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빵용 우리밀과 수입밀 원맥의 이화학, 미생물, 항산화 특성 비교

        곽한섭,김미정,허정애,김민정,심재원,김의웅,김훈,김상숙,Kwak, Han Sub,Kim, Mi Jeong,Heo, JeongAe,Kim, Min Jung,Shim, Jaewon,Kim, Oui-Woung,Kim, Hoon,Kim, Sang 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hysicochemical, 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domestic and imported wheat kernels for bread making. Two domestic (JK1, 2) and three imported (ND, DNS, and CWRS) kernels were compared. Domestic kernels had higher moisture contents, and lower ash and protein contents (p<0.05). In grain characteristics, JK1 had 13.62% of damaged kernels,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samples (p<0.05). JK2 was similar to imported kernels in the ratio of sound kernels, foreign materials, and damaged kernels. Kernel size of JK1, 2 was larger than the imported kernels; therefore, kernels area and perimeter were higher by the image analyzer. Domestic kernels hid lower total aerobic counts the imported kernels (p<0.05). Domestic kernels and DNS had no yeast, while NS and CWRS had yeast in kernels. DNS (3.08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g) had the highest total polyphenol content (TPC), followed by JK1 (2.81 mg GAE/g). JK2 had the lowest amount of TPC as 2.26 mg GAE/g. Total flavonoid content (TFC) was the highest in DNS as 0.44 mg catechin equivalent (CE)/g and JK2 was the lowest as 0.12 mg CE/g. Domestic wheat kernels had lower protein content and lightness than the imported wheat kernels so that flour from domestic wheat kernels may have lower quality for baking.

      • SCOPUSKCI등재

        시판 우리밀과 수입밀 중력 밀가루의 품질 특성 비교

        곽한섭(Han Sub Kwak),김미정(Mi Jeong Kim),김훈(Hoon Kim),김상숙(Sang Sook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7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9 No.3

        제면용으로 사용되는 시판 우리밀과 수입밀 중력 밀가루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우리밀은 수분함량, 명도(L), 백도에서 수입밀보다 낮았으며, 단백질 함량, 적색도(a), 청색도(b)에서 높았다. 통밀제품인 DW2와 DW4는 0.71%의 회분 함량을 보여, 0.34-0.42%인 다른 밀가루 시료보다 높았으나, 미국 및 캐나다에서 시판되는 통밀가루의 회분 함량(1.5%)에 비해 크게 낮았다. 통밀가루에 대한 국내 규격이 없어 시판 국내산 통밀가루는 소비자들이 생각하는 통밀가루와 다른 제품임을 보여주었으며, 국내 통밀가루 규격 설정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SRC는 우리밀과 수입밀 특성간 큰 차이는 없었으나, GPI에서 우리밀이 0.62-0.71로 수입밀의 0.48-0.62보다 높았다. 수분흡수지수는 우리밀이 1.65-1.75, 수입밀이 1.69-1.74로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성 고형분 함량과 관련 있는 수분용해지수는 우리밀이 5.82-6.37로 수입밀의 4.94-5.27보다 높아 우리밀의 수용성 고형분 함량이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입밀가루와 우리밀 DW1은 유사한 점도 특성을 보였으며, 통밀제품인 DW2는 약간 낮은 점도를 보였으나 전반적인 점도 특성 경향은 유사하였다. 밀가루 점도 특성에서 유기농 밀가루인 DW3과 DW4에서 다른 밀가루 시료와 다른 점도 특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유기농 재배로 인하여, 재배과정 및 수확 후 저장 과정에 있어서 병해충에 의한 원곡의 손상으로 amylase 활성이 증가하여 점도 특성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추측된다. DSC에 의한 상변이 특성에서는 우리밀이 호화개시온도가 약 1oC 정도 높은 것을 제외하고는 수입밀과 차이는 없었다. 패리노그래프에 의한 밀가루 반죽 특성은 우리밀과 수입밀 시료 간에 큰 편차를 보였다. 우리밀의 DW3의 경우 SOD20의 강도가 80 F.U.로 좋은 밀가루라 판단되는 75 F.U. 이하 값보다 높았다. TA를 이용한 밀가루 반죽의 저항성(우리밀: 78.0-118.7 g, 수입밀: 108.4-159.9 g)과 신장성(우리밀: 8.7-12.5 mm, 수입밀: 11.8-16.7 mm)의 경우 수입 밀가루 시료가 높았다. 우리밀가루에 비해 수입밀가루의 낮은 단백질 함량에도 불구하고, 수입밀 반죽의 높은 신장성과 저항성은 수입밀의 단백질 및 글루텐의 우수한 품질에 기인하였다고 판단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and imported commercial plain wheat flour and dough. Four types of domestic wheat flour (DW; DW1-4) were compared to four types of imported wheat flour (IW; IW1-4). DWs exhibited lower moisture content, lightness (L), and whiteness, and higher protein content, redness (a), and yellowness (b), than those exhibited by IWs. Solvent retention capacity of DWs and IWs was similar; however, DWs showed higher gluten performance index. Pasting properties, analyzed by rapid visco analyzer (RVA), were similar for DW1, DW2, and IWs; however, DW3 and DW4 showed different RVA patterns. Considering that DW3 and DW4 were organic wheat flour, possible incorporation of damaged kernel might increase amylase activities resulting in decreased peak viscosity. Dough resistance (108.4-159.9 g) and extensibility (11.8-16.7 mm) of IWs were higher than those of DWs (78.0-118.7 g, 8.7-12.5 mm, respectively).

