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역사 철학에 나타나는 역사의 유대적 측면 - 벤야민의 게르숌 숄렘과의 카프카 토론

        고지현(Ko Ji-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10

        이글은 발터 벤야민 후기 저술에서 나타나는 역사의 유대적 측면을 해명하기 위해 1930년대 진행된 벤야민과 게르숌 숄렘과의 카프카에 대한 토론을 검토한다. 20세기 파시즘의 관철을 역사적 배경으로 하는 이 토론은 그간 협소한 의미에서 문예 비평서로만 간주된 벤야민의 『프란츠 카프카』 논술이 유대사에 대한 유물론적 철학가와 카발라 연구가간의 공방, 그리고 상이한 역사 철학적 입장을 함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원칙적으로 카프카 토론은 시대 개념으로서 모더니티의 맥락 속에 있다. 여기에서 중심을 이루는 문제점은 역사적 위기의식을 표현하는 유대의 종말론적 메시아주의이다. 숄렘은 카발라 연구를 통해 이 메시아주의를 필연적으로 성취될 수 없는 운명으로 규정하면서 유대사의 특수성을 ‘유예’로 결론짓는다. 하지만 벤야민에게 있어 유예는 유대사의 고유한 영역을 지시하기보다는 오히려 모더니티의 일반적 관철 하에 수렴된 세속화된 유대의 측면에 다름 아니다. 벤야민에게 역사의 유대적 측면이라는 특수성은 구원의 미완에 속하는 ‘이행부재’의 영역에 정주된 것으로, 이 영역은 단절되어 폐쇄되어버린 역사 공간을 의미한다. 동시에 벤야민은 이 공간을 유물론적 역사 서술에 불가피한 인식론적 전제로 파악하고, 이에 대한 과제를 수행하는데 있어 기억의 한 특수한 종류로서 ‘불망’을 요청한다.

      • KCI등재

        문명/야만의 경계와 대중개념 : 서양 근대 태동기의 국가?정치론을 중심으로

        고지현(Ko Ji-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9 사회와 철학 Vol.0 No.17

        이 글은 마키아벨리와 홉스 또 스피노자를 중심으로 17세기의 국가 · 정치론에 나타나는 대중개념을 고찰함으로써, 근대 태동기에 구축된 문명 대 야만의 경계가 어느 정도까지 실효성을 갖는 것인지, 만약 실효성을 띤다면 어떤 조건하에서 그 경계가 구축되는 것인지를 검토한다. 이러한 고찰은 푸코의 담론이론을 연구방법으로 도입하여 대중은 근대 에피스테메의 질서와 긴밀한 연관을 가지며 구성되었다는 점을 밝히고자한다. 근대 국가 · 정치철학에서 대중은 야만의 표상으로 작용한다. 그러한 인지 속에서 전개된 담론은 대중의 야만성을 문명의 질서로 편입하기위해 대중의 실존양태를 변환시켜야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대중 길들이기라는 전통적 과제를 국가의 합리적 통치기술이라는 차원에서 다시 풀어내야만 하는 것을 뜻한다. 그러나 본질적으로 다양체일 수밖에 없는 대중을 단일한 통일체로 묶어 완벽하게 통치하려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근대는 대중이라는 야만의 돌연한 출현으로 문명의 질서가 붕괴될 위험과 대결해야할 문제를 여전히 남겨놓았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발터 벤야민의 초기 주 저작 『독일 비애극의 기원』에서의 칼 슈미트의 비판적 수용

