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한 리눅스 시스템을 위한 E-BLP 보안 모델과 구현

        강정민,신욱,박춘구,이동익,Kang, Jung-Min,Shin, Wook,Park, Chun-Gu,Lee, Dong-Ik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 A Vol.8 No.4

        대부분의 안전한 운영체제는 주체와 객체에 보안 등급을 부여하여 운영하는 다중등급 정책(MLP:Multi-Level Policy)을 수용하고 있으며, BLP(Bell and LaPadula) 모델은 이 정책을 표현하는 검증된 대표적인 모델이다. 하지만 BLP 모델을 적용한 안전한 운영체제들은 사용자의 보안 등급을 프로세스에 그대로 상속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법의 문제점은 프로세스를 전적으로 신뢰할 수 없다는 것에서 기인한다. 즉, 사용자의 보안 등급과 권한허용 범위를 오류가 내재되어 있거나 의도적으로 수정된 악의적인(malicious) 프로세스에게 그대로 상속할 경우, 시스템 안전성이 파괴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BLP 모델이 접근 주체를 정의함에 있어서 시스템 사용자와 실제 그 접근을 대행하는 프로세스를 동일시 하도록 단순하게 정의하고 있기 때문이며, 따라서 사용자와 프로세스간 신뢰관계를 모델에 도입함으로써 해결 가능하다. 또한 다중등급 보안 운영체제들은 접근 주체인 프로세스가 접근 객체로서 존재하는 등급화 된 프로그램 실행 시, 새로운 프로세스를 위한 보안 등급을 부여해야 하는데, 접근 주체와 접근 객체의 보안 등급이 다를 경우, 보안 등급 결정 문제가 발생하며 정보보호의 목적에 위배되는 결과가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프로세스의 신뢰성을 고려하고, 보안 등급 결정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확장된 BLP(E-BLP) 보안 모델을 제안하고 리눅스 커널(2.4.7)에 구현한다. To design and develop secure operating systems, the BLP (Bell-La Padula) model that represents the MLP (Multi-Level Policy) has been widely adopted. However, user\`s security level in the most developed systems based on the BLP model is inherited to a process that is actual subject on behalf of the user, regardless whatever the process behavior is. So, there could be information disclosure threat or modification threat by malicious or unreliable processes even though the user is authorized in the system.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defining the subject as (user, process) ordered pair and by defining the process reliability. Moreover, when the leveled programs which exist as objects in a disk are executed by a process and have different level from the process level, the security level decision problem occurs. This paper presents an extended BLP (E-BLP) model in which process reliability is considered and solves the security level decision problem. And this model is implemented into the Linux kernel 2.4.7.

      • KCI등재

        임플랜트 Overdenture의 Bar설계에 따른 하악지지조직의 광탄성학적 응력분석

        강정민,방몽숙,Kang Jeong-Min,Vang Mong-Sook 대한치과보철학회 1994 대한치과보철학회지 Vol.32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number and alignment of implant fixture and various bar designs on the retention of denture and the stress distribution. Six kinds of photoelastic mandibular models and nine kinds of overdenture specimens were designed. A unilateral vertical load was gradually applied on the right first molar to calculate the maximal dislodgement load of each specimen. A unilateral vertical load of 17 Kgf was applied on the right first molar and a vertical load of 10 Kgf was applied on the interincisal edge region. The stress pattern which developed in each photoelastic model was analyzed by the reflection polariscop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aximal dislodgement load reversely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loading point to the implant fixture, while it linearly increased with that from the most posterior implant fixture to the mesial clip. The maximal dislodgement load also increased with the use of a cantilever bar. 2. Under the posterior vertical load, the stress to the supporting tissue of the denture base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loading point to the implant future. The stress concentration on the apical area of the implant future reversely in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loading point to the implant future. 3. In the overdentures supported by two implant fixtures under the posterior vertical load. the specimen implanted on lateral incisor areas with a cantilever bar exhibited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than that without a cantilever bar. The specimen implanted on the canine areas without a cantilever bar, however, exhibited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4. In the overdentures supported by three implant fixtures. the specimen implanted ell the midline and canine areas exhibited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than that implanted oil the midline and the first premolar areas. 5. In the overdentures supported by four implant fixtures. the specimen implanted with two adjacent implant fixtures exhibited more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than that implanted at equal distance under the posterior vertical load. 6. Under the anterior vertical load, the overdentures supported by three implant fixtures exhibited stress concentration on the supporting structure of the middle implant future. In overdentures supported by two or four implant futur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stress distribution between the types of ba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eater the number of implant fixtures, the better the stress distribution is. A favorable stress distribution may be obtained in the overdentures supported by two or three implant fixtures, if the location and the design of the bar are appropriate.