      • KCI등재

        수확 연도별 우리밀과 수입밀의 품질 변이 비교

        곽한섭(Han Sub Kwak),김태종(Tae Jong Kim),주은영(Eun Young Joo),차장헌(Jang Hun Cha),김아진(Ah Jin Kim),김미정(Mi Jeong Kim),김상숙(Sang 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1

        2011년에서 2013년까지 국산 원맥 443점과 수입 원맥 160점의 품질 특성을 비교하였다. 수분 함량은 국산 원맥이 10.90~13.90%, 수입 원맥은 8.0~12.6%로 나타났다. 단백질 함량은 국산 원맥이 9.34~16.1%, 수입 원맥은 9.0~14.6% 범위에 있었다. 회분 함량은 국산 원맥이 1.28~1.89%, 수입 원맥은 1.19~1.74%였으며, 원맥의 단위 밀도는 국산 원맥이 512~859 g/L, 수입 원맥이 789~853 g/L로 수입 원맥의 범위가 더 좁게 나타났다. 국산 원맥의 falling number는 147~822 s로 통상적인 고품질 밀가루의 범위인 300~600 s를 벗어난 300 s 미만의 낮은 품질의 원맥이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반면에 수입 원맥의 falling number는 모두 300 s 이상이며 최대치는 516 s로 모든 원맥이 고품질 범위에 있었다. 피해립과 이물질 함량에서는 국산 원맥이 수입 원맥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여주었으나, 국산 원맥의 피해립과 이물질 함량은 2011년에서 2013년으로 갈수록 수치가 점차 줄어드는 경향성을 보여주어 지속적인 품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Quality characteristics (moisture, protein, ash, bulk density, falling number, damaged kernel, and foreign material) of 443 domestic wheat samples harvested between 2011 and 2013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60 imported wheat samples from the United States, Australia, and Canada. Moisture content of domestic wheat (10.9∼13.9%)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imported wheat (8.0∼12.6%). Large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was found in domestic wheat compared to imported wheat even though variation in protein content of domestic wheat tended to decrease every year, implying quality control efforts for domestic wheat. A similar trend was observed in ash content, which was approximately 0.1% higher in domestic wheat kernels over 3 years. Imported wheat samples had a falling number of 300 or above. On the other hand, some domestic wheat samples had a falling number of 300, which meant low quality of wheat kernels. Generally, quality variations in domestic wheat kernels decreased over the years;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intain minimum requirements of moisture content and falling number for high and consistent quality domestic wheat.

      • KCI등재

        발효온도가 사과와인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곽한섭(Han Sub Kwak),서재순(Jae Soon Seo),배혜정(Haejung Bae),이화정(Hwajong Lee),이영승(Youngseung Lee),정윤화(Yoonhwa Jeong),김미숙(Mi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