        고지현(Ko Ji-Hyun) 사회와 철학 연구회 2005 사회와 철학 Vol.0 No.9

        독일 유대인 철학자 발터 벤야민은 유물론과 유대적 메시아주의의 결합을 시도한 특이한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9-11 - 이라크 전쟁으로 이어진 일련의 최근 세계사적 사건에서 보이는 여러 위기현상들과 관련하여 그의 신학적 사유범주는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정치와 신학간의 긴장필드 속에서 거론되는 그의 사유 내용은 지나치게 단선적으로 축약되어 해석될 뿐만 아니라 함축적이든 명시적이든 칼 슈미트와의 동일한 입지 속으로 환원되어 이해되고 있다. 이 논문은 수용사에서 여전히 논란이 되는 초기 주 저작 『독일 비애극의 기원』에서의 벤야민의 비판적 슈미트 수용을 문헌학적 분석을 통해 규명한다. 슈미트의 정치 신학은 비애극 책에서 ‘분과별 학설의 분쇄’라는 의미를 지닌다. 이는 17세기 유럽 세계사의 현실영역에 도달하는 연구방식을 통해 시대의 총체성을 파악하는 이론을 형성하려는 벤야민의 반사변적 철학 프로그램을 주도한다. 그의 강도 높은 슈미트와의 비판적 대결은 근대성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수반하면서 현대화 속에서 해결되지 않은 종교성, 의식의 세속화된 신비성, 역사의 신화적 성격에 대한 계몽을 위해 정치적, 이론적 구상을 모색하고 있다. 벤야민과 슈미트와의 소위 ‘위험한’ 관계는 통상 일컬어지는 표현만큼 혼란스러운 것이 아니며, 오히려 왜 벤야민이 그의 후기 저작단계에서 유물론으로의 전환과 함께 지성적 정치 실천으로 반파시즘 투쟁을 과제로 삼았는지를 해명해 준다.

      • KCI등재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현황 분석: 일간지 보도내용을 중심으로

        고지현(JiHyun Ko),양세정(SeJeong Yang)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해 보도한 기사를 분석함으로써, 논의가 미흡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문제들에 대한 사회적 담론의 출발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뉴스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 ‘빅카인즈’와 언론사 홈페이지를 통해 2015년부터 2020년까지의 기간 동안 국내 7개 일간지(<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한겨레>, <한국일보>, <경향신문>, <국민일보>)에 보도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 기사 158개를 추출하여 연도별 불매운동 발생 건 수, 불매운동 발생 원인, 성인지감수성 논란 원인 등의 분류를 통해 불매운동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 기간 동안 발생한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은 총 52건으로, 매해 보도된 사안의 개수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안별 언론보도의 수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의 논란 원인별(성차별, 성폭력, 성별고정관념)로 분류한 결과, ‘성별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한 불매운동이 61.5%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성차별’, ‘성폭력’의 순이었다. 하지만 언론보도의 경우 ‘성폭력’ 관련 기사가 논란 당 평균 4건의 기사가 보도되며 다른 항목들보다 높게 나타나, ‘성폭력’ 문제에 기인한 불매운동이 보다 이슈화 되는 경향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불매운동의 방식은 대부분 시민단체의 개입 없이 소비자 ‘자발적인’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온라인에서의 불매운동 실행이 대부분의 비중을 차지하였는데, 이를 통해 소비자운동의 방향이 개별적으로 집결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불매운동의 실행단계별 양태를 분석한 결과 ‘불매운동 실행’ 단계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불매운동 조직’ 단계가 가장 낮은 비율을 차지하여 관련 불매운동의 경우 주로 직접적인 조직화를 구축하지 않아도 집단적 불매운동 실행이 가능한 온라인에서 진행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섯째, 성인지감수성 관련 불매운동에 대한 기업의 대응 방식은 문제되는 콘텐츠의 폐기와 같은 ‘직접적 조치’를 취한 후속조치 비중이 가장 높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7개 일간지에서 공통적으로 다룬 기업에 대해 불매운동 전후의 매출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들 모두 불매운동 이후 최소 6개월 간 매출 하락세를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boycott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in Korea, and to present the starting point of discourse on gender sensitivity related issues in the consumer market. For this purpose, 158 articles reported in seven domestic dailies(Chosun Daily, JoongAng Daily, DongA Daily, Hankyoreh, Hankook Daily, Kyunghyang Daily, Kukmin Daily) over the past six years from 2015 to 2020 have been selected and analyzed. The data was collected thorough “Big Kinds(news big data analysis system)” and each media’s website. According to the analysis, 52 boycotts related to gender sensitivity have occurred over the past six years. The number of boycotts occurring every year is not much different, but the number of media reports is gradually increasing. Second, the boycotts were classified by the cause of controversy over gender sensitivity(sexism, sexual violence, and misogyny), and the amount of media coverage was highest in case of sexual violence issues. Third, consumer-oriented boycotts without civic group intervention accounted for a high percentage. Fourth, the stage of running the boycott was the highest and organizing the boycott was the lowest. Fifth, among companies’ response methods, the follow-up that took action directly, such as scrapping problematic content, was the highest. Finally, in the case of the boycott, which was announced in all seven daily newspapers, all of the companies saw their sales decline for at least six months after the boycott.

