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진학을 통한 수도권 비수도권 간 인구이동에 관한 연구

        권오규(Kwon, O-Kyu),박병남(Park, Byung-Nam),최타관(Choi, Ta-Kwan),강은택(Kang, Eun-Taek) 한국부동산산업학회 2018 부동산산업연구 Vol.2 No.1

        본 연구에서는 비수도권에서 수도권으로의 인적자원의 이동으로 확인될 수 있는 대학진학과 거주지역의 선택에 대하여 시기별 비교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수도권으로의 인구이동의 경향은 순이동자수의 증감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과거의 급격한 증가 현상은 최근에는 점차 완화되는 추이를 보이고 있다. 다만, 인적자원 측면에서의 수도권으로 한 사람들은 여전히 경쟁력 있는 자원의 이동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수도권 순이동자 수의 변화와 함께 대학이 가진 인구유인의 기능을 시기별로 살펴봄으로써 수도권의 인적자원 집중현상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In recent years, the population migr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are increasing net-outflows more than net-inflows. This phenomenon can be interpreted as the concentration of human resources in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is weakening. But, it was not confirmed whether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s population incentives were weaken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the effect of university human resource imbalance in the region by examining the migration of the university entrance population between SMA and non-SMA. Using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data, we examined the effect of university incentives of the human resource imbalance between the SMA and non-SMA. Empirical result is showed that in the case of universities located in the SMA, the effect of population attraction is not changed, but, in case of non-SMA, the effect of population incentives was found to decrease.

      • KCI등재후보

        도시의 쇠퇴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 도시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

        권오규(O-Kyu Kwon),강은택(Eun-Taek Kang),마강래(Kang-Rae Ma) 한국지역학회 2019 지역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도시쇠퇴가 주민의 주관적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하여 우리나라 도시들을 규모별로 분류하고, 각각의 도시규모별 쇠퇴정도에 따른 전반적 생활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 만족감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도시쇠퇴의 진행과 삶의 만족감 변화의 동태적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도시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은 거주하는 도시의 규모에 따라, 부문별 삶의 만족감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대도시 주민의 경우 도시쇠퇴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환경 만족감은 감소하나, 과밀 해소로 인한 사회적비용의 감소로 전반적 생활만족감은 증가하였다. 이와 달리 소도시 주민의 경우에는 도시의 쇠퇴가 전반적 삶의 만족감, 가족의 수입만족감, 주거환경만족감을 모두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urban decline on Subjective Well-being(SWB). According to the scale of the city, the municipal districts of Korea are classified into metropolitan cities, middle cities, and small cities. The SWB in the growth area, the maintenance area, and the declining area according to the degree of relative decline of each city group was examined. In addition, in order to consider the complex nature of urban decline, SWB was divided into overall life satisfaction, household income satisfaction, and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Panel models were also used to identify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ess of urban decay and the change in SWB. The empirical analysis of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ecline on the SWB for the local residen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 of urban decline on the SWB of the residents vari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ity where the individual resides, according th the SWB by the division. In the case of metropolitan inhabitants, the decline of the housing environment of the resident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as confirmed as a result of the decline of the city, but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was increased due to the decrease of the social costs such as congestion in an overcrowded area.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the residents of the small cities, it is confirmed that the decline of the city reduces the overall life satisfaction, household income satisfaction, and housing environment satisfaction.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서울시 중국국적외국인의 주거지 분포 변화에 관한 연구

        윤진희(Yun, Jin-Hee),권오규(Kwon, O-Kyu),마강래(Ma, Kang-Rae) 한국지역개발학회 2014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6 No.2

        There has been a rapid growth of Chinese population since mid-1990s. In Seoul, Chinese population now consists of the largest number of foreign population at more than 70%. Previous studies argued that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foreign migrants is associated with the language barriers and cultural differences. This study tried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which the growth patterns of Korean-Chinese population differs from those of Non-Korean Chinese population, using the Adjusted Dissimilarity Index. The comparison of two ethnic groups revealed that the net growth of Korean Chinese people with no or low language barriers is more affected by the previous segregation pattern than that of Non-Korean Chinese population. The evidence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language and cultural differences have played a limited role in determining the residential segregation of Chinese population.

      • KCI등재

        주택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마강래(Kang-Rae Ma),권오규(O-Kyu Kwon)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주택의 소유는 부의 축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효과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하지만, 주택소유에 대한 일반인들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주택을 구매한다는 것은 개인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대단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젊은 층들이나, 새롭게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에게는 더더욱 어려울 수 있다. 고가 재화인 주택은 구매를 위한 준비기간이 매우 긴 특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다수의 젊은 계층이 결혼을 전후로 주택 소유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집값이 빠르게 상승했던 현실과는 상반되는 이러한 현상은 주택자산의 세대 간 전이 현상, 즉 부모가 자녀세대에 가지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이 앞으로는 더욱 증폭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세대 간 이동성은 부모와 자식세대 간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부모와 자식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날수록 세대간 이동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세대 간 이동성이 낮은 사회에서 부모의 자산이 자식에게 전이될 때 자식세대의 선발 이익(head-start advantage)을 발생시켜 자식세대의 사회·경제적 격차가 커질 수 있다. 특히 주택의 경우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 자산 비율이 8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부의 대물림은 세대 간 이동성을 더욱 약화하고, 다음 세대의 불평 등을 심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주택소유의 세대 간 전이현상은 지금까지 심증으로만 논의되었지,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증명된 것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주택자산의 사회적 전이현상에 대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주거복지와 사회적 형평성 제고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이동성에 관한 기존 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이동성 제약의 추세를 살펴보고, 그 파급효과가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세대 간 경제력의 이동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을 중심으로 세대 간 주택자산의 전이가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주택자산의 규모와 점유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현상, 즉 주택 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경제적 측면에 국한되어 왔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논의를, 자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의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부의 세대간 배분에 관한 보다 다양한 논의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ecoming a homeowner has important socio-economic attainment as it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wealth accumulation for most households. It has been argu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one generation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the next. It has been known that individuals who are well endowed with their parental supports tend to resemble their parents. As far as housing asset is concerned, parents may influence the amount of child's housing wealth through material or other types of aids, which is referred to as a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omeownership.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has been an intergenerational effect of homeownership in Korea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Multinomial logit models are used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ffect the housing wealth of younger genera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erty assets of child have a very close relation to those of previous gener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of housing tenure between generations.

      • KCI등재

        비수도권 지식산업센터 입주업체의 연계효과에 관한 연구

        김형태(Kim, Hyungtai),마강래(Ma, Kang-Rae),권오규(Kwon, O-Kyu) 한국지역개발학회 201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5 No.1

        There has been a rapid increase in the number of knowledge industry centers (also called apartment-type factories) in Korea over the last 20 years. One of the main purposes of provisions of centers is that they could benefit from the advantages of agglomeration economies by locating near each other. However, some of the recent literature cast doubt on such advantageous effects of knowledge industry center.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have been close industrial linkages among manufacturers, using the case study of three different major metropolitan cities outside Non-Seoul metropolitan area.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have been very weak industrial networks among manufacturers situated in the same knowledge industry center. However, it is found that most manufactures maintain close relationships with other businesses in the same metropolitan areas, and these relationships are more strengthened when the related area has specialized industries near the knowledge industry centers.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