        본 연구는 사과와인의 제조 시 술덧의 발효 온도에 따른 발효 기간 동안의 이화학 특성, 알코올 생성량, 발효 후 메탄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생성량을 분석하여 사과와인의 품질특성을 알아보았다. 저온발효(15°C)의 경우 알코올 생성량이 낮게 나타나 20°C 및 25°C의 발효보다 비경제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나, 총산의 함량이 높아 사과와인의 향미가 강할 것으로 생각된다. 20 및 25°C의 발효 온도에서 pH, 총산함량, 알코올 함량 및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유사하였다. 또한 알코올 생성량이 15°C에서의 발효보다 높아 사과와인 생산비가 절감될 것으로 생각된다. 메탄올의 생성은 발효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에탄올 생성과정의 일부로 0.68 mg/L에서 1.69 mg/L로 증가하는 경향성을 보였으나, 아세트알데하이드 함량은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3.43 mg/L에서 1.02 mg/L로 감소하였다. 알코올 및 유해물질 생성량을 고려할 때 20°C 내외의 발효가 사과와인 제조에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apple wine. Apple wine mashes were fermented in 15, 20, and 25°C water bathes for 9 days. The pH levels of all samples were below 4 from 24 h of fermentation until the end. Total acidities of 0.05% acetic acid solution were 7.8, 7.4, and 7.0%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The evaporation of esters generated by combining alcohol and organic acids might be the reason for lower total acidity for high temperature fermentation. Alcohol contents of the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were 6.5 and 6.6% (v/v), respectively, whereas that of the 15°C fermented sample was 5.6% (v/v) and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thers (P<0.05). Methanol contents were 0.68, 0.82, and 1.69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Fermentation at higher temperatures generated higher methanol content in apple wine. On the other hand, acetaldehyde contents were 3.43, 2.39, and 1.02 mg/L in the 15, 20, and 25°C fermented samples, respectively, due to the lower boiling point of acetaldehyde (20.2°C). Based on the results, a fermentation temperature of 20∼25°C is effective for apple wine fermentation.

      • KCI등재

        Sumizyme™을 이용한 쌀 증류주의 누룩취 저감화

        곽한섭(Han Sub Kwak),김미숙(Misook Kim),이영승(Youngseung Lee),엄태길(Taekil Eom),서유진(Yoojin Seo),심형석(Hyoungsuk Shim),하상형(Sang-Hyoung Ha),윤옥현(Ok Hyun Yoon),정윤화(Yoonhwa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개량누룩을 정제효소로 대체하여 제조한 발효 술덧의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 정제효소의 대체가 누룩취저감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정제효소로의 대체량이 늘어날수록 발효 술덧의 특성은 부의 방향성을 보였다. 알코올 함량이 낮아 술의 생산 원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가 높아져서 발효 시 유해미생물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라 보인다. 또한 가용성 고형분 함량도 높아서 개량누룩을 사용했을 때보다 발효가 늦게 진행되는 것이 발견되었다. 개량누룩의 사용량을 최대 30%까지 정제효소로 대체하였을 때 발효 술덧의 품질 변화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정제효소(Sumizyme™)로 30% 대체하여 제조된 발효 술덧 및 증류주는 누룩취의 강도에 있어서 개량누룩과 전통누룩으로 제조된 발효 술덧 및 증류주와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낮은 누룩취 강도를 보여주었다. 누룩의 일부분을 정제효소로 대체함으로써 쌀 증류주의 누룩취를 저감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reduce Nuruk flavor in Korean rice-distilled liquor using different ratios of Sumizyme™ and Nuruk. After 9 days of fermentation at 28°C, alcohol contents and pH were 16.0∼17.1% and 3.82∼4.16, respectively. An increased ratio of Sumizyme™ decreased alcohol content while increased pH of the mash. In alcohol content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up to 30% substitution of Nuruk to Sumizyme™. A descriptiv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trained panelists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Nuruk flavor. The intensities of Nuruk flavor in mashes and distilled liquors brewed by traditional Nuruk, cultured Nuruk, and a mixture of 30% Sumizyme™ and 70% cultured Nuruk were evaluated. The mash and distilled liquor prepared using a mixture of 30% Sumizyme™ and 70% cultured Nuruk showed significantly lower intensities of Nuruk flavor when compared with those of mashes and distilled liquors produced by the traditional and cultured Nuruk.

