실리콘의 수소 방출특성 연구

        권오민,조재령,김가현 한국물리학회 2020 새물리 Vol.70 No.9

        We address hydrogen exodiffusion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in films by using thermal desorption spectroscopy. Amorphous silicon has a disordered atomic structure and consists of dangling bonds, which work as electronically active defects. These defects can be passivated by hydrogen, and the material is called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Hydrogen exodiffusion provides information on Si-H bonding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material. In this work, we fabricated a series of hydrogenated amorphous silicon thin films of different thicknesses and analyzed the Si-H bonding and the microstructure of the films by using hydrogen exodiffusion. In particular, we observed that the 10-nm thin film showed porous microstructure because the film was still in island/channeling stage of film deposition at initial moments, which is premature for uniform film growth. A complementary analysis using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gave consistent results. 본 연구에서는 고감도 탈기체분석장비를 이용한 비정질 실리콘의 수소 방출 특성 관찰결과를 다룬다. 비정질 실리콘의 원자구조는 무질서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전기적 결함으로 작용하는 댕글링 본드를함유하고 있는데, 댕글링 본드에 수소를 결합하여 전기적 결함을 부동태화하며, 이와 같은 상태의 물질을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이라 한다. 탈기체분석법을 이용하여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의 수소 방출특성을 관찰하면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내 Si-H결합과 박막의 미세구조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일 공정조건으로 두께를 다르게 하여 증착한 수소화된 비정질 실리콘 박막의 수소 방출특성을 관찰하였으며, 박막 두께에 따른 박막의 미세구조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박막이 10 nm 정도로얇을 경우에는 화학기상증착의 원리에 따라 박막 성장 초기에 아일랜드 상의 미세구조를 취할 것으로유추하였으며 푸리에변환 타원편광분광분석법을 이용한 상보적 분석을 통해 일관성있는 관찰결과를 얻게되었다.

      • KCI등재

        한강에서 분리한 장구균의 항생제 내성과 분자생물학적 분석

        권오민,김말남,Kwon, Oh-Min,Kim, Mal-Nam 한국미생물학회 2012 미생물학회지 Vol.48 No.2

        2008년 3월, 서울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한강에서 분리된 Enterococcus 76주를 동정하고 이 균주들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과 항생제 내성유전자 구조분석, 교차접합, PFGE 및 MLST를 실시하였다. 분리 균주 중 E. casseliflavus는 25주이었으며, E. faecalis 및 E. hirae가 각각 4주 및 1주이었다. 항생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15주가 vancomycin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E. faecium 11주와 E. casseliflavus 4주가 VRE인 것을 알 수 있었다. VRE를 대상으로 vanA 유전자 검출을 통해 6주의 E. faecium가 vanA를 가지는 VREF임을 밝혔으며, vanA가 포함된 transposon인 Tn1546 구조를 분석한 결과 Km36과 Km37은 Tn1 type, Km20과 Km38은 Tn2 type 그리고 Km 39와 Km40은 Tn3 type으로 나타났다. PFGE 결과 6주의 VREF 중 Km36과 Km37은 동일한 subtype을 나타내었으며, 나머지 4주는 각기 다른 subtype을 나타냈다. VREF 6주를 대상으로 MLST를 실시한 결과 3주는 ST78, 나머지 3주는 각각 ST18, ST192 및 ST230로 나타났다. 이들의 clonal complex는 모두 병원에서 분리되는 CC17로부터 파생된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4주는 CC78에, 나머지 2주는 각각 CC18과 CC192에 포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dentification was performed in March 2008 for the 76 Enterococcus strains isolated from the Han-river, which is used as water supply for Seoul citizens.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antibiotic resistant structural analysis, trans-conjugation,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 and multi-locus sequence typing (MLST) were also carried out for the isolated strains. Among the isolated strains, 25 strains were E. casseliflavus, 4 strains were E. faecalis and 1 strain was E. hirae. Investigation of antibiotic susceptibility indicated that 15 strains demonstrated tolerance against vancomycin, and that 11 strains of E. faecium and 4 strains of E. casseliflavus were VRE. The vanA gene detection of the VRE strains revealed that 6 E. faecium strains were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us faecium (VREF) possessing vanA. Analyses of transposon Tn1546 structure containing vanA demonstrated that Km36 and Km37 belonged to Tn1 type, Km20 and Km38 was Tn2 type, and Km39 and Km40 was Tn3 type. PFGE disclosed that among the 6 VREF strains, Km36 and Km37 exhibited equivalent subtype, while the rest 4 strains showed subtypes different to each other. MLST for the 6 VREF strains disclosed that 3 strains were ST78, while the rest 3 strains were ST18, ST192 and ST230, respectively. All these clonal complexes were derived from CC17 which has been isolated from clinical sources. 4 strains belonged to CC78, while the rest 2 strains were CC18 and CC192, respectivel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pūrvācārya(先代 軌範師) 再考

        권오민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20 No.-

        As suggested in the title, this thesis aimed to critically examine Hakamaya Noriaki’ns Pūvāāya kōy(考)(Indogaku Bukkyōaku kenkyū34-2), but was really written as a part of the criticism of the discussion developed by Harada Wasō that was adopting it as one of the primary grounds for his own hypothesis about the origin of Sautrātika(“tin fact it is a fictitious sect as Yogāāa”t). Hakamaya said that his thesis was but a working hypothesis for confirming the assumption that “pūvāāya on Abhidharmakośbhā ṣa belongs to Yogāāa.”a Furthermore, he was only interested in the traces on Yogāāa literature, and did not consider its ideal origin or relevance. In the opinion of the writer, his thesis raised a question significantly, but did not present any grounds for settling that all pūvāāyas in 11 places were the masters of Yogāāa, or Asaṅa. Pūvāāya can be the master who has succeeded to teaching or can be a general name. The same is also applied to āāya.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a master's doctrine belongs to Yogāāa even though it is traced in the Yogāāabhūi . It is because Sthavira Śīāa also asserted a similar doctrine to it. It is, therefore, a mere conjecture or delusion(?) to literally trace the pūvāāyas and specify that they belong to Yogāāa. Also, it is nothing but taking the dogmatic attitude to say based on the thesis that “the fact that pūvāāya belongs to Yogāāa has become a generally accepted idea in the academic circ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