      • KCI등재

        Single ZnO Nanowire Inverter Logic Circuits on Flexible Plastic Substrates

        강정민(Jeongmin Kang),이명원(Myeongwon Lee),구상모(Sang-Mo Koo),홍완식(Wan-Shick Hong),김상식(Sangsig Kim) 대한전기학회 2010 전기학회논문지 Vol.59 No.2

        In this study, inverter logic circuits on a plastic substrate are built with two top-gate FETs in series on a single ZnO nanowire. The voltage transfer characteristics of the ZnO nanowire-based inverter logic circuit exhibit a clear inverting operation. The logic swing, gain and transition width of the inverter logic circuit is about 90 %, 1.03 and 1.2 V, respectively. The result of mechanical bending cycles of the inverter logic circuit on a plastic substrate shows that the stable performance is maintained even after many hundreds of bending cycles.

      • 고승압비를 갖는 전압 클램프 탭인덕터 부스트 컨버터

        강정민(Jung-Min Kang),이상현(Sang-Hyun Lee),홍성수(Sung-Soo Hong),김진환(Jin-Hwan Kim),오동성(Dong-Sung Oh),한상규(Sang-Kyoo Han) 전력전자학회 2011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Vol.2011 No.7

        본 논문에서는 높은 승압비를 갖는 전압 클램프 탭인덕터 부스트 컨버터를 제안한다. 기존의 탭인덕터 부스트 컨버터 방식은 높은 승압비를 얻기 위해 사용되었던 탭인덕터로 인하여 일반적인 부스트 컨버터에 비해 주스위치와 다이오드의 전압스트레스가 크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누설 인덕터 성분과 기생 캐패시터로 인해 발생하는 공진 전압을 없애기 위해 손실스너버를 사용함으로 전력변환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반면, 제안된 방식은 손실 스너버 없이 전압 클램핑 캐패시터를 사용하고 있다. 이 캐패시터는 기존의 탭인덕터 부스트컨버터의 주스위치 및 다이오드의 전압 스트레스를 줄이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된 부스트 컨버터의 동작원리를 이론적으로 해석하고,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된 회로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유치원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현황분석 연구

        강정민(Kang, Jeong-Min),강석진(Kang, Seok-Jin) 대한건축학회 2020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40 No.2

        The purpose to this study was to derive environmental design elements (planning indicators) and conduct field survey to prevent child abuse in kindergarten. The framework of the field survey analysis divided the physical environment into boundary, external, internal and management areas. The indicators were compiled from the perspective of CPTED by reference to prior studies and relate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guidelines of the relevant agencies were insufficient in the research and guide of child abuse perspectives. And, field survey did not have difficulty using the indicators. A follow-up study will verify the adequacy of the indicators with experts.