      • KCI등재

        알코올 함량에 따른 구기자 막걸리의 소비자 기호도 및 묘사 특성

        곽한섭 ( Han Sub Kwak ),김인용 ( Inyong Kim ),윤무원 ( Maoyuan Yin ),이윤범 ( Yunbum Lee ),김미정 ( Mi Jeong Kim ),이영승 ( Youngseung Lee ),김미숙 ( Misook Kim ),정윤화 ( Yoonhwa Jeong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4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lcohol content in Makgeolli made with Chinese matrimony vine (M-CMV) on the sensory profile and consumer acceptability. The M-CMVs were prepared with 6, 7, 8, and 9% alcohol content. Descriptive analysis of M-CMV was performed with six trained panelists. Thirteen attributes were generated and their intensities were alcohol content dependent. The consumer acceptance test was conducted with 57 consumers. M-CMV samples with 7% alcohol had the highest acceptance rate (5.8) followed by 6% M-CMV (5.6). Commercial rice Makgeolli (CRM) had the lowest consumer acceptance.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lustering analysis. The majority of consumers (n=38) preferred M-CMV and did not like the commercial sample. Only 19 consumers indicated high acceptance ratings for CRM. However, these consumers also preferred 6 and 7% M-CMV. Partial least-squares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moderate attribute intensities were related to greater consumer acceptability. The optimal alcohol content for the greatest consumer acceptance predicted by linear regression was 6.7%.

      • KCI등재

        무균포장죽의 묘사적 특성과 소비자 기호 유발 인자 결정

        곽한섭(Han Sub Kwak),오예진(Ye-Jin Oh),강한빛(Han-Bit Kang),김태형(Tae H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1

        본 연구를 통해서 총 16개의 최종적인 무균포장죽의 묘사특성-향(구수한, 묵은밥, 수돗물, 누룽지 사탕), 맛(단맛, 쓴맛), 풍미(쌀밥, 묵은밥, 금속성, 누룽지 사탕), 조직감(끈적임, 쌀알 퍼짐, 쌀알 거친 정도, 가루끼, 텁텁함), 외관(죽의 묽고 된 정도)-이 도출되었다. 차후의 쌀죽 관련 관능 및 제품 개발 연구에서 이러한 묘사 특성, 정의 및 평가 방법이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SW62 품종의 독특한 특성은 누룽지 사탕 향/풍미가 품종의 독특한 특성이라 나타났다. 구수한 향/풍미와 단맛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은 품종 분석되었으며, 쌀 스낵 가공에 적합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 조사결과 품종간의 통계적인 유의차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SW52와 SR의 기호도가 전반적으로 높으며, 주성분 분석에서도 소비자 기호도 경향성의 방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서 죽을 좋아하는 그룹에서 가장 높은 기호도를 보여주어서, 무균포장죽 가공에는 SW52와 SR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SW63의 경우 기호도 평가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주성분 분석을 통해서도 뚜렷한 소비자 선호도 경향성을 보여주지 못하여, 무균포장죽 가공에는 적합하지 않은 품종으로 보인다. 밥의 소비자 기호도 영향인자 도출 결과와 마찬가지로 흰쌀죽에서도 소비자 기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묘사 특성은 무균포장죽의 부정적인 요소와 관련이 있었다. 초콜릿 음료수 같은 기호 식품이 아닌 늘 소비하는 주식의 개념을 가진 식품에서는 부정적인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Liking factor(묵은밥 향/풍미, 밥알 뭉개짐)를 강화하는 방향보다는 제품이 가지고 있는 disliking factor(쓴맛, 밥알 표면 거친 정도, 끈적임, 금속성 풍미, 구수한 향, 점도)를 제거 또는 최소화하는 품종의 선택이 무균포장죽의 연구개발 방향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generate sensory profile, measure consumer acceptance, and determine liking and disliking factors of aseptic-packaged rice porridges (APRP). Five APRPs made by five different rice cultivars were used for this study. Twenty-one attributes were generated by trained panelists. Finally, 16 attributes were determined as descriptive terms for APRP. Each cultivar showed a different descriptive sensory profile. In a consumer acceptance tes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P>0.05) in the acceptances of the overall, appearance, taste, texture, viscosity, and rice particle texture among the 5 APRPs. SW52 showed the highest acceptance ratings in the overall, appearance, taste and texture, followed by SR. A total of 52% of consumers showed preference toward SW52 and SR. SW63 showed the lowest ratings and no consumer preference pattern. Consumer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a cluster analysis; one was the consumers (C1) who liked APRP, and the other was the consumers (C2) who had a neutral stand in general. By correlating the results from descriptive analysis and consumer ratings from C1, liking and disliking factors for consumer acceptance were determined. The disliking factors were bitterness, feeling of surface, stickiness, metallic flavor, roasted aroma, and thickness. The liking factors were old cooked rice aroma/flavor. The disliking factors dominated in the determination of acceptability of APRP. Selecting rice cultivars that had low intensities of disliking factors is the key for APRP development.