      • KCI등재

        자세조절의 안정성과 가변성 연구: 선형 및 비선형 분석

        고지현 ( Ji Hyun Ko ),한동욱 ( Dong Wook Ha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5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re is a correspondence between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for postural stability. Specifically, the focus on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tandard deviation could represent postural stability of whole body and each foot. Methods: 12 young adult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nd had to maintain their balance with eyes open in 5 postures: side-by-side (SS), staggered (left (SL) or right (SR) foot forward), and tandem (left (TL) or right (TR) foot forward). Each subject had two 65s trials in each condition. Under two force platform protocol, center of pressure of left (COPL) and right (COPR) was measured and total body center of pressure (COPNET) was finally measured in both the anterior-posterior (AP) and medio-lateral (ML) direction. Standard deviation (SD) of linear analysis and the largest Lyapunov expoenent (LyE) of non-linear analysis were measured for COPL, COPR, and COPNET across whole standing conditions. Results: SD of COPNET was larger in AP than ML in SR and SL conditions, whereas LyE of COPNET in AP and M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ddition, SD of COPNET in AP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in ML in TR and TL conditions, while LyE of COPNET in ML was larger than that in AP. Lastly, SD of COPL and COPR in ML was larger than that of COPR and COPL in TR and TL conditio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LyE between COPL and COPR in ML in those conditions. Conclusion: Overall, there is an inconsistency between the SD and LyE during postural dynamics. The findings support the position that SD is not a representative measure of postural stability.

      • KCI등재

        푸코와 벤야민-바로크에 대하여

        고지현 ( Ji Hyun Ko ) 한국독어독문학회 2016 獨逸文學 Vol.57 No.2

        In der vorliegenden Arbeit versuche ich, die Verwandtschaft des Denkens zwischen einem Vertreter des franzosischen Poststrukturalismus, Michel Foucault, und einem deutschen Philosophen des 20. Jahrhunderts, Walter Benenjamin, zur Diskussion zu bringen, und zwar in Bezug auf ihre in eigenen Projekten jeweils herausgearbeiteten theoretischen Stellungnahmen zum Barock. Das Anliegen dieses Versuchs ist vor allem darin zu sehen, die Modernitat in der Barockforschung Benjamins in Hinsicht auf Foucaults Archaologie zu den Episthemen naher zu beleuchten und zu bestimmen. Das Barock stellt sich bei Foucault als das Negativ der Welt der Renaissance dar. Diese Bestimmung entspricht der ``Schwelle`` bei Benjamin, die in einem historischen Ubergang als Bruch situiert werden kann, dennoch nicht einfach unter die neue Episteme der klassischen Reprasention fallt. In der Erfahrungwelt dieser Schwelle stehen Poesie und Wahnsinn einander gegenuber, und im Trauerspiel beleben sich bekanntlich das Gefuhl der Trauer und die Melancholie. Daruber hinaus werfen Foucault und Benjamin interessanterweise gemeinsam den Blick auf die Naturgeschichte, vor deren Hintergrund auf der Schwelle des Barock der Sammler eine Rolle eines Geschichtserzahlers und -konstrukteurs spielt.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역사주의 비판

