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대학신입생의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고경필(Ko, GyeongPil),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1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이 인식한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고, 경남 J시에 소재한 G 대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 265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2018년 5월 21일부터 25일까지 한 주간에 걸쳐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 자기주도 학습능력, 사회적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긍정 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동기의 개인적 동기 및 사회적 동기와 대학생활적응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사회적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신입생이 인식한 전공선택동기와 대학생활 적응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영역과 사회적지지의 부모, 친구, 교수 지지의 매개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결과로 대학은 대학신입생들이 대학이라는 새로운 공간에 적응하고 자신의 전공분야에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강화시키고 사회적지지를 제공해 줄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medi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of university freshman’s major choice ground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subject were university freshman 265 students while at G university in J city in gyeong sang nam do and question investigation was performanced aimed at this students during 1 week. To measure university freshman’s major choice grou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question materal was collected and collected question materal was analyzed using SPSS 23 program.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dividual ground and social ground of university freshman’s major choice grou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ocial support effected on university life adaptation positively.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ocial support had part mediator effect in relation of individual ground and social ground of university freshman’s major choice ground,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This study had meaning to analyze mediating effect separately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s cognitive, emotional, active area and social support’s parent, friend, professor area in relation of university freshman’s major choice ground and university life adaptation. On this study, university will have to devise various way to reinforc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o construct social support system for university freshman’s new space’s adaptation and professional growth in major area.
고경필(Ko, Gyeongp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부모교육관련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기 부모교육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005년부터 2016년까지 12년간 발표된 학술지논문 102편을 분석기준에 따라 연구시기 별, 연구내용별, 연구방법별(연구대상, 자료수집방법)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연구시기별로는 2009년~2012년 시기에 유아기 부모교육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내용별로는 양육태도 및 행동이 지속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가장 많았으나 그 외 아버지나 다문화 및 비정형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논문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였다. 넷째, 자료수집방법별로는 설문지가 지속적으로 많았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자료수집방법에서 좀 더 다양해질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early childhood parents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102 journal articles from 2005 to 2016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content, research method(research object, data collection method).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and shown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research chronology, researchs on early childhood parents from 2009 to 2012 were majority. Second, on research content, nurture attitude and act was majority. Third, on research object, mother was majority. But, on research object, father, multicultural family, and atypical family were increasing. Forth, on data collection method, questionnaire was majority consistently. Later,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ly on data collection method.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대학생활적응과의 관계에서 가족지지,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고경필(Gyeongpil Ko),심미영(Miyoung Sim) 한국콘텐츠학회 201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과 가족지지를 매개로 하여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취업스트레스가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취업스트레스는 자기효능감, 가족지지,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스트레스가 가족지지와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대학생활적응에 부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지지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을 분석한 결과, 가족지지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직접효과가 나타났지만, 대학생활적응에 간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가족지지는 대학생활적응에 직접적 효과는 검증되지 않았지만,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정적인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학생활적응의 향상을 위해서는 취업스트레스의 완화, 가족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향상이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mediated structural relation of college students’ unemployment stress with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tudy looked into how unemployment stress would directly affect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t was found that the unemployment stress would have immediate negative effects on the self-efficacy, family support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In addition, the study noticed that with both family support and self-efficacy applied as mediating factors, unemployment stress influences college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indirectly and negatively. After the investigation on the immediate effects of family support in relation to the self-efficacy, the study indicated that family support has an immediate positive influence on the self-efficacy. In terms of self-efficacy, it appeared to affect adaptation to school life both positively and directly but, its indirect effects on the adaptation to school life was not confirmed. The study failed to find any direct influence of the family support on adaptation to school life but learned that the family support causes an indirect positive effect through self-efficacy, the mediating factor. In conclusion, the study suggests that adaptation to school life improves as long as unemployment stress decreases, while the family support and the self-efficacy are enhanced.