      • KCI등재

        아렌트의 사회학과 사회학비판`

        강정민 ( Chung Min K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아렌트의 사상을 사회이론의 역사 속에 배치하는 것이다. 아렌트와 마르크스, 하버마스, 푸코를 노동·행위, 공적 영역, 권력 개념 등을 중심으로 함께 독해함으로써 아렌트의 사상이 지닌 사회학사적 위상을 규명한다. 아렌트의 사상에 존재하는 전근대, 근대, 탈근대적 전망 사이의 긴장이 이와 같은 복합적 독해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논문의 첫 번째 부분에서는, 아렌트와 마르크스사이의 연속적인 이론적 투쟁을 살펴본다. 아렌트의 마르크스 분석과 비판은 노동에 대한 그녀의 설명의 핵심을 구성한다. 논문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아렌트와 하버마스 사이의 이론적 대화와 아렌트에 대한 하버마스의 이론적 부채를 진단한다. 하버마스의 공공영역 개념과 노동과 상호작용 - 의사소통행위개념의 초기형태 - 구분은 아렌트의 『인간의 조건』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논문의 세 번째 부분에서는, 아렌트와 푸코의 대화를 권력 개념의 관점에서 상상력을 통해 재구성한다. 아렌트와 푸코는 각기 상이한 방식으로 권력을 개념화하지만 주권으로서의 권력개념에 대한 유사한 비판을 통해서 자신들의 권력분석을 시작한다. 논문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아렌트 사상의 사회학적 재구성이 창출할 수 있는 이론적 잠재성을 평가한다. My aim in this essay is to insert Arendt`s thought into the history of sociological theory. I examine Arendt`s sociological theoretical status by reading Arendt with Marx, Habermas and Foucault with respect to the notions of labor / action, public realm, and power. A tension in Arendt`s thought between the premodern, modern, and postmodern makes such a divergent and seemingly impossible reading possible. In the first section, I outline Arendt`s continuing argument with Marx. Her analysis and critique of Marx forms the core of her account of labor. In the second section, I examine Habermas`s dialogue with Arendt, and his intellectual debt to her. Habermas`s concept of the public sphere, his distinction between labor and interaction - the original form of his concept of communicative action - is indebted to her book, The Human Condition. In the third section, I bring Arendt and Foucault into imaginary dialogue on the question of power. Although they develop different ways of conceptualizing power, both begin their analyses of power by challenging the notion of power as sovereignty. In the final section, I suggest the potential theoretical effects produced by sociological reconstruction of Arendt`s thought.

      • 노인의 Quality of Life 향상을 위한 Social Network Service 연구 : 정성 분석과 정량 분석 방법을 이용한 노인과 젊은 세대 비교 분석

        강정민(Jungmin Kang),김선재(Sunjae Kim),이인성(Inseong Lee),김진우(Jinwoo Kim) 한국HCI학회 200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09 No.2

        전 세계적으로 노령화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노인이 느끼는 전반적인 삶의 질 (Quality of Life, QoL) 이 하락하는 문제가 사회 전반에 걸쳐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는 노인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인학, 사회복지학 등의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노인의 사회적 관계 (Social Network, SN) 를 강화, 확장하여 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연구를 찾아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인의 사회적 관계를 인터넷을 이용해 개선함으로써,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표이다. 이에 본 연구의 세부적인 목적은 현재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SNS 를 노인들이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분석, 노인을 위한 SNS 의 핵심적인 기능적, 서비스적 요소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재 인터넷을 잘 활용하고 있는 60 세 이상의 노인 22 명을 대상으로 개별 인터뷰, 참가자가 사용하는 서비스 분석, FGI 의 3 가지 방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후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정성적 분석 방법으로 Casual Network 를 도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방법인 Laddering 분석으로 Hierarchical Map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도출된 결과가 노인들만의 특징인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대학생, 직장인 각 10 명씩을 대상으로 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방식과 동일한 방법으로 데이터를 수집, 분석 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감성적 선택 이론 (Socioemotional Selectivity Theory, SST) 를 바탕으로 인터넷에서의 Social Network 활동도 오프라인과 유사한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현재 친하게 지내고 있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SN 을 강화시키려 하는 강화형 타입과 새로운 SN 을 생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확장형 타입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추후 이러한 특징들을 반영하여 노인들을 위한 SNS 가 지녀야 할 기능적, 시스템적 요소를 제안하고, 추후 연구 및 SNS 개발과 관련한 계획을 정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