        고지현(Ko Ji Hyun) 한국독일사학회 2005 독일연구 Vol.- No.10

        Die Thesen zum Begriff der Geschichte repräsentieren bekanntlich das in der späten Werk-Phase auftretende geschichtsphilosophische Denken von Walter Benjamin. In den bisherigen Diskussionen darüber ist seine erbitterte Gegnerschaft zum Historismus häufig referiert und mit großer Selbstverständlichkeit bestätigt worden. Dabei ist jedoch die Tatsache allzu wenig beachtet worden, daß Benjamins kritische Auseinandersetzung mit dem Historismus nicht nur auf die frühe Werkphase zurückzuführen, sondern auch in das groß angelegte kunst- und kulturphilosophische Forschungsprogramm zu Urgeschichte des 19ten Jahrhunderts eingebettet ist. Vieles spricht dafür, daß seine Einsicht in den Historismus tiefgründiger angelegt ist, als man vermutet. In Rücksicht auf seine philosophische Erkenntnistheorie, die für die emphatisch betonte Geschichtserkenntnis sowohl m dem Ursprung des deutschen Trauerspiels als auch m dem Passagen-Werk entwickelt wurde, ist Benjamins Historismus-Kritik in zweifacher Hinsicht erfaßbar. Zunächst, vor allem in seinen Frühwerken, urteilt Benjamin mit der Polemik gegen die Begriffe von Erlebnis und Einfühlung, die von Wilhelm Dilthey für die geisteswissenschaftliche Methode begründet wurde, die zeitgenössisch kanonisierte Philologie für das Begreifen des Kunstwerkes als unfruchtbar. Die Auseinandersetzung mit der von der Lebensphilosophie ausgehenden psychologischen Hermeneutik. bleibt aber nicht auf das Gebiet der Kunstphilosophie beschränkt. Vielmehr erweist sie sich mit deren geschichtsphilosophischen Implikation als das allgemeine Problem der Geschichtsforschung und -darstellung. Hierin liegt der Grund, warum Benjamin im ideengeschichtlichen Kontext mit einem deutschen Historiker des 19. Jh. Leopold von Ranke konfrontiert wird. Damit tritt die theologhische Denkart zum Vorschein, die einem Eigentümlichen der Geschichtsphilosophie Benjamins angehört. Die intensive Konfrontation mit der Geschichtsbetrachtung des Historismus in theologischer und methodischer Hinsicht, welche in der Spätwerk-Phase weiter geführt wird, umkreist hauptsächlich die Erzählung als eine Form der Geschichtsbeschreibung und die Konzeption der Universalgeschichte. Sie führt Benjamin zuletzt zu emem alternativen Denkansatz, der auf das neue geschichtsphilosophische Paradigma hinweist. Er will nämlich Geschichte in einer Form der Erinnerung begreifen. Es ist das Eingedenken als eine spezifische Erfahrung des Historikers, die angesichts der theologischen Dimension der Geschichte die Solidarität mit dem Unterdrückten politisch verbindlich macht. Darüber hinaus stellt Benjamin unter dem wissenschaftsgeschichtlichen Aspekt den methodischen Dualismus von Natur- und Geisteswissenschaft in Frage, den der Historismus mit allzu großen Selbstverständlichkeit vorgenommen hat.

      • KCI등재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문화예술론에 나타나는 역사주의 비판 : 박물의 세계와 역사주의의 세속화

        고지현(Ko. Ji-Hyun) 한국사학사학회 2011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24

        벤야민의 역사철학테제에서 나타나는 역사주의 비판은 분과학문체계를 둘러싼 사상사적 담론으로 한정하기 어렵다. 벤야민은 역사주의를 ‘19세기의 근원사’(『파사주』프로젝트)라는 자신의 독자적인 연구기획 속에서 바라 보았으며, 이러한 시각 속에서 포착된 역사주의의 현상은 예술과 문화 그리고 의식의 영역으로 매우 폭넓게 확장되어 있다. 19세기의 예술과 문화에서 나타나는 역사주의는 한마디로 역사적인 것의 과잉으로 특징지을 수 있다. 그것은 역사적 지식의 포화로, 또 박물의 범람으로 현재의 실존을 짓누른다. 과거에 대한 과도한 집착이 불러일으킨 세계의 박물화 현상은 사실상 일상영역 전반에 결쳐 관철된 역사주의의 세속화를 의미한다. 역사주의의 세속화라는 국면을 맞아 벤야민은 과거를 어떻게 전유할 것인가라는 진지한 물음을 제기하고 있다. 역사의 전유는 새로운 역사와 가치의 창출이 아니라, 역사를 이전하고 전승하는 역할에 주목한다. 이러한 역할에 비판적 성격을 확보하기 위해 벤야민은 유물론적 역사인식론을 타진하고 있으며, 그것은 역사적 무매의 영웅과 명성에 가려진 무명인의 기념비 구축이라는 과제로 이어진다. 이 기념비는 억압으로 점철된 피지배 경험의 장소이다. Benjamin’s Historismus criticism that appears in the Theses on the Philosophy of Historyis difficult to limit as the discourse on the history of thought surrounding academic science system. Benjamin perceivedHistorismus from his proprietary research plan, which is the ‘history of the origin during the 19th Century’ (『The passage』project). Historismus phenomenon captured amidst this perception is expanded very broadly to the domains of art, culture and consciousness. Historismus that appears in the art and culture of the 19thCentury can be characterized as the excess of what is historical, to put it simply. This is the saturation of the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existence of the present is pressed down due to the overflow of the wide knowledge. Musealization phenomenon of the world, caused by the excessive fixation on the past signifies secularization of Historismus, foreseen in all aspects of the everyday domain in actuality. In the face of the secularization of Historismus, Benjamin is posing serious question on how to appropriate the past. The appropriation ofthe history does not entail creating new history and value: Instead, focus is on the role of transferring and passing down the history. To secure criticism like characteristic to this type of role, Benjamin taps the opinion, materialistic epistemology of history is being tapped, which m turn leads to the assignment of developing commemorative monumental for the obscure individuals who were hidden behind the heroes and reputations of the historical stage. This commemorative monument is the place concerning the experience of the governed, interspersed with repression.