고경필(Ko Gyong Phil),김종운(Kim Jong Un),노현옥(No Hyeon 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18
본 연구는 다도활동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인성발달을 위해 다도활동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아인성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시사점을 주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C시에 위치한 S유아교육기관의 만 5세 유아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실험집단 20명, 비교집단 20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다도활동 프로그램을 2015년 10월 1일부터 2015년 11월 5일 까지 5주간 주 2회 총 11회기를 적용하였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유치원의 연간 교육계획안에 따른 누리과정의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인성발달 측정도구는 Conners(1970)의 인성검사를 기초한 권오정(2004)이 제작한 학부모용 인성평정척도를 수정하여 교사용으로 만든 배윤진(2007)의 인성평정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실시 전·후에 동일한 방법으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t-test)과 대응표본 t-검증(paired t-test)을 실시하였으며, 유아의 변화양상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수집된 자료를 나선형적 자료분석 방법(Creswell, 2003)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다도활동 프로그램의 적용은 유아의 인성 각 하위요인 및 인성발달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유아의 인성발달에 다도활동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및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tea ceremony activities program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preschooler and suggest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preschooler character education by utilizing the ceremony program of activities in the field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for the children character developmen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selected by 40 of 5 year olds in Gyeongnam C city which then divided into 20 for experimental groups and 20 for the comparison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fants, from 1 October 2015 to November 2015, tea ceremony activities program was applied of a total of 11 sessions as to five times of twice a week. On the other hand, rhythms activities was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basic free courses for the comparison group. Pre-and post test was carried out similarly to the procedures carried out before and after programs. Personality development tool for the study was used Character Rating Sale for teachers version made by Yun-jin Bae (2007), which is based on Personality Inventory Test made by Conners(1970). Data collection for the study was analyzed by using SPSS 21.0 which was conducted by independent samples t-verification (independent t-test) and paired t- verification (paired t-test). And in order to examine the changes of early childhoo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piral data analysis method (Creswell, 2003) which is read and jot down, technology - sorting - interpreting, and reporting after begin to circulate in a spiral.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tea ceremony activit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character development of preschooler. Tea ceremony activity program is to raise respect the other party and develop the conscious mind and can form a correct relationship in life which implies that it affects the personality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고경필(Ko, Gyeongpi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4
목적 본 연구는 유아인성교육 관련 국내 학술지 논문의 동향을 고찰하여 유아인성교육 관련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유아인성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09년부터 2020년까지 KCI에 등재된 학술지 논문 241편을 연구시기,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연구시기별로 2017년~2020년 시기에 유아인성교육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연구주제별로 유아인성교육 활동 및 프로그램 개발 관련 논문이 가장 많았다. 셋째, 연구대상별로는 3~5세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관리자(원장, 원감)를 대상으로 하는 논문은 매우 저조한 수준이었다. 넷째 연구방법별로는 양적 연구가 가장 많았다. 결론 연구의 결론은 우리나라 유아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나 대상, 방법이 좀 더 실제적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면서 다양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in relation to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241 journal articles from 2009 to 2020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criteria: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subject,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The data collected is analyzed and shown with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Results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research chronology,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from 2017 to 2020 were majority. Second, on research subject,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activity and program development was majority. Third, on research object, 3~5 preschooler was majority. But, research on manager was low percentage. Forth, on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was majority. Conclusions Later, it is necessary to take variously on research subject, research object, research method for early childhood character education reflecting field’s demand.
대학생이 인식한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분석
고경필(Ko, GyeongPil),고정리(Go, Jeong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심리적, 환경적 진로장벽을 주요변인으로 설정하고, 사회적 지지를 매개변인으로 하여 이들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을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남지역에 소재한 K대학에 재학 중인 1~2학년 학생 300명이다.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 진로준비행동을 측정하기위한 측정도구는 기존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이를 근거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 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3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들이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들 중, 진로장벽 전체를 보고 주로 연구를 한 것에 비해, 대학생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는 여러 변인들 중, 심리적 진로장벽과 환경적 진로장벽을 따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는점과 매개변인으로서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각각의 변인과 연관 지어 살펴보았다는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구결과는 첫째, 심리적 및 환경적 진로장벽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지지는 환경적 진로장벽과 진로준비행동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of social-support s mediating effect in impact of university student perceiving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 investigation of university student s career barriers, social-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has done. the subject were 1~2 grade university student 300 while in K university school in gyeong sang nam do.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 s career barriers, social-support, career preparation behavior, measurement tool was made existing tool. On this basis, research mater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1 for window program for data processing, frequnency analysis, Cronbach s α verification, Pearson’s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Tolerance, 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ediator effect verification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effec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negatively. Second, social-support effected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positively. Third, social-support had part mediator effect between psychologic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th, social-support had part mediator effect between environmental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
고경필(Ko, Gyeong Pil),심미영(Sim, Mi 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9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영향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진주시와 인근 어린이집에 근 무하는 보육교사 282명이다. 검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20 프로그램과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변수들에 대한 다변량 정규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술통계 및 왜도, 첨도를 산출하였다. 신뢰도 분석을 위하여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고 문항묶음(item parceling)방법을 이용하였으며,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방법에 의하여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접효과 검증에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이직의도에 정적 영향을, 심리적 안녕감에는 부적 영향을, 심리적 안녕감은 이직의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은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affects turnover intention, and to verify mediation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o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child-care teachers’ job stress had an direct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Second, job stress had an direct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Third,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had an direct nega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Last, The mediation effects of child-care teachers’ psychological well-being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예비 유아,보육교사와 예비 사회복지사의 장애 영유아 통합교육 및 보육과 그에 관한 장애 영유아 관련법에 대한 인식 비교
고경필 ( Gyeong Pil Ko ),하정숙 ( Jung Sook Ha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nursery·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social workers o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questionnaire study was implemented to 268 students including 148 of pre-service nursery·kindergarten teachers and 120 pre-service social workers. For the data analysis, chi-square, M, SD, and t-test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pre-service nursery·kindergarten teachers and per-service social workers about necessity, operation, impact, and conditions of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Seco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between pre-service nursery·kindergarten teachers and pre-service social workers about the enforcement of the Disabled Children Welfare Support 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