      • KCI등재

        시판 강력분 우리밀의 품질 특성

        곽한섭(Han Sub Kwak),김미정(Mi Jeong Kim),김의웅(Oui-Woung Kim),김상숙(Sang Soo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5

        시판 우리밀 강력분 밀가루의 품질 특성을 국내 대표적인 제빵용 수입밀 강력분 밀가루와 비교하였다. 우리밀 시판 강력분 제품은 수입밀 밀가루 제품과 비교해 수분 함량, 단백질 함량, 명도 및 색도가 낮게 나타났다. 용매보유능(SRC), gluten performance index(GPI), 수분흡수지수에서 시판 수입밀 강력분 밀가루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용해지수는 우리밀 강력분 밀가루에서 높게 나타났다. 수입밀 강력분의 경우 전분 손상도와 관련된 SCSRC가 83.5%로 우리밀 강력분의 67.3~74.1%보다 높았으나, 글루텐 형성을 나타내는 LASRC가 낮게 나타났다. 최근 중요하게 인지되고 있는 GPI는 수입밀의 경우 0.65로 나타났으며, 우리밀은 0.5대의 수치를 보여 우리밀의 품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분흡수 지수에서는 수입밀이 더 많은 수분을 흡수하였으며, 그와 반대로 수분용해지수에서는 수입밀이 더 적은 양의 수용성 고형분이 용출되었다. Rapid visco analyzer를 통한 점도 특성에서 전분의 노화 지표인 setback 수치가 수입밀과 우리밀 D3 시료에서 낮게 나타났다. 우리밀 시료 사이의 호화 특성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 같은 강력분 밀가루 내에서 점도 특성의 차이가 있었다. 밀가루 전분의 상변이 특성에서는 시판 강력분 수입밀 밀가루의 경우 상변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6.2 J/g으로 우리밀의 6.67~7.13 J/g보다 낮았다. 밀가루 반죽 특성 분석 결과 수입밀의 경우 수분흡수율이 높았고, 반죽의 안정도 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우리밀 반죽의 저항도 및 신장성은 수입밀보다 낮았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strong wheat flour (DSWF). Three commercial DSWFs (D1, D2, and D3) were compared with imported strong wheat flour (ISWF). DSWFs had higher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content, lightness, and whiteness than ISWF. DSWFs showed lower solvent retention capacity and water absorption index than ISWF. DSWFs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water solubility index than ISWF (P<0.05). Setback values by rapid visco analysi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1 and D2 than in ISWF and D3, which means ISWF and D3 were better in retarding retrogradation.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s showed that ISWF required 6.2 J/g of energy for phase transition, whereas DSWFs needed 6.67∼7.13 J/g. The farinograph results showed that ISWF had higher water absorption, longer dough stability time, and significantly higher softening of dough at 20 min than DSWF (P<0.05). Dough resistance and extensibility were higher in ISWF than in DSWFs.

      • KCI등재

        기기적 평가와 패널 기반 평가를 이용한 된장 용액의 제시 온도에 따른 맛과 향미 특성 분석 및 비교

        허정애,곽한섭,김미정,김민정,김윤숙,장민선,김상숙,Heo, JeongAe,Kwak, Han Sub,Kim, Mi Jeong,Kim, Min Jung,Kim, Yoonsook,Chang, Min-Sun,Kim, Sang 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8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1 No.2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aste profiles and the correlation of Doenjang soup solution prepared with three different temperatures (5, 25, $45^{\circ}C$) and using an electronic nose (e-nose), electronic tongue (e-tongue), and descriptive analyses by trained panelists. A total of 17sensory attributes were generated from the descriptive analyses for the Doenjang soup solu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samples in the cooked soybean flavor, the cooked soybean odor, the soy sauce odor, the sweet odor, the sweet taste, and the sweet aftertaste attributes. The intensities of these sensory attributes tended to increase as the serving temperature of the Doenjang soup solution increased. There were seven volatile compounds detected by the electronic nose: ethanol, propanal, 2-methylpropanal, ethyl acetate, 3-methylbutanal, and beta-pinene. The intensities of the volatile compounds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the Doenjang soup solution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intensities of the basic tastes by the e-tongue decreased as the temperature of the Doenjang soup solution increased. In conclusion, the e-nose, e-tongue, and descriptive analysis results showed different correlations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Doenjang soup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