      • KCI등재

        발터 벤야민의 유대 메시아주의

        고지현(Ko, Ji-Hyun)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9 철학논집 Vol.59 No.-

        벤야민이 사상적으로 유대 메시아주의를 의무화했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체계적이고 완결성을 기대할만한 독자적인 텍스트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벤야민의 사상전개에서 유대정신이나 메시아주의가 자기목적이 아니었음을 시사한다. 유대 메시아주의에 대한 벤야민의 관심은 무엇보다도 역사철학의 혁신, 곧 역사의 신학적 차원을 역사유물론과 접목하려는 최후의 시도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있다. 역사철학의 주요 사유요소로서 유대 메시아주의는 숄렘과 공유한 문제의식 및 서신 논쟁을 통해 재구성해볼 수 있다. 먼저 숄렘과 공유했던 유대정신은 벤야민의 칼 크라우스 비평론에서 개진되고 있는 언어와 정의의 상관성, 크라우스의 언어에 경도된 실존과 그로부터 분출되는 정의개념이다. 이를 통해 뚜렷하게 가시화되는 것은 유대 종말론이다. ‘최후심판은 즉결심판권’이라는 카프카의 아포리즘은 카프카 비평론에서 나타나는 벤야민의 신학적․유대적 사유를 규정하는 열쇠다. 여기에서 우리는 카프카 작품에서 나타나는 신학적 차원을 ‘계시의 무’라 특징지은 숄렘의 해석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른바 포스트모던의 정치신학을 주도하는 아감벤의 정치철학이 숄렘의 이 개념을 활용하여 예외상태론으로 흡수하는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할 것이다. 이와 같은 아감벤의 독특한 전유방식은 아이러니하게도 벤야민이 「역사철학테제」에서 슈미트의 카테콘과 대결을 벌이는 적그리스도의 극복이라는 공식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 예외상태론을 둘러싸고 전개되는 이 대립구도는 벤야민이 명시적으로 유대전통으로 소환하는 기억 패러다임, ‘불망’의 역사철학적 전망을 열어준다. Es ist wohl bekannt, dass Walter Benjamin in seinem philosophischen Laufbahn dem Judentum verpflichtet war. Doch hat er keine eigenständige Forschung dazu durchgeführt. Aus diesem Tatbestand lässt sich dennoch nicht schlussfolgern, dass bloss stoffliche Kenntnisse von Talmud oder Kabbala sein Problembewusstsein von Judentum konkurrierend ersetzen könnten. Seine Verpflichtung dazu war kein Selbstzweck, sondern organisch mit dem experimentalen Versuche verbunden, der theologischen Dimension der Geschichte an den historischen Materialismus anzuknüpfen. Benjamins jüdischer Messianismus ist zu rekonstruieren, durch das Problembewusstsein, das er mit Gershom Scholem geteilt hat, sowie die Auseinandersetzungen zwischen den beiden, die hauptsächlich brieflich geführt wurden. Benjamins und Scholems gemeinsame Interesse in ihrer frühen freundschaftlichen Beziehung liegt in einem latenten Zusammenhang von Sprache(besonderer Bindung der Juden an Sprachwelt) und Gerechtigkeit, den Benjamin später in Karl Kraus noch ausführlich entwickelt. Dabei handelt es sich um die apokalyptische Dimension der jüdischen Geschichte. Kafkas Aporismus des jüngsten Gerichtes interpretiert Scholem als󰡐́Nichts der Offenbarung󰡑. Diesen Begriff gebraucht Agamben für seine Aneignung von Theorem des Ausnahmezustandes im Kontext der postmodernen politischen Theologie. In dieser eigentümlichen Konstellation aus einem Abschnitt der Rezeptionsgeschichte ist ironischerweise ein Schlüssel zu Benjamins Verstäntnis zur jüdischen Seite der Geschichte erkennbar. In der Konfrontation mit Carl Schmitts Katechon hält Benjamin an der dunklen Figur des Antichistes fest und fordert dessen Überwindung als eine geschichtsphilosophische Aufgabe auf. Diese Aufgabe übernimmt bei ihm das Eingedenken, das heisst wohl 󰡐Zachor (Erinnere Dich!)󰡑, nämlich der kategorischer Imperativ in der jüdischen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